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I2OJtFnRVdU
▣기묘제현수첩(己昴諸賢手帖)#기묘제현수필(己卯諸賢手筆)▣



먼저 ‘기묘제현수필’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묘제현수필’은
안처순이 1518년 홍문관 박사로 재직할 때
남원에 계신 모친을 위해 가까운 곳의 지방관을 자청,
구례 현감에 부임하게 되자,
유용근, 조광조를 비롯한 동료·친우들이
송별의 뜻에서 서(序)·시(詩) 등을 지어준 것입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기묘제현수필(己卯諸賢手筆))]
즉 1518년 안처순이 구례현감으로 내려갈 때
24명의 벗들이 지어준 송서와 전별시를
묶은 필집입니다.






찬찬히 내용을 읽다 보니 사화 직전,
이들의 꿈과 우정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기묘제현수첩’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묘제현수첩’은
1517년에서 1531년 사이 안처순이
기묘명헌들에게 받은 39통의 친필 서간집입니다.
이는 안처순이 동료에게서 받은 서간을 모은 것이며,
서간 속 동료들은 대부분 기묘사화에 관련된 인물입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기묘제현수첩(己昴諸賢手帖))]



벗을 그리워하는 마음들이
잘 묻어나는 글들입니다.


「기묘제현수첩」은 기묘사화와 관련된 당대 명현들의 필적이 모여있어 사화(士禍)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며,
구례 현감으로 부임하는 안처순에게 친우들이 지어준 송별시를 모은 「기묘제현수필」 또한 중종연간의 정치사 및
서예사 연구에 귀중한 사료로 여겨집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기묘제현수첩(己昴諸賢手帖))]
728x90
반응형
'◐정암조광조,학포양팽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제6회 대한민국정암서예대전 도록 & 시상식/전시회 ◈ (0) | 2023.06.25 |
---|---|
▣은봉전서(隱峯全書)안방준(安邦俊)▣▣隱峯全書卷十二▣◐己卯遺蹟◑典翰趙光祖特拜副提學。辭不許。 (0) | 2023.06.13 |
◐己卯諸賢手筆 (기묘제현수필)◑ (0) | 2023.06.11 |
■己卯遺蹟■은봉전서(隱峯全書)안방준(安邦俊), 1864년(고종 1)(간행)◐隱峯全書卷十三■ (0) | 2023.06.10 |
◐기형백(寄馨伯)◑언계공(彦桂公) 諱형백(馨伯)에게 보내신 시다! (0) | 2023.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