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陽人문화유적❀

通訓大夫行敦山郡守兼 慶州鎭兵馬同僉節制使 漢陽趙公諱瑋 配淑人完山李氏之墓(태종 증손녀 숙인 완산이씨)

by 晛溪亭 斗井軒 2025. 5. 4.
728x90
반응형

 

https://v.daum.net/v/20250423111502726

 

태종 증손녀 숙인 완산이씨 묘역 석조물, 500년 만에 재조명

[용인시민신문 우상표] ▲  태종 증손 숙인 원산이씨 묘갈ⓒ 용인시민신문용인은 예로부터 명당으로 이름났던 곳인 만큼 명현의 묘역이 타 지역보다 많다. 명현 묘역 외에도 왕실과 관련된 여

v.daum.net

용인은 예로부터 명당으로 이름났던 곳인 만큼 명현의 묘역이 타 지역보다 많다. 명현 묘역 외에도 왕실과 관련된 여성의 묘역으로 용인시 향토유산으로 지정된 것이 3건이나 된다.

태조 이성계의 적장녀인 경신공주의 묘가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에 있는가 하면, 기흥구 마북동에는 성종의 계비 정현왕후의 생모인 연안부부인 전씨의 묘가 있다. 기흥구 상갈동에는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의 생모인 풍창부부인 조씨의 묘역이 있다. 최근 5백 년 만에 조명되는 태종의 증손녀 숙인 완산이씨의 묘까지 포함하면 4건이다.

숙인 완산이씨의 묘는 포곡읍 영문리 한양조씨 묘역에 있다. 용인의 대표적인 세거 성씨인 한양조씨 선현의 묘역이 용인시 도처에 산재해 있지만, 최근까지 숙인 완산이씨의 묘역은 용인향토사 연구자들에게도 주목받지 못했다.

지난 4월 5일 현장조사를 실시한 홍순석 교수(강남대 명예교수)에 의하면 숙인 완산이씨의 묘역은 1526년(중종21) 2월에 조성한 것으로 올해 500년이 되는 해이다. 숙인 완산이씨 묘갈 앞면에는 3행 종서로 「有明朝鮮國 王 太宗曾孫淑人完山李氏之墓」라고 새겨져 있다. "명나라에 속한 조선국 왕 태종의 증손 숙인 완산이씨의 묘"라는 뜻이다. 숙인(淑人)은 조선시대에 정3품의 당하관 및 종3품의 종친과 문무관 아내에게 부여하는 관작이다.

완산(完山)은 전주(全州)의 옛 지명이다. 후면에는 해서체 종서로 「嘉靖五年 二月 葬」(가정5년 2월 장)이라고 새겨져 있다. 1526년(중종 21년) 2월에 장례했다는 것이다.

▲  처인구 포곡읍 영문리에 있는 태종 증손녀 숙인 완산이씨 묘역 전경
ⓒ 용인시민신문

완산이씨 묘역에 부근에 남편인 병마절제사 조위(趙瑋)의 묘소가 있다. 묘비에 의하면 완산이씨의 부친은 은천군 이찬(李瓚)이며, 조부는 경녕대군 이조(李祧)이다. 증조부가 바로 태종이다. 완산이씨의 묘는 원형 봉분으로 정면에 묘갈과 상석, 좌우에는 문인석을 배치했다.

숙인 완산이씨의 묘갈은 이수방부형(螭首方趺形)으로 전면에는 한 마리 용이 구름 속에 비상하는 형상을 조각했다. 후면에는 구름 위의 만월을 새겼다. 머릿돌 부분인 이수와 비신이 별도로 조성된 것이 아니고, 일체형으로 하나의 대리석에 새겼다는 점에서 묘제 석조미술 측면에서 주목되는 자료이다. 경기도박물관이 2007년 출간한 「경기묘제석조미술」에도 이수방부형의 묘갈은 많지 않다. 더욱이 부인의 묘갈이 이수방부형으로 조성된 사례는 극히 소수이다. 임진왜란 이전 금석문 자료라는 점에서도 중시된다.

 

태종의 증손녀 숙인 완산이씨의 묘갈과 문인석은 연안부부인 전씨의 묘갈과 거의 같은 시기에 조성된 것이며, 풍창부부인보다 215년이나 앞선 시기이다. 500년간 " 경기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영문리 220-2"에 존치해온 귀중한 문화유산이지만 최근까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40여 년간 용인의 문화유산을 연구해 온 홍순석 교수는 현재 용인문화원 해설사팀과 '용인의 문화유산 다시 돌아보기'를 이끌고 있다. 마침 한양조씨 종중인으로부터 숙인 완산이씨 묘갈의 문화유산 가치 여부 문의에 따라 조사가 진행됐다.

지난 4월 5일 1차 현장조사를 통해 경기도와 각 시군의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묘역 석조유물을 대조해 검증한 결과 홍 교수는 "용인시의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하여 보존할 가치가 충분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현재 한양조씨 묘역 주변인 포곡읍 영문리 일대는 산업단지가 조성 중이어서 더 이상 문화환경이 훼손되지 않도록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용인시민신문에도 실렸습니다.

Copyright © 오마이뉴스. 

使西
자위군수사복정◎묘선비묘우강임좌유갈배전주이씨부은천군찬증조태종대왕외조절도사증찬성운봉박종지◎묘건위서강자좌유갈

군수 조승원(趙承源)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 산4-1

군수 조승원(趙承源)

"경기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영문리 220-2"

朝奉大夫行郡守 漢陽趙公諱承源之墓 配恭人靈山辛氏祔左

조봉대부행군수 한양조공휘승원지묘 배공인영산신씨부좌

"경기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영문리 220-2"

군수 조승원(趙承源) 후경

"경기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영문리 220-2"

==============================================

通訓大夫行敦山郡守兼 慶州鎭兵馬同僉節制使 漢陽趙公諱瑋 配淑人完山李氏之墓

통훈대부행돈산군수겸 경주진병마동첨절제사 한양조공휘위 배숙인완산이씨지묘

 

"경기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영문리 220-2"

▲돈산군수겸 병마절제사 조위(趙瑋) 후경

돈산군수겸 병마절제사 조위(趙瑋) 배위 숙인 완산이씨

有明朝鮮國王 太宗曾孫 淑人完山李氏之墓유명조선국왕 태종증손 숙인완산이씨지묘

"경기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영문리 220-2"

태종 증손녀 숙인 완산이씨 후경

"경기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영문리 220-2"

태종 증손녀 숙인 완산이씨 후경

"경기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영문리 220-2"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