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陽人문화유적❀

◐조선왕조실록(45) 중종 4 - 기묘사화(己卯士禍) [최인호 書]

by 晛溪亭 斗井軒 陽溪 2021. 4. 8.

 

#역사 #조선 #연산 #사화 #성종 #유림 #사림파 #훈구파 #한국사 #종묘사직 #갑자사화 #실록 #김일손 #김종서 #황보인 #이극돈 #유자광 #김종서 #조의제문 #조문 #이세좌 #인수대비 #중종 #조광조 #박원종 #반정공신 #기묘사화 #위훈삭제사건 #현량과

▣조선왕조실록(45) 중종 4 - 기묘사화(己卯士禍)

조광조의 위훈삭제(僞勳削除) 주장은 해석하기에 따라서는 연산군을 몰아 낸 중종반정 자체를 역적질로 본다는 심각한 오해를 살 수 있는 위험천만한 것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조광조 세력은 과도한 공신 지정에 따른 폐해 수정이라는 명분과 중종의 지지를 믿고 이를 과감히 추진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돌이킬 수 없는 화가 될 줄은 몰랐을 것입니다.

중종은 조광조 세력의 위와 같은 대규모 위훈삭제 주장을 여러 차례에 걸쳐 반대했으나, 조광조 세력은 이를 강력하게 밀어붙였고, 중종은 결국 본인의 의지와 달리,다른 신료들의 지지까지 입은 조광조의 주장을 본심에 반해 그대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훈구파의 전횡에 시달린 백성들은 이러한 조광조의 급진적인 개혁정책을 환영하였지만 중종은 언제부터인가 조광조가 부담스러웠고, 위훈삭제사건을 계기로 조광조 세력이 임금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이와 같이 지나치게 과격한 노선을 추구한 조광조 세력의 급격한 성장에 위협을 느낀 중종은 위훈삭제 사건을 계기로 조광조 세력을 내치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사건이 바로 기묘사화(己卯士禍)입니다.

※ 4대사화 : 무오사화(연산, 조의제문), 갑자사화(연산, 어미 복수), 기묘사화(중종), 을사사화

중종이 지나치게 비대해진 조광조 등 사림 세력을 내친 사건이 바로 기묘사화인데, 이를 재구성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남곤은 성종 말년에 과거에 급제하여 연산 치하에서 벼슬을 하다 갑자사화 때 귀양을 갔던 사람으로서, 중종조에 이르러 탁월한 정치감각과 문장으로 신진세력의 리더로 꼽혔으나, 조광조의 출현으로 빛이 바랬고 급기야 이들로부터 구세력으로 몰려 입지를 잃고 말았습니다.

남곤은 이에 실망하지 않고 역시 조광조 세력으로부터 구세력, 소인배로 몰려 탄핵을 당한 동갑내기 심정, 그리고 정국공신의 상징으로서 조광조의 76인 위훈삭제로 인해 목에 칼이 들어왔다고 느낄 정도로 불안감을 갖고 있는 홍경주와 함께 의기투합하였습니다.

이들은 중종이 조광조 세력의 과도한 밀어붙이기식 개혁추진과 자신에 대한 지나친 압박 그리고 조광조의 높은 인기에 불안감과 시기심을 갖고 있고, 아울러 위훈삭제로 밀려난 공신들이 작당하여 반정이라도 일으킬까 크게 두려워하고 있는 것을 간파하고, 이를 활용해 조광조를 제거하기로 작심하였습니다.

조광조의 목숨이 경각에 달렸습니다.

조선시대에 안타까운 인물 중에 한 사람이 조광조입니다.

언제나 세상은 돌게 되어있고, 역사는 반복되지요.

오르긴 너무나 힘들지만 내려 가는 건 한순간이니

몹시 씁쓸합니다.

내 것이 아닌 것에 과도한 칼질해 대다가 결국 주인 입맛에 맞지 않아 짤린 요리사라고나 할까요...

명분이 서고 아무리 옳은 일이라해도 내가 최고고

나 아니면 안된다는 생각은 항상 반대세력과 분란을 키우게 되는 것입니다.

[출처] 조선왕조실록(45) 중종 4 - 기묘사화(己卯士禍)(1)|작성자 최인호

정암(靜菴) 조광조(趙光祖 1482~1519.) - 동방사현(東方四賢)

양절공(良節公) 조온(趙溫)의 후손인 정암(靜菴) 조광조(趙光祖 1482~1519)는 한양조씨를 대표하는 인물로 조선 역사상 가장 존경받는 유학자이자 정치가였다. 조광조는 14세 때 유배 중인 김굉필(金宏弼)에게 수학했으며 김종직(金宗直)의 학통을 이은 사림파의 영수가 됐다. 중종 때 사마시 장원하고 증광문과에 급제한 뒤 대사헌·동지성균관사를 역임했다. 유교로 정치와 교화의 근본을 삼아야 한다며 왕도정치를 역설하고 향촌의 상부상조를 위해 여씨향약(呂氏鄕約)8도에 실시하고 미신타파를 내세워 소격서(昭格署)를 폐지했다. 또 현량과(賢良科)를 실시해 소장학자를 요직에 안배하고 중종반정 정국공신의 위훈 삭제를 주장해 공신들의 4분의 376명의 훈작을 삭탈했다. 이에 훈구파인 홍경주·남곤·심정 등이 경빈(敬嬪)박씨 등 후궁들을 움직여 무고하자 중종은 이들을 파직·투옥·유배시켰다. 이에 따라 조광조의 개혁정치 꿈은 꺾인 채 사사(賜死)되니 기묘사화[1519(중종 14) 11월 조광조(趙光祖김정(金淨김식(金湜) 등 신진사류가 홍경주(洪景舟남곤(南袞심정(沈貞) 등의 훈구 재상에 의해 화를 입은 사건.]이다. 그 후 선조 때 복권돼 영의정에 추증되고 문정(文正)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율곡 이이는 조광조를 가리켜,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이언적(李彦迪)과 함께 동방사현(東方四賢)’이라고 지칭했다.

 

<맨 왼쪽은 한양조씨 충정공파 25세 조소영 강남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교수, 맨오른편이 심곡서원 학장이신 조성달(고사공파종친, 정암선생16대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