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玉川先生文集卷之十 / 墓碣銘 ▣
趙威鳳의 묘갈명이다. 본관은 한양, 자는 子羽, 호는 鹿門이다. 부친은 贈領議政 絅, 모친은 安東金氏이다. 1621년에 태어나 1674년에 졸하였다. 1642년 司馬試에 올라 章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이후 부친의 권유로 侍直에 나아갔고, 1660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였고 예조와 병조의 좌랑을 지냈다. 기해복제논쟁에 부친이 휘말리자 관직을 그만두기도 하였다. 언관이 되어서는 黨論의 폐단을 진달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이후에도 예제와 관련되어 관직의 부침이 있었다. 평소 효행이 뛰어나고 학문이 깊은 것으로 이름났다. 부인 全州李氏와 草溪鄭氏와의 사이에 5남 5녀가 있다.
▣通訓大夫弘文館應敎鹿門趙公諱威鳳之墓碣銘 幷序▣
維我漢陽趙氏。遠有代序。胄於麗之僉議中書事諱之壽。生諱暉。元朝授雙城摠管。仍三世襲爵。大著勳庸。卒皆葬北邊。四世有諱仁璧。仕高麗。典重兵。冊輔理功臣龍源府院君。恭讓朝卒。國朝贈佐命功臣,左政丞,漢山伯。諡襄烈。子諱涓。佐命功臣,漢平府院君。諡良敬。子孫世仕。至諱玹。佐郞贈吏曹判書。子諱翼男。奉事贈左贊成。再世皆以孝薦。不專爲蔭。子諱絅。官判中樞大提學贈領議政。諡文簡。道義文章。淸名直節。爲仁,孝,顯三朝名臣。歿而遠近士林矜式俎豆之。號爲龍洲先生。趙氏遂爲文獻大家。文簡公有子諱威鳳。字子羽。妣安東金氏。吏曹判書瓚之女。以天啓元年辛酉九月十九日。生公于居昌長發村里第。是時。文簡公以昏朝政亂。避地于嶺南云。公生質醇厚。幼不好戲遊。端坐讀書。甫成童。淹貫硏習。文詞日就。灑掃應對進退唯諾必謹。當世賢公卿從文簡公遊者。見公之爲。皆目爲有道之士。壬午。中司馬。己丑。除章陵參奉。不就。庚寅。淸人以文字等事。嘖有煩言。文簡公與故相李景奭。責居義州白馬山城。禍將不測。孝廟命大臣。賷奏救解。大臣曾有宿憾於文簡公。陳奏中。全沒文簡公實事。公血疏叫閽。痛陳冤誣狀。孝廟立命改撰奏文。仍下敎曰。兩臣事無偏輕偏重。大臣挾憾不得逞。十一月。妣金夫人前患風痰疾轉革。公甞糞血指不救。則水漿不入口者七八日。文簡公貽書。戒以滅性非孝。始勉進麤糲。文簡公蒙宥。退老壠下。公制除。連有除命。公專意親養。皆不就。丁酉。除侍直。文簡公敎曰。非高蹈之士而每辭除命。分義未安。公受命出肅。纔一朔。呈遞。己亥。又拜侍直。孝廟賓天。公陪文簡公奔哭。顯廟嗣位。例以東宮舊恩。陞拜宗簿主簿。未閱月。辭遞歸養。拜工曹佐郞。尋遞。登庚子增廣文科。先是。文簡公主文掌試。公嫌不赴試。及文簡公謝事。公始策上第以進。除禮兵曹佐郞。皆謝命卽遞。辛丑。復拜騎郞。旋除圻輔亞使。拜謝日。文簡公上疏。葢以己亥誤禮事也。文簡公方被臺論。至請竄黜。公卽日投歸。杜門懾處者累年。甲辰。斥除銀溪察訪。公爲養便起赴任。乙巳。謝病歸。尋除金化縣監。時文簡公丁宋夫人憂。公慮庭下中饋無人。單行赴官。道臣不相識。獨感公誠孝。特許不告由而往來覲省。居未幾。務簡政淸。民興於行。身任敎導。講讀以時。峽民皆化翕然。鑄銅鑱其德。丁未。以正言召還。公引在官時不待告覲親自劾遞。己酉。拜侍講院司書。以親病不就。二月。文簡公易簀。公及始衰。行喪過制。數月之間。髮縞氣惙。廩廩欲僵。子弟泣請從權。公固拒不許。每令蒼頭。前具食以進。或慮羹湆。雜以草木之滋也。庚戌。入瀛選。辛亥。制除。拜司憲府持平。刺擧無所避。疏論時政。凡恤飢民。立紀綱。禁貪婪。抑黨論。而以正君心。爲四者之本。其末曰。今日廷臣。以黨論爲第一件事。國事爲第二件事。顯廟嘉納之。尋移玉堂。拜修撰。抄知製敎。陞校理。八月。衣繡廉問湖西。十月。復命。按監司李弘淵政多疵。忤時論。被臺劾而罷。俄卽命叙。壬子正月。拜修撰。公以奉使無狀。得罪巨室。辭不報。移校理。六月。陞侍講院弼善。拜獻納。旋移司諫。呈病遞。拜太僕正。移輔德。是後凡有注擬。上輒留靳不點曰。胄筵輔導。不可數易輕授也。癸丑。移修撰。時持平趙昌期上大疏。論黨議之弊。語及權臣。上優答之。銓臣惡其不附己。抑不用。公登對進言曰。趙昌期疏直切。上嘉之。納其言。廷臣怒之。棄其人。非聖朝優容直臣之意也。上頷之。特拜昌期爲正言。罷銓官李翊相。尋改輔德。復移修撰。會有寧陵石物罅泐之變。前後奉審者。恐得罪匿不奏。宗臣翼秀上本白其實。上大驚。訊治監董諸臣。公上疏略曰。臣伏聞寧陵奉審臺侍還奏。上有四方八面無完全之敎。奉安仙寢。僅十五歲之間。至致此焉。萬歲喬山之慮。竆天罔極。又引宋朝永昭之葬。韓琦之言以辨之。且曰。惜乎。向時監董諸臣。不顧後日之患。惟以竣事爲務。其視韓琦何如也。董役之臣。固有罪也。前後奉審之臣。只事塗灰罅隙。而不以實聞。審而不知。則乖誠信。知而不奏。罪又甚焉。長此不已。雖有取長陵一抔土。殿下何從而聞之。不體孝思。敢肆欺誣。而給舍不以聞。府院不擧劾。臣竊痛之。上見其疏。大覺悟。十行隆批。許其忠款。拿問奉審大臣。嚴査置罪。有李選者。挺身投疏。追詆文簡公禮論。仍及公疏。眩亂黑白。又使言者。託言趙某情勢難安。亟解其職。蓋慮公上章自陳。重得罪也。其後首擬北道評事者再。上終不點授。公退歸墓下。絶意世事。甲寅夏。除太僕正。時朝廷旣定遷陵。日月有時。公不得已入謝。會又仁宣王后昇遐。不敢言病。黽勉從仕。八月。顯廟禮陟。公痛切如喪。食素處外。十月。出知綾州。公莅任治民。以暇日。校寫文簡公遺集。肅廟聿追先志。釐正邦禮。收召耆碩。公以弘文館應敎首被徵。入京略陳李選構誣狀。批以陰邪之言。何足爲嫌爲敎。公前傷草土。轉成痼疾。二月。値僚員不齊。力疾持被。卒有膈塞之候。政院啓請替直。上特命遣御醫看病。公疾少間。上章稱謝三告遞。時上命差塡直提學,典翰兩窠。政官啓曰。玉堂極選。不備員闕曠遠者。以難其人也。今負望之人。病方重且有拘。請俟後日。葢指謂公。公病日危。自知不起。遺戒。斂以時服。勿用文段。不別擇地。祔葬先山。遂啓手足。時五月十七日也。訃聞。上爲之痛悼。縉紳士大夫相吊咨嗟曰。惜乎。以其才其學。而其不長乎年也。襲用深衣幅巾。以其年某月日。葬于抱川治之北鹿門山壬坐之原。去文簡公大墓隔一岡。遵遺命也。公天資和粹。濟以學力。又及敎於文簡公。生長食息。耳擩目染。不離典訓。孝友之行。雖性得之。亦其世德庭訓。有自來也。故其事親無違志。有疾病。晝夜扶護。不知寢食。國醫憚煩使驕。公至感其誠孝。卽出延盡其技。其喪也。歠粥哀號。至不成聲。鄰有文人聞之。至作詩以悲之。文簡公久典銓衡。公未嘗有分毫私。甘毳之供。衣服之節。竭力無闕。而非義之物。不敢近焉。一以文簡公之心爲心。故父子間自爲知己。而人不間焉。眉叟許先生嘗曰。至行如趙某者。今世不得見云。文簡公位隮公相。公亦貴顯。然家世淸貧。其進退有義。辭受有節。文簡公直道不容。中遭竄謫。祿俸不繼。日闋無儲。而一家內外子孫孤嫠百口之多。衣食百須皆由公出。公周旋其間。皆使之溫飽。而自身短褐不完。每持被省中。同寀之盛服餙者。咸自愧戢藏去。叔父贈參判公有疾。自洪陽尋醫京師。公弱冠侍行。中道疾革不幸。藥膳絞斂。盡心無憾。其子參判公時尙少。及長。聞其爲。泫然曰。使不肖當大事。何以加。其事君則以爲君德必可修。直道必可行。黨論必可破。民隱必可恤。其在外莅州邑。牧養元元。其淸約惠愛。固不說。立朝僅五六年。諷議糾劾。論思啓沃。持是心不易。躓而復起。棘棘不阿。忤權觸要。無所回屈。至動遭枳塞。婆娑家食。而終無怨悔也。然聖主在上。察其至誠。優批聽納。而至山陵疏入。嘉乃曰篤。玉署醫來。眷遇非常。實曠世一遇也。公竟以是疾不起。位不顯而年不永。嗚呼其可惜也已。公自始學至疾。未病未嘗一日去書。其爲文字。不經思索。而事有經據。辭皆理到。筆亦遒勁古奇。其從弟參判公以筆名世。自以爲不如也。前配李氏國姓。父命雄。慶尙道觀察使。生于辛酉。歿以乙卯。葬于抱川縣北加采里先塋側巽向之原。公誌其墓曰。孝敬惇愼。持身必以禮云。繼配草溪鄭氏。祖基廣。兵曹參判八川君。考錫圭。敎官。夫人後公二十五年己卯歿。享年七十一。祔葬于鹿門山公墓左。淑人天性柔順。禮敬飭備。文簡公稱其賢。公歿時。諸子皆幼。淑人敎督諸子。持守門戶。必以古訓家法爲勉。所事所言。皆有法度。內外親戚取則焉。公有五男五女。二男一女夭。女適處士李允迪。前配出也。男九輅佐郞。九畹文科府使。九疇未仕。女適判府事姜鋧,牧使洪重周,進士洪重遠。佐郞有四男一女。男守元,守仁,守誼,守憲。女適進士李萬欽。府使生四男一女。男守一,守曾,守弘進士,守道生員。女適進士閔元楷。處士生七男二女。男守成夭。守文,守儉,守亮,守恒,守麟,守熊。女適姜世元。一幼。李處士生三男。復仁,宅仁,錫仁判官。姜判府事生一男二女。男世胤文科府使。女適洪重胤,金胤曾。洪牧使一男道輔。洪進士生二女。繼子吉輔。女適閔景孝,李贊和。內外孫曾八十人。多不載。銘曰。
趙氏大家。于古有赫。三世北邊。
厥有偉績。天子錫予。玉帶錦袍。
鐵券丹書。亦藏麗朝。亦越襄烈。
官封載嶻。是生川平。翊登聖君。
有功有德。大庇仍雲。靜庵挺生。
百代儒宗。繼有龍翁。派別源同。
學行文章。望臨一世。鹿門爲子。
趾美世濟。維祖維父。旣孝旣忠。
公能肖之。不替彌隆。文獻之世。
淸白之傳。爵位豈多。而不永年。
公無怨尤。我則欿然。我銘其德。
載此豐鐫。
[玉川先生文集卷之十 / 碑]
◐嘉善大夫禮曹參判松泉趙公墓碑銘 幷序◑
公諱威明。字晦汝。號松泉。趙氏出漢陽。遠祖諱之壽。仕爲高麗僉議中書事。子諱暉。元朝授雙城摠管。統和州十二城。子諱良琪。十三。襲爵。從征日本。有功。擊走哈丹兵。獻俘于元。世祖壯之。賜錦袍玉帶。生諱暾。收復和州。又破黃巾賊。封龍城君。子諱仁璧。策輔理功。封龍源府院君。見我太祖王業漸隆。歸老襄陽。終不起。襄陽人爲立忠賢祠以祀之。國朝贈左
![](https://blog.kakaocdn.net/dn/cIAUxu/btrTqEXwWs3/0MQyGUJH6UsEaxQK0MMEvK/img.gif)
政丞漢山伯。諡襄烈。襄烈公有子諱涓。年十三。擧進士。以太祖親甥。策原從佐命功。封漢平君。世宗朝進拜右議政府院君。諡良敬。有德有功。紹烈委祉。冠冕蟬聯。代不絶史。或以孝聞。或以藝選。四世有諱壽崑。祥雲察訪。以耆年陞資。卒贈吏曹參判。於公爲高祖。曾祖諱玹。佐郞贈吏曹判書。祖諱翼男。奉事贈議政府左贊成。有子諱絅。以文章學行。爲世儒宗。爲冢宰。秉文衡。歿而士林俎豆之。諡文簡。其季諱緱。從師問道。惇行孝悌。夙有聞譽。鄭桐溪賓而字之。而推與焉。年二十八而歿。許文正公銘其碣。贈
![](https://blog.kakaocdn.net/dn/KS8j6/btrTltP1Qaa/cKaL093qifrj6rPJNdjmw0/img.gif)
吏曹參判。是爲公皇考。妣貞夫人慶州李氏。同知𤂖之女。以崇禎壬申二月二十四日生公。自幼端重。不嬉戱。已有成人器度。參判公歿。公甫九歲。哭踊哀號。吊者感歎。相告語。從文簡公受學。進退唯諾。必謹無違。文簡公奇愛之。公獨侍大夫人左右。朝夕不離側。其有不安節。至甞糞禱天。誠孝篤至。日夜勤劇。餘力學文。詞藝早成。書法亦稱妙絶。竹南吳公竣。一見歎賞。每文簡公爲金石文。公輒書之。世爭得之以爲寶。弱冠擧進士。癸卯。除泰陵參奉。旋罷。丁未。除翊衛司副率。戊申。登第。循資。陞拜掌樂主簿。俄遷兵曹
![](https://blog.kakaocdn.net/dn/sY1Ez/btrTtAtlWav/3fUgtt5BEqovLZcQs55ADK/img.gif)
佐郞。自樂院箚請。趙某曉音律姑因之。蓋公於聲律非素習。而當官盡職。頗有所緖正云。辛亥。由兵曹。拜司諫院正言。時黨議益錮。是非貿亂。公獨持風裁。棘棘不阿。由是棄置不用。出補全羅都事。斥除北靑判官。公不以遠近內外通塞。有所芥滯。而隨遇而安。一心營職。甲寅。顯廟昇遐。肅廟卽位。召拜國子直講。書進諡冊。陞通政。乙卯。拜承政院同副承旨。序轉至右承旨。夏拜忠淸道觀察使。嚴明公恕。導宣風化。屠姦剔弊。黜幽陟明。一路政淸。人莫敢干以私。丙辰秋。將行太祖祔禮。寫玉冊。非公莫可白。召爲戶
![](https://blog.kakaocdn.net/dn/cEnphB/btrTt1c6ykv/xlKpdj3CSRuwVAx9PyJkSk/img.gif)
曹參議。道拜司諫院大司諫。公上章辭。附陳時政。上嘉納而不許辭免。尋移兵曹參議。及祔廟禮成。公以寫冊有勞。進嘉善階。歷戶禮兵工參判。復拜大司諫。丁巳。拜知申事。夙夜供職。不懈益虔。經累朔。不一日告病。或謂其請告少休。公曰。吾無他材德。特以薄技進職。過蒙誤恩。遭遇至此。竭心膂承上德意。常恐不稱。敢自暇自逸。言病告勞乎。是歲十二月二日。考終于適寢。享年止四十有六。訃聞。上震悼。賻贈如儀。比葬。遣官致祭。奉窆于抱川先壠北炭谷之山。內子貞夫人延安李氏。延安君叔琦之後。
![](https://blog.kakaocdn.net/dn/vxtl1/btrTmZA8Gat/nDDT5b31FNUWJFKNVIwSkk/img.gif)
正郞山賚之女。以崇禎癸酉生。後公三十七年癸巳歿。享年八十一。奉公之柩。與夫人同窆于龍化坪戌坐之原。夫人仁慈惠順。夙有壼範。及歸公。承奉無違。男長九鼎。都事。有文行。士友稱之。有二子守約,守謙。守謙好學。有立志。次九齡。參奉。有一子守德。正字韓德良,士人鄭璍,權韻。其女婿也。女長適吏曹正郞閔興道。有一子元崇。進士。進士李濤。其婿也。次適進士李錫祚。有繼子命河。進士睦聖觀。其婿也。守約生三子一女。男原憲。一幼。女適朴經長。守謙生二子二女。女適沈敬翼。餘幼。守德生一子三女。皆幼。鄭璍男
![](https://blog.kakaocdn.net/dn/Bd6aV/btrTuk4DNUv/zqJGYnDQFApc5oWFs1Or20/img.gif)
道載。次幼。權韻生一女幼。閔元崇男堂孝。女適柳廣基。李濤男萬旭萬任。內外子孫多不載。公德器深厚。而自守剛方。官位隆顯而愈執謙下。居常簡默。寡言笑。與人言。曲有恩意。猶恐傷之。絶去邊幅。若不屑而飭躬制行。動有法儀。早失嚴顔。痛慕終身。大夫人年老多病。常自悲獨身無兄弟。或從王事。旁無視疾。則每曰吾罪人也。及其自有病也。恐驚動親心。不以實聞。其革而且絶也。强精神告訣。而不見戚容。次顧家督曰。吾所庀板材。吾爲吾親百歲計者。愼無用藉吾幹。其臨命不錯類如此。事文簡公如事父。其卒也。爲
![](https://blog.kakaocdn.net/dn/bnbWEE/btrTjGoyQzB/ubwmG7qI5gkkaKboiCJb80/img.gif)
之心喪三年。與從兄應敎公相友愛。恒處一室。終始不衰。及歿。三年不赴宴聽樂。其事君則精白一心。以忠君奉職爲務。始否而終進。由庳而及鉅。持是心不變。或南或北。若外若內。惟其所在盡心焉。略無難色退言。而意謂不然。雖强不從。心所不安。雖微不處。其爲諫長也。僚臺合辭論。鄭公太和不宜配太廟。公曰。先朝相臣。誰如鄭公者。立異引遞。其爲湖伯也。諸築堰。家勸之發丁。公曰。是役也。吾曾與知。而忍自昧發丁乎。遂不發丁。家世淸貧。四壁蕭然。一持藩節。位至宰列。而無田於野。無宅於都。其所居舍。乃親友
![](https://blog.kakaocdn.net/dn/z6Q1v/btrTobH9hw2/H5Kr8XDh6t5PHIsNcPxmi1/img.gif)
憫之而成之者。嗚呼。其可貴也已。公每謙言。吾以筆進公之自謂然爾然。跡公之平生。世篤忠貞。家傳淸白。檢身則和而不流。持論則公而不阿。守官愼法。纖微必察。雖不遇。事不見剞劂。而具此衆美。已高人一等矣。夫豈以一藝成名者哉。故自上諭祭之敎。有金矢之直。冰玉之潔。而以八法爲餘事。此可以見君臣。而一時詩人以心正則筆正。點𪑮無細愆詠歎之。葢因公之筆而諭公之心也。昔王右軍高情逸想。文章氣節。爲一代風流之宗。而作蘭亭序。繭紙寫。後之人不稱其文。而寶其書。其高逸亦罕稱焉。獨歐陽公
![](https://blog.kakaocdn.net/dn/dZFx9h/btrTqC6t8Qz/wgKsBQB5UCxycAR6ekAoSk/img.gif)
謂晉無文章。賴有此篇。雖其偏工掩之。而自有知者知也。李君后平。言議亢爽。亦云公之實德揜於筆迹而不章。亦知公哉。不佞年少時。以宗家子。拜公於直省。德宇薰然。愛余特厚。是年公下世。遂不復見。欽想風範。常往來于中。今者胤子都事君病卧田間。千里走人。以銘墓爲託。誠切詞哀。不勝寤歎。謹撮其大者。爲之銘。銘曰。
世忠孝。傳淸白。修之家。載先德。揚于庭。纘舊服。試內外。藹聲績。秉公正。戒頗僻。謹細微。絶瑕謫。年豈多。施亦嗇。不憗遺。哀詔惜。器瑚璉。章圭璧。冰玉潔。金矢
![](https://blog.kakaocdn.net/dn/bPxctF/btrTsmvwKKX/QdX2jwbu0HOVTqFtZrzVn1/img.gif)
直。君知臣。無以易。編聖謨。眎罔極。
![](https://blog.kakaocdn.net/dn/bVSMja/btrTtizNnYW/oPl27U64bGMokYVs4CtnG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deUzR/btrTtjen4xH/NIYh3uPjfyyKEoQRyhJF0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R7GrL/btrTsedo7l2/C5smg0dqhYMOcBcm4Z9dN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XtFIO/btrTtizNnys/T9EBwZeQEc3jV9WDJkVUp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LXji8/btrTt06pEKB/09Cp7P7UoknpkmfEEX8JK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RloO/btrTsdr0fvu/m9fTxCuz4nxP9snu27WXy1/img.jpg)
●선조님의 시심 : 송천(松泉) 조위명(趙威明)
이 난은 선조님들의 시문을 연재하는 난입니다. 선조님의 높은 학문과 시문을 통하여 교감하고 배우고자함이니, 훌륭한 글을 발굴하여 모든 종인들이 공유 할 수 있도록 많은 참여바랍니다.
(분량: 시 한 수와 선조님의 간략한 행적)
![](https://blog.kakaocdn.net/dn/divQWQ/btrTu2bTU1O/JtDsPcJvPh61U9x2V0C1s0/img.jpg)
■淸明日玄都觀(청명일현도관)-
☞ 청명일에 현도관에서.....
◐淸明此日尙南邊(청명차일상남변)
☞청명이라 오늘 아직도 남도에 머무니
◑萬慮中宵往屢遷(만려중소왕루천)
☞한밤중 온갖 상념이 오락가락하는구나
◐不妨落花紅滿地(불방락화홍만지)
☞붉은 꽃잎 떨어져 땅에 가득하건 말건
◑生憎芳草綠連天(생증방초록련천)
☞하늘에 잇닿아 푸른 방초는 얄미워라
◐霏霏雨喚覊愁苦(비비우환기수고)
☞부슬부슬 비는 나그네 시름 부르고
◑剪剪風驚客夢偏(전전풍경객몽편)
☞쏴쏴 바람은 나그네 꿈을 깨우누나
◐幾處紙錢東郭外(기처지전동곽외)
☞동곽 밖 몇 곳에 지전을 태울고
◑柳州凄感有誰憐(류주처감유수련)
☞유주의 처량한 감회 뉘라서 알리요
■ⓒ 조위명(趙威明), 1640(인조 18)∼1685(숙종 11).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회여(晦汝), 호는 송천(松泉). 우의정 연(涓)의 후손이며, 현(玹)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익남(翼男)이고, 아버지는 구(緱)이며, 어머니는 이현(李灦)의 딸이다. 작은아버지 경(絅)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워 문예에 뛰어났고 필법이 절묘하였다. 음보(蔭補)로 세자익위사부수(世子翊衛司副率)가 되었다가 1668년(현종 9)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검열을 거쳐 사간원정언·사헌부지평·홍문관응교를 지냈다. 1674년 숙종이 즉위하자 성균관직강이 되어 현종의 시책(諡冊)을 썼으며, 이어 동부승지·우부승지를 거쳐 충청도관찰사로 나가 선정을 베풀었다. 1676년(숙종 2) 태조의 부례(祔禮)를 행할 때 옥책(玉冊)을 써 그 공로로 가자되었다. 그 뒤 대사간·도승지·예조참판을 역임하였다. 명문장가로서 예론에 밝았으며 명필이었다. 유필(遺筆)로 허목(許穆)이 찬한 동창위(東昌尉) 권대항(權大恒)의 비문과 양주의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목서흠(睦敍欽)의 비문, 대군사부(大君師傅) 권적(權蹟)의 표(表), 포천의 조익남(趙翼男) 비문 등이 있다.
송천(松泉)휘위명 (諱威明, 1632~1677, 14세, 양경공파)선조님은 인조(仁祖), 숙종(肅宗) 연간의 문신으로 자는 회여(晦汝), 호는 송천(松泉)이시다. 선생의 행적은 당대의 명필이 셨던 선조님의 뛰어난 문장을 중심으로시문에대하여알아보기로한다. 청명 한식에는 선조님께 성묘하는 풍속이 있는데, 선생(松泉)이 39세 때인 신해년(1671)에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으로있다가반대파의당론(黨論))에 배척을 받아 좌천되어 전라도사(全 都事)로 있을 때 지은 시로 자신은남쪽지방에머물고있어성묘하지 못하는처량한심정을잘표현하였다.
유주( 州)는 당(唐)나라 때 유주자사(幽州刺史)를지낸대문호유종원( 宗元)을 가리킨다. 유종원이 귀양 온지 4년동안 한번도 성묘하지 못하여 한식에 북쪽선영을 향해 길게 부르짖으며 머리를 조아리고 절을 했다는 고사가 있기 때문에 한식인데도 타향에서 공무를보느라 성묘하지 못하는 선생 자신을 유종원에 비유한 것이다.
부슬비로 꽃잎은 떨어져 땅에 가득하고 방초는 시야 가득 푸르며 밤에는 바람소리에 잠못이루는 광경이 그림처럼 묘사 되어있다.
선생은 백부인 용주( 州) 조경(趙絅)선생에게 수업하여 문장과 글씨를 익히셨다. 선생은 문장에도 능했지만 특히 서법에 뛰어나 당대의 명필로 명성을 크게 떨쳤고 재주가 남달라 죽남(竹南) 오준(吳竣)의 칭찬을 받으셨고, 명사(名士)들의 금석문을 많이 쓰셨다. 지금도 남아있는 동창위권대항비(東昌尉權大恒碑), 지중추부사목서흠비(知中樞府事睦敍欽碑) 등에서 선생의 뛰어난 글씨를 볼수 있다.
선생은 무신년(1668)에 문과에 급제하여 장악원주부(掌 院主簿)로 있다가 병조좌랑(兵曹佐 )으로 자리를 옮길 때 음률(音律)에 밝다는 이유로 재상이 유임시켜 줄 것을 청한 것으로 전해진다. 사실에 비춰볼 때 글씨 뿐 아니라 예능에도 두루 타고난 재능이 있었음을알 수 있다.
43세 때인 갑인년(1674)에 현종(顯宗)이 승하하자 선생을 불러 성균관 직강(成均館直講)에 제수되셨고, 시책(諡冊)을 쓴 일로 특별히 승진하여 통정대부(通政大夫)의품계에오르셨다.
45세 때인 병진년(1676)에 부묘(부廟)할 때 옥책(玉冊)을 쓸 사람으로 뽑혀 대사간(大司諫)에 제수되셨다. 옥책을 쓴 공로로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승진 하셨다. 당대에 명필로 일컬어지며 정사년(1677)에 도승지에 제수되셨으나 공무에 근면하다가 신병으로 12월 2일 세상을 떠나시니 향년 46세이셨다.
<송천유고>집이 전해지며 시(詩)와 소(疏), 장계( 啓), 서간(書簡), 유사(遺事), 권선문(勸善文), 제문(祭文) 등 이 수록되어 있다.
[개설]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회여(晦汝), 호는 송천(松泉)(諱威明, 1632~1677, 14세, 양경공-병참공파)우의정 조연(趙涓)의 후손이며, 조현(趙玹)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익남(趙翼男)이고, 아버지는 조구(趙緱)이며, 어머니는 이현(李灦)의 딸이다. 작은아버지 조경(趙絅)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워 문예에 뛰어났고 필법이 절묘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음보(蔭補)로 세자익위사부수(世子翊衛司副率)가 되었다가 1668년(현종 9)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검열을 거쳐 사간원정언·사헌부지평·홍문관응교를 지냈다. 1674년 숙종이 즉위하자 성균관직강이 되어 현종의 시책(諡冊)을 썼으며, 이어 동부승지·우부승지를 거쳐 충청도관찰사로 나가 선정을 베풀었다.
1676년(숙종 2) 태조의 부례(祔禮)를 행할 때 옥책(玉冊)을 써 그 공로로 가자되었다. 그 뒤 대사간·도승지·예조참판을 역임하였다. 명문장가로서 예론에 밝았으며 명필이었다.
유필(遺筆)로 허목(許穆)이 찬한 동창위(東昌尉) 권대항(權大恒)의 비문과 양주의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목서흠(睦敍欽)의 비문, 대군사부(大君師傅) 권적(權蹟)의 표(表), 포천의 조익남(趙翼男) 비문 등이 있다.
▣조경(趙絅), 1586(선조 19)∼1669(현종10)▣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일장(日章), 호는 용주(龍洲)·주봉(柱峯). 정충장군(折衝將軍) 수곤(壽崑)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공조좌랑 현(玹)이고, 아버지는 봉사(奉事) 익남(翼男)이다. 어머니는 증좌승지 유개(柳愷)의 딸이다. 윤근수(尹根壽)의 문인이다. 1612년(광해군 4)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했으나 광해군의 난정(亂政)으로 대과를 단념, 거창에 은거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 후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고창현감·경상도사에 계속하여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양하다가 이듬해 형조좌랑·목천현감 등을 지냈다. 1626년(인조 4) 정시문과에 장원, 정언·교리·헌납 등 청요직을 거쳐 사가독서(賜暇讀書 : 문흥을 일으키기 위해 유능한 젊은 관료들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에만 전념케 하던 제도)했고,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 인조가 강화도에 파천하고 조정에서 화전 양론이 분분할 때 지평으로 강화론을 주장하는 대신들에 대하여 강경하게 논박하였다. 이어 이조좌랑·이조정랑을 거쳐,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 사간으로 척화를 주장하였다. 이듬해 집의로 일본에 청병하여 청나라를 공격할 것을 상소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 뒤 응교(應敎)·집의(執義) 등을 역임하고, 1643년 통신부사로 일본에 다녀와서 기행문을 저술하였다. 이어 형조참의·대사간·대제학, 이조·형조의 판서 등을 거쳐, 1650년 청나라가 사문사(査問使)의 척화신에 대한 처벌 요구로 영의정 이경석(李景奭)과 함께 의주 백마산성(白馬山城)에 안치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와, 1653년 회양부사를 지내고 포천에 은퇴하였다. 그 뒤 노인직(老人職)으로 행부호군에 등용, 1658년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1661년 판중추부사로 윤선도(尹善道)의 상소를 변호하다가 대간의 논박을 받고 파직되었다. 숙종 때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포천의 용연서원(龍淵書院), 흥해의 곡강서원(曲江書院), 춘천의 문암서원(文巖書院)에 각각 제향되었다. 저서로 『용주집』 23권 12책과 『동사록(東槎錄)』이 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康熙十五年(1676년) 조경(趙絅) 선생書 교서(敎書)의 음각 목판본 [서첩(書帖)] 單冊▣
<내용> 康熙十五年(1676년) 조경(趙絅) 선생書 교서(敎書) 음각 목판본 [서첩(書帖)] 單冊으로 원제는 '敎配享臣故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嶺議政兼知經筵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春秋館成均館事世子右寶客五衛都摠府都摠管贈諡文簡公趙絅書' 22面분량과 23면, 24면에는 濟南 權瑍, 松泉 趙威明의 識가 있다.
※선조님은 후손을 통하여 영원히 살고, 후손은 선조님의 유훈으로 살아간다.
728x90
반응형
'❀漢陽人문화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故行礪山郡守贈左承旨溪陰趙公行狀[崔時弼]●故行礪山郡守贈左承旨溪陰趙公行狀[李毅敬]▣贈承旨溪陰趙公墓表[洪良浩] (0) | 2022.12.11 |
---|---|
♠여회재(如晦齋):판관공(諱云明,8世祖)♠ (0) | 2022.12.06 |
◑嘉善大夫禮曹參判松泉趙公諱威明墓碑銘 幷序◐ (1) | 2022.12.02 |
■목간 조공 묘갈명 서문을 아울러 붙이다木澗趙公墓碣銘 幷序 (0) | 2022.12.02 |
◈사미정일기(四未亭日記)◈≪명칭≫봉화 사미정(奉花 四未亭) (0) | 2022.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