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향기를 찾아서
●농월정에서 원운으로 읊다〔弄月亭用原韻〕
晛溪亭 斗井軒 陽溪
2024. 10. 26. 18:39
728x90
반응형
▼漢陽趙氏初代大宗約長親筆謹序
◐박명부(朴明榑)號: 여승(汝昇), 지족당(知足堂)◑
●生 : 1571년(선조 4)
●卒 : 1639년(인조 17)
●경력: 예조참판, 한성좌윤, 도승지
13455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장서각 왕실문헌연구실
콘텐츠(해제 · 원문텍스트) 및 시스템 이용 문의 :
왕실문헌연구실 031-730-8819, 8823
원문이미지 이용 문의 : 자료보존관리팀 031-730-8874, 8876
[생애 및 활동사항]
1590년(선조 23)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에 급제, 교서관 부정자(校書館副正字)에 보직되었다가 이듬 해에는 저작(著作)에 제수되었다. 임진왜란 때는 김성일(金誠一)·곽재우(郭再佑) 군막에 왕래하면서 군무(軍務)에 많이 협찬했으며, 1593년에는 의주(義州)로 호종(扈從)하였다가 환도(還都) 후 박사(博士)를 제수 받았다.
그 뒤에 호조좌랑(戶曹佐郞)·해주판관(海州判官)·예빈시첨정(禮賓寺僉正)·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을 거쳐 합천군수(陜川郡守)로 나갔는데, 당시 합천에 정인홍(鄭仁弘)이 있었으나 그의 집에는 출입하지 않았다.
1614년(광해군 6)에 이이첨(李爾瞻)·정인홍 등이 광해군을 종용해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살해하고 인목대비(仁穆大妃)도 유폐시키자, 그는 직언으로 항소하다가 관직을 삭탈 당하고 축출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 후 부수찬(副修撰)으로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자 그 해 여름에는 대구부사(大邱府使)로 임명되었다. 그 뒤에 죽산부사(竹山府使)·형조참의(形曹參議)·좌부승지(左副承旨)·공청도관찰사(公淸道觀察使) 등을 역임하다 예조참판(禮曹參判)으로 재임 중에 병자호란을 당해 남한산성(南漢山城)에서 강화(講和)를 반대하였다.
끝내 성하지맹(城下之盟)이 맺어지자 그는 벼슬을 버리고 물러나 농월정(弄月亭)을 짓고 은거(隱居)하다가, 1638년(인조 16)에 예조참판(禮曹參判)·한성좌윤(漢城左尹)·도승지(都承旨) 등에 연이어 제수되었다. 저서로는 『지족당문집(知足堂文集)』 3책이 있다.
●농월정에서 원운으로 읊다〔弄月亭用原韻〕
玄圃瑤池逈且幽현포요지형차유 /
현포와 요지가 멀고도 그윽한데
巨靈移向此間留거령이향차간류 /
산천의 신령이 이 사이에 옮겨와 머물렀네
洪濤碾過氷紈滑홍도년과빙환홀 /
큰 물결은 맷돌처럼 지나 찬 깁처럼 미끄럽고
亂瀑瀠回雪乳浮난폭형회설유부 /
어지러운 폭포가 감돌아 눈이 날리는 듯하네
狂叫可堪同拍手광규가감동박수 /
미친 듯이 부르짖고자 할 때 함께 손뼉 칠 만하고
苦吟時復爲搔頭고음시복위소두 /
억지로 시상 떠올리며 때로 다시 머리 긁적이네
也知弄月吹簫侶야지농월취소려 /
또한 알리라 달을 희롱하며 퉁소 부는 무리가
合是當年第一流합시당년제일류 /
아마도 당년의 품격이 가장 뛰어났음을
[주-D001] 농월정(弄月亭) :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의 안의삼동(安義三洞) 가운데 화림동(花林洞)에 있는 정자인데, 박명부(朴明榑, 1571~1639)가 지었다. 박명부의 자는 여승(汝昇), 호는 지족당(知足堂),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1590년(선조23)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저서로는 《지족당집》이 있다.
[주-D002] 원운 : 박명부(朴明榑)의 《지족당집(知足堂集)》 권1에 〈농월정에 적다.〔題弄月亭〕〉라는 제목의 시를 말한다.
●박명부(朴明榑)의 《지족당집(知足堂集)》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