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https://blog.naver.com/asapshin/222629157041
◈선교장활래정주련(船橋莊 活來亭 柱聯)◈
◐蓮房朝洗墨(연방조세묵)
◑棗核夜焚香(조핵야분향)
☞연방(蓮房)에 머문 아침 먹을 씻고,
☞조핵(棗核筆)을 잡은 저녁 향을 사르도다.
◐荷氣沫丹壁(하기말단벽)
◑竹陰蘸綠天(죽음잠록천)
☞연꽃 기운은 붉은 벽에 뻗치고,
☞대나무 그늘은 푸른 하늘에 잠겼다.
◐繞嶼魚千里(요서어천리)
◑巡除鶴一雙(순제학일쌍)
☞섬(當州)을 돌아 물고기들은 천리를 헤엄치고,
☞섬돌을 따라 학들이 쌍쌍이 노니는구나."
◐山明神境悟(산명신경오)
◑林肅道心高(임숙도심고)
☞산이 깨끗하니 신선의 경지를 깨닫게 하고,
☞소나무 숲 엄숙하니 도심 높아지리라."
◐月華凉在水(월화량재수)
◑山影淡於雲(산영담어운)
☞달빛은 물속에서 깨끗하고,
☞산 그림자는 구름보다 맑구나.
◐遡源看水活(소원간수활)
◑拂漢寘亭孤(불한치정고)
☞근원을 거슬러 올라가니 물이 콸콸 흐름을 보고,
☞은하수 스쳐 외딴 정자를 세웠노라.
◐煙碧瀟相浦(연벽소상포)
◑州靑蘂館城(주청예관성)
☞안개가 푸르스름한 안개는 소상강(瀟湘江) 포구 같고,
☞푸르른 마을은 예관(강릉의 옛 이름)의 도성 같도다.
◐雲中新井臼(운중신정구)
◑林下古衣冠(임하고의관)
☞구름 속에서 (아낙들의) 물긷고 절구질 새롭고,
☞숲속 (은둔 선비)의관은 예스럽구나.
◐客來羊仲逕(객래양중경)
◑人在鹿柴圖(인재녹채도)
☞객은 양중(羊仲)의 오솔길처럼 찾아오고,
☞사람은 녹채(鹿柴)의 그림 속같이 있구나.
●부심찰활래정주련후(賦審察活來亭柱聯後)●
-활래정 주련을 세심하게 살핀 뒤에-
可欲 申喜澈
◐白雲中隱躅(백운중은탁)
◑夏月上更尋(하월상갱심)
☞힌 구름 속 은거한 자취,
☞여름에 또 찾으니
◐擧世包災菌(거세포재균)
◑一莊擁靜林(일장옹정림)
☞온 세상 수재와 코로나에 쌓이고,
☞선교장 고요히 숲에 안겨 있네.
◐活來長客少(활래장객소)
◑詞人久愁淫(사인구수음)
☞활래정 객이 줄어든지 오래되었고,
☞문장가 (세상에 대한) 근심이 어수선한지 오래라.
◐獨步懷柴逕(독보회채경)
◑孰能揆此心(숙능규차심)
☞홀로 양중경(羊仲逕)을 걷고 녹채(鹿柴)의 그림을 그리워하나니
☞누가 이 마음 헤아릴까~
◈선교장 활래정 주련(船橋莊 活來亭 柱聯)◈
◐蓮房朝洗墨(연방조세묵)
◑棗核夜焚香(조핵야분향)
☞연방(蓮房)에 머문 아침 먹을 씻고,
☞조핵(棗核筆)을 잡은 저녁 향을 사르도다.
◐荷氣沫丹壁(하기말단벽)
◑竹陰蘸綠天(죽음잠록천)
☞연꽃 기운은 붉은 벽에 뻗치고,
☞대나무 그늘은 푸른 하늘에 잠겼다.
◐繞嶼魚千里(요서어천리)
◑巡除鶴一雙(순제학일쌍)
☞섬(當州)을 돌아 물고기들은 천리를 헤엄치고,
☞섬돌을 따라 학들이 쌍쌍이 노니는구나."
◐山明神境悟(산명신경오)
◑林肅道心高(임숙도심고)
☞산이 깨끗하니 신선의 경지를 깨닫게 하고,
☞소나무 숲 엄숙하니 도심 높아지리라."
◐月華凉在水(월화량재수)
◑山影淡於雲(산영담어운)
☞달빛은 물속에서 깨끗하고,
☞산 그림자는 구름보다 맑구나.
◐遡源看水活(소원간수활)
◑拂漢寘亭孤(불한치정고)
☞근원을 거슬러 올라가니 물이 콸콸 흐름을 보고,
☞은하수 스쳐 외딴 정자를 세웠노라.
◐煙碧瀟相浦(연벽소상포)
◑州靑蘂館城(주청예관성)
☞안개가 푸르스름한 안개는 소상강(瀟湘江) 포구 같고,
☞푸르른 마을은 예관(강릉의 옛 이름)의 도성 같도다.
◐雲中新井臼(운중신정구)
◑林下古衣冠(임하고의관)
☞구름 속에서 (아낙들의) 물긷고 절구질 새롭고,
☞숲속 (은둔 선비)의관은 예스럽구나.
◐客來羊仲逕(객래양중경)
◑人在鹿柴圖(인재녹채도)
☞객은 양중(羊仲)의 오솔길처럼 찾아오고,
☞사람은 녹채(鹿柴)의 그림 속같이 있구나.
●부심찰활래정주련후(賦審察活來亭柱聯後)●
-활래정 주련을 세심하게 살핀 뒤에-
可欲 申喜澈
◐白雲中隱躅(백운중은탁)
◑夏月上更尋(하월상갱심)
☞힌 구름 속 은거한 자취,
☞여름에 또 찾으니
◐擧世包災菌(거세포재균)
◑一莊擁靜林(일장옹정림)
☞온 세상 수재와 코로나에 쌓이고,
☞선교장 고요히 숲에 안겨 있네.
◐活來長客少(활래장객소)
◑詞人久愁淫(사인구수음)
☞활래정 객이 줄어든지 오래되었고,
☞문장가 (세상에 대한) 근심이 어수선한지 오래라.
◐獨步懷柴逕(독보회채경)
◑孰能揆此心(숙능규차심)
☞홀로 양중경(羊仲逕)을 걷고 녹채(鹿柴)의 그림을 그리워하나니
☞누가 이 마음 헤아릴까~
728x90
반응형
'◐삶을 달래주는 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빙 앤 조이] 낯선 시간속으로.. '성찰의 도보여행' (1) | 2022.08.15 |
---|---|
■손곡산인전(蓀谷山人傳) (0) | 2022.08.02 |
조선백자 원주지역 가마터 (0) | 2018.03.03 |
유석 조병옥박사 생가 (0) | 2017.04.15 |
雪岳山(南雪岳)萬景臺(望景臺) (0) | 2016.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