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漢陽人문화유적❀522 ※추산서원(秋山書院)址 ※추산서원(秋山書院)址 : 기건(奇虔)ㆍ기효간(奇孝諫)ㆍ기정익(奇挺翼) 호는 송암(松巖), 참봉이다. 추산서원(秋山書院) 을유년에 세웠다. : 기건(奇虔)ㆍ기효간(奇孝諫)ㆍ기정익(奇挺翼) 호는 송암(松巖), 참봉이다. 1697년(숙종23)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기건(奇虔)·기효간(奇孝諫)·기정익(奇挺翼)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기준(奇遵)과 조찬한(趙讚韓)을 추가 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8년(고종5)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어 복원되지 못하였다. ●추산서원터(秋山書院址) 명재유고 제17권 / 서(書) 기자량(奇子亮) 정익(挺翼)에게 답함, 갑인년(1674, 현종15) 5월 16일 [주-D002] 사우(士佑) : 유세익(.. 2023. 8. 25. ▣황주변씨 충신 변윤중 삼강정려(黃州邊氏三綱旌閭) - 전남관찰사 조종필의 [삼강정려각기] 懸板▣ https://blog.naver.com/yyc5932/223082779403 행주대첩에 기여한 화차를 만든 망암 변이중을 모신 장성 봉암서원 시골집에 내려간 김에 봉암서원을 찾았다. 봉암서원은 임진왜란 때 권율 장군의 행주대첩에 크게 기여한 화... blog.naver.com ▣황주변씨 충신 변윤중 삼강정려(黃州邊氏三綱旌閭) - 전남관찰사 조종필의 [삼강정려각기] 懸板▣ [황주변씨 삼강정려각(黃州邊氏三綱旌閭閣)]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 화차길 168 (지번)장안리 59-1 장성읍 장안마을에 망암 변이중 선생을 모시는 봉암서원 앞에 황주변씨 삼강정려가 자리하고 있다. 삼강정려란? 한 집안에 충신과 열녀. 그리고 효자나 효부를 말하는데, 황주변씨 집안에 변이중의 종제인 충신 변윤중과 그의 부인 열녀 함풍.. 2023. 8. 22. =조종필 선조님 강원도관찰사선정비= http://ipbg1.tistory.com/6881455 ② 춘천 의암호, 봉의산 (300.5m)- ( 2022.07.24 ) ② 춘천 의암호, 봉의산 (300.5m) - ( 2022.07.24 ) - 《 소양정, 봉의산 》: 봉의산 산행 코스: : ● 소양정 가는 길: 길을 건너 번개시장으 ipbg1.tistory.com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소양로1가 3-3] ●소양로비석군 : 관찰사비 3기와 부사비 15기, 군수비 2기 등 총 26기를 보유 =조종필 선조님 강원도관찰사선정비= =觀察使趙公鍾弼愛民善政碑= 조종필(趙鍾弼)[1840(헌종 6)~?]은 조선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서울, 자는 은상(殷相)이다. 아버지는 판서 조성.. 2023. 8. 21. ▣숙종대왕어제독정암집유감▣ ▣숙종대왕어제독정암집유감▣ 2023. 8. 13. ▣肅宗大王御製, 讀靜菴集有感▣ 肅宗大王御製 讀靜菴集有感 每思臨死言。涕淚自交迸。今讀先生書。益知道德晟。朝紳咸仰成。野嫗亦尊敬。餘事游於藝。佳哉筆勢勁。 ♣정암 조광조(趙光祖,1482~1519, 孝直.靜菴.文正)筆跡 2023. 8. 13. 가천재공- 현감공파 황해도 집성촌 분포도 ♣가천재공- 현감공파 황해도 집성촌 분포도♣■북한지역 가천재공-현감공파종회 종인 집성촌■●조선공산주의인민공화국 남포특별시 강서구역(江西區域) 서학산(棲鶴山, 272m) 오룡곡https://blog.naver.com/donghlee1001/222510570561★조선공산주의인민공화국 국장(朝鮮共産主義人民共和國 國章)★=National Emblem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1)▣古 황해남도 장단군 장동면 두현리▣(現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두현리)2)●前(舊) 황해북도 평산군 인산면 대미리(분투동)●現 황해북도 은파군(銀波郡) 1952년 12월 신설 (現류정리지역)●CP5R+47 Yujong-ni,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8°24'29.1"N 125°44.. 2023. 8. 12. ■秋齋集序 / [序]/ [跋]/傳 ■秋齋集序 / [序] ▣秋齋集序[朱文翰] [DCI]ITKC_MO_0592A_0020_010_0010_2007_A271_XML DCI복사 URL복사 僕聞泰山之雲。觸石而雨。昆侖之水。蒸氣爲霞。防邱巒雉之草。食焉不飢。潚湘洞庭之樂。令人忘老。旨哉說乎。盖超乎埃 則逸性必遒。脫然畦封則芳聲頓遠。雖復邅回域外。阻格華中。一州之第無慚。羣雅之材斯得。况乎游道同趣。出門同人。將和氏之璧。匪獨曜於郢。握夜光之珠。詎專玩於隨掌者乎。粤我天子御宇五十有五載。皇人菉幣。海國來庭。則有朝鮮趙君芝園。從敎士之徵。副用賓之選。子雲筆札。元瑜書記。方且沉硏慕乎劉向。該博師乎馬融。廻翔入幕。紅溢池蓉。儼雅修儀。靑分瑣闥。已事而逡。邂后相遇。蹌焉愉焉。主敬主愼。君子韙之。謂中於古私覿之禮。於是挹其光采。衣豔蘭干。詢厥邑居。鄕名栗里。靖節之望。琴德偏優。淸獻之家。鶴糧差給。有經畹詩藂諸集十五卷。因錄如.. 2023. 8. 10. ■사돈 申相夏등 18인으로 부터 받은 소정 조성교(韶亭 趙性敎) 선생의 得孫 祝賀詩稿帖 [만농편(晩弄編)] 單帖■ ■사돈 申相夏등 18인으로 부터 받은 소정 조성교(韶亭 趙性敎) 선생의 得孫(조한원趙漢元) 祝賀詩稿帖 [만농편(晩弄編)] 單帖■ 경매번호 103-062 사돈 등 18인으로 부터 받은 소정 조성교(韶亭 趙性敎) 선생의 得孫 祝賀詩稿帖 [만농편(晩弄編)] 單帖으로 外祖父 申相夏는 生朝와 百日韻 등 2점의 시고가 있다. 상태 양호하다. 23×34cm 인명록 (1) 조성교(趙性敎), 1818(순조 18)∼1876(고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성유(聖惟). 형관(亨觀)의 아들로 형만(亨晩)에게 입양되었다. 1859년(철종 10) 증광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1866년(고종 3) 성균관대사성·이조참의 등을 역임하였고 이듬해 동지부사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70년 예문관제학·홍문.. 2023. 8. 10. ▣春日山齋次 白鶴山房韻(登松石園)=추재(秋齋) 조수삼(趙秀三)=春日山齋次白鶴山房韻)-소정(韶亭)조성교(趙性敎) [책명:大東詩選] 1918년 장지연이 우리나라의 역대 시가(詩歌)를 모아 엮은 책. 삼국 시대의 고가(古歌)를 비롯하여 40여 명의 역대 문인들의 각체시(各體詩)를 분류하여 편찬한, 12권 6책으로 된 시선집(詩選集)이다. ■조수삼(趙秀三)의 본관은 한양(漢陽, 한풍군파). 초명은 경유(景濰). 자는 지원(芝園)·자익(子翼), 호는 추재(秋齋)·경원(經畹). 아버지는 가선대부 한성부좌윤 겸 오위도총부부총관(漢城府左尹兼五衛都摠府副摠管)에 추증된 조원문(趙元文)이다. 여항시인 조경렴(趙景濂)의 동생이고, 조선 말기의 화원(畫員)인 조중묵(趙重默)은 그의 손자이다. 구자균(具滋均)은 『한국평민문학사(韓國平民文學史)』에서 조수삼의 신분은 서리(胥吏)일 것이라고 추정하였으나 확실한 근거는 없다. 대개 역과중인(譯.. 2023. 8. 9. ◐수복문자도 8폭 병풍(壽福文字圖八幅屛風) ●백수백복도(百壽百福圖)는 여러 모양으로 도안된 ‘목숨 수(壽)’ 자와 ‘복 복(福)’ 자를 반복해서 구성하여 화면을 채운 도안이다. 통상의 백수백복도는 두 글자가 종횡으로 열을 맞추어 반복해서 그려진다. 백수백복(百壽百福)의 ‘일백 백(百)’자 역시 꼭 100이란 숫자 의미보다는 ‘온갖’이나 ‘많다’는 의미를 갖는다. 백수(百壽), 백복(百福)은 장수와 다복을 상징한다. 이 도상은 애초에 중국에서 그림 속에 목숨 수(壽)자를 크게 한 자 쓰고, 그 안에 다시 수(壽)자를 작게 100자 써서 길상의 뜻으로 삼은 백수도(百壽圖)에서 유래된 것으로 전한다. ◎조선에서는 《광해군일기》광해 2년(1610년) 4월 16일자 기사에 처음 백수도(百壽圖)라는 말이 등장한다. ■【남평(南平) 현감 조유한(趙維韓)이 백.. 2023. 8. 6. 贈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 諡莊毅公 行效忠仗義宣武功臣資憲大夫 漢城判尹豐壤趙公神道碑銘증숭정대부의정부좌찬성 시장의공 행효충장의선무공신자헌대부 한성판윤풍양조공신도비명/제승.. [제승당 유허비] [제승당 유허비] ▣李忠武公全書卷之十 / 附錄二 ■制勝堂遺墟碑 [都事鄭基安] 於虖。此故李將軍舜臣制勝堂之墟也。方其坐斯堂而指顧號令也。天地鬼神鑑其誠。風雲雷雨助其變。蠻兵之蔽海跳踉者。逡廵軒檻之外而不敢近也。何其壯也。今更數百餘載。砌礎已移。井竈已湮。烟濤浩渺之際。松栢薈蔚之間。漁叟樵竪。猶能相指爲制勝堂故墟。民之久而不忘也如斯夫。噫。甘棠所茇也。而勿剪之歌詠于萬古。奠安社稷。全保我黎庶。伊誰之力也。而忍使斯堂之墟。翳然爲茂草耶。時移而事𨓒。浸浸焉綿邈。則又安知漁叟樵竪之亦失其處而無所徵也。今統制公築土而封之。伐石而竪之。盖所以識之也。嗚呼。天下萬世。其當知爲李將軍堂乎。於是君子曰。統制公於是乎能事君矣。匪慕其人。曷能碑之。苟慕矣。必效之。苟效矣。必忠而義。能忠而義。於事君乎何有。碑而書之者。統制使趙儆也。文而記之者。都事鄭基安也。 (조경 통제사의 유허.. 2023. 8. 6. ◐刱置金剛都山寺記文[금강산(金剛山) 도산사(都山寺) 창건 기문]◑ ▣가정집(稼亭集)이곡(李穀, 1298~1351,본관: 한산(韓山), 아들: 이색(李穡))▣ [稼亭先生文集卷之三 記] ◐강원도 회양군 금강산(金剛山) 승려 계청(戒淸) /쌍성총관 조림(趙林)시주하여 창건 :도산사(都山寺)◑ ◐刱置金剛都山寺記文◑ 海東山水名於天下。而金剛山之奇絶。又爲之冠。且以佛書有曇無竭菩薩所住之說。世遂謂人間淨土。天子之使。降香幣絡繹于道。而四方士女。不遠千里。牛載馬馱。背負首戴。供養佛僧者踵相躡也。山之西北有嶺。橫截峻險若登天然。人之至此。必盤桓休息。地旣僻。居民絶少。或値風雨。病于露宿。至元己卯。雙城捴管趙侯謀于山僧戒淸。卽其要衝臨道縣。買地數頃刱佛寺。爲祝聖道塲。春秋舟粟以飯出入者。散其餘山中諸蘭若。資冬夏食。歲以爲率。故揭名都山。侯之經營是寺也。令其境內僧徒曰。爲浮圖者吾知之矣。其不曰上報四恩。下濟三塗乎。若飢餐渴飮。絶學無爲者上也.. 2023. 8. 2. =한양조씨종중강회서(漢陽趙氏宗中講會序)= =한양조씨종중강회서(漢陽趙氏宗中講會序)=[문목공8세손종호근서文穆公八世孫鍾灝謹書](번역문)한양 조씨 종중 강회서(漢陽趙氏宗中講會序)나는 병오년(1906) 봄에 ≪조씨세가(趙氏世家)≫ 2백질을 인쇄하여 경향 각지의 여러 문중에 분산하여 놓았고, 나머지 쌓아둔 것으로 아직 4,50질 남아있다. 무릇 인쇄한 본뜻은 장차 그것을 널리 전파하기 위하여 쌓아두었다가 사용할 것이다.정미년(1907) 10월에 홍주(洪州) 노은동(魯隱洞) 선영에서 제사를 지낼 때 문중의 청년으로 하여금 경서를 암송하게 하거나 문장을 짓게 하여 성적이 우수한 자를 뽑은 세 사람에게 ≪조씨세가≫ 한질씩 상으로 내렸다. 다음 달 화수회(花樹契) 자리에서 대종손 병한(炳漢)이 소리 높이 외치며 말하기를, “강회의 일은 후배들을 격려하는데 있어 .. 2023. 8. 1. ▣청주 연정리 조강의 청주 창의는 어디까지 진실인가? ▣청주 연정리 조강의 청주 창의는 어디까지 진실인가?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조강의 청주 창의는 어디까지 진실인가?https://m.blog.naver.com/demon_illu/222109819156 조강의 청주 창의는 어디까지 진실인가? 마지막으로 조강(趙綱)의 임진왜란 의병활동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하겠다. 먼저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문집... blog.naver.com ㅁ정유재란 선조31년(1598) 후 공신록권발간해 : 萬曆三十三年(1600년)ㅁ =임진왜란 선조25년(1592) 정유재란 선조31년(1598)= ●조강, 조광익 선조님은 임란공신록엔 이름이 없고, 맏아들 조광익만 정유재란시 청난원종공신록권3등공신에 등록 되여있다. [요약] 조선 선조 때 이몽학(李夢鶴)의 난을 평정하는.. 2023. 8. 1. ▣사림파 조광조의 조상 조온▣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7. 29.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35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