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맹호전우회★★

“괴물미사일 격추” “불장벽” 허세…알고보니 자국산 무기 박살 ‘인도 대망신’ (영상) [포착]

by 晛溪亭 斗井軒 2025. 5. 20.
728x90
반응형

“괴물미사일 격추” “불장벽” 허세…알고보니 자국산 무기 박살 ‘인도 대망신’ (영상) [포착]

권윤희2025. 5. 19. 18:27

인도 육군 서부사령부 ‘전과 선전’ 영상
파키스탄 핵가능미사일 ‘샤힌’ 발사 암시
S-400으로 파키스탄 미사일 격추 주장
자국 운용 ‘브라모스’ 미사일 파편 분석
논란 일자 해명 없이 게시물 일괄 삭제

18일(현지시간) 인도 육군 서부사령부는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자국군이 지난 7일 파키스탄을 겨냥한 ‘신두르 작전’에서 대활약했다며 선전 영상을 배포했다가, 오히려 자국 피해 사실이 드러나자 관련 게시글을 삭제했다. 왼쪽은 해당 영상에 등장한 파키스탄군 핵탄두 탑재 가능 샤힌(Shaheen) 중거리 탄도 미사일. 오른쪽은 인도군이 격추한 파키스탄 미사일 잔해라고 밝혔으나 실은 인도군이 운용하는 브라모스 미사일 부품으로 밝혀진 파편. 엑스, 텔레그램

인도 육군이 파키스탄을 겨냥한 ‘신두르 작전’에서 대활약했다며 선전 영상을 배포했다가, 오히려 자국 피해 사실이 드러나자 관련 게시글을 삭제했다.

18일(현지시간) 인도 육군 서부사령부는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강하고 유능한 인도 육군”, “난공불락의 불장벽”이라는 메시지와 함께 82초 분량의 ‘전과 선전’ 영상을 공개했다.

‘작전 신두르’라는 제목을 붙인 영상에서 인도군은 지난 7일 파키스탄군이 중국산 다연장로켓 A-100, 파타(Fatah), 무인전투기(UCAV) 등으로 인도를 위협했으나, 자국군이 러시아산 S-400으로 공격을 막아냈다고 밝혔다.

인도군은 파키스탄 미사일들이 목표물에 도달하지 못했으며, 그 잔해는 허허벌판에 나뒹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보복성 ‘신두르 작전’으로 인도군은 파키스탄군을 무력화시키며 “무자비한 정확성, 원초적 힘, 맹렬한 자부심”을 드러냈다고 자평했다.

18일(현지시간) 인도 육군 서부사령부는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자국군이 지난 7일 파키스탄을 겨냥한 ‘신두르 작전’에서 대활약했다며 선전 영상을 배포했다가, 오히려 자국 피해 사실이 드러나자 관련 게시글을 삭제했다. 사진은 인도군이 주장한 파키스탄 사용 무기들.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괴물’ 샤힌(Shaheen) 중거리 탄도 미사일이 눈에 띈다. 엑스
18일(현지시간) 인도 육군 서부사령부는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자국군이 지난 7일 파키스탄을 겨냥한 ‘신두르 작전’에서 대활약했다며 선전 영상을 배포했다가, 오히려 자국 피해 사실이 드러나자 관련 게시글을 삭제했다. 사진은 인도군이 격추했다고 주장한 파키스탄 무기 잔해들. 엑스

특히 선전 영상에서 인도군은 파키스탄군이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괴물’ 샤힌(Shaheen) 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으며, 인도군은 이를 S-400으로 저지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암시하며 당시의 무력 충돌로 인한 긴장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짐작케 했다.

파키스탄군은 인도군의 핵 탑재 가능 ‘아그니’(Agni) 미사일의 맞대응 성격으로 1994년 사거리 800㎞의 샤힌-1 미사일을 처음 시험 발사했다.

이후 파키스탄군은 미사일 사거리를 점진적으로 늘렸으며, 2015년 시험 발사한 샤힌-3 미사일 사거리는 2750㎞에 이르렀다. 이는 인도 전역 특히 동부 국경까지 도달할 수 있는 수준이다.

 

파키스탄군은 샤힌-3 미사일 실전 배치에 관해 언급하지 않았으나, 현재 육군 전략사령부가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샤힌 미사일 발사가 사실이라면, ‘핵 위협 시계’도 그만큼 빨라질 우려가 크다.

인도 유력 매체 NDTV도 이튿날 “파키스탄이 인도를 향해 핵탄두 탑재 가능 샤힌 미사일을 발사했고, 인도군은 이를 S-400으로 요격했다”라며 대대적으로 해당 사실을 보도했다.

분쟁지역 특파원 출신의 국방안보전문가로 현재 NDTV 편집장 겸 앵커로 활동 중인 시브 아루르 역시 “중요한 소식, 첫 공식 발표”라며 관련 기사를 소개했다.

그런데 이후 엉뚱한 곳에서 논란이 터졌다.

다국적 군사블로거들과 오신트 오픈소스인텔리전트(OSINT·공개출처정보) 전문가들이 “선전 영상에서 인도군이 파키스탄군 미사일 잔해로 소개한 것은 인도군의 장거리 초음속 순항 미사일 ‘브라모스’ 잔해”라고 지적하고 나선 것이다.

18일(현지시간) 인도 육군 서부사령부는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자국군이 지난 7일 파키스탄을 겨냥한 ‘신두르 작전’에서 대활약했다며 선전 영상을 배포했다가, 오히려 자국 피해 사실이 드러나자 관련 게시글을 삭제했다. 사진은 인도군이 격추했다고 주장한 파키스탄 무기 잔해. 반면 군사블로거들은 이 잔해가 인도군이 운용하는 브라모스 미사일 시스템 일부라고 분석했다. 엑스
인도와 파키스탄이 무력 충돌한 7일(현지시간) 인도 서부 국경 라자스탄주에서 발견된 미사일 잔해. 인도군이 운용하는 브라모스 미사일이라는 게 전문가들 분석이다. 하지만 인도 육군 서부사령부는 18일 소셜미디어(SNS)에 올린 선전 영상에서 이를 자국군이 격추한 파키스탄 미사일 잔해로 소개했다가, 관련 지적에 돌연 영상을 삭제했다. 엑스

지난 7일 인도 서부 국경 라자스탄주에서 발견된 잔해는 애초 파키스탄군이 운용하는 중국산 장거리 지대공 유도 무기 HQ-9 일부로 추정됐다.

하지만 ‘P-SK-310’이라고 적힌 부품 파편이 확인되면서 분석이 역전됐다.

P-SK-310은 브라모스 미사일 시스템을 가리키는 러시아식 표현으로 전해졌다.

인도와 러시아가 공동 개발한 사거리 브라모스(BrahMos·PJ-10) 미사일은 사거리 290㎞, 최고속도 마하3의 초음속 괴물 미사일로, 인도 육·해·공군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돼 있다.

민간 전문가들 분석대로면, 인도군은 자국군 미사일 잔해를 본인들이 격추한 파키스탄군 미사일 파편으로 잘못 소개한 셈이 된다.

인도군이 운용하는 브라모스 미사일. 인도군 자료

논란을 의식한 탓인지 인도군은 이렇다 할 설명 없이 돌연 선전 영상을 삭제했다.

NDTV도 파키스탄군 핵미사일 샤힌 발사 및 격추 관련 보도를 해명 없이 내렸다.

하지만 해당 영상과 기사는 SNS를 통해 확산 중이다.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에서는 끔찍한 총기 테러로 관광객 등 26명이 희생됐다. 인도는 이 테러의 배후에 파키스탄이 있다며 지난 7일 미사일을 발사했고, 파키스탄도 보복 대응에 나서면서 대규모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하지만 지난 10일 두 나라는 극적으로 휴전에 합의했고, 지금까지 휴전은 이어지고 있다. 다만 인도가 양국 간에 민감한 영역인 ‘인더스강 조약’의 효력 중단을 이어가고 있어 두 나라 사이에서 무력 충돌이 벌어질 여지가 남아 있는 상황이다.

권윤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