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漢陽人문화유적❀489

제9대 유송공 성원(性元)~10대(1~2기)석암(昔庵)공 영환(榮渙) 제9대 유송공 성원(性元)~10대(1~2기)석암(昔庵)공 영환(榮渙) 2025. 4. 5.
도봉산의 도봉서원은 1573년(선조 6년) 조광조의 영향으로 사액(賜額)을 받는 서원 1. 서울근교의 유교성지, 도봉서원(道峰書院). 도봉서원은 조선시대는 조광조와 송시열의 영향으로 안동의 도산서원(陶山書院) 만큼이나 학맥(學脈)의 종심(從心)이었다. 도봉산의 도봉서원은 1573년(선조 6년) 조광조의 영향으로 사액(賜額)을 받는 서원이 된다. 조선 후기 남발된 사액 증원에 비해 빠른 시기이며 유림의 영수 조광조가 배향되었기에 한양 근방 상당히 입지가 높은 서원이었다.  사실 도봉산은 조광조가 휴가 때 일대를 관람하며 업무로 생긴 스트레스를 풀던 곳이다. 이런 행적으로 유림들이 그를 이곳에 배향(配享) 시킨 것이다. 이후 조광조의 후학을 자처한 우암 송시열도 이곳에 여러 차례 방문과 더불어 입향까지 했었다 한다. 이곳에서 인근 유생들에게 강학까지 펼쳤을 정도로 도봉서원과 연을 쌓았다. 그.. 2025. 3. 30.
[유득공(柳得恭, 1748~1807),고운당필기(古芸堂筆記)] [유득공(柳得恭, 1748~1807),고운당필기(古芸堂筆記)]저자 유득공(柳得恭, 1748~1807)은 조선 후기 실학자로 잘 알려져 있다. 자는 혜보(惠甫) · 혜풍(惠風), 호는 영재(泠齋) · 고운당(古芸堂) · 가상루(歌商樓) 등을 사용하였다. 한시를 잘 짓는 것으로 명성이 있어서 조선 후기 한시사가(漢詩四家)로 불리기도 했으며, 서얼 출신으로 정조(正祖)의 특별한 지우(知遇)를 입어 초대 규장각 검서관으로 발탁되기도 하였다.[제4권]●철령위〔鐵嶺衛〕鐵嶺衛[DCI]ITKC_GP_1550A_0040_000_0060_2021_001_XML DCI복사《高麗史》:“辛禑十四年,偰長壽還自京師,口宣聖旨曰:‘鐵嶺以北,元屬元朝,竝令歸之遼東。’ 是時明欲建鐵嶺衛。禑遣密直提學朴宜中表請曰:‘鐵嶺迤北,歷文、高、和、定、咸等.. 2025. 3. 17.
조휘(趙暉) 조휘최근 수정 시각: 2025-02-12 03:45:34고려의 인물1232년 출생~몰년 미상한양 조씨  고려사(高麗史)[ 세가(世家)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열전(列傳) ]1. 개요趙暉 (1232 ~ ?)여몽전쟁 시기 고려의 무장, 생몰년 미상. 한양 조씨의 시조 조지수의 독자(獨子)이다. 쌍성총관부의 초대 총관이다.2. 생애[편집]조휘는 본래 한양부(漢陽府) 출신이었으나 뒤에 용진현(龍津縣)으로 이사하여 살았다. 고종 45년(1258년) 몽골군이 대거 침입하자, 고주(高州)·화주(和州)·정주(定州)·장주(長州)·의주(宜州)·문주(文州) 등 15주의 사람들이 저도(猪島)로 들어가 지켰다. 동북면병마사 신집평(愼執平)은 저도에 설치된 성이 크지만 사람 수가 적어 지키기가 매우 어렵다고 판단.. 2025. 2. 28.
◈일영유원지주변 한양조씨 선조님 유적지◈ ◈일영유원지주변 한양조씨 선조님 유적지◈ 2025. 1. 31.
=조선3대명주 전주이강주(全州梨薑酒)= https://youtu.be/2IaLyQYPQx8?t=647=조선3대명주 전주이강주(全州梨薑酒)= 2025. 1. 29.
◐2025년도 첫 전시회, 조명환(산사진작가) 전시회◑ https://blog.naver.com/jomyhw ------- 조명환 산사진 ------ Cho myung hwan : 네이버 블로그산에서 무얼 찾는가~ jomyhw@naver.com 010-5251-8898blog.naver.com◐조명환(산사진작가) 전시회◑www.sansajin.co.krhttps://blog.naver.com/jomyhwhttps://smartstore.naver.com/jomyhw1 2025. 1. 10.
◈6世祖 嘉川齋公(諱師)神道碑와 齋室 致川齋◈嘉川齋公諱師趙先生神道碑銘竝書 ◈6世祖 嘉川齋公(諱師)神道碑와 齋室 致川齋◈가천재공휘사조선생신도비명병서(嘉川齋公諱師趙先生神道碑銘竝書)이씨 조선의 처음에 가천재 조선생(嘉川齋趙先生)이 있었으니, 휘는 사(師)요, 그 선대(先代)는 한양 사람이다. 시조 지수(始祖之壽)는 고려에서 첨의 중서사(僉議中書事)로 이 분이 휘(暉)를 낳았으니, 쌍성총관(雙城摠管)이고, 총관이 양기(良琪)를 낳았으니 총관을 습작(襲爵)하고, 이 분이 돈(暾)을 낳았으니 예의판서 용성부원군(禮儀判書龍城府院君)이오, 이 분이 인벽(仁璧)을 낳았으니, 보리공신용원부원군(輔理功臣龍原府院君)인데 고려의 운수가 다 한 것을 보고, 양양시상촌(襄陽柴桑村)으로 은퇴(隱退)하여 망복(罔僕)의 절의(節義)를 지켰으니, 후일에 추증하여 한산백(漢山伯)을 봉하고 시호를 양렬(襄烈)이라.. 2024. 12. 25.
通政大夫僉知中樞院事 嘉川齋先生漢陽趙公師之墓 淑夫人彦陽金氏祔左통정대부첨지중추원사 가천재선생한양조공사지묘 숙부인언양김씨부좌 通政大夫僉知中樞院事 嘉川齋先生漢陽趙公師之墓 淑夫人彦陽金氏祔左통정대부첨지중추원사 가천재선생한양조공사지묘 숙부인언양김씨부좌 2024. 12. 23.
◐단양 조덕수 고택(丹陽 趙德壽 古宅/별장을 한옥으로 세워 미술관도 개방 /조덕수 서양화가)◑ ◐단양 조덕수 고택(丹陽 趙德壽 古宅/별장을 한옥으로 받꿔 미술관도 개방 /조덕수 서양화가)◑●시대:조선, 유형:유적, 분야:생활/주생활●요약: 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덕천리에 있는 조선후기 안채·행랑채 등으로 구성된 주택. 서양화가, 조덕수 화백 작품, 서양화,유화,풍경화,계곡풍경,소나무그림[내용]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 제145호)로 지정되었다. ㄱ자형의 안채와 ㄴ자형의 행랑채가 튼□자형의 일곽을 이룬 집으로, ㄴ자형의 행랑채는 원래 一자이던 것이 근래에 방을 부설하여서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비록, 튼□자형에서 벗어나기는 하였어도 안채를 ㄱ자형으로 구성한 집이 이 지역에도 분포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가치를 인정할 만하다. 단양에서 강원도 쪽으로 더 들어가거나 재를 넘어 영남지방으.. 2024. 12. 21.
충주의 임진왜란 의병장인 조웅(趙熊) 장군! 올해 여름은 유독 덮고 지루하다. 8월이면 충주의 임진왜란 의병장인 조웅(趙熊) 장군이 떠오른다. 충주시 중앙탑면 가흥리에서 출생한 그는 조선 중기 임진왜란 때 충주에서 활동했던 의병장이다. 임진왜란 7년간의 싸움은 고려 고종 때 몽고와의 30여년 항쟁과 함께 우리 민족사에 있어서 가장 큰 시련의 시기였다. 1592년(선조 25) 4월 13일 왜군은 30여만의 대군을 몰고 부산에 상륙하여 삽시간에 전국을 유린하였다. 우리는 전쟁초기부터 준비 없이 속수무책으로 맞섰으니, 왜군들은 새 병기인 조총(鳥銃)으로 무장하고 아무런 저항을 받음이 없이 한양(서울)로 향했다. 왜군은 경상도 양산과 밀양을 휩쓸고 파죽지세로 상주 조령방면으로 올라왔다. 충주 탄금대에 있는 임란충신백기장군기적비(壬亂忠臣白旗將軍趙熊紀蹟碑)... 2024. 12. 11.
6世祖 嘉川齋公(諱師)神道碑와 齋室 致川齋 ◈6世祖 嘉川齋公(諱師)神道碑와 齋室 致川齋◈가천재공휘사조선생신도비명병서(嘉川齋公諱師趙先生神道碑銘竝書)이씨 조선의 처음에 가천재 조선생(嘉川齋趙先生)이 있었으니, 휘는 사(師)요, 그 선대(先代)는 한양 사람이다. 시조 지수(始祖之壽)는 고려에서 첨의 중서사(僉議中書事)로 이 분이 휘(暉)를 낳았으니, 쌍성총관(雙城摠管)이고, 총관이 양기(良琪)를 낳았으니 총관을 습작(襲爵)하고, 이 분이 돈(暾)을 낳았으니 예의판서 용성부원군(禮儀判書龍城府院君)이오, 이 분이 인벽(仁璧)을 낳았으니, 보리공신용원부원군(輔理功臣龍原府院君)인데 고려의 운수가 다 한 것을 보고, 양양시상촌(襄陽柴桑村)으로 은퇴(隱退)하여 망복(罔僕)의 절의(節義)를 지켰으니, 후일에 추증하여 한산백(漢山伯)을 봉하고 시호를 양렬(襄烈)이라.. 2024. 12. 7.
◈壬亂忠臣 白旗將軍 趙熊 紀蹟碑◈선조38년 1605에 병조참의증직 ●宣武原從 一等功臣● ◈壬亂忠臣 白旗將軍 趙熊 紀蹟碑◈선조38년 1605에 병조참의증직  ●宣武原從 一等功臣● 2024. 12. 4.
◈조연(趙涓,양경공) 행장(行狀) -홍귀손 저◈ ◈조연(趙涓,양경공)  행장(行狀) -홍귀손 저◈ 공(公)의 성(姓)은 조씨(趙氏)이고, 휘(諱)는 경(卿)이다. 뒤에 고친 휘는 연(涓)이다. 한양(漢陽)의 대족(大族)이다. 증조고(曾祖考)는 조양기(趙良琪)로 감문위 대호군(監門衛大護軍)을 지냈고, 조고(祖考)는 조돈(趙暾)으로 추충 익대 보리 공신(推忠翊戴輔理功臣) 벽상 삼한 삼중 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용성 부원군(龍城府院君) 문하 좌시중(門下左侍中) 제예의사사(制禮議司事) 상호군(上護軍) 행삼중 대광(行三重大匡) 용성군(龍城君)에 추증되었다. 선고(先考)는 조인벽(趙仁璧)으로 추성 양절 익위 보리 찬화 좌명 공신(推誠亮節翊衛輔理贊化佐命功臣) 보국 숭록 대부(輔國崇祿大夫) 문하 좌정승(門下左政丞) 판도평의사사(判都評議司事) 영경연사(領經筵事) 한산.. 2024. 12. 1.
●승정원일기 2973책 (탈초본 136책) 고종 25년 5월 12일 계해 20/23 기사 1888년 光緖(淸/德宗) 14년○ 又以禮曹言啓曰, 卽接四館所牒呈, ■고종 25년 (1888년 光緖(淸/德宗) 14년 고종 25년 5월 12일●승정원일기 2973책 (탈초본 136책) 고종 25년 5월 12일 계해 20/23 기사 1888년  光緖(淸/德宗) 14년○ 又以禮曹言啓曰, 卽接四館所牒呈, 則戊子五月館學儒生應製入格進士金炳軾, 直赴殿試乙酉九月秋到記製述入格進士李赫儀, 同年同月館學儒生應製入格幼學朴龍翰·劉南燮·崔商岳·石鍾律·崔商翼·宋在成·吳載復·崔民榮·愼宗駿·金永極, 進士安鍾悳·李肯來·李載覲, 幼學朴勝億, 同年十月館學儒生應製入格生員, 鄭元謨, 幼學呂圭秉·李潤贊·朴載鎬·許玟·柳誠烈·洪愈燮·梁柱玾·李秉彙·鄭翰時·金命鎬·丁璣燮·權文淵·金之鋌·吉鍾林, 同年十一月柑製入格幼學崔運周, 丙戌二月館學儒生應製入格生員金永學, 幼學朴夔祚·金和永·李太洪·劉升烈·韓永五·姜鳳會·趙炳斗·金鎭華·尹.. 2024. 11. 23.
▣ 금마 입향조 한풍군파 14세조 봉수당(鳳首堂) 휘인민(諱仁民) 임곡재(林谷齋) 재실▣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11. 18.
●▣故義兵將成均進士贈嘉善大夫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山西先生趙公神道碑銘 竝書▣남원의병장조경남장군신도비(譯文)● ●남원의병장조경남장군신도비(譯文)●▣故義兵將成均進士贈嘉善大夫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山西先生趙公神道碑銘 竝書▣通政大夫전前비서원승秘書院丞 안동 김녕한安東金甯漢 짓고,崇祿大夫前判敦寧院使海平윤용구(尹用求,1853-1939)글씨 전서도 쓰다. 목릉(선조)임진, 계사년 사이에 왜적이 침입하여 우리 강토를 짓밟고, 우리 백성을 짓이겨 죽임으로써 당시 충의를 지닌 선비들이 견고한 갑옷을 걸쳐 입고, 날카로운 무기를 움켜들고서 적개심을 품은 자 한둘이 아니었다. 그러나 기이한 계책을 내고 사기를 북돋아 작은 병사로서 많은 왜적에 대항하여 큰 공을 세운 사람을 꼽는다면 단연 산서 조공을 일컬어 왔다.공은 한양인이며 휘 경남, 자 선술이다. 고려 첨의중서 지수의 후예이다. 조선조 우의정 양경공 휘 연으로부터 벼슬.. 2024. 11. 15.
●17世祖梧竹軒諱宜陽 ●宜陽字義卿號梧竹軒己亥生辛卯司馬文章鳴于世壽同樞戊辰卒有文集◎墓甘泉梧香洞後亥坐配永川李氏父猶龍◎墓館坪沙禮洞艮坐配安東權氏父正元◎墓山谷聖岺酉坐●의양자의경호오죽헌기해생신묘사마문장명우세수동추무신졸유문집◎묘감천오향동후해좌배영천이씨부유룡◎묘관평사례동간좌배안동권씨부정원◎묘산곡성령유좌   백년이 넘은 기록을 평론하자면 보고 아는 것에 미치지 못하는데 미치지 못한다면 어찌해야 좋을까? 이 또한 방법이 있으니 당시의 인정된 평판을 살펴볼 뿐이다. 몸소 살펴보면 상세히 알 것인데 옛사람의 감식안이 지금보다 한 등급 높았으니 함부로 재단할 수 없고, 특히나 후세에 확실한 것을 전하는 것에 비할 바 아니니, 어찌 후세에 모색하는 자가 할 수 있는 일이겠는가? 오죽재(梧竹齋) 조공(趙公)의 세대는 이미 백년이나 오래 되었고, 후생인 .. 2024. 11. 14.
◐議政府領議政諡文貞金公諱堉行狀◑ ▲영의정(領議政) 잠곡(潛谷) 김육선생 묘(金堉先生 墓)▲영의정(領議政) 잠곡(潛谷) 김육선생 신도비(金堉先生 神道碑)   소재지 - 경기 남양주시 삼패동 산29-1 일원 ▲잠곡(潛谷) 김육선생 영정이곳은 청풍김씨문의공파(淸風金氏文毅公派) 묘역으로 성균관(成均館) 대사성(大司成) 김식(金湜, 1482(성종 13-1520(중종 15), 영의정(領議政) 김육(金堉, 1580(선조 13)-1658(효종 9), 예조판서(禮曹判書) 김좌명(金佐明,1616(광해군 8)-1671(현종 12). 병조판서(兵曹判書) 김성응(金聖應, 1699(숙종 25)-1764(영조 40). 호조판서(戶曹判書) 김시묵(金時默, 1722(경종 2)-1772(영조 48)의 묘역이다.김식(金湜)은 조선 중종 때의 문신으로 조광조(趙光祖)와 .. 2024. 11. 9.
◐김육신도비명(領議政諡文貞金公神道碑銘)◑ ▲영의정(領議政) 잠곡(潛谷) 김육선생 묘(金堉先生 墓)▲영의정(領議政) 잠곡(潛谷) 김육선생 신도비(金堉先生 神道碑)   소재지 - 경기 남양주시 삼패동 산29-1 일원▲잠곡(潛谷) 김육선생 영정 ◐김육신도비명(領議政諡文貞金公神道碑銘)◑이곳은 청풍김씨문의공파(淸風金氏文毅公派) 묘역으로 성균관(成均館) 대사성(大司成) 김식(金湜, 1482(성종 13-1520(중종 15), 영의정(領議政) 김육(金堉, 1580(선조 13)-1658(효종 9), 예조판서(禮曹判書) 김좌명(金佐明,1616(광해군 8)-1671(현종 12). 병조판서(兵曹判書) 김성응(金聖應, 1699(숙종 25)-1764(영조 40). 호조판서(戶曹判書) 김시묵(金時默, 1722(경종 2)-1772(영조 48)의 묘역이다.김식(金湜)은 조선.. 2024. 11. 9.
■경북 예천군/영주시 유적/유물 분포도■ ■경북 예천군/영주시 유물/유적 분포도■◉옥천 조덕린 유택☞경북 안동시 풍산읍 서미리 산 112-1◉안동포(모시)시모 청송심씨 유택☞경북 안동시 서후면 저전리 산 4-1◉안동포재배지 苧田里 “星岩亭,雙溪書堂,尊敬齋”(우) 36616☞경북 안동시 서후면 풍산태사로 3411-9☞(지번) 서후면 저전리 397◉산곡(山谷)조원익(趙元益)팔우헌(八友軒) 조보양(趙普陽)잠실헌(潛室軒) 조안(趙晏)幽宅☞경북 예천군 보문면 독양리 산 57◉무섬마을(水島村):조지훈(김난희)처가집(우) 36173☞(지번) 문수면 수도리 237☞경북 영주시 문수면 무섬로234번길 5◉오죽재재실(五竹齋齋室)(우) 36811☞경북 예천군 감천면 석송로 247-6☞(지번)경북 예천군 감천면 관현리 203◉예천군온천휴양지(우) 36811☞(지번).. 2024. 11. 1.
■영양군/읍, 주실촌(注室村)유적지 조감도■ ■영양군/읍, 주실촌(注室村)■◉영양 수월공휘검(水月公諱儉)유택경북 영양군 일월면 칠성리 산 24(지번주소)영양군 일월면 칠성리 산 24◉영양 월잠종택[英陽 月岑宗宅]:  1804년(순조 4) 가암(佳巖) 조숭도(趙崇道)가 건립한 집으로, 1900년대 중반에 월잠(月岑) 정유석(鄭惟碩)의 종택으로 사용하기 위해 야성정씨 문중에서 매입하였다. 일월산 아래 자리잡은 가곡리는 야성정씨와 한양조씨가 동시에 입향하여 형성된 동족마을이다. 이 마을에 남서향으로 자리잡고 있는 이 종택은 정면 5칸, 측면 4칸의 전형적인 ㅁ자형 기와집이다.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가마실길 35-1(지번주소)영양군 일월면 가곡리 289-2◉영양 효석(曉石) 조운해(趙雲海)생가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주실1길 11-6(지번주소)영양군 일월.. 2024. 10. 29.
■조선 개국/정사/좌명공신 가문■ 漢陽 趙氏한양조씨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10. 20.
◐영양 하담(荷潭) 조언관(趙彦觀, 1805-1870) 하담고택(荷潭古宅) 경북 문화재자료 제441호◑ ◐영양 하담(荷潭) 조언관(趙彦觀, 1805-1870) 하담고택(荷潭古宅) 경북 문화재자료 제441호◑이 고택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에서 공을 세워 자헌대부(資憲大夫)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역임한 사월(沙月) 조임(趙任, 1576-1644)의 손자인 시벽(是壁, 1670-1753)이 1710년 경 건립하였다고 하며, 조선 후기의 학자인 하담(荷潭) 조언관(趙彦觀, 1805-1870)이 태어난 곳이다. 시벽의 아들이 심은 회나무가 있다하여 쌍괴당(雙槐堂)이라고도 한다.고택은 ㅁ자형 건물로 정면 좌측에 팔작지붕의 사랑채가 높게 솟아있고 그 뒤편에 안채가 다른 집과는 달리 지붕이 독립된 구조로 길게 놓여 있다. 영양읍 하원리와 상원리에 있는 한양조씨(漢陽 趙氏) 사월파(沙月波) 종택인 월담헌(月潭軒) 사고종.. 2024. 10. 6.
◐병자호란의 충신, 조득남 장군 정려, 남한산성 북문 전투, 법화골 전투!◑ 경기도 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는 지난달 말(2023.10.31.) 남한산성 북문 해체·보수공사가 완료돼 이달 1일(2023.11.1.)부터 북문을 본격 개방하였다.. 조득남 장군은 무인으로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왕을 강화까지 호종하였고, 1630년 유흥치의 난과 명나라 장수 모문룡의 가도 약탈 때에도 출전하였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왕을 호종하여 남한산성에 들어가 수어사 이시백(李時白)장군 휘하에서 북문을 지키며, 1636년 12월 21일 이후 항쟁(첫째 전투)하여 많은 청나라 군사를 물리치니, 이에 왕이 술을 하사하고 공조정랑에 제수 받았지만, 다음 날 또 전투(두번째전투)에서 출전하여 무수한 화살이 떨어지는 전투에서 장검을 빼어 들고 적진에 뛰어 들어 좌충우돌, 적을 무수히 죽이고 분투하다가 중과부적으로 .. 2024. 10. 4.
■答趙芝園次權命汝韻[답조지원차권명여운]●李尙迪[이상적] ■答趙芝園次權命汝韻[답조지원차권명여운]●李尙迪[이상적]권명여의 운을 차한 조지원에게 답하다. 我車生耳歎薪勞[아거생이탄신로] : 나의 수레 성하게 만들어 땔나무에 애씀 칭찬하고游子何曾仕宦高[유자하증사환고] : 방랑자는 어찌 일찌기 높은 벼슬자리를 밝혔을까.一榻燈明憐各夢[일탑등명련각몽] : 한 책상에 등잔불을 밝히니 각자의 꿈은 가련하고重裘霜薄戀同袍[중구상박련동포] : 무거운 갖옷에 얇은 서리내려 친구를 그리워하네.息機未斷文章業[식기미단문장업] : 기심 내려놓고도 아직 위태한 문장을 끊지 못하고焚筆堪銷意氣豪[분필감소의기호] : 붓을 불태우며 호걸의 의기가 사라짐을 참아내네.日下風流頻計路[일하풍류빈계로] : 하늘 아래 온 세상의 풍류를 길에서 자주 셈하고指頭千里首空搔[지두천리수공소] : 손가락 끝 천리를 향하.. 2024. 10. 4.
◈조세형조부 조덕삼 장로! ♥choys3000 장애인종인에 대한 갑질하고 인격살인한 내용!!! 2024. 10. 3.
●산서공(山西公) 조경남(趙慶男, 山西雜錄/亂中雜錄) 의병장 신도비명(神道碑銘): 上章涒灘(庚申, 1920)...金寗漢撰(通政大夫全秘書院承 安東人 金寗漢撰(통정대부전비서원승 安東人 김영한찬)(동강 김영한, 東江 金寗漢: 1878~1950,일중 김충현 조부)) △노사집 제18권 / 서(序): 기정진(奇正鎭)■《산서잡록》 서〔山西雜錄/亂中雜錄 序〕유서경(柳西坰)이 말하기를 “역사책에는 감분(感憤)을 느끼게 하는 곳이 많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그림자와 같은 말이다. 천 년 전의 흥망으로도 오히려 불평스러운 마음을 갖거늘 하물며 몸소 친히 일을 겪으며 귀와 눈으로 직접 보고 기억한 것이야 그 감분의 절실함을 또한 어찌 역사책에 비교하겠는가. 그렇다면 산서(山西)의 이 기록으로 옹(翁)의 마음을 들여다 볼 수가 있다. 그 글은 기록한 것이 넓고 말을 갖추어 좌씨(左氏)가 경전(傳經)을 지은 것과 같으니 곧, 역사가가 쓴 한 체제이고, 그리고 그 뜻은 천 년 전의 불평스러운 남은 분노이니 아, 슬프다.대체로 우리의 선조(宣祖)와 인조(仁祖)의 시대에 천하의 일이 .. 2024. 10. 2.
▣팔우헌집(八友軒集)▣ ▣팔우헌집(八友軒集)▣○ 本集은 八友軒 趙普陽(1709 : 肅宗 35 ~ 1788 : 正祖 12)의 文集이다.○ 本集은 著者의 孫 顯湜ㆍ顯佐가 家藏草稿를 바탕으로 蒐集ㆍ編次하여 李仁行의 校讎를 받아 1831년 경 木板으로 刊行한 初刊本이다.○ 分量은 7卷 4冊으로 總 292板이다.○ 本 影印底本은 서울大學校 奎章閣 藏本(圖書番號 : 古3428-651)으로서 半葉은 10行 20字이고 半郭의 크기는 21.0×16.6(cm)이다.○ 本集의 標點者는 吳圭根이고, 監修者는 趙昌來이다. 한국문집총간 DB에서 사용된 부호는 다음과 같다.。:문장 안에서 구(句)나 절(節)의 구분이 필요한 곳과 문장의 끝에 사용하였다.   묘도문이나 부(賦), 사(辭) 등에서 銘曰, 辭曰 등의 뒤에 사용하였다.   대구(對句), 연구(.. 2024. 9. 30.
玉川公 趙德鄰(조덕린) 선조님 간찰 [원문]自君在府中 恒深世道之憂不得一番相問豈相念之情耶適載叔兄來訪槩聞近來所履之安深慰戀思之情但所謂世道之慮則更有甚於向來者盖以前所未聞者復有詳聞故也爲君之慮莫若早爲自安之計而醫局 之爭本府先輩已定之䂓鄕人遵守而不敢不敬者今幾年所而壞之自君 君將欲置身於何地此事處之不難而君所以爲身謀者太踈而慢以此益望君早爲■■早避善後之計也書不盡意若問之此兄想能道吾意也不宣謹狀辛巳 五月九日 璶鞍馬纔卸高斾戾止得半餉款可謂奇矣冒風雪歸稅安定否弟今日爲宗系事暫往元唐 還過長至祀事徐圖一進耳適憑來便奉謝昨枉仍將筆墨各一侑簡幸領入伏惟兄照至前二日弟德鄰 頓 [번역문]1701년(숙종27)에 5월에 장신이 의국(醫局)의 분쟁에 대한 대처가 잘못되었다며 상대방에게 조언을 하는 간찰과 조덕린이 자신을 찾아온 것에 대한 감사와 함께 붓과 먹을 동봉한 간찰〈1〉자네가 부(府)에 있은 뒤로 .. 2024. 9. 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