◐살아가는 행복 이야기
▣2024 강릉단오제 6.6(목) 공연일정안내/신주빚기/대관령산신제/국사성황제/신목모시기 및 국사성황행차/환우굿,소제▣
晛溪亭 斗井軒 陽溪
2024. 6. 9. 18:27
728x90
반응형
▣2024 강릉단오제 6.6(목) 공연일정안내 /신주빚기/대관령산신제/국사성황제/신목모시기 및 국사성황행차/환우굿,소제▣
https://www.danojefestival.or.kr/contents.asp?page=484&kind=2&IDX=8365
2024 강릉단오제 신주빚기
.
www.danojefestival.or.kr
▼2024 강릉단오제 6.6(목) 공연일정안내
◐강릉단오제(江陵端午祭)◑
♠문화재 지정유형분야
중요무형문화재 제13호,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
의례·행사 |
종교·철학/민간신앙 |
♠ 요약 : 음력 4월 5일부터 5월 7일까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지방에서 대관령서낭을 제사하며 산로의 안전과 풍작·풍어, 집안의 태평 등을 기원하는 마을축제. 향토신제.
♠ 내용
1967년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대관령서낭을 제사하며, 산로 안전(山路安全)과 풍작 · 풍어, 집안의 태평 등을 기원하는 제의이자 축제라고 할 수 있다. 단오굿 · 단양제(端陽祭)라고도 불리며, 단오날 행사로서는 가장 대표적인 행사이다.
음력 3월 20일부터 제사에 소용될 신주(神酒)를 빚는 데서 시작하여 단오 다음날인 5월 6일의 소제(燒祭)까지 약 50여 일이 걸리는 대대적인 행사이다. 단오제의 제사일정은 다음과 같다. 3월 20일 제사에 쓸 술을 담그고, 4월 1일을 초 단오(初端午), 4월 8일을 재 단오(再端午) 또는 2단오라 하여 헌주(獻酒)와 무악(巫樂)이 있다.
현재 신주 빚기 의례는 1988년 공개행사로 전환되면서 일정이 바뀌어 현재 음력 4월 5일부터 진행한다. 음력 4월 5일 신주근양[神酒謹釀, 신주 빚]에서 음력 5월 7일 송신제[送神祭, 신을 보내는 제사]까지 진행한다.
4월 14일은 서낭신을 모시기 위하여 강릉을 출발하여 송정(松亭)에서 야숙하고, 4월 15일 3단오날에는 대관령서낭과 산신께 제사하고 신목(神木)과 서낭을 모시고 돌아온다. 이때에 강릉사람들이 구산(邱山)서낭당까지 마중을 나와 횃불을 밝히고 함께 여서낭당에 와서 서낭내외를 합사(合祀:둘 이상의 혼령을 한 곳에 모아 제사함)시킨다.
4월 27은 4단오로 무당들에 의해서 굿이 행해진다. 5월 1일 5단오날은 본제가 시작되는 날로, 화개(花蓋)를 모시고 굿당으로 가서 굿과 관노가면극(官奴假面劇)을 행한다. 5월 4일은 6단오, 5일은 7단오로 무굿과 가면극이 있으며, 단오날을 본제날로 여기고 있다. 5월 6일은 8단오로 서낭신을 대관령국사서낭당으로 봉송하는 소제를 끝으로 약 50일 동안의 단오제는 막을 내린다.
본격적인 제의와 놀이는 5월 1일부터 시작되는데, 단오굿과 관노가면극을 중심으로 한 그네 · 씨름 · 줄다리기 · 윷놀이 · 궁도 등의 민속놀이와 각종 기념행사가 벌어진다. 이때 영동일대와 각지에서 많은 구경꾼들이 모여드는데, 예나 다름없이 지금도 대성황을 이루어 강릉시가는 일년 중 가장 혼잡을 이룬다.
강릉단오제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그 역사와 예전 모습을 짐작하게 해주는 단편적인 기록이 전하고 있다. 조선 초기의 문인 남효온(南孝溫)의 문집인 『추강냉화(秋江冷話)』(1477)에 의하면 영동민속에 매년 3 · 4 · 5월 중에 택일을 하여 무당들이 산신을 제사하는데, 3일 동안 큰 굿을 벌였다는 기록이 있다.
『추강냉화』의 기록은 반드시 단오제를 지칭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그 시기 중 5월이 포함되어 있고, 또 그 의식이 대관령서낭제의 진행과 비슷한 점 등으로 미루어보아 강릉단오제로 추정하게 한다. 또한, 허균(許筠)의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1611)에도 그가 1603년(선조 36)에 강릉에 가서 단오제를 구경하였다는 내용과 함께 대관령산신이 김유신(金庾信)이라는 이속(吏屬 : 관아에 딸린 구슬아치)의 말을 인용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지금으로부터 약 400년 전에도 단오제가 거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기록으로 강릉의 옛날 향토지인 『임영지(臨瀛誌)』를 취사(取舍)해서 경종 때 간행한 『강릉지 江陵誌』 권2 풍속 조에 의하면, 고려 태조가 견훤(甄萱)의 아들 신검(神劍)을 정벌하기 위해서 남정(南征)하였을 때 꿈에 중과 속인 두 신[僧俗二神]이 병졸을 이끌고 와서 구해주었다. 꿈이 깨어서 싸웠는데 이기게 되어 대관령산신에게 제사하고 치제(致祭)하기에 이르렀다 한다.
이로 보건대 대관령산신은 10세기에 이미 있었으며 당시에 왕이 제사한 것으로 보아 큰 신제(神祭)이었을 것으로 믿어진다. 그런데 허균의 『성소부부고』나 현지주민의 이야기에 따르면, 대관령산신은 김유신이며 서낭신과는 별개의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김유신이 명주(溟州 : 지금의 강릉)에 유학한 일이 있고 대관령산신에게서 검술을 배웠으며 죽어서 산신이 되었다는 이야기나 『임영지』의 ‘승속이신’ 등의 내용을 보면, 대관령산신은 김유신 하나가 아니고 그 이상일 수 있다는 가능성도 없지 않다. 다만, 대관령산신으로 중요하게 간주되는 것은 김유신이다. 이에 대하여 ‘승(僧)’은 국사 범일(梵日)이고 ‘속(俗)’은 김유신으로 추정하는 설도 있다.
한편, 강릉단오제의 유래를 알려주는 것으로, 단오제의 주신(主神)으로 모시는 대관령국사서낭[大關嶺國師城隍]과 그 부인인 대관령국사여서낭[大關嶺國師女城隍]에 대한 구전설화가 있다. 대관령국사서낭은 범일 국사가 죽어서 된 것이고, 대관령국사여서낭은 국사서낭과 혼배(魂配)한 정씨녀(鄭氏女)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①대관령국사서낭설화 : 옛날 학산리(鶴山里:지금의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마을에 한 처녀가 굴산사(屈山寺) 앞에 있는 석천(石泉)에 가서 바가지로 물을 뜨니 물 속에 해가 떠 있었다. 물을 버리고 다시 떴으나 여전히 해가 있으므로 이상하게 여기면서 물을 마셨다. 이러한 일이 있은 뒤 처녀에게 태기가 있어 마침내 아이를 낳았는데 아비 없는 자식이라 하여 마을 뒷산 학바위 밑에 버렸다.
산모가 잠을 이루지 못한 채 이튿날 그곳에 다시 가보니 뜻밖에도 학과 산짐승들이 모여 젖을 먹이고 날개로 가려 따뜻하게 해주고 있었다. 이 광경을 보고 비범한 인물이 될 것이라 믿고 아이를 데려와 키웠다. 아이가 자라자 당시의 서울인 경주로 보내어 공부시켰는데 나중에 국사가 되었다. 해가 뜬 물을 마시고 태어났다고 하여 ‘범일국사(泛日國師)’라 부르게 되었다.
범일 국사는 학산에 돌아와 자기의 지팡이를 던져 꽂힌 곳에 절을 지어 심복사(尋福寺)라 하였다. 범일 국사는 강릉에 살았는데, 때마침 난리가 나서 대관령에서 술법을 써서 적을 격퇴시켰다. 불법을 전파시키고 고향을 지킨 그는 죽어서 대관령의 서낭신이 되었다고 한다.
♠ ② 대관령국사여서낭설화 : 옛날 강릉에 정씨가 살았는데, 나이 찬 딸이 있었다. 하루는 꿈에 대관령서낭신이 나타나 장가오겠다고 청하여 왔으나 정씨는 서낭신에게 딸을 줄 수가 없다고 거절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정씨 집 딸이 곱게 단장하고 마루에 앉아 있는데 갑자기 호랑이가 나타나 업고 달아났다. 처녀를 업고 간 호랑이는 산신이 보낸 사자였으며, 서낭신은 처녀를 데려다가 아내로 삼았다.
딸을 잃은 정씨 집에서는 야단이 났고 대관령서낭당에 찾아가 보니 처녀는 서낭과 함께 서 있는데, 이미 죽어서 혼은 없고 몸만 비석처럼 서 있었다. 정씨는 하는 수 없이 화공을 불러 딸의 화상을 그려 붙이니 처녀의 몸이 비로소 떨어졌다. 호랑이가 처녀를 업어가서 대관령서낭과 혼배(혼인)한 날이 4월 15일이므로, 지금도 4월 15일에 두 신을 함께 모셔 제사지낸다.
이 두 전설은 서로 연관성이 있는데, 강릉단오제가 대관령서낭을 제사하는 굿이며 그 주신인 서낭은 비범한 탄생을 가진 국사 범일이고 대관령서낭신이 부부신이라는 것을 설명한 것으로, 이 두 사람을 함께 제사지내는 데서 강릉의 단오제는 시작되었다고 한다.
또한, 앞의 문헌기록과 함께 범일이 통일신라 말인 9세기 사람이고, 민족항일기까지 대관령국사서낭신을 모셔 단오제를 지냈던 큰서낭당(현재는 없음)에 모신 12신위 중 신라시대 인물이 많은 점으로 보아 이 단오제는 적어도 9세기 이전에 기원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단오제가 다가오면 제관을 선정하고 제물을 마련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준비와 정성이 따르는데, 현재는 강릉단오제위원회가 구성되어 있어서 단오제와 이에 수반되는 일체의 대회운영을 맡고 있다. 제관으로 초헌관(初獻官)은 강릉시장, 아헌관(亞獻官)은 명주군수(현재는 강릉시의회의장), 종헌관(終獻官)은 경찰서장이 관례적으로 담당한다.
그리고 따로 제물을 장만하는 도가(都家)가 있다. 제비(祭費)는 위토(位土:수확을 亨祀 등 일정한 목적에 쓰기 위하여 장만한 논과 밭)가 있어 여기에서 얻은 소출(所出)로 충당하지만 워낙 규모가 큰 굿이기 때문에 기부금과 걸립(乞粒)에서 얻은 전곡(錢穀)으로 충당한다. 걸립 때 각 가정에서는 자진해서 곡식이나 돈을 성의껏 내어놓아 대관령서낭에 대한 신앙심을 보여준다.
제물은 제한을 받지 않으며, 메 · 탕 · 술 · 과일 · 쇠고기 · 어물 등으로 소박한 편이다. 제일(祭日) 며칠 전부터 제사에 직접 관여하는 제관 · 임원 · 무격(巫覡) 등은 부정(不淨)이 없도록 새벽에 목욕재계하고, 언행을 함부로 하지 않으며, 제사가 끝날 때까지 먼 곳 출입을 삼가고 근신하는 등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한다. 마을사람들도 근신해서 부정한 일을 저지르지 않고, 부정한 것을 보거나 부정한 음식을 먹지 않는다.
그리고 제사를 지낼 신당(神堂)과 우물 · 도가 등에는 황토를 뿌리고 금줄을 쳐서 부정을 막는다. 제물을 다루는 사람은 말을 하지 않기 위해서 입에 밤이나 백지조각을 문다. 말을 하면 침이 튀어 음식에 들어갈 수도 있고, 또 부정한 말을 주고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금기(禁忌)는 여러 가지이고 엄격하였다.
금기를 깨면 개인은 벌을 받고, 임원 · 제관 · 무격이 금기를 어기면 제사를 지내도 효험이 없으며 오히려 서낭의 노여움을 사서 재앙이 있다는 것이다. 제사일정과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 ③ 음력 3월 20일 : 단오제에 사용할 술(일명 조라)을 담근다. 관에서 급여한 쌀이나 제전(祭田)에서 농사를 지은 정(淨)한 쌀 한 말과 누룩을 섞어서, 옛날에는 호장(戶長) · 부사(府使) · 수노(首奴) · 서낭맹[城隍盲:남자 首巫覡] · 내무녀(內巫女)가 목욕재계하고 술단지를 봉해서 호장청의 하방(下房)에 둔다. 근래에는 도가가 제물을 준비하므로 도가의 집에서 준비한다. 이를 ‘신주근양(神酒謹釀)’이라고 한다.
♠ ④ 4월 1일 : 초 단오(初端午)라고 하는데, 이날부터 계산해서 7일 만에 단오가 한번씩 들고, 5월 1일에 5단오가 되면 다음은 3일 뒤인 5월 4일이 6단오, 5월 5일은 7단오, 5월 6일은 8단오라고 한다. 초 단오날에는 사시(巳時)에 큰서낭당에 헌주하고 무악을 연주한다. 초헌은 호장, 아헌은 부사, 삼헌은 수노, 종헌은 서낭지기가 했다. 헌주가 끝나면 무격들이 〈산유가 山遊歌〉를 부르고 굿을 한다. 관노들은 〈태평가〉를 부르는데, 오후 미시(未時)에 끝난다.
♠ ⑤ 4월 8일 : 2단오에 해당하며 불탄일(佛誕日)이다. 초 단오와 마찬가지로 큰서낭당에서 헌주하고 굿을 한다.
♠ ⑥ 4월 14일 : 저녁을 먹고 대관령서낭을 모시러 대관령으로 출발한다. 행렬의 선두에는 16명의 악공(樂工)들이 연주를 하고 호장 · 부사 · 수노 · 도사령과 남녀무격 50∼60명이 따르는데, 옛날에는 모두 말을 탔으며 수백 명의 마을사람들이 뒤를 따라 장관을 이루었다 한다. 행렬이 구산에 도착하면 마을사람들이 밤참을 준비하였다가 일행을 대접한다. 산중턱 송정(松亭)에서 밤을 새우고 새벽에 조반을 지어먹은 다음 닭이 울면 길을 떠나 국사서낭당에 도착한다.
♠ ⑦ 4월 15일 : 국사서낭과 서낭당 동쪽에 자리잡고 있는 대관령산신당의 산신에게 제사를 지낸다. 이때 바로 옆에 있는 칠성당과 우물에서 용왕굿을 한다. 소지(燒紙)를 마지막으로 제사가 끝나면 음복을 하고 가지고 간 물건은 모두 버린다. 서낭당 근처에서 무녀가 굿을 하고 빌면 많은 나무 가운데에서 한 나무가 신들린 것처럼 흔들리는데, 그 나무를 신칼로 베어 신간목(神竿木)으로 삼아 제사가 끝날 때까지 제당 안에 세워둔다.
제사가 끝난 다음 신간목을 앞세우고 하산하는데, 구산 쯤에 이르면 저녁때가 되므로 강릉에서 사람들이 횃불을 들고 마중을 나온다. 일행은 국사서낭부인의 생가에 잠시 들른 다음 여서낭당에 가서 서낭내외를 합사한다.
♠ ⑧ 4월 27일: 4단오날로 무당들에 의해서 굿이 거행된다.
♠ ⑨ 5월 1일: 5단오날로 화개(花蓋)를 만들고 관노들에 의하여 탈놀이가 시작된다. 이날부터 단오굿이 본격적으로 행해지는데, 5일인 단오날까지 굿당에서 매일 무당들의 굿과 관노의 탈놀이가 계속된다. 화개는 ‘○대’라 부르기도 하는데 부사청(府司廳)에서 만들었다. 대나무를 직경 6척(1.8m) 정도로 둥글게 하고 여기에 나무껍질을 감아 무겁고 튼튼하게 해서 30척(9m)쯤 되는 장대 위에 세워 수레바퀴를 달아맨 것처럼 만든다. 여기에 20척(6m)쯤 되는 오색 천을 늘어뜨리고 장대도 오색 천으로 감아 곱게 만든다. 화개의 무게는 4, 5관(15∼20㎏)이 되므로 여간한 장사가 아니면 들 수 없다.
♠ ⑩ 5월 5일 : 단오날은 대제(大祭)의 날이다. 대관령에서 국사서낭을 모실 때처럼 악대 · 임원 · 무격 · 마을사람들의 행렬이 있다. 옛날에는 화개를 앞세우고 큰서낭당을 출발해서 약국서낭[藥局城隍] · 소서낭[素城隍]을 거쳐 시장 · 전세청(田稅廳) · 대동청(大同廳) · 사창청(司倉廳)에서 굿을 하고 화개는 여서낭당에, 신간은 큰서낭당에 봉안했다. 단오날에는 사당주변에 황토를 뿌리고 금줄을 쳐서 부정을 제거한다.
♠ ⑪ 5월 6일 : 큰서낭당의 뒤뜰에서 소제가 있다. 단오제를 위해서 만든 신간과 화개를 비롯하여 모든 것을 불에 태우는 의식이다. 그 동안 여서낭당에 모셨던 국사서낭을 대관령의 국사서낭당으로 다시 모셔 가는 봉송(奉送)을 마치면 근 50일에 걸쳐 있었던 단오제가 모두 끝나게 된다.
대관령에서 국사서낭을 모셔다가 여서낭당에 모신 다음날인 4월 16일부터 5월 6일 제사가 끝날 때까지 21일 동안 날마다 새벽에 호장 · 부사 · 수노 · 서낭지기 · 무녀는 국사서낭에게 문안을 드리며, 주민들은 직접 큰서낭에 가서 치성을 드리거나 단골무당을 시켜 치성을 드리고 소원을 빈다. 상업을 하는 사람들은 사업번창을 빌고, 농가에서는 풍년이 들기를 빌며, 어부들은 만선해서 풍어를 이루기를 빈다.
일반적으로는 가내안정과 질병 없이 건강하며, 또 대관령을 자주 왕래하는 사람들은 산로(山路)의 안전을 빌었다. 원래는 큰서낭당에서 주로 행사하였지만 도시 발전에 따라 큰서낭당 자리에 측후소가 들어앉게 되어 서낭당이 없어졌으므로 근래에는 남대천(南大川)의 넓은 백사장에 임시로 제당을 가설하고 여기에서 굿과 탈놀이를 하고 있다. 그래서 단오제 때가 되면 수만 명의 군중들이 모여들므로 장터처럼 혼잡하고 강변일대에는 난장이 벌어지기도 한다.
강릉단오제는 제관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유교식 의례와 무격에 의하여 거행되는 굿이 복합되어 있다. 그러나 단오제를 ‘단오굿’이라고 부를 만큼 무당들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굿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고, 또 그 핵심이 되고 있다.
특히 단오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5월 1일부터 5월 5일까지는 무당굿이 한창이다. 굿거리는 열두거리로 행해졌다고 하나 굿의 거리 수나 순서는 경우에 따라 다소 달라지기도 한다. 근래에는 15∼19거리로 행해지는데, 그 절차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 ① 부정굿 : 굿의 맨 처음에 행하는 거리로 본거리에 들어가 모든 신을 맞이하기 전에 불결하고 부정한 것을 정화시켜 제장을 깨끗이 하는 굿이다. 무당이 무가를 부르고 신칼로 바가지의 물을 찍어 제장 주변에 뿌린다.
♠ ②축원굿 : 합사한 서낭내외를 5월 3일 단오장(남대천 가설서낭당)에 모시는 거리로, 대관령국사서낭을 4월 15일 대관령에 모시러 간 데서부터 여성황사 · 정씨가지(鄭氏家址, 현 최씨댁)에 모신 경위를 가창하여, 서낭내외가 화합하고 재수와 복을 베풀어달라는 축원을 한다.
♠ ③ 조상굿 : 조상신을 위하는 거리로, 아기조상이든 어른조상이든 조상신을 청하여 재수를 빌고 자손을 잘 돌보아달라고 축원한다.
♠ ④ 세존굿(당고마기) : ‘시준굿’ 또는 ‘중굿’이라고도 하는데, 자손의 번성과 복을 가져다주는 삼신 ‘당고마기(당금아기)’를 위하는 굿거리이다. 무녀는 고깔을 쓰고 염주를 걸고 장삼을 입고 나와 장편 서사무가(敍事巫歌)인 〈당고마기노래〉를 부른다.
♠ ⑤ 성주굿 : 집을 관장하는 성주신을 모시는 거리로 〈성주풀이〉를 가창한다. 무녀가 쾌자를 입고 갓을 쓰고 부채를 들고 나와 집을 짓는 과정, 세간을 장만하고 집치장을 해나가는 모습 등을 무가를 통하여 묘사한다. 팔도민요들이 중간에 삽입되고 유흥성이 고조된다.
♠ ⑥ 군웅굿 : 군웅은 무신(武神)으로,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액을 막아준다. 김유신을 비롯하여 중국의 조자룡 · 제갈량 등 뭇 장수와 오방신장 등을 청배무가(請陪巫歌)로써 모셔 강릉의 안녕함과 질서를 기원한 뒤 놋대야를 입에 무는 행위를 함으로써 장수의 위엄과 영력(영적인 힘)을 보여준다. 또한 가축의 번식을 빌기도 한다.
♠ ⑦ 심청굿 : 인간의 눈병을 막아주고 눈이 밝아지기를 기원하는 거리로 〈심청전〉의 내용과 같은 서사무가가 장시간 구연된다.
♠ ⑧ 칠성굿 :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는 칠성신을 위하는 거리이다.
♠ ⑨ 지신굿 : 지신(地神)을 모시는 굿으로 자손과 가업이 번창할 것을 기원한다.
♠ ⑩ 손님굿 : 손님이라는 두신(痘神)에게 마마를 예방하고 건강을 비는 굿거리이다.
♠ ⑪ 제면굿(계면굿) : 무당신인 ‘제면할머니’에 대한 굿으로 무조(巫祖)의 내력을 밝히는 서사무가가 구연된다. 단골들을 위한 굿이며 골계적인 내용이 많다.
꽃노래굿: 여러 명의 무녀들이 제사상을 장식하였던 지화(紙花)를 들고 나와 윤무(輪舞)하며 온갖 꽃을 찬양하는 꽃노래를 부른다.
♠ ⑫ 등노래굿 : 제장에 달아놓은 큰 호개등을 떼어내려 이것을 무녀 여러 명이 들고 돌리면서 등노래를 부르며 춤을 춘다.
♠ ⑬ 대맞이굿 : 5일간 단오장에 모셨던 국사서낭을 환송하는 거리로, 대관령에서 내려와 있는 동안 정성을 잘 받으셨는지 신의(神意)를 묻고 응답을 받아서 안도와 번영을 스스로 굳혀나가자는 의도에서 이루어진다. 서낭대를 앞으로 모셔내고 제관은 위패를 들고 국사서낭님이 오셔서 그간 반가이 맞으시고 즐거이 보셨는지 물으면 대가 흔들린다. 그러면 내년 이맘때까지 바람을 타고 구름을 타고 대관령 아흔 아홉 굽이 올라가시라고 하고 자손들의 부귀공명과 태평함을 축원한다.
♠ ⑭ 환우굿 : 맨 마지막 제차로 국사서낭신이 단오장에서 본래 있던 곳으로 돌아가는 의식이다. 대관령에 올라가 깨끗한 장소를 골라 단오제에 사용된 신간 · 꽃 · 호개등 · 위패 등 모든 것을 불태우는데, 불이 다 탈 때까지 제관 · 무녀 · 일반인 등은 불길을 향하여 계속 절을 한다. 근래는 남대천 단오장 주변에서 한다.
이러한 15거리 외에 화해굿 · 청좌굿 · 산신굿(산신령굿) · 용신굿 등이 첨가되기도 한다. 국사서낭당과 여국사서낭당에서의 굿은 부정굿 · 청좌굿 · 화해굿 · 축원굿의 제차만을 행한다. 단오제의 굿은 원래는 대대적인 것이었으나 근래에는 체육대회 · 궁술대회 · 씨름대회 · 민요경연대회 · 농악대회 · 백일장 등의 행사에 치중되어 경비가 많이 드는 무당들의 굿은 규모가 축소되었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강릉단오제는 고대 부족국가의 제천의식 또는 부락제(동제)의 잔형으로 해석되며, 우리 나라의 향토신제 중 원형에 가까운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규모나 축제의 분위기는 시장의 경기 부흥책으로 벌이던 난장굿의 성격을 띠고 있어 일종의 대형화된 별신굿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은산별신제나 동해안별신굿, 그밖에 부락제와 비교해볼 때 강릉단오제는 그 절차나 진행이 돋보이고 문화적 의의가 두드러진다. 그 의의는 첫째, 종교적 측면으로서 향토신앙을 통하여 전 주민(시민)이 화합하는 대동단결의 힘이 구현된다는 데 있다.
이러한 협동정신은 향토의식과 애향심에서 나오는 것이다. 또한 전 주민이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함께 참여하여 즐김으로써 진정한 축제의 구실을 한다. 둘째, 나날이 쇠퇴해 가는 전통문화의 현재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 전통문화의 가치가 보존적 차원에 있는 것이 아니고 현재와 더불어 생동하는 박진감에 있는 것인데, 이에 적절한 예가 강릉단오제이다. 셋째, 강릉단오제가 제시해준 문화의 복합양상과 그 창조적 계승방향이다. 유교 · 불교 · 무속의 복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있고, 그 구현이 시대의 상이(相異)에도 불구하고 적절히 계승되었다. 그밖에도 이 행사가 관 주도형에서 탈피하여 민간주도형으로 행하여지고 있다는 점에서 전시 위주의 행사가 아닌 향토주민들의 생활 속의 문화가 그대로 전승되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1967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기 · 예능보유자로 김신묵(金信默 : 제관 · 도가) · 김동하(金東夏:관노가면극) · 차형원(車亨元 : 관노가면극) · 장재인(張在仁:무녀)이 인정되었으나 사망하였고, 그 뒤 1976년박용녀(朴龍女:무가), 1989년신석남(申石南:무가), 1993년권영하(權寧夏:관노가면극)가 인정되었으나 사망하였다. 현재 기예능 보유자로는 김진덕(金振悳 : 제관 · 도가, 1982년 인정)만 남아 있다.
▼2024 강릉단오제 대관령산신제.대관령국사성황제.구산서낭제.학산서낭제.봉안제
▼강릉단오제 제의
신주빚기 음력 - 4월 5일
술은 신에게 바치는 가장 중요한 제물이다. 제례에 쓸 술을 만드는 일을 신주빚기 라고 한다.
매년 음력 4월 5일에 신주를 빚는데 이때부터 강릉단오제가 시작되는 셈이다.
강릉시민들이 강릉단오제를 위해 신주미를 내는데 이것으로 신주를 담근다.
신주는 조선시대의 관청이었던 칠사당에서 빚는다. 이곳은 신주를 빚기 일주일 전부터 금줄(부정한 것의 침범을 막기 위해 매는 새끼줄)을 치고 당일에는 무녀가 와서 온갖 부정(깨끗하지 못한 것)을 물리는 굿을 한다. 이때 제관들은 몸을 깨끗이 하고 제례복을 갖춰 입는다. 또 정성을 다하기 위해 한지를 입에 물고 술을 빚을 준비를 한다. 이는 모두 신께 올릴 술을 정성을 다하여 깨끗하게 담겠다는 의미가 들어 있다. 신주를 빚을 쌀은 조선시대에는 강릉 부사가 내려주었다고 하는데 지금도 이 전통에 따라 강릉시민을 대표하는 강릉시장이 신주를 빚을 쌀과 누룩을 마련한다.


대관령산신제 - 음력 4월 15일
대관령에 있는 산신당에서 지내는 유교식 제례이며 산신은 김유신 장군을 모신다.
산신제는 매년 음력 4월 15일 대관령 산신당에서 거행된다. 대관령은 예로부터 강릉을 비롯한 영동지역을 지켜주는 산이며 영동과 영서를 잇는 중요한 교통로로 선조들은 대관령을 무사히 넘기 위해 예부터 대관령의 산신께 제례를 지내왔다. 초헌관은 대관령 산림을 관장하는 동부지방산림청장이 맡아 지내는 것이 전통으로 내려오고 있다.


대관령국사성황제 - 음력 4월 15일
대관령에 있는 성황사에서 지내는 유교식 제례이며 성황신은 범일국사를 모신다. 대관령국사성황신은 강릉단오제의 주신인 연유로 초헌관은 강릉시민을 대표하는 강릉시장이 맡아 지내는 것이 전통으로 내려오고 있다. 성황사에서 제례를 마치면, 무당이 부정을 씻어내고 대관령 국사성황신을 모시는 굿을 한다. 이어 무당 일행과 신목잡이는 더 높은 산으로 올라가 신목(단풍나무)을 부여잡고 내려온다. 성황사 앞 마당에서는 풍악과 함께 야단스러울 정도로 신목에 오색천을 걸며 소원을 비는 사람들로 북적인다.


구산서낭제 - 음력 4월 15일
대관령 산신과 국사성황신에게 제례를 지낸 뒤 대관령 국사성황신을 모시고 구산 마을에서 지내는 서낭제를 말한다. 예전에는 대관령에서 내려오다 보면 구산 서낭당 쯤에 이르러 날이 어두워져 횃불을 밝혔다고 한다. 오늘 날에는 점심 때쯤 되어 도착하며 매년 구산마을 주민들은 대관령을 내려온 행렬 참여 시민들에게 점심으로 비빔밥을 준비해 대접한다.


학산서낭제 - 음력 4월 15일
대관령국사성황신인 범일국사가 태어난 곳이 학산이다. 학산마을에서 지내는 서낭제를 말한다.
학산마을은 범일국사의 탄생설화와 관련된 석천과 학바위가 있는 곳이다. 고향을 방문한 국사성황신은 학산 마을 주민들의 성대한 환영과 대접을 받는다.
봉안제 - 음력 4월 15일
대관령에서 모셔온 국사성황신의 신목을 대관령국사여성황사에 함께 모셔놓고 성황신 부부에게 지내는 제례입니다. 국사성황신이 호랑이를 시켜 정씨처녀를 데려다가 혼배한 날인 음력 4월 15일을 국사성황신과 정씨처녀가 결혼한 날이라 하여 영신제 까지 성황신 부부를 이곳에 함께 모십니다.


영신제 - 음력 5월 3일
대관령국사여성황사에 모신 국사성황신과 국사여성황신을 강릉남대천 단오장에 마련된 임시 가설 제단(굿당)으로 모셔가고자 치르는 제의이다. 신목을 앞세우고 제관과 무당들, 관노가면극패, 농악패가 뒤따라가며 신명을 돋우고 수많은 시민들이 단오등을 들고 뒤따르면서 축제분위기를 만든다. 단오장 제단에 신의 위패와 신목이 도착하면 불꽃놀이로 축제가 시작되고 행사에 참여한 모든 사람들은 신을 모신 것을 축하하며 축제는 최고조에 이른다.


조전제 - 음력 5월 4일 ~ 8일
강릉단오제가 펼쳐지는 단오장 내 임시가설제단(굿당)에서 아침으로 지내는 유교식 제의이다.
음력 5월 4일부터 8일까지 아침마다 강릉시의 기관, 단체장들이 헌관을 맡아 제례를 올린다. 강릉에서 덕망있는 인사를 헌관으로 추대하는데 강릉지역의 안녕, 풍농, 풍어와 소속단체들의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제관으로 참여한다. 제례가 끝나면 제관과 굿당에 모인 사람들이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단오굿 - 음력 5월 3일 ~ 8일
단오굿은 음력 5월 4일부터 8일까지 영동지역의 안녕과 생업의 번영을 기원하면서 무속에서 신앙하는 여러신들을 차례로 모시는 의례이다. 단오굿은 강릉단오제의 핵심 부분으로 무녀는 두 분의 국사 성황신위와 대관령에서 모셔온 신목을 모시고 5일 동안 20거리 내외의 굿을 한다.
- 부정굿 : 굿당과 굿에 모인 사람을 깨끗이 정화하는 굿
- 대관령성황굿 : 강릉지역의 수호신을 모시는 굿
- 청좌굿 : 성황님을 비롯한 모든 신들을 청하여 굿당에 좌정시키는 굿
- 하회동참굿 : 성황님 부부가 화해하고 즐겁게 지내시라는 굿
- 조상굿 : 여러 집안의 조상을 모시는 굿
- 세존굿 : 생산을 관장하는 세존과 당금애기의 결합과정을 구현하는 굿
- 산신굿 : 여러 명산의 산신을 모시는 굿
- 성주굿 : 각 집을 관장하는 성주신을 모시는 굿
- 칠성굿 : 인간의 수명장수를 관장하는 칠성신에게 드리는 굿
- 군웅장수굿 : 여러 장수를 불러 대접하는 굿, 무당이 무거운 놋동이를 입으로 들어 올리는 묘기를 보여줌으로써 신의 위엄을 전달하는 굿
- 심청굿 : 자손들이 모두 심청이 같은 효녀가 되고 눈도 밝게 하려는 목적의 굿
- 천왕굿 : 천왕에게 인간의 복을 비는 굿
- 손님굿 : 천연두나 홍역 같은 질병을 막는 굿
- 제면굿 : 무당의 조상인 제면할머니를 모시는 굿
- 꽃노래굿 :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해 꽃을 들고 춤추는 굿
- 뱃노래굿 : 신이 돌아가실 때 타고 가는 용선을 흔들며 노래 부르는 굿
- 등노래굿 : 초롱등과 탑등을 들고 춤추면서 신이 돌아가실 길을 밝히는 굿
- 환우굿 : 송신제 후 대를 내려 그동안 신들이 모든 굿을 잘 받으셨는지 확인하는 굿
- 소제 : 신에게 바쳤던 모든 것을 태워 신의 세계로 돌려보내는 굿


송신제, 소제 - 음력 5월 8일
송신제는 강릉단오제의 마지막 제의로 두분의 국사성황신을 원래 계셨던 곳으로 보내드리는 의식이다.
신주빚기(음력 4월 5일)을 시작으로 산신제와 성황제, 봉안제, 영신제, 영신행차, 5일간의 조전제 그리고 송신제를 끝으로 장장 40여일에 걸쳐 진행된 강릉단오제를 정리하면서 국사성황신 내외분이 잘 흠향하셨기를 바라며 지역의 번영과 안녕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제의를 한다.
송신제를 마치면 그동안 신들이 모든 굿을 잘 받으셨는지 확인하는 환우굿을 펼치고 굿당에서 사용되었던 각종 기물과 지화, 신목 등 신에게 바쳤던 모든 것을 태워 신의 세계로 돌려보내는 소제를 끝으로 축제는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2024 강릉단오제 단오굿









▼신주빚기
- 일시 : 2024. 5. 12(일) 10:30~11:30
- 장소 : 강릉대도호부관아 동헌(10:30), 칠사당(11:00)
- 주관 : (사)강릉단오제보존회

























▼2024 강릉단오제 신목모시기 및 국사성황행차
=강릉단오제위원회=
▼2024 강릉단오제 구산서낭제
=강릉단오제위원회=
▼2024 강릉단오제 학산서낭제
=강릉단오제위원회=
▼2024 강릉단오제 봉안제
=강릉단오제위원회=
▼2024 강릉단오제 국사성황제
=강릉단오제위원회=
▼2024 강릉단오제 대관령산신제
=강릉단오제위원회=
▼2024 강릉단오제 국사성황제
=강릉단오제위원회=
▼단오신주/떡 시음장
▼2024강릉단오제-송신제,환우굿,소제
=강릉단오제위원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