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陽人문화유적❀

북한지역 시조 중서공 이하 2~5세조 유택지 (소개)

晛溪亭 斗井軒 陽溪 2020. 8. 21. 22:40
728x90
반응형

▣1세조조지수단비근방●39°18'57.9"N 126°53'35.5"E

▣2세조조휘묘역근방●39°19'24.8"N 127°23'43.8"E

▣3세조조양기묘역근방●39°33'04.2"N 127°16'33.1"E

▣4세조조돈묘역근방●38°59'52.0"N 127°27'02.9"E

▣5세조조인벽묘역근방●37°83'98.5"N 126°57'61.2"E

▣5세조配貞和公主(이성계누님)墓域近方●37°58'42.9"N ●126°37'16.4"E

1세조단비근방39°18'57.9"N 126°53'35.5"E

2세조묘역근방39°19'24.8"N 127°23'43.8"E

3세조묘역근방39°33'04.2"N 127°16'33.1"E

4세조묘역근방38°59'52.0"N 127°27'02.9"E

5세조묘역근방37°83'98.5"N 126°57'61.2"E

5세조配貞和公主墓域近方37°58'42.9"N 126°37'16.4"E

▣1세조단비근방●39°18'57.9"N 126°53'35.5"E

▣2세조묘역근방●39°19'24.8"N 127°23'43.8"E

▣3세조묘역근방●39°33'04.2"N 127°16'33.1"E

▣4세조묘역근방●38°59'52.0"N 127°27'02.9"E

▣5세조묘역근방●37°83'98.5"N 126°57'61.2"E

▣5세조配貞和公主墓域近方●37°58'42.9"N ●126°37'16.4"E

▣1세조단비근방●39°18'57.9"N 126°53'35.5"E

▣2세조묘역근방●39°19'24.8"N 127°23'43.8"E

▣3세조묘역근방●39°33'04.2"N 127°16'33.1"E

▣4세조묘역근방●38°59'52.0"N 127°27'02.9"E

▣5세조묘역근방●37°83'98.5"N 126°57'61.2"E

▣5세조配貞和公主墓域近方●37°58'42.9"N ●126°37'16.4"E

▣1세조단비근방●39°18'57.9"N 126°53'35.5"E

▣2세조묘역근방●39°19'24.8"N 127°23'43.8"E

▣3세조묘역근방●39°33'04.2"N 127°16'33.1"E

▣4세조묘역근방●38°59'52.0"N 127°27'02.9"E

▣5세조묘역근방●37°83'98.5"N 126°57'61.2"E

▣5세조配貞和公主墓域近方●37°58'42.9"N ●126°37'16.4"E

인천도호부사 조유한(趙維韓)

 

병조참의(兵曹參議), 공조판서(工曹參判), 자헌대부(資憲大夫)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현곡(玄谷) 조위한(趙緯韓)

 

통정대부승정원좌승지(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 현주 조찬한(玄洲 趙纘韓)

 

영암군수, 영천(榮川)군수, 삼도토포사(三道討捕使)에 임명되어호 남·영남 지방에 들끓는 도적의 무리를 토평, 그 공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르고 예조참의에 제수되었다가 동부승지로 전임되었다. 이 무렵 광해군의 정사가 극도로 문란하여지자 외직을 청하여 상주목사가 되었다. 인조반정 후 형조참의에 제수되고 승문원제조를 겸직하였다. 다음해 좌승지를 거쳐 선산부사가 되었다. 문무의 재능을 겸비하였으며, 특히 시부(詩賦)에 뛰어나 초한육조(楚漢六朝)의 유법을 터득하였다고 한다.

 

1600년대 초판목판본 한양조씨 조찬한(趙纘韓) 현주집(玄洲集)151> 고서적

조선 중기의 문신 趙纘韓(조찬한)의 문집 (표제)玄洲集(현주집)

http://kumyo.co.kr/htm/productlist_detail.htm?brandcode=0010010000000018783&page=1&part=&word=&list_type=image&time_view=&list_sort=&pagesize=20&part=&word=&pagetype=

크 기 : (가로 X 세로) 15.6 X 27.9 cm

내용 및 상태 :

-광해군 때에 문신이었던 玄洲 趙纘韓(현주 조찬한)은 혼란스러운

정치상황에서 자청하여 외직을 택했고 남은 삶을 외직으로 전전하며 살았다.

그의 이나 , 등이 수록되어 있는 현주집은 당시의 혼란스러웠던

사회를 고찰하던 그의 고민이 녹아있다.

-표지 전반적으로 상당히 낙서가 많고 벌레가 먹은 흔적이 남아있으며

낙질이 있습니다. 내지 상단에 얼룩이 있고 모서리는 해졌으며

간혹 찢어지거나 번져서 알아보기 힘든 장이 있습니다.

 

투고논문 : 현주(玄洲) 조찬한(趙纘韓) 산문(散文)의 연구(硏究) -17세기 초 문단(文壇)의 풍정(風情)과 관련하여-----

https://www.reportworld.co.kr/papers/2762221

양경공재실 : 덕은제

▣한평부원군(漢平府院君) 양경공(良敬公) 조연(趙涓, 1374年 恭愍王23年~1429年 世宗11年)

☞= 경기 파주시 월롱면 덕은리 507-1

☞=경기 파주시 월롱면 덕은리 산 45

▣개국정사좌명공신한천부원군 양절공 조온

▣개국정사좌명공신(開國定社佐命功臣) 한천부원군(漢川府院君) 조온(趙溫,1347~1417)

☞=경기도 파주시 오도동 산 21번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