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陽人문화유적❀

◈南岳集 : 南岳 趙宗著 취숙(聚叔), 간재(艮齋), 남악(南岳) 總制公派◆通政大夫行淮陽都護府使南岳趙先生墓誌銘[崔錫鼎]◆

by 晛溪亭 斗井軒 陽溪 2022. 12. 27.
반응형

子 重呂字重卿號休川宣祖癸卯生庚午進士以遺逸除叅奉不就癸酉增廣文科歷三司與趙浦渚崔遲川朴久堂爲道義之交文章詩格爲張谿谷李澤堂所許丙子錄原從功居喪啜粥三年內艱哀毁成疾庚寅未闋而卒有文詩入箕雅贈吏叅

자 중려자중경호휴천선조계묘생경오진사이유일제참봉불취계유증광문과력삼사여조포저최지천박구당위도의지교문장시격위장계곡리택당소허병자녹원종공거상철죽삼년내간애훼성질경인미결이졸유문시입 

 

子二 宗著字聚叔號艮齋晩居終南山下靑鶴洞改號南岳辛未生七歲能屬文崔遲川奬詡葚重國庠儒林大文字盡婦焉己酉授童敎壬子擢文科歷銓郎司書東壁丙寅除淮陽己巳陞通政庚午卒有南岳集三卷艮齋新筒一卷配安東金氏父掌令大基上洛伯文慶后壬申生己卯卒◎墓親山階下酉坐合窆 明谷崔錫鼎玄谷朴世采撰誌

종저자취숙호간재만거종남산하청학동개호남악신미생칠세능속문최지천장후심중국상유림대문자진부언기유수동교임자탁문과력전낭사서동벽병인제회양기사승통정경오졸유남악집삼권간재신통일권배안동김씨부장령대기상낙백문경후임신생기묘졸◎묘친산계하유좌합폄 명곡최석정현곡박세채찬지

 

◆通政大夫行淮陽都護府使南岳趙先生墓誌銘[崔錫鼎]◆

◈南岳集 : 南岳 趙宗著 취숙(聚叔), 간재(艮齋), 남악(南岳) 總制

[Brief Biblographical Notes]

조선 시대 남악(南岳) 조종저(趙宗著, 1631~1690)의 문집이다.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취숙(聚叔), 호는 간재(艮齋)·남악(南岳). 아버지는 홍문관교리 조중려(趙重呂)이며, 어머니는 지중추부사 신경진(申景珍)의 딸이다. 본집은 윤자 의징(儀徵)이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하여 최석정(崔錫鼎)의 산정을 거친 고본을, 계자 의상(儀祥)과 손자 진희(鎭禧)가 1704년 교서관에서 운각활자로 인행한 초간본이다. 본집은 6권 3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수에 1704년에 최석정이 쓴 서가 있다. 권1~2는 시가 시체별로 수록되어 있고, 작품에는 영남의 비장으로 가는 최후상을 송별하며 읊은 〈송최주경좌영남막(送崔周卿佐嶺南幕)〉, 과제인 〈차황좌설후조조운(次黃佐雪後早朝韻)〉 등 6수, 최후상, 홍처량 등을 애도한 만시, ‘간재(艮齋)’라 자호한 후 당시의 심경을 술회한 〈자조(自嘲)〉, 우국충정으로 신종, 선조, 인조, 효종을 추모하고 표류한 한인의 상박을 애탄하며 지은 〈사억일탄시(四憶一歎詩)〉 등이 있다. 권3은 서(序), 기이고 권4는 서(書), 제문이다. 권5는 소로,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부묘를 청한 〈대관학유생청신덕왕후부묘소(代館學儒生請神德王后祔廟疏)〉 등이 있다. 권6에는 장인 김태기(金泰基)의 묘갈, 묘지, 교서등이 있고 부록으로 1692년에 최석정이 지은 묘지명이 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60년(현종 1) 성균관에 입학, 문명을 날렸으며, 그 곳 유생들을 대표하여 이이(李珥)·성혼(成渾)을 문묘에 배향하자는 등의 상소문을 찬(撰)하였다.

1667년에는 제주도에 표착한 중국인 95명을 청나라에 압송하는 문제로 조정에서 논의가 일자 압송을 반대하는 내용의 상소문을 올렸다. 1669년 동몽교관이 제수되었으나 어머니의 상을 당하여 귀향, 1672년 다시 복직하였다가 그해 겨울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에 들어갔다.

그 뒤 성균관전적에 승진하고, 이어 병조좌랑·시강원사서 등을 거쳐 문학 겸 지제교에 승진하였으며, 사간원정언·사헌부지평 등을 지낸 뒤, 1675년(숙종 1) 병조정랑이 되었다가 그해 복상문제(服喪問題)로 제2차 예송(禮訟)이 일어나 서인이 실각하자 면직되었다.

1677년 성균관사예에 임명되고, 이어 헌납이 되었으나 벼슬을 사직, 1680년 종부시정에 임명되었으며, 성균관사성 등을 거쳐 1686년 회양부사가 되어 때마침 흉년이 들어 굶주리는 백성들의 구휼(救恤)에 힘쓰는 등 치적을 쌓았다. 1689년 통정대부에 승자(陞資)되는 등 조정에서 포상이 내려졌으나, 이이·성혼이 문묘에서 출향(黜享)되자 병을 핑계로 등청하지 않았다. 문장에 뛰어나 장유(張維)·이식(李植)에 비유되었다. 또한, 역사에 밝았고, 천문·역수·의약에도 통달하였다. 저서로 『남악집(南岳集)』·『간재신사(艮齋新笥)』 등이 있다.

 

先生諱宗著褧叔。自號艮齋。晩居終南下靑鶴洞。改號南岳云。漢陽之趙。自勝國蟬嫣奕世。遠祖曰之壽。僉議中書。生暉雙城摠管。生良琪襲爵。生暾龍城君。仍世有勳伐。生仁璧龍源府院君。以太祖姊夫。際興王之運。遯居全節。謚襄烈。是生涓策國初佐命勳。封漢平府院君。官至右議政謚良敬。六世而至司憲府掌令諱應文。先生之高祖也。曾祖曰榮男。早卒不仕。祖曰幹儀賓府都事。考曰重呂弘文館校理。贈吏曹參判。能文章。有至行高識。號休川。妣曰平山申氏。知中樞景珍之女。判書文節公瑺之玄孫也。以崇禎四年辛未。生先生。少聰悟絶人。七歲能屬文。錫鼎先祖遲川公爲提誨之。奬許甚。庚子登國庠。儒林大文字。必歸於先生。如成李兩賢從祀。宋三賢從祀。啓聖廟神德王后祔廟諸疏。多先生所撰云。丁未漢人九十餘人。乘舟漂到耽羅。朝議將執送燕京。先生奮筆草疏數千言。極陳其不可。仍具別紙密論計策。屬淹疾伏枕。使其子儀徵投進。喉司拒不納。筮而遇艮之蠱。遂以艮扁其齋。己酉秋。授童蒙敎官。以母憂去。壬子服除復授。其冬擢文科別試。隷槐院陞典籍。移兵曹佐郞。俄遷侍講院司書。時今上在春宮。拘忌痘瘡。廢講者數月。先生疏陳其不可。請宮僚宿齋進講。顯廟賜批嘉奬從之。先生登筵講說。剖析經旨。間雜史乘。要以開發證曏。輒至日中昃。世子頗傾心焉。選部擬先生諫憲官。前後十數。終不遷。盖顯廟欲先生久於講官也。其明年陞文學兼知製敎。移拜司諫院正言。以應制文忤旨。除慶尙都事。以守宰親嫌不赴。拜司憲府持平。顯廟禮陟。差行狀撰集郞廳。移騎省。上新卽位。以初喪廢經筵。先生疏陳冲年講學爲急。居喪廢讀書非禮意。仍撰進冲年龜鑑。上優答。輟馬纓以褒之。又拜正言。圻甸告饑。民困於復土。北使車轍相屬。先生啓請緩催糴。賜明年半租。上不議于廟堂。悉從之。兩稅所减。殆數萬斛。圻民賴之。乙卯春。拜兵曹正郞。掌試湖西。秋出補襄陽。宿弊如洗。一境騰頌。御史以治最聞。民刻石以思。明年冬。以弘文館副修撰承召。未至。引疾辭遞。丁巳夏除成均館司藝。移獻納。時金相國壽興以議禮竄謫經歲。有叙命。臺臣方請收回。先生引避不與。尋又掌試湖南。道拜獻納。未久遞。自是杜門托疾。無仕宦意。凡拜修撰者五。副修撰者三。持平宗正者各一。司成者二。皆辭不就。庚申夏。始拜宗簿正。移司成軍資正。又入舊班爲副校理。臺官掇誣謗。遽論遞之。連除司成及軍資,奉常,司導諸寺正。獻納,掌令,執義等職。皆不就。退處廣陵者七年。蕭然以書史自娛。丙寅拜司諫。疏論勳裔冒屬者徵贖非宜。上下其議廟堂。遂寢徵布之令。時知舊以先生位遇差池。勸其在京進取。先生曰老少交惡。儒林相閧。禍將作矣。遂引疾辭遞。自是累拜執義,司諫,司成並不起。銓曹知其確然。無復出意。授以淮陽府使。先生喟曰此猶可以報效矣。佐民興學。治如在襄時。嶺西大饑。先生上疏請减春大同。又乞運京穀以救。上皆從之。方伯上政績于朝。己巳春。命特陞通政以褒之。時時事驟變。先生已有投紱意。及成李兩賢黜文廟。稱疾不卽奉行。得罪罷去。淮民刻金石以志去思。先生素患風。竟以庚午正月四日卒。享年六十。葬于楊州治北伊淡里。卽先大夫墓北麓云。先生娶安東金氏。高麗名臣方慶之後。司憲府掌令泰基之女。生三男。長儀徵文科前承旨。次儀鳳,儀祥進士。承旨君娶郡守柳命才女。有二男一女。男鎭禧,鎭祚。女適洪錫輔。儀鳳前娶承旨尹彬女無子。後娶士人朴成翼女。生一女。儀祥娶士人呂必升女。生一男二女。男鎭世。先生天資和易。與人語由由然。而其守甚確。貌若儻蕩不備。而中甚綜密。少孤奉申夫人。志物兩至。事姑如事母。事伯氏甚謹。視諸姪如其子。宅心主於恕。接物任其眞。其於褊忮刻礉之論。矯激表襮之行。非惟身不爲。見人有近是者。亦蹙然不樂。年未弱冠。慨然有志於問學。取四子諸書。熟讀窮硏。從浦渚趙相國講質。浦翁許以見解超詣。旋以痼病中輟。顧嘗好文辭。於書無所不覽。少嗜昌黎左氏。旣而貫穿百家。自闢堂奧。常以不朽事自期。其於文才天得也。辭則取裁於韓。理則原本於朱。爲章疏懇至明剴。必以指陳事情。開悟主聽爲主。眞所謂經世之文也。藥泉南相國常病先生應擧文字句鉤棘。及觀其散作古文及章疏。大異於功令。遂心許焉。詩不主一格。少作逼溫李之髓。晩攻五言古。嚌杜韓之胾。若其近體則白之馴也蘇之逸也。當代文垣鉅匠。率讓公一頭地。或曰谿谷於文得法品。澤堂得妙品。遲川得神品。而公之文亦可入於神品云。篤論者可以取衷也。所著詩文有南岳稿十數編。艮齋新笥一卷藏于家。記性過人。尤長於史傳。揣摩情形。根据義理。要歸於實用。歷代沿革典故法律。以至中國山川險阻。靡不淹貫通曉。有沈幾遠識。指言時事。久而愈徵。論度邊機敵勢。往往縣斷奇中。是不惟稽古之力然也。竺典稗說。亦皆搜獵領會。乘除星命堪輿醫藥諸家。多所旁通。而未嘗自多也。其誨人也。隨才設敎。廣譬善誘。使學者犂然有得。雖初學扞格之類。亦必諄諄開導不少懈。以故童蒙之成就者甚多。其治郡也。廉以禔身。恪以蒞事。明以察奸。至於爲民興除利害。孜孜如渴飢。寬征蠲賦。不事奇羨。而儲峙充牣。區畫處置。不求近效。務爲長遠慮。雖以吏治名者。聞先生理道。輒𥊼焉推服。少患疽。發髀幾危者數。沈淹床笫數十年。能葆嗇節宣。季年神精强茂。盖其攝養有方也。方其在痾。以著書垂後爲志。網羅我東君臣行事爲野史。屬草而書未成。平居穆然淸坐。終日看書。未嘗造請於人。性喜儉約。於外物奉身者。隨遇而安。所居凝塵滿席晏如也。早有當世之志。卷舒今古。出入王霸。嘗欲尊主威破朋黨。以振國勢。及立朝以來。見廷議不咸。駭機屢兆。輒色擧遠引。或棲遑郡符以自屛。未克展布其所蘊。惜哉。先生嘗謂不佞。先祖遲川公當丙丁搶攘之時。能主和議以存宗社。拒徵兵以扶大義。合於古人之經權。觀先生丁未一疏。非有諫官御史之言責者。不顧主議者猜怒。抗論不已。言雖不見用。其所以樹民彜張義聲則大矣。顧先生此疏。與先祖扶義。前後一揆。其心事議論。見於著述。後之人必有知之者。與錫鼎先君東岡公。契許最深。類古張范之遺。先君不幸中身棄世。先生有絶絃之痛。爲其平日相約爲傳。請文於先生。以銘其幽。先君歿後十年而哭先生。余髮已蒼唐矣。先生之胤承旨君授之狀。俾誌先生之竁。寧不簌然而涕乎。記錫鼎年十三。從先生受左氏傳。且得聞讀書觀史之法甚悉。先生每讀書。長吟徐嚼有餘味。聽者忘其倦。其誨人易寤而深喩。得於言語之表。亦以此。念先生父執也師表也。今於述墓之役。義不敢以不能文辭。謹叙次如右而詞以系之曰。

𨲠若先生。

冲乎其似有道兮。悗乎其若無營也。

敦復而自考兮。不隨俗以晦明也。

樂草玄之却掃兮。笑顩頤之相傾也。

昌厥辭而用老兮。掇百氏之精也。

惟江漢之浩浩兮。不可朽者名也。

後死者其有造兮。尙來古以徵之也。

崇禎後壬申。吏曹參判兼弘文提學崔錫鼎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