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漢陽人문화유적❀490 ♣전남 무안의 ‘남덕정’과 『공안공파』후손들! 전남 무안의 ‘남덕정’과 『공안공파』후손들,,,,단암(丹菴) 조위(趙位 1505∼1594, 13세, 공안공파)는 한양에 살다가 아버지 조근선(趙近善)이 1519년 기묘사화 때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의 구명에 참여 뜻을 이루지 못하고, 을사사화(己卯士禍 1519, 중종 14)로 유배당하자 벼슬을 등지고 조위 兄弟 분이 입향조로 전남 무안군 몽탄면 달산리(죽전부락)에 ‘남덕정(覽德亭)’ 이란 정자를 세우고 주경야독 하면서 현재까지 자손을 번성한 마을로 이어져 오고 "남덕정이란 봉황의 모습을 보며 덕을 쌓는다는 의미이다."1635년 집의(執義), 문천군수, 군기시정을 거쳐 호남지방의 암행어사. 1643년 통신부사(通信副使) 임명으로 일본에 다녀온 외교관이며 뒤 형조참의 · 전주부윤 1645년에 이조참의.. 2024. 7. 8. 1651年 조경(趙絅) 등이 간행한 아주 묵직한 목판본 [한양조씨족보(漢陽趙氏族譜)] 신묘2권보(辛卯2券譜) 3冊 완질! https://www.hanauction.com/htm/off_auction_read.htm?id=75851&off_id=193&page=3&ac_num=249 한옥션/문화예술 종합경매 www.hanauction.com●1651年 조경(趙絅) 등이 간행한 아주 묵직한 목판본 [한양조씨족보(漢陽趙氏族譜)] 신묘2권보(辛卯2券譜) 3冊 완질! 누가 경매낙찰됨!!!경매번호 165-249시작가 12,000,000 원 1651年 조경(趙絅) 등이 간행한 목판본 [한양조씨족보(漢陽趙氏族譜)] 신묘보(辛卯譜) 3冊 완질로 上, 下上, 下下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 '上之三年辛卯(1651)...絅謹序' [重刊漢陽趙氏族譜], '辛卯南至外孫...金堉序' 序文, 끝책 말에 辛卯...寧海府使贇再拜謹跋' 跋文이 있다. 양질의 .. 2024. 7. 8. ◆울진 봉평리 신라비(蔚珍 鳳坪里 新羅碑)◆ ◆울진 봉평리 신라비(蔚珍 鳳坪里 新羅碑)◆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봉평리 521번지 (도로명)죽변면 봉화길 15524년(법흥왕11년) 추정, 대한민국의 국보 제242호 [번역문]갑진년(524년) 정월 15일에 탁부(喙部)의 모즉지 매금왕(牟卽智寐錦王), 사탁부(沙喙部)의 사부지 갈문왕(徙夫智葛文王), 본파부(本波部)의 무부지(巫夫智) ▨[3]간지(▨干支), 잠탁부(岑喙部)의 미흔지(美昕智) 간지, 사탁부의 이점지(而粘[4]智) 태아간지(太阿干支), 길선지(吉先智) 아간지(阿干支), 일독부지(一毒夫智) 일길간지(一吉干支), 탁부의 물력지(勿力智) 일길간지(一吉干支)[5], 신육지(愼肉智) 거벌간지(居伐干支), 일부지(一夫智) 태나마(太奈麻), 일이지(一尒智) 태나마, 모심지(牟心智) 나마(奈麻), 사탁부의.. 2024. 7. 7. ◐연경으로 가는 정랑 형[현곡공 조위한(趙緯韓)] 보내는 서(正郞兄赴燕京序)◑ ◐연경으로 가는 정랑 형[현곡공 조위한(趙緯韓)] 보내는 서(正郞兄赴燕京序)◑산에 오르고 물에 임하여 고인도 슬퍼했으니, 고국을 떠나 어버이와 작별하는 이날이 애석하구나. 세상에 누가 작별하지 않으리오, 사람마다 모두 형이 있도다. 숙(叔)이여 백(伯)이여 다행히 네 형제가 무고하나, 나를 돌아보고 나를 살펴 주셨으니 두 분을 생각하여도 따를 수 없네. 은혜는 낳고 길러 주신 것보다 더한 것이 없고, 즐거움은 형제의 우애만한 것이 없다네. 아낄만 한 것은 시일이 아니겠는가, 보답하기 어려운 것은 하늘 연경(燕京)으로…서:정랑 형은 조찬한의 형인 조위한(趙緯韓)을 가리킨다. 조위한은 1610년(광해군2)에 예조 정랑이 되었고, 가을에 사은사 이시언(李時彦)의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중국에 갔다. 산에…슬퍼.. 2024. 7. 7. 유석(維石) 조병옥(趙炳玉, 1894년 5월 21일 ~ 1960년 2월 15일 ) 저자 유석 조병옥(維石 趙炳玉, 1894∼1960). 박사가 자필 서명을 하여 己亥(1959)年 허상복(許相福; 음악인으로 추정) 선생에게 謹贈한 [나의 회고록(나의 回顧錄)] 단책으로 앞표지와 뒷쪽 일부 탈락이다. 15×21cm 조병옥(趙炳玉), 1894∼1960 독립운동가, 정치인. 출생지는 충청남도 천안. 초명은 조병갑(趙炳甲), 호는 유석(維石)이고, 아버지는 조인원(趙仁元)이다. 공주소학교, 연희전문학교를 거쳐 미국 컬럼비아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신간회(新幹會), 수양동우회 사건 등과 관련해 옥고를 치르고 해방후 미군정청 경무부장을 역임했다. 1960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으나 발병하여 도미 치료 중 사망하였다. 조병옥(趙炳玉, 1894년 5월 21일 조선 충청도 천안 출생 ~ .. 2024. 7. 5. ◈ 임진왜란 의병장 조웅 장군:호서의 백기 장군, 백기와 홍기는 피하라... ◈ 임진왜란 의병장 조웅 장군호서의 백기 장군, 백기와 홍기는 피하라...충주시 앙성면 능암리에는 임지왜란 때에 충주지방을 지킨 유일한 의병장 조웅장군의 정려문이 큰 길 옆에 새로이 세워져 있다. 또한 앙성면 조천리 산록에는 장군의 묘소가 있으니 묘소 앞에는 110㎝의 망주석과 1m의 문인석 및 상석이 나란히 남아있다. 조웅은 명종 22년(1567년)쯤 충주시 가금면 가홍리에서 태어났다. 호는 백기당이고,본관은 한양이다.조웅은 태어나면서부터 빼어난 재질을 지녔고 기개가 호탕하였다. 자라나면서 몸이 장대하고 체력이 좋았다고 한다. 일찍이 충정공파 12세조 모계공 조강선생으로부터 글을 배웠으며 처음에는 유학을 배우다가 뜻한 바가 있어 무예를 익혔으니 모계 선생도 한번 보고는 나라에 공을 세울 군인임을 알고 .. 2024. 7. 2. ♠한양조씨 양절공 부조묘 제향 (2024. 6. 24)♠ ♠한양조씨 양절공 부조묘 제향 (2024. 6. 24)♥동암 조성복(봉사공파)촬영♥♠ https://youtu.be/vI_c1RJIPIU?t=31♠한양조씨 양절공 부조묘 제향 (2024. 6. 24)♥동암 조성복(봉사공파)촬영♥♠▲▼봉향례▲▼봉향례▲봉향례▲초헌관 조환희▲초헌관 조환희▲초헌관 조환희▲초헌관 조환희▲초헌관 조환희▲초헌관 조환희▲축문례▲축문례▲축문례▲축문례▲아헌관▲아헌관▲아헌관▲아헌관▲아헌관▲아헌관▲종헌관 조병헌▲종헌관 조병헌▲종헌관 조병헌▲종헌관 조병헌▲종헌관 조병헌▲금복례 조환희▲금복례 조환희▲금복례 조환희▲회장님 인사 2024. 6. 26. ▣임시종회소 발문(發文) - 통고문(通告文)▣ ▣임시종회소 발문(發文) - 통고문(通告文)▣무릇 족보를 편찬하는 뜻은 선조를 밝히고 종족을 거두어 기록하는 데에 있다. 양자를 겸한 연후에야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을 공손하게 대하는 마음이 저절로 일어날 것이니, 족보를 어찌 쉽게 말할 수 있겠는가?우리 조 씨의 족보가 중종(中宗) 갑신년(1524)으로부터 고종(高宗) 갑신년(1884)에 이르기까지 위아래로 361년 사이에 만들어지고 모두 여섯 번 증보되었는데, 옛날 정묘년의 전철을 잘못하여 답습한 신유년의 족보는 진실로 문헌을 살펴보지 않은 까닭에 터무니없는 과오라고 말할 수 있으니 이것으로 어찌 선조를 밝힐 수 있겠는가? 또한 끝내 다시 뒤섞여서 황학(黃渥)이 황정견(黃庭堅)을 억지로 끌어들인 것과 나위(羅威)가 나은(羅隱)에게 뇌물을 보낸 것과 같은.. 2024. 6. 26. 조순대부 첨의중서사에 대한 자료정리(조영휘님 연구) https://zh.wikisource.org/wiki/%E5%85%83%E5%8F%B2/%E5%8D%B7166#%E7%8E%8B%E7%B6%A7조순대부 첨의중서사에 대한 자료정리(조영휘님 연구) 朝順大夫僉議中書事의 연구.1. 朝順大夫僉議中書事에 대한 우리 인식의 현주소.2. 朝順大夫를 산계(散階)로 인식하는 경우의 문제점. 1) 산계(散階)와 직위의 불일치. 2) 조선 석학들의 관점.3. 朝順大夫의 새로운 이해.4. 결론1. 朝順大夫僉議中書事’에 대한 우리 인식의 현주소.얼마 전까지만 해도 우리는 사서에도 없는 우리 시조의 관직 첨의중서사(僉議中書事)에 대하여 많은 의구심을 가져왔습니다. 우리의 최초 족보 갑신보(甲申譜)는 4세 이상에 대하여 그 사적을 간략히 적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복제(.. 2024. 6. 26. ▣종약장 제2호 통문(通文)▣대종약임시종회소 발문(發文,1933) 통고문(通告文)▣ =종약장 제2호 통문(通文)=우리 선조 양절공(良節公: 趙溫), 양경공(良敬公: 趙涓), 첨추공(僉樞公), 충정공(忠靖公: 趙仁沃) 등 네 파 자손 등이 제1호 통유(通諭)의 방침과 종회(宗會)의 원래 정해진 시기를 따라서 이에 음력 본월 20일 낮 열두시에 서울 중부(中部) 승동(丞洞)에서 대종회를 열어서 원근 종족의 천륜(天倫)의 즐거운 일과 오랜 세대의 돈독한 우의를 다지고 한양종약소(漢陽宗約所) 명칭과 개회의 대략적인 뜻을 널리 알리고 종약장(宗約長) 이하의 임원을 선정한 뒤에 재정 관리 방면의 중요한 도리를 충분히 토의하여 가결할 것이니 당일 회의석상에서 분발을 느끼는 마음을 공적으로 장려하여 먼저 참여한 회원 등의 특별 기부금이 많이 걷혀 3천 2백환에 이르렀다.아아! 종족이 단결함에 많은 사.. 2024. 6. 25. ◐靜菴先生文集跋[朴世采]◐안순지(安順之)에게 답장(答狀)한 편지◑ 靜菴先生文集跋[朴世采][DCI]ITKC_MO_0114A_0150_010_0010_2003_A022_XML DCI복사 URL복사昔我宣祖大王。旣已追褒靜菴趙先生。又命儒臣。撰次其遺文事蹟。以及寒暄,一蠹,晦齋諸先生。爲一書。名曰儒先錄。其於尊尙儒道之意。可謂至矣。於是。士林興慕者。愈加蒐輯。寒暄有景賢錄。一蠹有文獻公實記。晦齋有全集。顧於靜菴先生。闕焉。世采 不敏。竊嘗慨然有意於斯。第以病惛。久未暇爲也。乃者。完山李君箕疇。亦以手錄文蹟。來相質問。旣而喪親。入峽。遂委其重於 世采。仍請釐成年譜以完之。辭不能獲。未幾。達城徐君文淑見訪。爲言。前備道峯院任。 亦欲蒐輯文蹟。而會値先生五代孫南原府使渭叟。聞知此擧。收送家藏草本。俾令成書。願子之整頓。且識其後也。世采 不揆。遂取儒先錄爲主。而參以李,趙兩本。又輒移書今江都留守李公選。得其所錄遺文。互加證正。因以附錄。年譜繼之。旣成.. 2024. 6. 25. 竹石館遺集 册二 / 跋 《정암집》 사본 뒤에 쓰다〔書靜菴集寫本後〕 《정암집》 사본 뒤에 쓰다〔書靜菴集寫本後〕竹石館遺集 册二 / 跋書《靜菴集》寫本後[DCI]ITKC_MP_0588A_0020_030_0060_2021_001_XML DCI복사 URL복사榮輔叨守寧邊,到府之三日,謁靜菴先生書院。蓋先生嘗隨其大人監察公於魚川郵館,而時則寒暄先生謫煕川。先生從而受業,卒傳寒暄之學,實爲我東道學之淵源。二州之士慕其德而懷其躅,建祠而俎豆之,煕之兩賢祠、寧之藥峯書院是已。先生遺文梓行于世,而院無所藏,自弦誦於斯院者,已不知先生爲學、立朝之本末。於是慨然求得漢城知舊家藏本而移寫之。榮輔首寫五版,餘悉分屬於府之人士,士皆樂趨,數旬而訖,遂謹藏于院。且念本集附記先生祠院者備矣,而寧之院不見焉。蓋院之建以肅廟戊辰,而後二十年丁亥,始賜額,集之成先於建院三年乙丑,此其所以未該也歟。遂牽連書,以備先生祠院掌故云。聖上二十年丙辰秋,後學寧邊知府達城徐榮輔謹識.. 2024. 6. 25. ▣초창기 대종약장 조종필, 흥학경고문(興學警告文: 학교 설립에 경고하는 글) (번역)◈흥학경고문(興學警告文: 학교 설립에 경고하는 글)◈ 아아, 우리 한양조씨 겨레여! 오늘날 얼마나 낮은 등급에 머물러 있는가? 특히 올해(1908) 6월에 본 종약소(宗約所)에서 꼭 필요하고도 중요한 의무와 가엽고도 애달픈 마음을 한번 갑자기 알렸으니 재론할 필요가 없거니와, 대체로 시급히 먼저 베풀어야 할 문중의 업무는 교육이라 할 것이다.아아! 우리 씨족은 고려에서 조선 이래로 밝게 빛냈고 번성하여 뻗어 나가 다른 가문에 한 걸음 뒤로 양보할 바가 없었다. 하물며 우리 황상 폐하께서는 국민의 원기(元氣: 정기) 배양을 염려하시어 13개 도에 특별 조서를 반포하시고 관립·사립학교의 설립을 격려하시어 경향 각지에 설립한 학교가 앞뒤로 서로 마주 보고 있음은 귀로 듣고 눈으로 보았을 것이요, 국내 .. 2024. 6. 25. [한양조씨 가천재-현감공파종회 10세조 諱珙 영월부사공 임명자료] 심선(沈璿)의 자는 윤부(潤夫), 본관은 청송(靑松), 호는 망세정(忘世亭) 또는 망세당(忘世堂)이다. 생년은 미상이며, 1467년(세조 13년) 9월 20일에 사망하였다. 증조할아버지는 좌의정 심덕부(沈德符), 할아버지는 인수부윤 심징(沈澄)이다. 종조부는 지성주사 심계년(沈繼年), 동지총제 심정, 태조의 사위인 청원군(靑原君) 심종(沈淙), 세종비 소헌왕후의 아버지인 영의정 심온(沈溫), 심도생(沈道生), 판사 심의귀(沈義龜), 도총제 심인봉(沈仁鳳)이다.아버지는 호조판서에 추증된 군자감판관 심석준(沈石雋), 어머니는 군위나씨는 삼사우사(三司右使) 나윤재(羅允材)의 후손이다. 부인은 초계정씨로 판중추원사 정발(鄭發)의 딸이며, 외할아버지는 대장군 정갱(鄭賡)이다.심선의 혈육과 그 혼인 관계를 살펴보면.. 2024. 6. 24. ▣重修竹樹書院記▣ [영암군수 현주공 조찬한記] ▣重修竹樹書院記▣ [綾城靜庵先生書院]我東之偏且荒久。得箕子人始人。而箕子之沒二千有餘年矣。遺化幾盡索矣。斯文幾盡熄矣。天乃瞿然眷顧。遂生先生以振作之。先生生而殉 道自任。方中廟勵治之日。以朝夕啓沃。堯舜我君民爲己責。而奸孼傍 伺。構織罔極。駭機一發。禍網滔天。竟竄于茲土。不數月而賜死。嗚呼。先生之被禍。其先生之不幸歟。其一國一世之不幸歟。非先生之不幸。 乃一國一世之不幸。非一國一世之不幸。乃我東千萬世無窮之不幸也。始天之生先生。如有意於我東。而竟天之禍先生。亦有意於我東。生之 者何意。而禍之者何意歟。蒼蒼乎昧昧乎。而不可問而知者。非天歟。苟 天之佑我東。展之以其才。享之以其年。則所漸者益深。所化者益遠矣。 其爲治化雖不逮於唐虞。必不止於今日無疑。而非唯不克施。竟使不得年。非唯不得年。竟使不得其死。則環我東數千里。慕而悲者何限。而竟 謫于茲土。竟沒于茲土。則茲土之悲且慕。又不啻一國之.. 2024. 6. 23. =明德祠(諱貫 13世이하 3世4位) 春香祭 = =明德祠(諱貫 13世이하 3世4位) 春香祭 = ◐2024.4.7.(매년 4월 첫째 일요일) 경상북도 예천군 감천면 산동길 80-10(지번주소) 예천군 감천면 돈산리 24번지, 산골 명덕사에서... 2024. 6. 20. ♣능주(綾州) 죽수서원(竹樹書院)♣ 죽수서원묘정비(竹樹書院廟庭碑)죽수서원묘정비(竹樹書院廟庭碑)<碑 文> 綾州之竹樹書院卽我靜菴趙先生俎豆之所而學圃先生梁公配享焉盖靜菴先生盛德大業非渺末後學所敢窺測然考諸退栗 諸先生所撰述先生年十七八從寒暄堂金先生於熙川謫所得聞爲學大方 以小學近思錄爲修身之符乙亥登文科授典籍監察佐郞正言等職時潭陽府使朴祥淳昌郡守金淨上愼妃復位疏禍將不測先生力救得免歷校理應敎典翰陞同副承旨僉以爲長玉堂養君德非此人不可轉副提學上雅尙儒術銳意文治倚先生甚重先生感不世之遇知無不言言無不○必歸重於人主之一身其論修己治人則曰至誠感神不誠無物君之遇臣臣之事君皆以誠實患吾之所以憂臣愛民者有未誠不患其難化也近來士氣稍稍振起惟上日加愼獨先養其德推之行事使下民觀瞻欣感則三代之治今可復致論義利之辨則人主於義利公私之辨不可不明審也苟能明審而不惑則內外修而心地淸是非好惡皆得其正而處事接物無不當矣論貢物之○則曰我國田地三十之.. 2024. 6. 20. 玄洲集卷之十五 上○門人愼天翊攷 / 重修竹樹書院記 綾城靜庵先生書院 ........................................................................................................현주(玄洲) 조찬한(趙纘韓)1572년(선조 5)~1631년(인조 9) 선술(善述) 한양(漢陽)玄洲集卷之十五 上○門人愼天翊攷 / 記 / 重修竹樹書院記 綾城靜庵先生書院我東之偏且荒久。得箕子人始人。而箕子之沒二千有餘年矣。遺化幾盡索矣。斯文幾盡熄矣。天乃瞿然眷顧。遂生先生以振作之。先生生而殉道自任。方中廟勵治之日。以朝夕啓沃。堯舜我君民爲己責。而奸孼傍伺。構織罔極。駭機一發。禍網滔天。竟竄于茲土。不數月而賜死。嗚呼。先生之被禍。其先生之不幸歟。其一國一世之不幸歟。非先生之不幸。乃一國一世之不幸。非一國一世之不幸。乃我東千萬世無窮之不幸也。始天之生先生。如有意於我東。而.. 2024. 6. 19. (문신) 가천재공-장성현감공 조중발 이하 자손 제천시 고명동 산65번지 묘역 (문신) 가천재공-장성현감공 조중발 이하 자손 제천시 고명동 산65번지 묘역김포시 금단면 완정리에서 김포신도시 개발구획으로 인하여1995년 10월 18일에 제천시 고명동 산65번지로 모셔진가천재공파 7세조 현감공휘중발 이하 8~12세조 묘역입니다.영월부사/사성공 휘공 묘비>2자 13세조 참봉공휘록(충주시 산척면 입향조:1자)자 14세조 진사공 휘정윤수령 100여년 이상된 소나무숲으로 둘러쌓인 현감공파 묘역지올라가는 입구가 소나무터널을 이루고 있다.입구에서 밖으로 내다본 모습 2024. 6. 16. (번역) 흥학경고문(興學警告文: 학교 설립에 경고하는 글) (번역) 흥학경고문(興學警告文: 학교 설립에 경고하는 글)아아, 우리 한양조씨 겨레여! 오늘날 얼마나 낮은 등급에 머물러 있는가? 특히 올해(1908) 6월에 본 종약소(宗約所)에서 꼭 필요하고도 중요한 의무와 가엽고도 애달픈 마음을 한번 갑자기 알렸으니 재론할 필요가 없거니와, 대체로 시급히 먼저 베풀어야 할 문중의 업무는 교육이라 할 것이다.아아! 우리 씨족은 고려에서 조선 이래로 밝게 빛냈고 번성하여 뻗어 나가 다른 가문에 한 걸음 뒤로 양보할 바가 없었다. 하물며 우리 황상 폐하께서는 국민의 원기(元氣: 정기) 배양을 염려하시어 13개 도에 특별 조서를 반포하시고 관립·사립학교의 설립을 격려하시어 경향 각지에 설립한 학교가 앞뒤로 서로 마주 보고 있음은 귀로 듣고 눈으로 보았을 것이요, 국내 여러.. 2024. 6. 14. ◈갑신보를 수찬 [修撰]하신 문절공 조원기 선조님 유택과 신도비◈ ◈갑신보를 수찬[修撰]하신 문절공 조원기 선조님 유택과 신도비◈● 조원기(趙元紀):세조3년(1457)∼중종28년(1533) 할아버지는 조육(趙育)이고 아버지는 성균관 사예(司藝) 조충손(趙衷孫)이며 어머니는 남상명(南尙明)의 딸이다. 본관은 한양(漢陽)이고 자(字)는 이지(理之)이며 호는 돈후재(敦厚齋)인데 조선 개국공신 조온(趙溫)의 증손이다. 장기를 두는 등 놀이에만 열심이었는데 9세 때 아버지가 가만히 어머니에게 말하기를 “우리아이는 무익한 일을 배웠으니 장차 어떻게 도(道)를 이루며 덕(德)을 세울까?” 하였다. 이 말을 듣고 반성한 뒤 학문에 정진하여 성종14년(1483) 생원․진사시에 합격하고 연산군2년(1496)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전적․정언․수찬 등을 역임하였다. 사관(史官.. 2024. 6. 11. ◈북한쪽 1~5世祖 墓域址 墓所圖◈ ◈북한쪽 1~5世祖 墓域址 墓所圖◈ 2024. 6. 9. =진짜 甲申單卷譜 保存過程= =진짜 甲申單卷譜 保存過程= 2024. 6. 8. ◈신묘2권보→신묘3권 위조보!!! ◈신묘2권보→신묘3권 위조보!!![▲上,下二券一冊: 上子孫錄 ][▲上,下二券二冊:下上子孫錄][▲上,下二券三冊:下下子孫錄] 2024. 5. 30. ●북한쪽 한양조씨 1~5세조묘역 근방 ▣1세조단비근방●39°18'57.9"N 126°53'35.5"E▣2세조묘역근방●39°19'24.8"N 127°23'43.8"E▣3세조묘역근방●39°33'04.2"N 127°16'33.1"E▣4세조묘역근방●38°59'52.0"N 127°27'02.9"E▣5세조묘역근방●37°83'98.5"N 126°57'61.2"E ▣5세조配貞和公主墓域近方●37°58'42.9"N ●126°37'16.4"E ●조소생(趙小生)[개설]본관은 한양(漢陽). 용진현(龍津縣)에 살았다. 항몽전쟁 말기 안무고려군민총관( 安撫高麗軍民總管府 )이 되었던 조휘(趙暉)의 증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조휘의 원나라에 볼모로 간 이후 심양에서 안무고려군민총관(安撫高麗軍民總管府)가 존속된 1세기 동안 조휘와 그 자손이 총관직을 세습하였던 바, .. 2024. 5. 26. ◈冶谷先生集序[尹東洙]◈冶谷先生集跋[趙鍾灝]◈ [冶谷先生集序]◈冶谷先生集序[尹東洙]◈ 昔黃勉齋論爲學之道曰。眞實心地。刻苦工夫。盖工夫能刻苦而後。可以進德修業。日造乎高明。心地能眞實而後。可以篤志務實。不騖乎虗僞。此易之所以自強不息爲乾之德。而君子之所以必誠之爲貴也。余以勉齋之訓。求之近世。先輩之學。惟冶谷趙先生庶幾乎。先生自少時。慨然有志於學。每日未明而起。盥櫛衣冠。端拱正坐。終日無惓怠之意。非六經四書。不讀。見朱子書。心誠好之。手抄而口誦。其他性理之書。靡不誦究。且記平日所得於耳目心思者。名曰三官記。又抄古人言行之善者。名曰常目編。晨誦庸學一遍。臨卧誦西山夜氣箴。日以爲常。篤學力行之功。老而匪懈。先生之於工夫。可謂刻苦矣。先生資禀篤厚。性行誠愨。宅心則以浮僞爲戒。飭躬則以忠信爲本。盖其所受於天賦。所存於身心者。已可謂純誠無僞之君子。而先生又以浦渚趙先生。潛冶朴先生爲師。則其敎曰。學者須當以毋自欺爲先。又曰。仰不愧。俯不怍。.. 2024. 5. 18. ◈玉川先生文集 行狀[李象靖] 墓碣銘幷序[蔡濟恭]◈ [玉川先生文集卷之十八 / 附錄]◈行狀[李象靖]◈先生姓趙氏。諱德鄰。字宅仁。自號玉川。又號滄洲。漢陽人。始祖之壽。高麗僉議中書事。數世至仁璧。龍源府院君。我太祖大王姊婿也。見太祖王業漸隆。不仕而老襄陽。襄人爲立忠賢祠以祀之。 國朝贈漢山伯。是生涓。入本朝。以佐命功。封漢平君。世宗朝。右議政府院君。五世而至諱源。娶于英陽而居焉。於公爲五代祖。高祖諱光義。掌隷院判決事。號約山堂。曾祖諱佺。禮賓寺直長。號壺隱。祖諱廷珩。進士。考諱頵。將仕郞。妣豐山柳氏。謙庵先生雲龍之後。宣敎郞世長之女。以孝廟戊戌十二月癸亥生公。幼而聦穎。始受學。不煩提督。將仕公爲之別置學舍。與伯氏持憲公同處隷業。未嘗少違親旨。年十五。做賢良策。筆勢滂沛。辭理洞達。宿儒皆推以爲不可及。二十。中進士。遊泮宮。擧止有常。交遊不苟。儕流莫不敬而愛之。館長有所事。輒召與之商議。公辨析明審。館長歎曰。吾相士多矣。無有如趙某者。柳湖.. 2024. 5. 18. ◈난중잡록 서(亂中雜錄序)◈ ◈난중잡록 서(亂中雜錄序)◈난중잡록 서(亂中雜錄序)유서경(柳西坰)의 말에, “역사책에는 감개되고 분통이 터지는 대목이 많다.” 하였는데, 이것은 그저 그림자만 보고 한 말이다. 천년 전의 흥망(興亡)의 자취를 보고도 오히려 불평을 갖게 되는데, 하물며 자기 몸으로 친히 경력하고 자기 귀와 눈으로 듣고 본 것이야 그 감개와 분통의 절심함이 어찌 지나간 역사책에 비교가 되겠는가. 그렇다면 산서옹(山西翁)의 이 기록으로 그분의 심회를 가히 볼 수가 있을 것이다. 그 문(文)으로는 자료를 널리 모아서 기록하고 할 말을 빠짐없이 다 갖추었으니, 이것이 좌씨(左氏)가 《춘추(春秋)》 경문(經文)에 대하여 전(傳)을 쓰듯이 바로 역사가(歷史家)의 한 체제이며, 그 의(義)로는 천 년 전 불평의 나머지이니, 아! 참으.. 2024. 5. 16. ◐11세조 子三澄 父廣弼(광필)◑ ◐11세조 子三 澄 父 廣弼광필◑ 字洞叔號松江中宗辛未生癸卯進士登式年明經科歷司典四邑內資寺正明宗丙寅設重試與辛白麓諸賢同被雋選陛通政宣祖甲戌奉使管押如昉竣事還至海州衛以勞疾卒明朝差官祭境本朝下旨沿道及國悼恤禮葬◎墓楊州茁谷辛坐有碑崔簡易岦撰銘韓石峰濩書金仙源尙容篆配全州李氏父永花正呈珠外祖延安金松壽丁丑生丙戌卒◎墓祔 징자동숙호송강중종신미생계묘진사등식년명경과역사전사읍내자사정명종병인설중시여신백록제현동피준선폐통정선조갑술봉사관압여방준사환지해주위이노질졸명조차관제경본조하지연도급국도휼례장◎묘양주줄곡신좌유비최간역립찬명한석봉호서금선원상용전배전주이씨부영화정정주외조연안금송수정축생병술졸◎묘부 ■國朝人物考三十 / 文官●趙澄 墓碣銘[崔岦]●公諱澄, 字泂叔。 漢陽趙氏, 遠有代序, 其先公十世, 在麗朝者, 僉議中事之壽, 摠管暉、良琪, 龍城府院君暾, 左政丞仁璧。.. 2024. 5. 12. ◐한양조씨와 전주이씨 혼맥도(선원중심)◑ ◐한양조씨와 전주이씨 혼맥도(선원중심)◑ ■조선 제 1대 태조대왕의 조부 - 도조(度祖)■도조(度祖)[ ? ~ 1342]태조의 조부. 이름은 춘(椿). 초명은 선래(善來). 몽고식 이름은 발안첩목아.천호(千戶) 행리(行里)의 넷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등주최씨(登州崔氏)로 호장(戶長) 기열(基烈)의 딸이다.1394년(태조 3)4대조를 추존할 때 도왕(度王)이라 하였다가 2년 뒤에 다시 도조로 격상하였다. 원나라로부터 아버지의 천호관직을 계승하고 아울러 발안첩목아라는 몽고식 이름을 받았다.처음에 박씨와 결혼하여 자흥(子興){몽골식 이름은 탑사불화(塔思不花)}와 자춘(子春)을 낳았다. 박씨가 죽자 쌍성총관(雙城摠管)의 딸 조씨(趙氏)와 재혼하였으며, 곧 의주(宜州)에서 화주(和州)로 옮겼다.그가 이때 화주(지.. 2024. 5. 11. 이전 1 2 3 4 5 6 7 ··· 1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