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 한평부원군(漢府院君) 양경공(良敬公) 휘 연(涓)▣
따뜻하고 사람이 좋으며 악(樂)을 좋아한 온량호락(溫良好樂)의 양(良)과 일찍 일어나 종일토록 일을 공경히 처리하는 숙흥공사(夙興恭事)의 경(敬)의 시호를 받다.
처음의 휘는 경(卿), 자는 여정(汝靜)·여경(汝敬)이다. 1380(우왕6년) 음보(蔭補)로 7세에 산원(散員 : 정8품의 武職)에 이어 의영고(義盈庫) 주부(主簿), 군기감(軍器監) 직장(直長)이 되었다. 1386년(우왕 12년) 진사시에 급제, 반궁(泮宮:성균관의 별칭)에 들고 1392년(공양왕 3년) 공조총랑(工曹摠郞 :정4품)이 되었다.
외숙인 조선 태조 이성계의 건국을 도와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되어 전답과 노비와 좋은 말과 보검(寶劍)을 하사받고 18세의 젊은 나이에 천우위대장군(天牛衛大將軍)으로서 별운검(別雲劍:경호실장)이 되어 왕을 호위하였다. 개국 초 인심이 아직 안정되지 않아 대내를 입직 경호케 하니 궁내 출입을 마음대로 하게 된 공은 궐내에서 입직(入直) 시종(侍從)함에 사제(私第)에서 먹고 자는 것은 한 달에 4,5일이었다.
1396년(태조 5년) 과의상장군(果毅上將軍)에 승진, 이어 중추원(中樞院) 좌우승지(左右承旨)를 거쳐 동지삼군부사(同知三軍府事)로 제2차 왕자의 난에 이방원을 도운 공으로 1401년 좌명공신로 4등이 되었다. 1402년 우군총제를 거쳐 1404년 도총제를 역임하고 무과 회시에 감교관(監校官)이 되어 33명의 무신을 뽑았다. 성품이 온순한 문신이면서 상호군(上護軍), 판의용순금사사(判義勇巡禁司事) 등을 거쳐 1409년 길주도 도안무찰리사(都安撫察理使) 겸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 영길주목사(領吉州牧使)로 변방을 침범하는 모련위(毛憐衛)의 야인을 토벌하여 적장과 부하 수백인을 섬멸하고 포획하는 등 북방 개척에 큰 공을 세우고 돌아왔다. 1413년 공조 판서(工曹判書), 1420년(세종 2년) 의정부(議政府) 찬성사(贊成事), 지호조사(知戸曹事), 1421년 한평부원군(漢府院君), 1426년 우의정(右議政)에 제수되었으니 4대 조정에 역사(歷仕)하여 모두 총애를 받았는데 충효와 근검으로 세상에 모범이 되었다.
1418년 양녕대군을 폐세자 할 때 충녕대군을 세자로 삼아야 한다고 극간하였다. 주상의 총애함이 그지 없었고 존중함이 더욱 독실하였으며 간혹 휴가를 받아 쉴 때에도 특별히 온화한 말로 불러들였고 궁중의 내연에서 술잔을 주고받을 때에도 공을 부르도록 하였다. 1429년 병을 앓아 주상이 내의(內醫), 내관(內官), 내약(內藥)을 보내 연일 문병하였으나 56세로 졸하였다. 국가의 간성이며 왕실의 인친으로 젊은 나이에 뛰어나게 높은 벼슬에 올랐음에도 재산을 늘리지 않았고 남에게 교만함이 없이 늘 겸손·화목·돈후하여 양경(따뜻하고 사람이 좋으며 악(樂)을 좋아한 온량호락(溫良好樂)의 양(良)과 일찍 일어나 종일토록 일을 공경히 처리하는 숙흥공사(夙興恭事)의 경(敬)의 시호를 받았다. 세종은 제문에서 "공은 이성(李性)의 친척으로서 온공한 성격을 타고났다. 지난날 위태롭고 급박한 시기에 처하여 태종을 붙들어 도와 지모를 합하여 난을 평정하니 창업을 도운 풍후한 공이 맹부(盟府)에 기록되다. 태종의 현궁(묘소)을 지켜 나의 효도를 대신하니 내가 그 덕을 아름답게 여겨 깊이 잊지 않겠노라. 군신간의 의리야 어찌 존망에 간격이 있으리오.” 하며 애도하였다.
변한국대부인(卞韓國大夫人) 복산 김씨(1374~1455)는 좌참찬 입견(立堅)의 딸로 6자 1녀를 낳았으며 공과 배위의 묘는 파주군 월롱면 덕은리에 각장(各葬)이고, 별묘는 용인군 기흥면 보라리에 있다. 변한국대부인은 처음 양주군 태릉의 능역에서 임시로 줄촌에 옮겼다가 1933년 공의 묘역으로 다시 옮겼다. 파주시 월롱면 옥돌내길 121-16의 재실 덕은재에서 양위분의 연시제를, 용인시 기흥구 민속촌로 11번길 25의 부조묘인 보라재에서 양위분의 불천위 기제사를 봉행한다.
[통합대종회홈피자료]
728x90
반응형
'❀漢陽人문화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양조씨 시조 조지수 이하 2~5세조 유택(북한지역위치) (0) | 2025.04.25 |
---|---|
용인시-가천재 조사(嘉川齋 趙師), 첨지중추원사 조사(趙師),금화현령 조맹발(趙孟發),한양조씨 6세조 通政大夫 僉知中樞院事 趙師 가천재 조사(嘉川齋 趙師) (0) | 2025.04.22 |
◈한양조씨 파별 주요 세거지◈ (0) | 2025.04.18 |
해월정(海月亭) 조인벽(趙仁璧)선생시 (0) | 2025.04.14 |
제9대 유송공 성원(性元)~10대(1~2기)석암(昔庵)공 영환(榮渙)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