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13세참봉공파종중▣24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 온기리촌 참봉공파집성촌!!! 종중묘원!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 온기리촌 참봉공파집성촌!!! 종중묘원! 2024. 12. 11.
가천재-현감공파- 13세 참봉공(諱琭)파종회 23세 趙賢元 回甲壽宴時 ◈가천재-현감공파- 13세 참봉공(諱琭)파종회 23세 趙賢元 回甲壽宴時~~~◈ 2024. 12. 3.
가천재-현감공-10세 영월군수공파종중-13세 참봉공파종중묘원 가천재-현감공-10세 영월군수공파종중-13세 참봉공파종중묘원 : 충북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 산 220-15 2024. 11. 23.
●삼가 깊은 감사의 말씀 올립니다!!! 삼가 깊은 감사의 말씀 올립니다.이번 父 故 조현원(趙賢元)님 상사시조의와 후의를 베풀어주신 덕분에상례를 무사히 마칠 수 있었습니다.도움을 주신 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찾아뵙고 인사를 드리는 게 마땅한 도리이나경황이 없어 서면으로 대신함을 양해 부탁드립니다.댁내에 애경사가 있으실 때에작은 보은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꼭 연락해 주십시오.항상 건승하시옵고만복이 깃드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2024년 05월 25일晛溪 趙炳龍 拜上♣漢陽趙氏 嘉川齋公(諱師) 縣監公(諱中發)派 十世祖 寧越府使公(諱珙)派宗會13世參奉公(諱琭)忠州派宗會 23世孫 諱賢元(元字行列)♣ 2024. 5. 27.
◈2023년도 결산총회 & 2024년도 상정안건 (토의) ◈2023년도 결산총회 & 2024년도 상정안건 (토의) 2024. 2. 15.
◐嘉川齎-縣監公(仲發)-10世寧越府使公(珙)派-13世 參奉公諱琭派宗中墓園◑ ◐嘉川齎-縣監公(仲發)-10世寧越府使公(珙)派-13世 參奉公諱琭派宗中墓園◑=충북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 산 220-15(지적편집도: 1395-1번지)=♡♣충주시 산척면 영덕리 온기미촌 가천재공현감공파 -충주종중회 13世 충주입향조 諱琭 宗中墓園♡♣ ◐충주시 용천산(龍天山) 종중묘원 안산(案山) 祝詩◑ ◐毛川 막은[독골]고개 永德川을 내려보고◑공장 주변 오솔길에 시작부터 땀 쏟는다. ◐거북이가 용이 되어 승천했단 龍天山은◑無病長壽 덕 있다니 믿는다고 손해나랴! ◐희부연한 人登山에 밤꽃 내음 짙어가고◑날파리와 거미줄에 묵은 임도 고맙구려. ◐차량 질주 一九국도 太古山을 올랐더니◑너른 공터 넝쿨 잡목 요리조리 피해간다! ◐목탁 소리 잦아들고 天登山이 멀어질 즘◑에돈 길옆 뽕나무에 검은 오디 지나치랴. ◐栗陵里의.. 2023. 10. 5.
◈현감공파-13세조 참봉공파 종중 소종계(諱명열命烈)현황!!! ◈현감공파-13세조 참봉공파 종중 소종계(諱명열命烈)현황!!! 2023. 8. 7.
◐嘉川齋公(諱師)-縣監公(諱仲發)派忠州入鄕祖十三世參奉公(諱琭)派宗中墓園◑=충북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 온기미촌 220-15번지[지석번호1395-1(묘) 산220-15(임야)]= ●계척골을 경유 동추주산업단지 20m높이 담장밑(중간에 종중묘원표지석)을 지나 밭아래 집과 묘소 한개있는대로 길을 내여 밭 중간으로 올라가면 굴다리가 보이고 바로 종중묘원이 보임!!! ◐嘉川齋公(諱師)-縣監公(諱仲發)派忠州入鄕祖十三世參奉公(諱琭)派宗中墓園◑=충북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 온기미촌 220-15번지[지석번호1395-1(묘) 산220-15(임야)]=◐충주시 용천산(龍天山) 종중묘원 안산(案山) 祝詩◑毛川 막은[독골]고개 永德川을 내려보고공장 주변 오솔길에 시작부터 땀 쏟는다. 거북이가 용이 되어 승천했단 龍天山은無病長壽 덕 있다니 믿는다고 손해나랴! 희부연한 人登山에 밤꽃 내음 짙어가고날파리와 거미줄에 묵은 임도 고맙구려. 차량 질주 一九국도 太古山을 올랐더니너른 공터 넝쿨 잡목 요리조리 피해간다.. 2023. 4. 27.
◐한양조씨 가천재공 현감공파 10세조 영월부사공(諱珙)파종친회 2022년도 결산총회(공고)◑ ●10世祖 조민(趙玟) 寧越府使(5월만에....) 己卯禍謫 康津●11世祖 조세주(趙世舟)無官職, 조세주는 영월부사를 지냈다.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장흥으로 유배되었다가 명종 대에 풀려났다???(실록, 사마방목, 문과방목, 역사서 어디에도 기록이 없음!)長男 伯胤(參奉), 二男 季胤(弘文館 修撰), 三男 孟胤(侍講院 洗馬)♥7세조 현감공(諱仲發)파종회 회장겸 10세조 영월부사공(諱珙)파종회 회장 조율형[단양향교전교]♥♥영월부사공파종회 사무국장 조성후(단양 덕천리 거주, 사과/모과/복숭아농장)♥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덕천2길 13(지번주소) 단양군 가곡면 덕천리 98◐한양조씨 가천재공 현감공파 10세조 영월부사공파종친회 2022년도 결산총회(공고)◑♥7세조 현감공(諱仲發)파종회 회장겸 10세조 영월부사공(諱珙.. 2023. 2. 16.
원종공신(原從功臣)에게 주어진 수조지(收租地)로서 일반 공신전과는 달리 액수도 적었고 세습(世襲)이 허용되지 않았음. 원종공신전은 태조•태종의 원종공신에게만 지급되었음. ▣7세조仲發長城縣監朝鮮世祖元年原從功臣世祖王朝實錄配宜寧南氏父兵使渾祖宜城君良靖公佐時◎墓金浦黔丹谷右完井里左酉坐合窆◎其後國土開發事業起因宗中合議一九九五年乙亥八月堤川郡錦城面江諸里美機池里乾位合封遷葬碑碣移設 중발장성현감조선세조원년원종공신세조왕조실록배의녕남씨부병사혼조의성군량정공좌시◎묘금포검단곡우완정리좌유좌합폄◎기후국토개발사업기인종중합의일구구오년을해팔월제천군금성면강제리미기지리건위합봉천장비갈이설 [1409태종9년~1459세조5년] 을사사화는 1545년(명종 즉위) 윤원형(尹元衡) 일파 소윤(小尹)이 윤임(尹任) 일파 대윤(大尹)을 숙청하면서 사림이 크게 화를 입은 사건이다. 기묘사화 이후 사림이 후퇴한 사이에 신묘삼간(辛卯三奸 : 중종 20년 신묘년에 사형된 沈貞·李沆·金克愊을 말함.)과 김안로(金安老)와의 싸움과 같은 권.. 2022. 8. 13.
충주 국가정원은 '탄금대' 일원…역사·문화성도 갖춰충주시, 새 정부 국정과제 반영에 TF팀 준비 충주 국가정원은 '탄금대' 일원…역사·문화성도 갖춰충주시, 새 정부 국정과제 반영에 TF팀 준비(충주=뉴스1) 윤원진 기자 | 2022-05-07 11:33 송고충북 충주시는 국가정원 조기 추진을 위해 테스크포스팀(TF)을 운영한다고 7일 밝혔다.충주 국가정원 조성 사업은 새 정부의 정책과제에 반영되며 본격 추진을 앞두고 있다. 시는 국가정원이 들어설 장소로 탄금대 일원을 꼽고 있다. 자연경관도 좋고 충주의 역사와 문화도 보여줄 수 있는 장소로 봤다. 탄금대 옆 충주세계무술공원에는 국립충주박물관도 들어선다. 탄금대는 기암절벽을 휘감아 돌며 유유히 흐르는 남한강과 울창한 소나무 숲이 인상적이다. 임진왜란 때 신립 장군이 치열한 전투를 벌인 곳이기도 하다.시는 국가정원의 국민적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며 충주 .. 2022. 5. 10.
◈조선 중․후기 영양의 유교문화권과 한양조씨이야기◈ ◈조선 중․후기 영양의 유교문화권과 한양조씨이야기◈ 1.16세기 영양의 인물과 문화 1)16세기 조선의 정치적 상황 16세기 조선사회는 연산군이 재위하면서 무수한 선비들이 화를 당하는 소위 4대 사화(巳火)가 발생한 시기이다. 영남사림의 종장으로 추앙받든 점필재 김종직 선생이 조의제문을 지어 간접적으로 세조의 단종을 죽이고 집권한 것을 훈구파들이 트집잡아 김종직의 문하의 제들들이 제거당하던 무오사화가 일어났다. 그 이후 폐비 윤씨 사사사건에 의해 다시 많는 선비들과 후구파들이 같이 화를 당한 갑자사화가 연산군 시절에 일어났다. 1506년 박원종, 유순정,성안의 등이 주도한 중종반정에 의해 연산군이 폐위되고 중종이 즉위하여 좆광종,김정, 김식 등의 기묘사림들이 개혁정치를 단행했으나 주초위왕 사건과 위훈삭제.. 2021. 11. 20.
♠한양조씨 충정공파 파서공(坡西公諱順生) / 인촌공(仁村公諱銘) 양선조 실기♠ ♠한양조씨 충정공파 파서공(坡西公諱順生) / 인촌공(仁村公諱銘) 양선조 실기♠ 2021. 10. 20.
♠자인고공諱玏 선조님, ‘자린고비 청빈마을’로 다시 태어난다!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경제난에 되새길 삶의 지혜” 자린고비 마을 만든다!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자린고비(玼吝高蜚) 청빈[淸貧]마을(양촌권근마을)' 조성한다.[[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삼봉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자린고비 조륵의 인물 이야기]]자린고비는 예부터 ‘구두쇠’, ‘지독하게 인색한 사람’, ‘지독하게 절약하는 사람’ 등의 뜻으로 통한다. 한때 조선 제일의 자린고비로 불렸던 조륵[1649~1714]은 음성군 금왕읍 삼봉리 한양조씨 집성촌 사람으로, 근검절약하여 큰 부자가 된 뒤 어려운 백성들을 많이 도와 가자(加資: 정3품 통정대부 이상의 품계를 올리는 일)까지 받았다고 한다.음성군 금왕읍 삼봉리에서 채록하여 1982년에 출간한 『내고장 전통가꾸기-음성군-』에 수록하였다. 『음성군지』와 『음성의 구비문학』 등에도 실려 전한다.조륵이 얼마나 구두쇠였나면, 쉬파리가 장독에 .. 2021. 10. 17.
■충주시 소태면 총무팀 조주형 043-850-2424 ■충주시 소태면 총무팀 조주형 043-850-2424 안전총괄, 환경수자원,기후에너지(에너지바우처 제외),관광과, 바르게, 자총 ■충주시 소태면 맞춤형복지팀 조명연 043-850-2428 복지정책,에너지바우처, 종합상담창구 및 상담실 운영, 사례관리, 보건 ◈7세조 觀生관생 ●奉禮配咸陽朴氏父書雲觀正子柔外祖福安君開城王愼 ●봉례배함양박씨부서운관정자유외조복안군개성왕신 ◈8세조 子 銛섬 ●忠勳都事端廟癸甲之禍與從祖司評賡判事貫俱謫南海光海戊子蒙 宥配竹山朴氏父府使欽◎墓忠州鼎台陽東幕里舊基右麓卯坐有碣 ●충훈도사단묘계갑지화여종조사평갱판사관구적남해광해무자몽 유배죽산박씨부부사흠◎묘충주정태양동막리구기우록묘좌유갈 2021. 10. 15.
◐約山堂 世譜의 槪要◑ ◐約山堂 世譜의 槪要◑영양의 한양 趙氏는 서울[漢陽]에 세거하다가 -기묘사화 -[1519년] 문정공 [휘 ;光祖. 호 靜菴. 시호 文正. 10世]이 유학과 문치에 뜻을 둔 중종[中宗]에게 각별한 대우를 받아 성리학에 의거한 정치 개혁의 일환으로 왕도 정치를 구현코자 하다가 士禍를 당하여 一族에게 큰 화가 미치니 이를 피하여 일족 모두가 전국에 散居하게 되었다.  (대종손가 회장이란 자는 소설쓰지 말라고 미친놈 소리만 함)  *현감공[9世]은 이시기에 문정공[10世]의 삼종숙으로 老母와 子女孫을 모두 인솔하여 외가[전주 이씨]와 처가[평해 황씨] 곳인 영천[榮川; 現 영주시]으로 落南하게 되었다. *참의공[10世 .휘 亨琬 .증 參議]은 육 형제 중 막내 자제로 妻鄕인 안동시 풍산읍에 移居하였다.[배위; .. 2021. 10. 12.
◐충정공-참의공파-호의공파 2021년도(한글날:아헌관/종헌관) 묘소제향◑ ◐2021년도충정공파 참의공(參議公)휘 재(賫)/호의공/도사공/만호공 묘소(시향제:한글날모심)◑ ◐충정공-참의공파-호의공파 2021년도(한글날:아헌관/종헌관) 묘소제향◑ 2021. 10. 10.
● 조원기(趙元紀):세조3년(1457)∼중종28년(1533) ◈조원기선조님 신도비:묘소10m좌표에 이전함!◈조원기선조님 신도비:묘소10m좌표에 이전함!● 조원기(趙元紀):세조3년(1457)∼중종28년(1533)  할아버지는 조육(趙育)이고 아버지는 성균관 사예(司藝) 조충손(趙衷孫)이며 어머니는 남상명(南尙明)의 딸이다. 본관은 한양(漢陽)이고 자(字)는 이지(理之)이며 호는 돈후재(敦厚齋)인데 조선 개국공신 조온(趙溫)의 증손이다.  장기를 두는 등 놀이에만 열심이었는데 9세 때 아버지가 가만히 어머니에게 말하기를 “우리아이는 무익한 일을 배웠으니 장차 어떻게 도(道)를 이루며 덕(德)을 세울까?” 하였다. 이 말을 듣고 반성한 뒤 학문에 정진하여 성종14년(1483) 생원․진사시에 합격하고 연산군2년(1496)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전적․정언․수찬 등.. 2021. 10. 3.
'선무원종공신록권(宣武原從功臣錄券)' 1605년 음력 4월 16일 공신 책봉에서 빠진 9,060명을 공신도감(功臣都監)을 통하여 ‘선무원종공신록권’을 발행 하고 녹훈 하였다. 록권의 첫 머리에 ‘선무원종공신록권’이라는 문서의 명칭이 있고, 이 문서를 발급받는 개인의 신분과 성명이 기재되어있다. 다음으로 1605년 4월 선조가 도승지 신흠(申欽)을 통해 공신도감에 내린 선무원종공신 록훈의 전지(傳旨)를 실었다. 이어 1,2,3등급 공신의 신분과 명단이 함께 기록되어 있다. 록권의 후미에는 이들에게 내리는 특권이 등급별로 기록되어있다. 끝에는 이항복(李恒福)을 비롯한 4인의 당상(堂上, 연릉부원군이호문,의정부우참찬박동호,호조판서권협), 2인의 낭청(郎廳), 1인의 감교낭청(監校郎廳)등 공신도감 관원의 명단이 수록되어있다. 이 록권에 전방삭은 선.. 2021. 9. 30.
[용인 사은정 보존회 2021년도 총회 개체(사진촬영)]▣용인시 문화재 탐방 향토유적 제50호 사은정▣ [용인 사은정 보존회 2021년도 총회 개체(사진촬영)] ▣용인시 문화재 탐방 향토유적 제50호 사은정▣ 프로파일 : 아침 ・ 2021. 2. 2. 9:38 https://blog.naver.com/sychoo99/222228585999 용인시 문화재 탐방 향토유적 제50호 사은정 용인시 향토 유적지 50호로 지정된 사은정은 지 곡동 두암산 나즈막한 산에.자리하고 있습니다. 정암 조광... blog.naver.com 용인시 문화재 탐방 향토유적 제50호 사은정용인시 향토 유적지 50호로 지정된 사은정은 지 곡동 두암산 나즈막한 산에.자리하고 있습니다. 정암 조광...blog.naver.com 용인시 향토 유적지 50호로 지정된 사은정은 지 곡동 두암산 나즈막한 산에.자리하고 있습니다. 정암 조광조, 회곡.. 2021. 6. 15.
♣한양조씨 삼수당(三秀堂)종택[학초정(鹤樵亭)]♣ ♣한양조씨 삼수당(三秀堂)종택[학초정(鹤樵亭)]♣ 영양군 영양읍 감천 2리 591-1,2번지, 조선 효종 때 삼수당(三秀堂) 조 규(趙頍,1630~1679)가 지은 정자와 살림집으로 당시 정자를 삼수당이라 하였으나 1910년 경에 소유주가 바뀌면서 학초정(鶴樵亭─正寢)으로 부르고 있다. 박종만이 소유·관리하고 있으며, 삼수당은 잔디가 빛이 나서 일년에 3번씩 아름답다는 뜻이다. 학초정(鹤樵亭)영지동천(英芝洞天)수성인하(壽城烟霞) ♣한양조씨 삼수당(三秀堂)종택[학초정(鹤樵亭)]♣ blog.daum.net/kil0930/1034 학초정 및 정침 이야기 명 칭 : 학초정 및 정침(鶴樵亭 및 正寢) 소 재 지 : 영양군 영양읍 감천리 591-2번지 건축시기 : 1600년대 소 유 자 : 박종만 문 화 재 : 경.. 2017. 10. 23.
정랑봉조명추모비명(正郞峰趙銘追慕碑銘) ■충남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석곡리 산 44-1 ■ ▲정랑봉과 망경대와의 거리: 약6.9km(14리) [고삿재] ◈正郞峰 : 충남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석곡리 산 44-1 ◈望京臺·山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봉대리 산 1 [獨立記念館] ○ 망경산(望京山 385m)은 서쪽으로는 운주산과 동쪽으로는 동림산으로 연결되는 능선상에 있는 산이다. 나즈막한 산이지만 북쪽으로 천안 흑성산과 은석산 너머 멀리 한양의 하늘을 바라볼 수 있는 산이라 하여 망경산이라 한다. 전국 여러 곳에 망경산이나 망경대(望京臺) 등의 지명이 분포하는데, 고도는 높지 않지만, 멀리까지 조망할 수 있어 얻은 이름으로 보인다. ‘경(京)’은 한양 혹은 임금을 상징하며, 나라에 상(喪)을 당하면 한양을 향해 한양인 이조정랑 조명(趙銘)이 망.. 2017. 3. 6.
선무원종1등공신 백기당 조웅장군 정려각과 공신록 ◈충주출신 임란시 선무원종공신중에 1등공신 백기당 조웅(趙熊)◈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으로서 충주 가흥리에서 출생하였으며 호는 백기당 이고 본관은 한양이다.  그는 나면서부터 빼어난 재질이있었으며 기개가 호탕하고 영특하였다. 그리고 성장 해서는 몸이 장대하고체력이 절륜하였다고 한다. 일찍이 조강에게 사사하여 유학을 수업하다가 뜻한바 있어 무예를 익혔으니 조강도 그를 보고는 곧 간성의 재목임을 알아차리고 무예를 권했다고 한다.  그는 말타고 활쏘기에 능숙하였으며 용기와 지략이 뛰어나 말 위에 서서 달리면서 활을 잘 쏘았으니 당시 사람들이 모두 날으는 장군의 용맹스러움을 여기에서 다시 보는 것 같다고 칭송 하였다고 한다.  대평촌의 정려각, 앙성에서 조천 영축방향으로 가다가 조대고개를 넘어서 바로왼쪽으로 ... 2016. 8. 11.
▣백기장군조웅기적비(白旗將軍趙熊記跡碑)-충주시탄금대공원내▣ ◈임란 선무원종1등공신 백기당(白旗堂)조웅(趙熊)장군◈임진왜란 때 활약한 의병장으로서 충주 가흥리에서 출생하였으며 호는 백기당 이고 본관은 한양(충정공파)이다.  그는 나면서부터 빼어난 재질이 있었으며 기개가 호탕하고 영특하였다. 그리고 성장 해서는 몸이 장대하고 체력이 절륜하였다고 한다. 일찍이 조강에게 사사하여 유학을 수업하다가 뜻한 바있어 무예를 익혔으니 조강도 그를 보고는 곧 간성의 재목임을 알아차리고 무예를 권했다고 한다. 그는 말타고 활쏘기에 능숙하였으며 용기와 지략이 뛰어나 말 위에 서서 달리면서 활을 잘 쏘았으니 당시 사람들이 모두 날으는 장군의 용맹스러움을 여기에서 다시 보는 것 같다고 칭송 하였다고 한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명문가(개국공신) 출신으로서 그도 뜻한 바 있어 일찍부터 무.. 2012. 4.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