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陽人문화유적❀

▣가천재공-현령공파 14세조 조국필(趙國弼) 한창군(漢昌君) 형조참판(刑曹參判)

by 晛溪亭 斗井軒 陽溪 2022. 8. 2.
728x90

▣가천재공-현령공파 14세조 조국필(趙國弼) 한창군(漢昌君) 형조참판(刑曹參判) :

▣子 國弼국필

■字士翼 明宗丁卯生蔭參判壬辰扈駕龍灣見 宣祖布衣麻鞋決意渡遼突入 御前垂泣脫鞋扈從功丁丑卒◎公善書手書長湍國夫人莫及永興副元帥公墓碣配文化柳氏父判尹自新◎墓龍仁舟隅主山乾坐合封

■자사익 명종정묘생음삼판임신호가룡만견 선조포의마혜결의도료돌입 어전수읍탈혜호종공정축졸◎공선서수서장단국부인막급영흥부원수공묘배문화류씨부판윤자신◎묘룡인주우주산건좌합봉

☞계축년(1613) 5월 : 익사공신(翊社功臣), 개성유수(開城留守)부임 1617[정사(丁巳)], 광해군일기, [제15대 광해군(光海君, 1575~1641, 재위 1608~1623)] 138권, 광해 11년 3월 11일 (갑오), 문화 류씨(文化柳氏) 工曹判書 諱潜[資憲大夫工曹判書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柳公潛]의 딸과 結婚.

 

■꿈속의 글자로써 광해군이 쫓겨날 것을 예지한 조국필(趙國弼) : 국가적 사회적 변란(變亂) 예지■

 

◈조국필이 광해군의 전성 시절에 꿈을 꾸었는데 어떤 인가의 문밖에 이르러 보니 문액(門額)에 흰 글씨로 ‘훈의청에서 목숨을 마치리라(終身訓醫廳)’는 다섯 글자가 쓰여져 있었다. 그 집에 들어가 보니 광해군이 상주의 옷을 입고 마루에 앉아 있었는데 흡사 변복(變服)을 하고 숨어 있는 듯 하였다.……그 다섯 글자가 무슨 뜻인지는 알지 못했다.……반정이 일어날 날에 광해군은 북문으로 도망쳐 나가 제용감 의원인 정남수의 집에 숨어 있었다.  정남수는……상중에 있었기에 광해군으로 하여금 상복으로 갈아입게 하고……광해군은 아직도 몸에 상복을 걸치고 머리에는 흰 가죽 귀싸개를 쓰고 있었으니 꿈에서 본 것과 완연히 똑같았다.  또 정남수는 의원으로 그 당시 훈련도감의 약국을 맡고 있어, 그제야 그 다섯 글자의 뜻을 알게 되었다.  - 대동기문

 

그 외에 명륜록, 속잡록, 연려실기술, 공사기문, 조선왕조실록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다.

 

(풀이) 붙잡혔을 때 광해군은 상주 옷을 입고 있었고 의원과 관련된 집으로 피신했다가 붙잡히는 일로 실현

■청선고(淸選考):조선전기-개항기까지 주요 관직 및 직계별(職階別) 선생안(先生案)을 선집한 인명록. 15권 15책. 필사본. 권3에는 육조의 관안(官案)으로 천관(天官)에 이조판서, 아전(亞銓)에 참판, 삼전(三銓)에 참의, 전랑(銓郎)에 정·좌랑을 각각 수록하고, 본병(本兵)에 병조판서, 장부(掌賦)에 호조판서 등을 수록하였다. 수록 범위는 조선 초기에서 고종 때까지의 명안을 왕조별로 열기(列記)하고, 제배년을 간지로 표시하였다. 이 책의 수록 범위는 『조두록(俎豆錄)』을 비롯해 조선조 500년에 걸친 동·서 양반의 주요 관직 및 직계별 선생안으로 약 4만 명을 포괄하고 있다. 현존하는 다른 어떤 인명사서(人名辭書)도 이를 따를 수 없다. 특히, 한말의 인명록이 전무한 실정에서 이 방면의 귀중한 자료가 된다.

https://blog.naver.com/antlsguraud/222184100690

 

정운원종공신록권(定運原從功臣錄)과 조몽길 추증 교지-내암 정인홍!

정운원종공신록권(定運原從功臣錄)은 진주 단목(丹牧) '단지 하협(丹池 河悏)' 종택에서 보관하...

blog.naver.com

https://blog.daum.net/ryujise/88

https://blog.naver.com/antlsguraud/222184100690

 

정운원종공신록권(定運原從功臣錄)과 조몽길 추증 교지-내암 정인홍!

정운원종공신록권(定運原從功臣錄)은 진주 단목(丹牧) '단지 하협(丹池 河悏)' 종택에서 보관하...

blog.naver.com

정운원종공신(定運原從功臣)은 영창대군을 옹립하려고 했던 영의정 유영경(柳永慶) 등 소북파(小北派)를 제거하고, 광해군을 왕으로 오르게 하는데 공(功)을 세운 750여명에게 광해가 내렸다. 영창대군 이의(李㼁)가 1614년 2월 강화에서 죽임을 당한지 8개월이 지나고 책록됐다.

무신년 1608년(선조41) 1월에 영의정 유영경(柳永慶), 대사간 이효원, 전한(典翰) 김대래 등이 영창대군(3세)을 옹립하려고 했다. 그러자 광해군(24세) 옹립파인 전 참판 정인홍, 진사 정온(鄭蘊), 진사 하성(河惺, 하협 형) 등이 1월 18일~1월 28일 '광해 지지 상소'를 올리는 등 대립했다. 선조가 "광해에게 왕위를 몰려준다"는 교지를 유영경에게 내리고 2월 1일 사망했는데, 유영경이 이를 숨겼다.

광해군이 1608년 2월 2일 왕위에 오르고, 유영경(柳永慶, 59세)은 1608년(광해1) 9월 5일 유배지인 함경도 경흥에서 자결했다. 김대래는 9월 9일 함경도 종성 유배지에서 사사(死賜)됐다.

[이효원은 거제로 정배되고, 1623년 계해정변 후 풀려나 공조참판을 지냈다.]

영창대군 이의(李㼁)가 1614년 2월 강화에서 죽임을 당하고, 8개월이 지나 하위보(河魏寶, 생원) 아들 하선(河愃)과 하선 아우 하협(河悏)에게 정운원종공신 1등이 책록됐다. 형인 전 참봉 하성(河惺, 1571~1640)은 1612년(광해4) 9월 경성판관 정온(鄭蘊)과 정공신(正功臣)인 정운공신(定運功臣) 3등에 책록됐다.

이때 정인홍도 정운공신(定運功臣) 1등에 책록됐다. 1613년 5월 2일 정인홍은 합천 각사마을에서 좌의정 사직 차자[辭左相箚]를 올려 정운공신 책록을 사양했으나, 광해가 책록을 거두지 않았다.

 

1등: 정인홍(鄭仁弘, 우의정), 이이첨(李爾瞻, 대사성) 2인,

2등: 고(故) 이산해(李山海, 전 영의정), 고 박여량(朴汝樑, 전 지평), 정창연(鄭昌衍, 우찬성), 윤승길(尹承吉, 좌참찬), 이성(李惺, 부제학), 이담(李憺, 사포 별제) 6인,

3등: 윤인(尹訒, 정언), 정온(鄭蘊. 경성판관), 이정원(李挺元. 지평), 정조(鄭造, 종부시 정), 하성(河惺,참봉, 하협 형), 이위경(李偉卿, 진사) 6인, 총14명이 책록됐다.

1612년(광해4) 당시 하성(河惺, 48세) 및 정온(鄭蘊, 44세)에게 광해 임금이 하사(下賜)한 것은, 반당(伴倘: 심부름꾼) 6인, 노비 3구(口), 구사(丘史: 관노비) 3인, 전지(田地: 논밭) 20결(結), 은자 5냥, 표리(表裏: 옷) 1단(段), 내구마(內廏馬: 말) 1필(匹), 초상(肖像) 1점 정도였을 것이다. 엄청난 혜택이다.

그러나 단목 진양하씨는 1665년(현종6) 진주 유생 최백년(崔栢年, 1626~1674)의 이른바 '무고사건'으로 당색을 북인에서 집권 노론(서인)으로 바꿔 버린다.

※1728년 무신혁명(戊申革命, 이인좌의 난) 실패 후 이조참판 동계 정온(桐溪 鄭蘊, 1569~1641) 후손으로 입적된 초계정씨(鄭氏)들도 노론(서인) 집권세력으로 투항했다.​

이 사건은 최백년이 성균관에 '고(故) 윤승경(尹承慶, 1582~1661, 전 덕천서원장)과 하명(河洺)-하달한(河達漢, 하명 7촌아재, 진사)의 단목 하씨들이 남명집(1622년 임술본)을 복원하는 등 역적 정인홍을 옹호한 대북파의 여얼(餘孼)이다'는 죄목으로 고발한 거로 시작됐다. 진주 향안에 이름을 올리지 못한 화풀이로 무인(武人) 출신 유생 최백년이 조정에 고변한 것이다. 하협 삼촌인 하진보(河晉寶, 밀양부사)가 내암 정인홍과 사돈지간이었기에, 단목의 진양하씨를 북인(北人) 잔당파로 몰고 갔다.

이에 하명(河洺, 하증 손자, 이전·李瑑<조정립 사위> 사위)은 이 사건을 서인(노론)의 거두인 송시열과 송준길의 도움으로 해결한 후, 생원 하위보(河魏寶, 하성·하선·하협 아버지) 문중, 즉 하위보(河魏寶, 내암 사돈인 김해부사 하진보 형) 아들인 창주 하증(滄洲 河憕) 및 단지 하협(丹池 河悏) 문중은 핵심 북인(北人)에서 집권 서인(노론)으로 당색을 바꾸게 된 것이다.

1665년(현종6) 이때, 중간에서 매개 역할을 한 인물이 은진송씨삼가(三嘉)공파인 참봉 송규창(宋奎昌, 1630~1688, 회덕 거주)인데, 송규창 부친 송국시(宋國蓍, 1600~1665.5, 진사)는 보은읍의 김덕민(金德民)과 계배(해주오씨) 사위이고, 하명 처외조부 정주목사 조정립(曺挺立, 조석좌 종고조)은 김덕민과 측실의 사위인 것이 작용하여 송국시-송규창과 송시열-송준길로 연결된 것이다. 14년 전 1651년 진주목사를 지낸 용암 이상일(龍巖 李尙逸, 1600~1674, 선산 출생)도 다리를 놓았지만, 조정립 혼맥이 더 큰 역할을 했다.

1651년 당시 조정립(曺挺立) 장자인 조시량(雪洲 曺時亮, 1603~1662, 양산군수)은 진주판관으로 재직하고 있었는데, 당시 조시량은 진주목사 용암 이상일(龍巖 李尙逸, 1600~1674, 선산 출생)의 부탁을 받아, 조시량이 성균관 전적(典籍, 정6품)으로 재직 중인 1652년 '벽진이씨 임진보발(壬辰譜跋)'을 썼다. 즉, 조정립, 이상일, 조시량을 아주 친했다. 이상일 10촌 형이 삼가현 대병면 장단리 내암 문인인 노파 이흘(蘆坡 李屹, 1557~1627)이다.

송국시 10촌 형이 이조판서 송준길(宋浚吉, 1606~1672)이고, 송준길의 또다른 10촌 형인 예조참의 송국택(宋國澤, 1597~1659)은 1728년 무신혁명 때 이인좌의 거병에 가담하여 처형된 해미현감 송내익(宋來翼, 1675~1728)의 증조부다. 그후 조석좌(曺錫佐, 1687~1727)는 송규창(송하형 부친)의 손녀 사위가 된다. 즉 송하형(宋夏亨)의 사위가 된다.

1623년 계해정변 후 익사공신 및 정운공신 모두 삭훈됐는데, 익사공신록(초상)과 달리 정운공신록(초상)은 한 점도 전해지지 않는다. 익사공신록(翼社功臣錄)이 남아 있는 건 인조 아버지인 정원군 이부(定遠君 李琈, 1580~1619, 정운원종공신 1등)가 정공신으로 녹훈돼 후손들이 훼손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래 이미지는 1614년(광해6) 11월 내린 조몽길(曺夢吉, 1521~1561) 상주목사-좌승지 추증 교지다. 아들 용담현령 조응인(曹應仁)이 1614년 10월 11일 정운원종공신(定運原從功臣) 1등에 책록됐기 때문에 상주목사-좌승지로 추증된 것이다.

정운원종공신은 영창대군을 옹립하려고 했던 영의정 유영경(柳永慶) 등 소북파(小北派)를 제거하고, 광해군을 왕으로 오르게 하는데 공을 세운 750여 명에게 광해가 내렸다. 영창대군 이의(李㼁)가 1614년 2월 강화에서 죽임을 당한지 8개월이 지나 책록됐다.

최초로 공개하는 이 조몽길(曺夢吉) 교지는 정운원종공신록의 역사적 의미와 함께 도촌 조응인(陶村 曺應仁, 1556~1624) 등 남명학파 가문이 얼마나 깊게 영의정 내암 정인홍(來庵 鄭仁弘, 1536~1623)과 연결돼 있었다는 걸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인홍(仁弘)의 행사가 바르지 못해 (내가 비록 같은 고을 멀지 않는 곳에서 살고 있지만, 찾아가는 대신) 편지를 계속 보내 절교했다. 등등" 후대의 기록은 조작됐음을 아래 교지가 증언하고 있다.

 

오늘 최초로 공개하는 조몽길(曺夢吉, 1521~1561, 조응인 아버지) 상주목사-좌승지 추증 교지다. 만력 42년 1614년(광해6) 11월 광해가 내렸다(승전·承傳). 80cmx55cm, “敎旨 贈 通訓大夫 尙州牧使 曹夢吉 贈 通政大夫 承政院 左承旨 兼 經筵參贊官者 萬曆 四十二年 十一月 日 通訓大夫 行 龍潭縣令 曹應仁 考 定運原從功臣 一等 依承傳追贈(교지 증 통훈대부 상주목사 조몽길 증 통정대부 승정원 좌승지 겸 경연참찬관자 만력 사십이년 십일월 일 통훈대부 행 용담현령 조응인 고 정운원종공신 일등 의승전추증)”

유학 조몽길 아들 용담현령 조응인(曹應仁)이 1614년(광해6) 10월 11일 정운원종공신(定運原從功臣) 1등에 책록됐기 때문에 상주목사 등으로 추증된 것이다.

정운원종공신은 영창대군을 옹립하려고 했던 영의정 유영경(柳永慶) 등 소북파(小北派)를 제거하고, 광해군을 왕으로 오르게 하는데 공을 세운 750여명에게 광해가 내렸다. 영창대군 이의(李㼁)가 1614년 2월 강화에서 죽임을 당한지 8개월이 지나고 책록됐다.

이 조몽길(曺夢吉) 교지는 정운원종공신록의 역사적 의미와 함께 도촌 조응인(陶村 曺應仁) 등 남명학파 가문이 얼마나 깊게 영의정 내암 정인홍과 연계돼 있었다는 걸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정인홍과 절교했다. 등등" 후대의 기록은 조작됐음을 이 교지가 증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지 출처: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소장>

 

정운원종공신록권(定運原從功臣錄) 표지다. 전 국회의원 하순봉 진주 단목 '단지 하협' 종택에서 보관하고 있었는데, 진양하씨 문중에서 경상대학교 문천각(文泉閣)에 기증했다.

 

단지 하협(丹池 河悏, 1583~1625) 묘갈명은 전(前) 정주목사 오계 조정립(梧溪 曺挺立, 1583~1660)이 1655년(효종6)에 지었다. 오계 조정립은 1728년(영조4) 무신혁명 합천 주역인 조성좌(曺聖佐)의 고조부다.

 

학생 하선(河愃)에게 만력 42년 1614년(광해6) 10월 11일 광해가 정운원종공신 1등으로 내렸다.

 

學生 河愃

萬曆四十二年十月十一日都承旨臣李德洞敬奉

傳旨討賊臣子之至忠旣申沐浴之請酬勞人主之令典豈有大小之殊庸非一人之私玆率百王之舊顧予寡昧嗣守丕基毖後患而其懲在初服而祗畏何圖臣猾久稔陰謀罪已貫於滔天天下之惡一也禍實迫於凶國國人皆曰殺之克翦其兇繄誰是賴斯不忘

 

乎修捍用以紀夫旂常惟爾大夫越玆士庶 忘死生而出力咸奔走而效勞凡係協贊之徒悉錄原從之列分輕分重各有不刊之功傳子傳孫共享無彊之祚故玆敎示想宜知悉

定遠君琈仁城君珙義昌君珖慶昌君珘興安君瑅慶平君玏仁興君瑛寧城君㻑綾 陽君倧綾原君俌綾昌君佺佶觀察使李慶全前掌令鄭造行護軍金緻副應敎韓纘男行判書趙挺前大司諫李好信行府使張世哲行牧使趙稶(조욱,직산조씨)漢昌君趙國弼(한양인,가천재공현령공파14세조)縣監權瀁行

 

만력(萬曆) 42년 1614년(광해6) 10월 11일 내린 정운원종공신녹권(定運原從功臣錄券)이다. 縣令 曹應仁(현령 조응인)이 보인다. 당시 용담현령(龍潭縣令)에 재직했다.

 

大司諫宋錫慶觀察使柳慶宗領中樞府事李恒福靑城府院君沈喜壽德平府院君奇自獻海川君崔有源嵩陽府院君金履元行大司憲尹孝全知敦寧府事閔馨男行府使李士慶察訪鄭逵生員崔明獻進士崔濩生員李升亨學生李光淑學生權憬學生朴重振權知學諭李瀷學生盧仁瑾郡守李大期府使金應成縣令曺應仁生員尹英男參奉鄭昌緖察訪姜繗生員成效奎生員禹悙生員朴文楧生員朴孝先正言曺挺立進士鄭悌生進士河悏生員許從善學生鄭滃學生曺挺生學生鄭昌世生員邪孝甲學生尹瑞 男訓導李東勳學生盧▼(山+喜)學生李弘緖學生朴敏學生文弘曄學生朴昌道學生鄭穎達生員韓會學生洪涉縣監姜遵進士李奉一學生申順蒙學生李見龍學生曺命世學生李㠝學生李峻馠學生金秀南學生文▩學生成以忱學生郭翰邦學生鄭暄學生郭有道察訪李日章學生文益昌進士盧克亨學生楊尙立學生鄭▩進士李衍察訪鄭瀟學生鄭棱學生梁桓察訪河渾察訪文景虎前直長金錫光進士鄭仁濬學生李宗郁晉原府院君柳根及第申欽行判書李廷龜判書尹國馨承旨尹讓直提學鄭廣成豐安君任 兗行郡守尹▼(日+吉)漢南君李必榮光城君鄭賜湖前司諫金止男掌令金質幹校理李民宬執義申景洛縣監柳潠持平南以俊直講朴梓正宋克訒司諫崔東式及第趙希逸義寧君宋諄副校理李昌後前正郞鄭雲湖副司果金昈佐郞鄭文翼持平趙存道驪城君李志完觀察使黃敬中行府使奇協行護軍成時憲行牧使睦大欽行府使鄭光績行都承旨南以恭參判朴彝敍觀察使權盼前行府使崔起南行司直任章參議柳澗承旨鄭岦參議柳潚輔德吳靖正曺明勖副校理洪霶 牧使金壽賢檢詳權昕凝川君朴震元大司憲鄭協前承旨洪瑞鳳贈參判朴曾賢行郡守朴思齊前牧使李綏祿郡守李埈前縣監 金聲發前獻納柳活前待敎洪敬纘前正言申得淵典籍尹知養佐郞權倜郡守趙靖前李忭生員趙炯奉事李應祿生員申命休前直長李培學生申謹主簿申景遇前參奉李玉生員蔡謙吉正金夢虎察訪崔應虛司果金應翼縣監權睍前縣監權淳前縣監申景 翼司果鄭勝司果李茂林主簿鄭演前司勇尹時男副奉事成光烈前校理閔有慶直長李獻諶司果金克銘前佐郞權得已正言裴大維察訪曺友仁監察宋榮祚保安君李奉貞前主簿李福長眞城君金起文月城君崔彦恂西河君方俊豪金原君李德章密陵君朴奉琳錦川君韓信等乙良定運原從功臣 一等 蓬萊府院君鄭昌衍行知事閔夢龍判敦寧府事李輅參判柳寅吉漢山君趙振參議尹銑前承旨尹壽民參判南瑾參判李覮 前行牧使任就正行護軍崔鐵堅僉知安克 孝行護軍李馪生員申景禧直提學趙正立行府使鄭經世正韓彦忱前正郞趙有道直講朴弘道前掌令尹訒前判官林健縣監李昌廷縣監李涏察訪李馨遠前佐郞南宮㯳前學錄趙烋奉事韓玉佐郞李埁縣監鄭道副司果李國男副司果李蕆副司果李聖望 副司果金克銑行府使朴慶業縣監李宗文前郡守盧道亨前主簿趙英俊副司果河震副司果洪雴別坐慶選執義丁好善行護軍朴燁前行牧使徐景雨引儀沈綩參軍金植 前縣監姜克裕 等乙良定運原從功臣 二等 僉知許筠前行府使成晉善佐郞李天樞前判官鄭榮國行護軍趙庭芝兼說書姜大進學生金泰學生曺挺英前縣監趙珩前縣監任琥前縣監申景逸縣監黃益中監察李文書吏金光弼書吏金龍書吏鄭豹書吏安應 壽書吏崔彦祥書吏宣愛熙書吏李彦祥書吏裴有雲書吏李士禮書吏曹仁男書吏吳景祿書吏朴孝一書吏嚴敬立宣務郞金泂書吏金大海書吏姜渭民書吏太時慶書吏 張得賢私奴金戊生等乙良定運原從功臣 三等爲等如施行爲只爲下吏曹爲良如敎

 

萬曆四十二年十月十一日都承旨臣李德泂 敬奉

傳旨定運原從功臣 一等乙良各加一資子孫

 

承蔭宥及後世父母封爵二等乙良各加一資子孫承蔭宥及後世子孫中從自願加散官一資其中無子孫者兄弟壻姪中從自願加散官一資三等乙良各加一資子孫承蔭 宥及後世爲乎矣各等通訓以上乙良子孫 兄弟甥姪女壻中一人乙從自願加散官一資物故人乙良各依本等施行爲旀各追贈一資爲齊犯罪作散人乙良竝於本品敍用 爲齊在喪及無故作散人乙良各加一資敍 用爲齊永不敍用人乙良許通仕路爲齊職

 

牒收取人乙良竝只還給爲齊妾子乙良限品安徐爲齊公私賤口乙良竝只免賤爲齊係于逆黨及因逆賊公事間事被罪者乙良官爵一款擧行安徐爲只爲下吏曹爲良如 敎

 

[定運錄勳都監]

堂上效忠奮義翼社輸誠結義奮忠定運奮忠秉義夫幾亨難功臣崇祿大夫行禮曹判書兼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春秋館成均館事同知經筵事世子右副賓客廣昌君臣李爾瞻

堂上輸誠結義奮忠定運奮忠秉義亨難功臣賓憲大夫議政府右參贊兼同知春秋館事五衛都摠府都摠管靈原君臣朴楗

郞廳通訓大夫司僕寺正兼世子侍講院弼善臣宋克訒

 

郞廳通訓大夫掌樂院正知製敎臣鄭造

監校郞廳禦侮將軍行龍驤衛副司果臣盧道亨

監校郞廳禦侮將軍行龍驤衛副司果臣李琢

監造官彰信校尉行忠武衛副司果臣李聖望

監造官進勇校尉行龍驤衛副司果臣金克銑

<출처: 경상대 문천각>

 

조몽길 아들인 조응인(曺應仁, 1556~1624) 대구도호부사 교지(75㎝×51㎝)다. 만력 46년 1618년(광해10)11월 초구일 임명됐다.1618년 11월 9일~1619년 11월까지 종3품 대구도호부사(63세~64세)를 지냈다. “敎旨 曹應仁 爲中直大夫 大邱都護府使者 萬曆 四十六年 十一月 初 九日(교지 조응인 위중직대부 대구도호부사자 만력 46년 11월 초 9일)”

1728년(영조4) 무신혁명 조성좌(曺聖佐)의 8세손으로 경남 합천군 삼가면 이부마을 출생인 종손(宗孫) 조병용(曺柄溶)이 소장하고 있다. 조성좌는 조응인의 6세(5대)손이다.

※만력(萬曆) 42년 1614년(광해6) 10월 11일 정운원종공신(定運原從功臣)으로 책록된 사람들이다.​

정원군 이부(定遠君 李琈, 인조 아버지), 경창군 이주(慶昌君 李珘, 선조 9남, 조명욱 맏사위), 관찰사 이경전, 전 장령 정조, 부응교 한찬남, 영중추부사 이항복, 청성부원군 심희수, 덕평부원군 기자헌, 대사헌 윤효전(윤휴 아버지), 합천의 (용담)현령 조응인(曺應仁)·정언 조정립(曺挺立)·학생 조정생(曺挺生)·찰방 하혼 및 찰방 문경호와 생원 허종선(許從善)·정랑 정인함·진사 정인준, 삼가의 현감 권양·조차석(曺次石, 조식 아들)·진사 이간(李衎)·진사 이봉일(李奉一, 이흘 차남)·현감 박사제, 초계의 군수 이대기, 진주의 진사 하협(河悏)·학생 하선(河愃)·진사 정제생(鄭悌生), 의령 학생 정렴(鄭臁)·진사 이종욱(李宗郁), 함양 찰방 강린(姜繗), 산청 생원 박문영, 상주 낙동의 군수 조정(趙靖)·상주 매호의 찰방 조우인(曺友仁, 조응인 사촌동생), 거창 생원 형효갑·생원 윤영남(尹英男, 윤탕신 막내아들), 문창부원군 유희분, 보덕(輔德, 종3품) 조명욱(曺明勗, 조응인 11촌 조카) 등은 1등으로, 봉래부원군 정창연(2등), 삼가 참의 윤선(2등), 상주 부사 정경세(鄭經世, 2등), 합천 장령 강익문(2등), 창녕 생원 성이도(2등, 곽재우 사위), 하빈현 현감 이종문(李宗文, 조정립 사위인 이전·李瑑 조부, 2등), 남양주의 집의 정호선(丁好善, 2등, 정약용 7대조), 합천 설서 강대진(姜大進, 강대수, 3등)·학생 조정영(曺挺英, 3등), 삼가 생원 박건갑(3등), 첨지(정3품) 허균(許筠, 3등), 진주 학생 하항(河恒)·학생 하심(河忱)·진사 하각(河恪)·학생 하척(何惕) 3등, 사노(寺奴) 최응룡(崔應龍, 4등) 등은 2~4등급으로 750여명이 책록됐다.

위 조명욱(曺明勗)은 정6품 정언으로 있을 때인 1608년(선조41) 2월 25일, 영의정 유영경 편에 서서 1월 18일 전 공조참판 정인홍의 상소를 비판하는 등 영창대군을 지지했지만 정운원종공신 1등에 책록됐다. 조명욱 사돈이 광해처남인 유희분(柳希奮, 1564~1623, 조명욱 아들인 조실구 장인)이었다는 게 표면적 이유였지만, 11촌 아재비 조응인의 힘[力], 즉 정인홍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했을 거다.

 定運原從功臣錄券 

學生河愃

萬曆四十二年十月十一日都承旨臣李德洞敬奉

 

傳旨討賊臣子之至忠旣申沐浴之請酬勞人主之令典豈有大小之殊庸非一人之私玆率百王之舊顧予寡昧嗣守丕基毖後患而其懲在初服而祗畏何圖臣猾久稔陰謀罪已貫於滔天天下之惡一也禍實迫於凶國 國人皆曰殺之克翦其兇繄誰是賴斯不忘

 

:: 0003 ::

乎修捍用以紀夫旂常惟爾大夫越玆士庶忘死生而出力咸奔走而效勞凡係協贊之徒悉錄原從之列分輕分重各有不刊之功傳子傳孫共享無彊之祚故玆敎示想宜知悉定遠君琈仁城君珙義昌君珖慶昌君珘興安君瑅慶平君玏仁興君瑛寧城君㻑綾陽君倧綾原君俌綾昌君佺佶觀察使李慶全前掌令鄭造行護軍金緻副應敎韓纘男行判書趙挺前大司諫李好信行府使張世哲行牧使趙稶漢昌君趙國弼縣監權瀁行

 

:: 0004 ::

大司諫宋錫慶觀察使柳慶宗領中樞府事李恒福靑城府院君沈喜壽德平府院君奇自獻海川君崔有源嵩陽府院君金履元行大司憲尹孝全知敦寧府事閔馨男行府使李士慶察訪鄭逵生員崔明獻進士崔濩生員李升亨學生李光淑學生權憬學生朴重振權知學諭李瀷學生盧仁瑾郡守李大期府使金應成縣令曺應仁生員尹英男參奉鄭昌緖察訪姜繗生員成效奎生員禹悙生員朴文楧生員朴孝先正言曺挺立進士鄭

 

:: 0005 ::

悌生進士河悏生員許從善學生鄭滃學生曺挺生學生鄭昌世生員邪孝甲學生尹瑞男訓導李東勳學生盧▼(山+喜)學生李弘緖學生朴敏學生文弘曄學生朴昌道學生鄭穎達 生員韓會學生洪涉縣監姜遵進士李奉一學生申順蒙學生李見龍學生曺命世學生 李㠝學生李峻馠學生金秀南學生文▩學生成以忱學生郭翰邦學生鄭暄學生郭有道察訪李日章學生文益昌進士盧克亨學生楊尙立學生鄭▩進士李衍察訪鄭瀟學

:: 0006 ::

生鄭棱學生梁桓察訪河渾察訪文景虎前直長金錫光進士鄭仁濬學生李宗郁晉原府院君柳根及第申欽行判書李廷龜判書尹國馨承旨尹讓直提學鄭廣成豐安君任兗行郡守尹▼(日+吉)漢南君李必榮光城君鄭賜湖前司諫金止男掌令金質幹校理李民宬執義申景洛縣監柳潠持平南以俊直講朴梓正宋克訒司諫崔東式及第趙希逸義寧君宋諄副校理李昌後前正郞鄭雲湖副司果金昈佐郞鄭文翼持平趙存道驪城君李

:: 0007 ::

志完觀察使黃敬中行府使奇協行護軍成時憲行牧使睦大欽行府使鄭光績行都承旨南以恭參判朴彝敍觀察使權盼前行府使崔起南行司直任章參議柳澗承旨鄭岦參議柳潚輔德吳靖正曺明勖副校理洪霶牧使金壽賢檢詳權昕凝川君朴震元大司憲鄭協前承旨洪瑞鳳贈參判朴曾賢行郡守朴思齊前牧使李綏祿郡守李埈前縣監金聲發前獻納柳活前待敎洪敬纘前正言申得淵典籍尹知養佐郞權倜郡守趙靖前

:: 0008 ::

郡守趙翊前判官全湜進士黃廷幹生員金遠振進士宋光國生員金鳳儀學生李暻驪興君李尙毅參判崔濂府尹李馨郁韓昌君李慶涵文昌府院君柳希奮前參判金尙寯行府使康復誠判尹柳公亮及第金時言獻 納李弘望郡守趙纘韓前典籍李邃司果姜弘重領議政李德馨前行都承旨鄭曄前行護軍尹暘前承旨睦長欽佐郞鄭基廣注書李用晉龜川正睟茂林君亨胤完山府院君李軸生員蘇鳴國前行府使金闓前獻納柳

:: 0009 ::

希發及第李坪僉正車天輅平川府院君申磼同知趙存世參判李沖應敎李溟校理朴鼎吉前都事邊應垣郡守李景顔直講孫倜 前校理柳希亮參奉任錪前監察尹自莘縣令全有亨縣監柳起門前正郞金汝純正沈宗道前府使尹三聘正郞洪奉先前縣令尹起聘前監察李汝儉前行郡守尹鞏前縣監曺次石學生裴亨遠生員韓聲振進士李偉卿學生李德明參奉鄭文粹前直長金希範郡守李志和前直長韓德胤學生徐晫縣令

:: 0010 ::

李忭生員趙炯奉事李應祿生員申命休前直長李培學生申謹主簿申景遇前參奉李玉生員蔡謙吉正金夢虎察訪崔應虛司果金應翼縣監權睍前縣監權淳前縣監申景翼司果鄭勝司果李茂林主簿鄭演前司勇尹時男副奉事成光烈前校理閔有慶直長李獻諶司果金克銘前佐郞權得已正言裴大維察訪曺友仁監察宋榮祚保安君李奉貞前主簿李福長眞城君金起文月城君崔彦恂西河君方俊豪金原君李德章密陵君

:: 0011 ::

朴奉琳錦川君韓信等乙良定運原從功臣 一等蓬萊府院君鄭昌衍行知事閔夢龍判敦寧府事李輅參判柳寅吉漢山君趙振參議尹銑前承旨尹壽民參判南瑾參判李覮前行牧使任就正行護軍崔鐵堅僉知安克孝行護軍李馪生員申景禧直提學趙正立行府使鄭經世正韓彦忱前正郞趙有道直講朴弘道前掌令尹訒前判官林健縣監李昌廷縣監李涏察訪李馨遠前佐郞南宮㯳 前學錄趙烋奉事韓玉佐郞李埁縣監鄭道

:: 0012 ::

察訪鄭遵奉事趙翼男正郞鄭仁涵佐郞金中淸司直金克成前縣監鄭寅判官金致遠奉事金適掌令姜翼文直長吳汝檼郡守柳仲龍察訪李大約前參奉任屹前參奉權行可前參奉郭▼(山+晉)前別坐鄭允穆學生鄭雴許通李鳳吉生員李夢吉生員成以道學生梁機進士趙絅進士朴天祺學生朴柅前正郞李命男判官梁嶷司果李國弼前司果許寀副司果魚夢龍副司果李春馨副司果安旭前判官黃孝儀副司果李琢副司果柳浩前

:: 0013 ::

副司果李國男副司果李蕆副司果李聖望副司果金克銑行府使朴慶業縣監李宗文前郡守盧道亨前主簿趙英俊副司果河震副司果洪雴別坐慶選執義丁好善行護軍朴燁前行牧使徐景雨引儀沈綩參軍金植前縣監姜克裕等乙良定運原從功臣二等 僉知許筠前行府使成晉善佐郞李天樞前判官鄭榮國行護軍趙庭芝兼說書姜大進學生金泰學生曺挺英前縣監趙珩前縣監任琥前縣監申景逸縣監黃益中監察李文

:: 0014 ::

顯前都事李文榮前縣令權澍學生李元輿學生鄭澣學生趙範前別坐鄭斗源進士李鳳龍生員朴乾甲生員朴以儉生員李廷明生員李天柱學生邊逸學生崔潗行僉使申忠一前行府使李興立前府使朴孝生判官 李廷臣前郡守曺繼明學生金景杓學生趙 國廉前訓導韓海前訓導李大振生員李苙前參奉李茳進士李蒧進士李慕學生姜天民學生吳濟鷹師趙義敬學生閔泰亨學生閔泰恒學生盧俊彦訓導李應卨學生崔孝

:: 0015 ::

伯學生林大成學生盧仁瓚學生盧仁璡正字李慶伯進士李慶伸校理李尙弘行府使安應亨正郞李厚檢閱李久學生李阜學生李獻東學生李臥龍庶孼參奉李山光閑良李慶會閑良李樹閑良李無外學生鄭仁榮學生鄭沇學生鄭柅學生鄭槫生員李元燁說書李大燁生員李弘燁副修撰李益燁正郞朴自興生員李尙恒學生李英埴學生李光浩贈持平李惇學生李光沃學生李光漢侍直朴慶燁進士李耉翊前監役官朴楣學

:: 0016 ::

生趙裕善學生朴文燁學生朴名燁學生朴承燁學生朴中燁學生朴以燁學生朴又燁私奴朴從燁良人朴後燁學生朴胤庚學生金瑋學生朴汝橒學生朴胤禧學生朴胤福 忠義衛李恂私奴李柔立學生李慶元學生李震元學生李坤白學生李起元閑良李坤燁學生李懋閑良李坤明學生李時斗閑良李坤發學生李坤英學生李坤衍主簿崔元男校生李芝蓂學生河達遠學生河達溟學生河達悠學生河達久私奴河傍達學生河

:: 0017 ::

恒學生河忱進士河恪學生何惕進士河澄學生河憬學生河恂學生河愃學生河仁尙學生河智尙佐郞鄭敏興正郞朴大夏正郞梁克選佐郞李熽假引儀李廷郁贊儀郭邦健假引儀嚴德祿司藝閔頀學正朴守緖佐郞朴文浚副正字李惟達典籍林檜主簿崔玘兼參軍李敬仁正郞許涵佐郞尹偀正郞洪汝亮佐郞李宜活別提柳汝恒監役官鄭宗吉堅城君金彦海漢南君白應範蔚陵君林祐延陽君金繼韓尙膳李遇春尙膳朴天

:: 0018 ::

民尙膳高堅尙膳黃大翼尙膳崔大淸尙▩金擎國尙茶金天霖武陽君安彦鳳柰城君辛大容鰲原君朴忠敬花川君金禮貞尙膳金逸尙膳任得俊尙茶金大器直長柳洬別提李以健直長朴守謹參奉朴璨奉事鄭之經正字鄭信男忠義衛李懋守僕韓天雲守僕韓天龍司奴宋應琰署奴朴順男私奴孫應富羅將金春羅將金義龍羅將趙和璧羅 將白順書吏全彦弘書吏白景珍書吏金孝男書吏李忠男書吏文景祿書吏崔嗣李守

:: 0019 ::

門將尹崇禮書吏宋元福書吏金環書吏羅香福書吏張翰書吏朴元祥書吏朴麟書吏張明漢書吏姜德成書吏崔應立書吏韓雲壽書吏李守禮書吏崔應宬喝導兪者斤金喝導李大命喝導李莫同書吏崔得龍書吏金得亨書吏宣兌秋書吏金士男書吏姜德 龍書吏曹瓊書吏尹世獻書吏李壽長書吏李蘭祿書吏趙賢亮書吏金克福書吏崔孝男書吏朴義賢書吏郭守漢書吏金福書吏李景福書吏石鍊書吏李景茂書吏安義宗

:: 0020 ::

書吏尹應▼(穴/林)書吏金德龍書吏徐忠男書吏 池應澤書吏申福壽府奴安承吉書吏朴信立書吏龍友麟書吏金善尙書吏曹琛書吏徐大彦書吏金應宗書吏金仁國書吏梁英俊書吏池應津書吏曹孝悅書吏李孝男副司果李德顔書吏姜應望書吏鄭義民書吏崔大義書吏龍應澤書吏金五男書吏李仁龍書吏文應龜書寫崔暹書吏金應福書吏李福書員李得忠書員南勝龍司謁辛友男司謁朴擎南司謁李慶宗司鑰趙希珩司鑰

:: 0021 ::

李德斗司鑰高彦祥司鑰安禮男司鑰張壽男別監太道男別監趙賢傑別監安挺男別監車應雲別監韓好直別監朴仁恕別監李春馣別監金應獅別監任敬信別監卞得別監鄭義男別監姜末叱男別監韓泳別監李應珍別監李二男別監金末叱男別監羅終男別監安夢說別監金海生別監張得賢別監全忠吉別監金義忠別監金敬立別監宋蟲乃別監金斯興寺奴朴吾目寺奴金應國寺奴金泗龍寺奴韓德珍寺奴朴天元前司

:: 0022 ::

果宋信元前司果李士龜司果姜文伯禁漏權知梁德潤禁漏權知趙宗吉行護軍趙興男行副司直安正國主薄申得一直長李希憲直長李循僉正安頊參奉姜順儉錄事金元鳳錄事李愛日書吏李壽男書吏金墨石書員李世仁書員羅克仁寺奴鄭香壽署奴智德龍良人盧仁男署奴廉末叱實副司勇張連福寺奴任彦雲寺奴李永立寺奴金仁男曺奴李大男監奴李孝信良人安璟監奴吳得天署奴安仁男曺奴韓德龍良人張得

:: 0023 ::

信署奴廉忠實寺奴金忠一寺奴安瓘效力副尉朴振基前直長河潤海前直長梁達海錄事邊俊錄事安石起直長安禮男主簿安 景沂前敎授文大春前書題宋天祥書寫安繼雄副司果金順豪錄事孫慶道書寫朴順男監奴奇禮獻府奴李億根學奴李輔明副司果金好誠寺奴崔應龍副司果金應漢承議郞洪慶進前丞韓忠男鄕吏裴應祥丞嚴德元書吏崔忠獻書吏馬時鳳率丁洪慶男書吏羅茂仁副司正張應善私奴金應成院

:: 0024 ::

奴金世還書吏池應立書吏宋求福書吏梁麒書吏安福書吏李繼善書吏洪慶長司奴趙夢得私奴尹天慶私奴李英男副司果金宇鈴副司果李彦弘副司果李信欽副司果金業守免賤表正立宣敎郞李瑗善畫金岱吉副司果孫得男副司果柳成業畫史金希 吉宣務郞許德林樂生韓善國畫員嚴逸副司果金應豪畫員李得義唱淮李亨吉修義副尉楊萬里部將金光寶樂工韓生啓功郞鄭承雲宣務郞方承哲唱淮金德輝副司果

:: 0025 ::

朴演羽林衛李末叱守守藏廉夢男曺奴朴忠烈官奴張應斗私奴金得淳私奴金義生司奴金鎭生寺奴金仁兼司僕徐義一樂工李得良保人元洽府奴吳繼賢署奴金忠賢 粧冊全德已保人崔洛粧冊李得霖粧冊安彦立保人金仲男良人金者斤忠私奴車丁生正兵崔仇叱建署奴趙賢俊飯監趙銀化院奴張命男院奴徐繼男保人許有男私奴金德守私奴李龍鱗私奴鄭者斤金私奴崔莫金私奴白忠立院奴朴過難私奴李金司

:: 0026 ::

奴朱後雲良人金得香書吏權繼金學奴朴孝立司奴張凰私奴朴石乙屎保人朴應龍良人嚴祿匠人文世仁匠人許億龍良人鄭焞匠人朴大福匠人宋敬生匠人李光春私奴鄭賢私奴韓忠男正兵孫信匠人黃希雲 匠人李彦忠鄕吏李禹祥匠人洪必孫匠人朴希春匠人尹豆里私奴李忠男正兵金國 昌私奴李敬仁私奴吳信私奴孔寬私奴李得龍保人趙咸良人金守宗匠人金末叱直水軍朴立司奴智孝男府奴洪繼男私奴羅

:: 0027 ::

仲福私奴李德龍司奴金應虎樂生金尙私奴盧漢京私奴趙凡山官奴尹下仁庶孼李義先保人朴椅前主簿咸德立通德郞李馨白通德郞朴恕男良人李兢忠贊衛李許弄免賤盧今同免賤白敬末諸員車得私奴金松府奴鄭斗昇私奴鄭鐵壽私奴末叱松私奴允起驛奴朴仇加金曺奴朴繼宗私奴金桂羅將張希文羅將李戒男書吏金慶得書吏趙還璧書吏崔仁弘書吏朴忠烈書吏洪慶祥書吏李景命書吏李承全書吏崔彦厚

:: 0028 ::

書吏金光弼書吏金龍書吏鄭豹書吏安應壽書吏崔彦祥書吏宣愛熙書吏李彦祥書吏裴有雲書吏李士禮書吏曹仁男書吏吳景祿書吏朴孝一書吏嚴敬立宣務郞金泂書吏金大海書吏姜渭民書吏太時慶書吏張得賢私奴金戊生等乙良定運原從功臣 三等爲等如施行爲只爲下吏曹爲良如敎

萬曆四十二年十月十一日都承旨臣李德泂 敬奉

傳旨定運原從功臣一等乙良各加一資子孫

:: 0029 ::

承蔭宥及後世父母封爵二等乙良各加一資子孫承蔭宥及後世子孫中從自願加散官一資其中無子孫者兄弟壻姪中從自願 加散官一資三等乙良各加一資子孫承蔭 宥及後世爲乎矣各等通訓以上乙良子孫兄弟甥姪女壻中一人乙從自願加散官一資物故人乙良各依本等施行爲旀各追贈一資爲齊犯罪作散人乙良竝於本品敍用爲齊在喪及無故作散人乙良各加一資敍用爲齊永不敍用人乙良許通仕路爲齊職

:: 0030 ::

牒收取人乙良竝只還給爲齊妾子乙良限品安徐爲齊公私賤口乙良竝只免賤爲齊係于逆黨及因逆賊公事間事被罪者乙良官爵一款擧行安徐爲只爲下吏曹爲良如 敎

:: 0032 ::

定運錄勳都監

堂上效忠奮義翼社輸誠結義奮忠定運奮忠秉義夫幾亨難功臣崇祿大夫行禮曹判書兼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春秋館成均館事同知經筵事世子右副賓客廣昌君臣李爾瞻

堂上輸誠結義奮忠定運奮忠秉義亨難功臣賓憲大夫議政府右參贊兼同知春秋館事五衛都摠府都摠管靈原君臣朴楗

郞廳通訓大夫司僕寺正兼 世子侍講院弼善臣宋克訒

:: 0033 면 ::

郞廳通訓大夫掌樂院正知製敎臣鄭造

監校郞廳禦侮將軍行龍驤衛副司果臣盧道亨

監校郞廳禦侮將軍行龍驤衛副司果臣李琢

監造官彰信校尉行忠武衛副司果臣李聖望

監造官進勇校尉行龍驤衛副司果臣金克銑

 

http://yoksa.aks.ac.kr/jsp/aa/VolView.jsp?aa10no=kh2_je_a_vsu_21727_003&aa15no=003&aa20no=21727_003_0008

http://yoksa.aks.ac.kr/jsp/aa/VolView.jsp?aa10no=kh2_je_a_vsu_21727_003&aa15no=003&aa20no=21727_003_0008

[한국학디지털아카이브]

 

▣漢陽趙氏▣

 

01趙之壽 中書

02趙暉 摠管

03趙良琪 摠管

04趙暾 判書;龍城君

05趙仁璧 左相;襄烈公

06趙溫 蔭贊成;良節公

07趙育 蔭庫使

08趙衷孫 文司藝

09趙元綱 蔭監察

10趙光祖

10趙崇祖

 

 

▼원문보기40a 처음으로

[주:漢趙]06趙涓 文功;右台

07趙憐 蔭兵參

08趙云明 蔭判官

09趙英俊 進

10趙憲

09趙英傑 文判校

10趙壽崐

10趙壽岡

05趙仁沃 資憲;功忠靖;配;廟庭

08趙云從

09趙琮

10趙亨琬

06趙師 蔭僉正

07趙孟發 蔭縣監

08趙承源 蔭郡守

09趙瑋 蔭郡守

10趙光彦

06趙貫 同樞

07趙沖諝

08趙純明

09趙光 直長

10趙仁景 文

11趙璜

12趙忠儉

01趙光祖 文湖;大憲;靜庵;文正公;己卯名賢;李允泂 女

02趙容 郡守;李鏡女

03趙舜男 生希顔;崔澍女

04趙義賢 蔭監役;柳成民女

05趙松年 蔭郡守;權履中女

06趙漢叟 蔭奉事

07趙遠朋 蔭府使;尹世猷女

08趙文普 蔭縣監

06趙渭叟 蔭府使;李敏白女;辛喜道女

07趙百朋 蔭翊贊;李熙采女

08趙德普 蔭縣監;金鳳至女

09趙思齊 沈一羲女

10趙宅仁

11趙亨益

12趙獻敎 生亨漢;進

13趙鍾林 進;李基春女

10趙述仁 李坽女;李應和女

11趙亨觀 李志默女

12趙英敎 柳相胤女

13趙鐘膺 李雲綺女

 

 

▼원문보기40b 처음으로

07趙一朋

08趙得普

09趙思儼

10趙奎仁

11趙亨默 李述漢女

12趙錫敎

13趙鍾岳

11趙亨訥

07趙十朋 李堂揆女

08趙濟普 生百朋;姜碩賓女

09趙思忠 進;文牧使;申應河女

10趙國仁 蔭郡守;洪鼎萬女

11趙亨勉 蔭文;贈副學;生秀仁;李載延女

12趙命敎 進蔭;鄭德和女

09趙思近 丁錫震女;枊千之女

10趙秀仁 文校理;申應淵女

11趙亨晩 韓致應女

12趙性敎 進蔭;生亨觀;文三司;沈雯女

13趙鍾弼 進壯蔭;洪承祖女;文

14趙漢元 文

14趙海元

14趙洵元

13趙鍾翼 進文;李源植女

07趙益朋 移宗

08趙萬普 生淨

09趙思殷 蔭縣監

10趙基仁 蔭參奉;生鼎几

11趙亨復 蔭;文吏參;洪益健女

12趙升敎 進蔭;李宜翼女

13趙鍾純 生獻敎;蔭;韓致源女

 

 

▼원문보기41a 처음으로

[주:漢趙]12趙恒敎 進蔭;文三司;韓鎭庭女

01趙崇祖 蔭牧使

02趙希顔 蔭牧使

02趙希尹 進

03趙忠男 司議

04趙爾瞻 蔭都事

05趙昌門 蔭郡守

06趙時普

01趙憲 蔭郡守

02趙德源 文典翰

03趙公瑾 漢興君;梳翁

04趙贇 文應敎

05趙嗣昌 蔭僉正

06趙琇

07趙光世

05趙嗣文 蔭正郞

06趙瑀

07趙希萬

05趙嗣基 文三司;承旨

06趙璠 蔭衛率;眉門人

07趙文世

07趙緯世

08趙希聖

09趙東旭

10趙尙衡

11趙寬敎

07趙相世

06趙瑊

07趙弘世

 

 

▼원문보기41b 처음으로

07趙興世

05趙嗣迪 蔭縣監

06趙珌 文注書

07趙應世

04趙資 蔭監役

05趙嗣胄

06趙琯

07趙錫孝

08趙來淳

07趙錫悌 僉中

08趙來漢

09趙亨相

10趙尙謙 進

10趙尙熙

09趙貞相 文掌令

10趙尙薰

04趙質 司果

05趙嗣光

06趙

01趙壽崐 蔭察訪

02趙玹 蔭奉事

03趙翼男 蔭縣監;宋應一女

04趙絅 文衡;吏判;龍洲;淸白;金瓚女;文簡公

05趙威鳳 文應敎;鹿門;李命雄女

06趙九輅 蔭翊贊;睦來善女

07趙守元 李允修女

08趙戇 蔭縣監;李齊宇女

09趙鼎基 生恕;權嚴女

10趙錫耆 進;生觀基;李載績女

11趙濟華 進;文三司;生錫龜;韓鎭序女

12趙賢植 李源龜女

09趙觀基 蔭縣監

12趙彦植

 

 

▼원문보기42a 처음으로

[주:漢趙]07趙守仁

08趙愈

09趙德基 李之弼女

10趙錫和

11趙濟亨 生錫榮

12趙榮植 進

13趙鍾俊

07趙守誼 蔭牧使;洪重經女

08趙文承旨;生守弘;南耋女;李亨煥女

09趙弼基 生愚;申碩祿女

10趙錫璜

11趙濟憲

10趙錫琮 尹女

11趙濟赫 洪羲學女

06趙九畹 文;柳命天女

07趙守一 李允諧女

08趙恕 蔭參奉;生守弘;朴震文女

09趙鼎玉 蔭庶尹

10趙錫玄

11趙濟倫 生錫圭

12趙雲植 進蔭;縣監

07趙守弘 蔭

08趙思

09趙鼎臣 生恕;任希聖女

07趙守曾 同知

08趙憙 生守德

09趙謙基

10趙錫疇 進蔭;縣監

11趙濟升 蔭

12趙完植

09趙泰基

12趙寬植

 

 

▼원문보기42b 처음으로

09趙履基

10趙錫仁

07趙守道 進

08趙

09趙鼎實

10趙錫耉 蔭參奉

11趙濟賢

12趙寅植

06趙九疇 僉中

07趙守文 李道聞女

08趙應 沈錫禹女

09趙顯基 姜泰欽女

10趙錫一 生象基;尹弼襄女

11趙濟民 李廷一女

12趙明植 韓益相女

13趙鍾爕 文;黃學淵女

12趙昌植 李章河女

13趙鍾默 李用冕女

08趙悳

07趙守儉 文正郞

08趙

09趙象基 文正言;崔仁沃女

10趙錫麟 蔭;生宅基;李榏女

11趙濟說 金佑憲女

12趙元植 吳健泳女

11趙濟尙 尹永培女

12趙亨植 生濟說;李冕春女

11趙濟奭 李寬慶女

12趙蘭植 成夏明女

08趙慤 鄭昌聞女

09趙洛基

10趙錫友

 

 

▼원문보기43a 처음으로

[주:漢趙]08趙鄭思億女

09趙宅基 李廷一女;宋德晉女

10趙錫龜 文三司;承旨;李泰基女

11趙濟英 洪冕同女

12趙俊植 生濟華;韓喆愚女

10趙錫龍 進蔭;李秉五女

11趙濟豊 李民秉女

12趙永植 進

07趙守亮 崔遠大女

08趙慇 姜琳女

08趙㢜

07趙守欽

08趙恧

08趙懃

07趙守寬 沈海椽女

08趙恊

07趙守簡 沈海普女

08趙惒 姜世達女

09趙命基

 

 

▼원문보기43b 처음으로

04趙緱 李灝女

05趙威明 文三司;參判;松泉;李山賚女

06趙九鼎 蔭別坐

07趙守約 李浤女

08趙愿

09趙永成 尹揆一女

10趙錫圭 李養曾女

11趙濟南 李源爕女

12趙忠植;進;李漢度女

13趙鍾悳

12趙龍植 兪致元女

13趙鍾林

08趙愚

08趙懋

07趙守謙

08趙寧

09趙永寶

06趙九齡 蔭

07趙守德

08趙億

09趙益基

08趙意

01趙壽崗 蔭縣監

02趙瑋 文正郞

03趙俊男 蔭郡守

04趙纘 蔭縣監

05趙志顔 李翺晟女

06趙顓 武府使

07趙曼昌

07趙曼章 李鼎采女

08趙漢錫 夢賚亭

09趙鼎祥

10趙行源 進;柳敬性女

11趙秉夏 進;白東煥女

12趙

13趙鍾林 李膺信女

 

 

▼원문보기44a 처음으로

[주:漢趙]13趙鍾國 金在信女

14趙得允 金萬熙女

14趙福允

10趙天源

13趙鍾羽

10趙亨源

11趙秉魯

12趙

13趙鍾勳

01趙亨琬

02趙源

03趙光虞

04趙德秀

05趙鳴漢 進;生貫

06趙鳳徵 文都事

07趙元益

08趙葵陽 進

09趙錫晦 文

08趙普陽 文

09趙錫曦

08趙得陽

09趙曼

10趙顯浩

11趙龍釆

08趙宜陽 進

08趙夢陽 進

03趙光仁

04趙佺

05趙廷

06趙珩

07趙頵

08趙德純 文持平

09趙喜命

10趙性道

11趙居寬

12趙明復

13趙彦儒 進

14趙秉周

15趙泰容

16趙承基

 

 

▼원문보기44b 처음으로

08趙德隣 文三司;承旨;玉川

09趙喜堂 草堂

10趙遵道

11趙居信 生進道

12趙日復

13趙彦圭

14趙秉成

15趙銖容 生秉蓍

10趙運道

11趙居善 進

12趙星復

13趙彦國 文

14趙秉蓍 生彦綱

10趙進道 文磨巖

11趙居讓

12趙始復

13趙彦綱

14趙秉薰

15趙晉容

08趙德新

13趙彦紀

14趙秉瑛

15趙延容

08趙德賓

13趙彦經

14趙秉芝

13趙彦緯

14趙秉萬

12趙志復

13趙彦英

14趙秉直

13趙彦華

10趙近道

11趙居愚

12趙致復 生居讓

13趙彦敎

14趙秉洛

13趙彦敏

14趙秉赫

10趙述道 曉谷

11趙居晦

12趙端復

13趙彦翰 生致復

 

 

▼원문보기45a 처음으로

[주:漢趙]09趙喜常

10趙適道 生喜堂

11趙居簡

12趙克復

13趙彦弼

02趙濟

03趙光先

04趙貫 進

05趙承漢

06趙珪纘

07趙元震 同中

08趙處魯 文

01趙光彦 蔭府使

02趙抃 蔭察訪;己卯名人;貞翼公;琴齋

03趙壽麟

04趙詡

05趙國弼 文參判;漢昌君

06趙善 文三司

07趙世璧 進

07趙世圭

04趙詢 蔭參奉

05趙國廉 蔭僉使

06趙守善

07趙徵

08趙聖標

09趙爕 武郡守

10趙彦圭

11趙鑮

12趙世東

10趙彦塾

11趙鑅

12趙箕東

04趙誼 武兵使

05趙國哲 蔭縣監

06趙性善 進

07趙漢雲

08趙重遇

09趙彦炯 進

10趙海進

08趙重遂 僉中

09趙彦羽

10趙海馹

09趙彦一

10趙海升

04趙諶 蔭監察

05趙國老 蔭奉事

06趙耉 處士

07趙鳳興

08趙擢 僉中

09趙鼎重

10趙煥 生鼎大;宋運慶女

11趙奎泰 丁志淳女

12趙晃 申道鴻女

13趙鍾萬

 

 

▼원문보기45b 처음으로

11趙奎恒

12趙嚞東

11趙奎升 文承旨;丁載耉女

12趙奭東

13趙鍾璿 生進東

12趙昱東 金洛龜女

13趙鍾純 李寬敎女

12趙進東

13趙鍾皡 生啓東

12趙翼東 文三司

13趙鍾鶴 生昱東

12趙啓東 鄭義東女

13趙鍾秉

11趙奎復

12趙政東

09趙鼎大 李萬龜女

10趙

11趙奎應

12趙基東

13趙鍾夏

09趙鼎錫

10趙熅 金璞女

11趙奎珩 柳時俊女

12趙赫東 柳慶鉉女

13趙鍾雄 金始漢女

 

 

▼원문보기46a 처음으로

[주:楊趙]06趙耆

07趙龜興

08趙擴

09趙鼎九

10趙煒

11趙奎琬 生

12趙泰東

12趙升東

13趙鍾夔

09趙鼎三

10趙炯

11趙奎漢 金玄璣女

12趙賓東

04趙認 武僉中

05趙國俊 蔭判官

06趙鏊

07趙以進 文正郞;尹以置

08趙武範 文左尹;李樘女

09趙重日 蔭縣監

10趙嚞鉉 進蔭;奉事

11趙秀淵

01趙忠儉

02趙明壁

03趙默碩 進戶議

04趙次雲 進

05趙震泰 武宣傳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