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정암 조광조7

심곡서원/정암가족묘원/역사문화공원 ♠심곡서원/정암가족묘원/역사문화공원♠정암 선조 동상건립 요청건에 대하여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 부정적!!조병수 2024-05-20 08:04:28  심곡서원 역사공원 정암 선조 동상 건립 요청 건에 대하여 용인시청 문화예술과에서 2024년 5월 7일(화요일)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을 방문하여 협의한 결과(문화재 위원 2명 참석)1. 심곡서원은 국가사적이기 때문에 동상을 세우려면 문화재 보호구역 현상변경을 해야 하는데 참석한 문화재 위원 2명이 반대의견(정암을 모시는 제향공간인 심곡서원이 있기에별도의 상징 시설은 필요없어 보이며 요즘 추세가 동상 건립을 하지 않는 추세라고 함)을 내었고2. 우리 문중에서 동상 설치비 약 5억원의 절반이라도 부담해야 일의 추진이 쉬운데 그런 조치를 기대할 수 없어 예산이.. 2024. 5. 13.
정암 조광조, 어머니 '여흥민씨 (驪興閔氏)'의 경고 말씀!!! 남곤(南袞)과 함께 산책하던 길에 조광조(趙光祖)는 지나가던 여인(女人)의 모습을 보고 계속 되돌아 보았고, 한편 남곤(南袞)은 옆으로 고개도 한번 돌리지 않고 앞서갔다. 집에 돌아온 조광조는 어머니 '여흥 민씨 (驪興 閔氏)'에게 산책 시 여인의 모습을 훔쳐 본 것을 보고 자신의 수양이 부족함을 자책(自責)하였으나, 어머니 '여흥 민씨'는 조광조에게 다음과 같이 경고하였다.젊은 사람은 젊은이답게 살아야 된다. 아름다운 처녀가 있는데 젊은 장부의 마음이 어찌 잠잠학ㅆㄴ냐. 아무런 감정이 없다면 나무나 돌 같은 사람이다. 네가 처녀들에게 한 눈 판 것을 나무라지 않는다. 철이 들면 분별할 때가 반드시 있다. 남곤(南袞)은 목석 같은 사람이라 젊은이의 피가 끓지 않는 차가운 사람이다. 겉으로 보면 인격적으로.. 2024. 4. 8.
정암 조광조, 삶에서 이상까지 특별전!!! 貞夫人 贈貞敬夫人李氏祔 嘉善大夫司憲府大司憲兼同知 經筵 成均館事 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 府領議政兼 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 秋館觀象監事文正公靜庵趙先生之墓 http://www.newstow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329 정암 조광조, 삶에서 이상까지 특별전 - 뉴스타워 최영성(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교양교육원) 이상성(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 교수 진행 용인시 용인문화유적전시관은 오는 10월 12일(토) 오후 2... www.newstower.co.kr ♠정암 조광조, 삶에서 이상까지 특별전!!! 전경만 기자 | 승인 2013.10.10 08:26 최영성(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교양교육원) 이상성(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 교수 진행 용인시 용인문화유적전시관은 오는 10월 12일.. 2023. 12. 8.
◈2023年度(癸卯年)도봉서원 추향제 향사◈ ◈2023年度(癸卯年)도봉서원 추향제 향사◈ =2023-10-24,火,11時~~~= [서울 도봉구 도봉동 512]▣정조(正祖, 생몰 1752~1800, 재위 1776~1800)●道峯書院致祭文 도봉서원 致祭文▣♠是歲壬子之重陽翌朝. 爲謁光陵. 路出先正文正公趙光祖宋時烈祠前. 還途遣近侍. 侑祭兩賢. 其文曰.시세임지지중양익조. 위알광릉. 로출선정문정공조광조송시열사전. 환도견근시. 유제양현. 기문왈.♣1792년 정조 16년 중양절19 다음 날 아침에 세종의 능 광릉에 가던 길에 선대에 추앙받던 조광조와 송시열을 배향한 도봉서원 앞을 지났는데 돌아오는 길에 신하를 보내어 두 현인의 제사에 다음 글을 내려 기리노라.◐壁立之峰, 벽립지봉절벽같이 우뚝 서 있는 봉우리◑如覿靜尤. 여적정우정암과 우암을 보는 듯하네.◐志在堯舜.. 2023. 10. 25.
▣제6회 대한민국 정암서예대전 휘호 대상자 발표(1차 심사장면:2023.05.24.수) ▣제6회 대한민국 정암서예대전 휘호 대상자 발표 (1차 심사장면:2023.05.24.수) 1. 행초서 진태랑 2. 예서 차태운 3. 예서 이은자 4. 전서 신중철 5. 해서 유광석 6. 한글 변근주 7. 한글 주현정 8. 문인화 박연화 9. 문인화 윤인숙 ●이상 9명입니다 27일 토요일 1시까지 심곡서원에 방문하셔서 휘호에 참석하시기 바랍니다. 2023. 5. 26.
◐조선왕조실록(45) 중종 4 - 기묘사화(己卯士禍) [최인호 書] #역사 #조선 #연산 #사화 #성종 #유림 #사림파 #훈구파 #한국사 #종묘사직 #갑자사화 #실록 #김일손 #김종서 #황보인 #이극돈 #유자광 #김종서 #조의제문 #조문 #이세좌 #인수대비 #중종 #조광조 #박원종 #반정공신 #기묘사화 #위훈삭제사건 #현량과 ​ ▣조선왕조실록(45) 중종 4 - 기묘사화(己卯士禍) 조광조의 위훈삭제(僞勳削除) 주장은 해석하기에 따라서는 연산군을 몰아 낸 중종반정 자체를 역적질로 본다는 심각한 오해를 살 수 있는 위험천만한 것이기도 했습니다. ​ 그러나 조광조 세력은 과도한 공신 지정에 따른 폐해 수정이라는 명분과 중종의 지지를 믿고 이를 과감히 추진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돌이킬 수 없는 화가 될 줄은 몰랐을 것입니다. 중종은 조광조 세력의 위와 같은 대규모 위훈.. 2021. 4. 8.
서원의 가치 구분과 활용기획 전략 : 심곡서원 중심으로 정암 조광조 선생 서세 500주년기념 학술회의조광조에 대한 역사적 평가와 심곡서원 활성화 방안> ●일시 : 2019. 12. 26. 목. 13:00 ~~~   경기학회 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  : 용인 심곡서원 정암 조광조선생 서거500주년 기념 학술회의 개최[학술대회 한글파일 제공 : 前경기대학교 강진갑교수(경기학회장, 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장)][HP] 010-6253-7190 , k1682a@naver.com            서원의 가치 구분과 활용기획 전략 : 심곡서원 중심으로신창희(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연구원)주제발표3 | 서원의 가치 구분과 활용기획 전략 : 심곡서원 중심으로 49서원의 가치 구분과 활용기획 전략 : 심곡서원 중심으로신창희(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연구.. 2020. 1.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