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漢陽人문화유적❀489 ★충정공 부조묘(충북 금왕읍 유촌리) 한양조씨 5세조 충정공 휘인옥 종가 세거지인 충북 음성군 금왕읍 유촌리 마을을 순례하고 돌아왔습니다. 이번 길은 참으로 감회가 새롭고 기쁜 마음으로 다녀올 수가 있었고, 충정공 21대 종손이신 성도님과 차대종손인 범희씨를 만나고 돌아와 어느때보다도 흐뭇한 순례길이 된거 같습니다. 따사로운 봄향기가 물씬 풍기는 고곳의 유적지는 감회에 젖게 하기에 충분하였습니다. 유포삼거리 자린고비 조륵선생 유래비 표지석 ▲유포리/유촌리/삼봉리 삼리접경지에 세워져 있는 12세조 진사공 휘경유허비 천장의 굴비를 형상화한 유래비 자린고비는 천하에 인색하기로 소문난 구두쇠를 가리키는데,그 대표적인 인물이 조선 시대에 충북 음성에 살았던 '조륵' 이란 인물이다. 그는 장독대에 빠진 날파리 다리에 묻은 간장이 아깝다며 단양 장벽루 .. 2006. 5. 1. 자린고비의 전설 : 충북 금왕읍 삼봉리/유포리/유촌리 우리나라의 근검절약정신에서 생겨난 "자린고비"전설이 실존인물을 배경으로 있었던 이야기로서 충효의 고장인 충청북도 금왕읍 삼봉리에 실제로 살았던 인물을 배경으로 생겨났다고 합니다. 한양조씨 16세조인 "자인고공 휘륵" 어르신으로서, 조선개국공신이신 충정공 조인옥선조님의 11대손으로 평소에 근검절약으로 재산을 축척하였고, 임진란 후 국가에 기근이 들어 경상도 지방에 민심이 흉흉해 지자 사비를 털어 국민을 구제하였다고 한다. 이를 기리기 위해 경상도지방민들이 공덕비를 세움에 어질고 인자하신 어르신이란 뜻에서 "慈仁考碑" 라 하였던것이 慈仁考公이라 칭하였으며, 후에 자린고비의 유래가 되였다고 합니다. 음성군 금왕읍에서는 자린고비의 훌륭한 정신을 기리고자 매년 "자린고비"상을 수여 하고 있고, 생가 뒷산 삼봉.. 2006. 5. 1. 다시보는 설단제막식(2004.4.17) 2006. 4. 16. 가천재공휘사지묘 & 재실위치도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06. 1. 18. 2005년 시조중서공시제(제향위주사진)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05. 5. 14. 2005년도 시조중서공이하 5세조 시제(사진)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05. 5. 14. 조병화 문학관 (방문기):안성시 양성면 난실리 편운재와 청와헌 건물이 보임> 조병욱처 전주류씨열녀각과 우리난실리 시비> 이어령장관재임시 문화마을로 지정> 조진형 조병화문학관관장, 편운님을 꼭 닮았음> 이봉구,천경자시인과 함께...> 편운동산 가운데 조부님유택 아래에 조성된 조각상> 편운재(왼쪽건물)와 청와헌전경>>꿈"시비:추모비> 경기 양성면 난실리 장재봉 서록에 위치한편운동산 조병화문학관 전경경노당과 송덕비> 2005. 5. 5. 한양조씨(시조중서공단비) ▣한양조씨(漢陽趙氏)▣【시조】조지수(趙之壽)【인구】307,746명 (2000년 현재) 1▲한풍군파(漢豊君派. 諱 琓)2▲도제공파(都制公派. 諱 河)3▲참판공파(參判公派. 諱 興)4▲고사공파(庫使公派. 諱 育5▲총제공파(摠制公派. 諱 慕)6▲돈녕공파(敦寧公派. 諱 慈)7▲공안공파(恭安公派. 諱 惠)8▲병참공파(兵參公派. 諱 憐)9▲현령공파(縣令公派. 諱 孟發)10▲현감공파(縣監公派. 諱 仲發)11▲사정공파(司正公派. 諱 瑾)12▲파서공파(坡西公派. 諱 順生)13▲봉례공파(奉禮公派. 諱 觀生)14▲사직공파(司直公派. 諱 孝生)15▲정랑공파(正郞公派. 諱 德生)16▲호의공파(戶議公派. 諱 旭生)17▲현감공파(縣監公派. 諱 瑞)18▲참의공파(參議公派. 諱 肅生)19▲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 諱 冲諝> ◆시조는 조.. 2005. 2. 20. 한양조씨(시조중서공단소안내도)) ▣한양조씨(漢陽趙氏)▣【시조】조지수(趙之壽) 【인구】307,746명 (2000년 현재) 1▲한풍군파(漢豊君派. 諱 琓)2▲도제공파(都制公派. 諱 河)3▲참판공파(參判公派. 諱 興)4▲고사공파(庫使公派. 諱 育)5▲총제공파(摠制公派. 諱 慕)6▲돈녕공파(敦寧公派. 諱 慈)7▲공안공파(恭安公派. 諱 惠)8▲병참공파(兵參公派. 諱 憐)9▲현령공파(縣令公派. 諱 孟發)10▲현감공파(縣監公派. 諱 仲發)11▲사정공파(司正公派. 諱 瑾)12▲파서공파(坡西公派. 諱 順生)13▲봉례공파(奉禮公派. 諱 觀生)14▲사직공파(司直公派. 諱 孝生)15▲정랑공파(正郞公派. 諱 德生)16▲호의공파(戶議公派. 諱 旭生)17▲현감공파(縣監公派. 諱 瑞)18▲참의공파(參議公派. 諱 肅生)19▲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 諱 冲諝> ◆시조.. 2005. 2. 20. 이전 1 ··· 14 15 16 1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