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년도시향제례❀

◉한평부원군(漢平府院君) 양경공(良敬公) 조연(趙涓, 1374年 恭愍王23年~1429年 世宗11年) 부조묘(不祧廟) : 보라재(甫羅齋)(1)◉

by 晛溪亭 斗井軒 陽溪 2022. 11. 3.
반응형

◉한평부원군(漢平府院君) 양경공(良敬公) 조연(趙涓, 1374年 恭愍王23年~1429年 世宗11年) 부조묘(不祧廟) : 보라재(甫羅齋)◉

◈推忠翊載佐命功臣漢平府院君大匡輔國崇祿大夫右議政贈謚良敬漢陽趙公諱涓之不祧廟祭享◈

(우)1707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민속촌로11번길 25

(지번)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라동 398-11

■용인시 기흥구 민속촌로 11번길 25호■용인시 기흥구 보라동 398-11

■경기 파주시 월롱면 덕은리 507, 507-1, 산45번지 [묘시제향:음력10월3일] 

https://youtu.be/UGdQ4aeMxMw?t=168 

 

Daum 카페

 

cafe.daum.net

◐종가제례음식 : 경기.강원편◑

책소개

가문의 오래된 역사를 말해 주는 고택, 혈통의 근원을 상징하는 사당祠堂, 종부의 손때 묻은 장독대 등이다. 이를 한 단어로 요약하면 ‘오래됨’이 아닐까, 하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 ‘오래됨’은 특정 시기에 멈춰있는 과거회귀적 역사가 아니라 오늘날까지 살아 숨 쉬는 미래지향적 ‘오래됨’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종가문화 역시 지나간 시대의 박제된 문화유산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를 담고 있는 역사문화적 현장이라 할 수 있다. 종가문화의 전통은 대부분 ‘봉제사접빈객奉祭祀接賓客’에 녹아들어 있다. ‘봉제사’는 조상제례를 받드는 것이고, ‘접빈객’은 손님을 대접하는 일이다. 주목되는 점은 이들 모두 음식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즉 조상제례의 제사상에는 제물(음식)이 진설되고, 손님상에는 접빈음식이 차려지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음식은 종가문화의 핵심적 구성물이라 할 수 있는데, 다만 제례음식은 비일상 음식이고 접빈음식은 일상음식이라는 점이 다를 뿐이다. 대개 일상음식은 식문화가 달라짐에 따라 변화되게 마련인데, 종가의 일상음식 역시 종손과 종부의 세대교체에 의해 적지 않은 변화를 겪고 있다. 반면 제례음식은 비일상적 세계의 조상을 위한 것이므로 현재의 식문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편이다.

저자

저자 : 김미영 박사 (책임위원)
金美榮 Kim, Mi Young | 책임편집 | 경상편
안동대학교 민속학과를 졸업하고 인하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일본 도요대학교 사회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유교공동체와 의례문화』, 『유교의례의 전통과 상징』, 『가족과 친족의 민속학』, 『숭정처사의 삶을 살다, 봉화 팔오헌 김성구 종가』, 『도학의 길을 걷다, 안동 유일재 김언기 종가』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유교이념의 실천도구로서 음식」, 「조상제례의 규범성과 실제성」 등 다수가 있다.

저자 : 박모라
朴模羅 Park, Mo Ra | 경상편
대구가톨릭대학교 가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에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종가음식, 얼을 담다』, 『사찰음식, 수행을 이루다』, 『종가음식백선』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고조리서에 기록된 고명행위에 대한 소고」, 「경상지역 종가의 음식문화 기록화를 위한 심층인터뷰조사 연구」, 「경상북도 종가음식문화에 대한 소고」, 「스토리텔링을 접목한 상주향토음식개발-정기룡장군밥상을 중심으로」 등 다수가 있다.

저자 : 서해숙
徐海淑 Seo, Hae Sug | 전라편
전남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전남대학교 학술연구교수, 전북대학교 쌀·삶·문명연구원 HK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전남대학교 국문학과 강사로 출강하고 있다. 저서는 『호남의 가정신앙』, 『고전문학교육의 현재와 지향』, 『지역민속의 전승체계와 활용』, 『한국 성씨의 기원과 신화』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현대구전설화에 담긴 기억과 역사문화적 인식」, 『나주임씨 대종가의 불천위제례와 제례음식에 관한 연구』 등 다수가 있다

저자 : 김덕묵
金德默 Kim, Duk Muk | 경기·강원편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민속학과에서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민속기록학과 지역공동체아카이브』, 『민속종교 연구방법론』, 『전국의 기도터와 굿당』(전 3권)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유교의례와 무속의례의 친연성」, 「민속학의 공공성과 응용을 위한 방향 모색」, 「현대사회에서 민속학의 역할과 방법 모색」, 「민속학의 위상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개론서 집필 방향」 등 다수가 있다.

▣안성 경주정씨양경공 정희계종가

I. 양경공종가와 불천위 인물

II. 양경공종가의 불천위 제례

III. 양경공종가의 제례음식과 특징

IV. 양경공종가 제례문화의 현재와 미래

 

▣파주 장수황씨익성공 황희종가

I. 익성공종가와 불천위 인물

II. 익성공종가의 불천위 제례

III. 익성공종가의 제례음식과 특징

IV. 익성공종가 제례문화의 현재와 미래

 

▣용인 한양조씨 양경공 조연종가

I. 양경공종가와 불천위 인물

II. 양경공종가의 불천위 제례

III. 양경공종가의 제례음식과 특징

IV. 양경공종가 제례문화의 현재와 미래

 

▣이천 진주강씨 문경공 강맹경종가

I. 문경공종가와 불천위 인물

II. 문경공종가의 불천위 제례

III. 문경공종가의 제례음식과 특징

IV. 문경공종가 제례문화의 현재와 미래

 

▣양주 죽산안씨 양효공 안맹담종가

I. 양효공종가와 불천위 인물

II. 양효공종가의 불천위 제례

III. 양효공종가의 제례음식과 특징

IV. 양효공종가 제례문화의 현재와 미래

  https://blog.naver.com/jdi1132/222453098885  

 

조연 [ 趙涓 ]의 행장(行狀)

♠6세 양경공 휘 연(趙涓)♠ 조연(趙涓) 1374(공민왕 23)∼1429(세종 11).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 본관은 ...

blog.naver.com

▣조연 [ 趙涓 ]의 행장(行狀)▣

===저자 홍귀손(洪貴孫)===

 

●공(公)의 성(姓)은 조씨(趙氏)이고, 휘(諱)는 경(卿)이다. 뒤에 고친 휘는 연(涓)이다. 한양(漢陽)의 대족(大族)이다. 증조고(曾祖考)는 조양기(趙良琪)로 감문위 대호군(監門衛大護軍)을 지냈고, 조고(祖考)는 조돈(趙暾)으로 추충 익대 보리 공신(推忠翊戴輔理功臣) 벽상 삼한 삼중 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용성 부원군(龍城府院君) 문하 좌시중(門下左侍中) 제예의사사(制禮議司事) 상호군(上護軍) 행삼중 대광(行三重大匡) 용성군(龍城君)에 추증되었다. 선고(先考)는 조인벽(趙仁璧)으로 추성 양절 익위 보리 찬화 좌명 공신(推誠亮節翊衛輔理贊化佐命功臣) 보국 숭록 대부(輔國崇祿大夫) 문하 좌정승(門下左政丞) 판도평의사사(判都評議司事) 영경연사(領經筵事) 한산백(漢山伯) 행순성 익위 협찬 보리 공신(行純誠翊衛協贊輔理功臣) 삼중 대광(三重大匡) 용원 부원군(龍源府院君) 겸 판소부시사(判少府寺事)에 추증되었고 시호(諡號)는 양렬공(襄烈公)이다. 외조고(外祖考)는 환왕(桓王) 정릉(定陵)이다.

 

공은 홍무(洪武) 갑인년(甲寅年, 1374년 공민왕 23년)에 태어났는데, 온순 선량하고 돈후함이 천성(天性)에서 나와 6, 7세 되던 어린 시절부터 이미 그러하였다. 선광(宣光) 8년 9월에 공의 나이 7세 때 처음 산원(散員)에 제수되었고, 홍무 14년인 신유년(辛酉年, 1381년 우왕 7년) 3월에 의영고 주부(義盈庫主簿)에 임명되었으며, 을축년(乙丑年, 1385년 우왕 11년) 12월에 군기감 직장(軍器監直長)에 제수되었다. 서생(書生)들과 더불어 유학(遊學)하기를 좋아하였고 병인년(丙寅年, 1386년 우왕 12년) 봄에 진사시(進士試)에서 제13등으로 합격하여 반궁(泮宮, 성균관)에 들어갔으며 학문을 부지런히 온축(蘊蓄)하였다. 무진년(戊辰年, 1388년 우왕 14년) 6월에 승봉랑(承奉郞) 고공 좌랑(考功佐郞)에 임명되어 비어대(緋魚袋)를 하사받았고, 12월에 조봉랑(朝奉郞)에 승진하여 자혜부 판관(慈惠府判官)이 되고 자금어대(紫金魚袋)를 하사받았다. 기사년(己巳年, 1389년 창왕 원년) 9월에는 봉선 대부(奉善大夫) 통례문 부사(通禮門副使)에 임명되었고, 임신년(壬申年, 1392년 공양왕 양위년) 6월에는 봉상 대부(奉常大夫) 공조 총랑(工曹摠郞)에 임명되었는데 이때 공의 나이가 19세였다. 이달에 태조(太祖)가 천명(天命)에 응하여 혁명(革命)하였는데, 공을 운검(雲劒)의 직책에 임명하여 좌우(左右)에서 떨어지지 않게 하였다. 개국(開國)한 초기에 인심(人心)이 안정되지 않았으므로 임금이 그 친자(親子)들에게 명하여 3번(番)으로 나누어 심궁(深宮)에 입직(入直)하도록 하였는데, 이때 공에게도 그 입직하는 반열에 참여하게 하면서 문을 지키는 자에게 명하여 조경(趙卿)이 출입하는 것을 금(禁)하지 말라고 하였고, 또한 공에게도 명하기를, “비록 내가 내실(內室)에서 쉬고 있을 때일지라도 반드시 아무 때라도 출입하여 항상 곁에서 모시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공은 한 달 동안에 사제(私第)에서 자고 먹는 날이 겨우 4, 5일이었다. 평소에 부지런하고 성실하게 시종한 공로로써 포상(褒賞)하여 원종 공신(原從功臣)이 되어 전토(田土) 20결(結)과 노비(奴婢) 2구(口)를 하사받았다.

 

을해년(乙亥年, 1395년 태조 4년) 11월에 보의 장군(保義將軍) 의흥 시위사 상장군(義興侍衛司上將軍) 지합문사(知閤門事)에 임명되었고, 정축년(丁丑年, 1397년 태조 6년) 5월에는 절충 장군(折衝將軍) 신무 시위사 상장군(神武侍衛司上將軍)에 임명되었다. 무인년(戊寅年, 1398년 태조 7년) 8월에 공정왕(恭靖王, 정종(定宗))이 즉위하였는데, 이때에도 공은 충성과 정직한 신하로서 태조(太祖)에게 사랑받은 것과 다름없이 신임을 받고 몸을 보전하였다. 공에게 명하여 별감(別監)ㆍ소부(少府)ㆍ친시(親侍) 등 60여 명과 태조가 잠저(潛邸)에 있을 때의 심복(心腹) 10여 명을 거느리어 심궁(深宮)에 입시하고 곁을 떠나지 않게 하였으며, 마침내 통정 대부(通政大夫) 중추원 우승지(中樞院右承旨)에 제수하고 양마(良馬)와 보검(寶劍)을 하사하였는데, 이때 공의 나이가 25세였다.

 

기묘년(己卯年, 1399년 정종 원년)에 좌승지(左承旨)로 옮기어 왕명(王命)을 출납(出納)하는 임무를 명확하게 하여 그 직책에 걸맞게 잘해내었으며, 건문(建文) 2년(1400년 정종 2년) 4월에 가정 대부(嘉靖大夫) 삼군부 동지총제(三軍府同知摠制)에 임명되었다. 태종(太宗)이 잠저(潛邸)에 있을 때부터 공과 더불어 매우 도탑게 친애(親愛)하였는데, 태종이 세자(世子)로 봉해져 도독부(都督府)를 개설(開設)하게 되자 공을 절제사(節制使)로 삼아서 항상 궁궐 안에 있게 하였다. 세자(世子)가 선위(禪位)를 받아 보위(寶位)에 오르게 되자 공을 좌명 공신(佐命功臣)에 봉하였고, 3년 정월에 추충 익대 좌명 공신(推忠翊戴佐命功臣) 가정 대부(嘉靖大夫) 삼군부 동지총제(三軍府同知摠制) 상의의정부사(商議議政府事) 한평군(漢平君)에 봉해졌다. 그 교지(敎旨)에 이르기를, “왕이 다음과 같이 말하노라. 생각건대, 경(卿)은 국가의 간성(干城)이자 왕실(王室)의 인친(姻親)이고 또 어린 나이에 선발되어 높은 벼슬에 올랐는데, 뻐기고 자만하는 기색으로 남에게 교만하게 대하지 않았고 또 겸손하고 공경하는 마음으로 자신의 분수를 지켰으며, 그 말씨와 몸가짐에는 군자(君子)로서의 기상(氣象)이 넘치고 그 웅재(雄才)와 무략(武略)은 장수(將帥)로서의 재능이 탁월하였으니, 어찌 하늘이 이인(異人)을 태어나게 함으로써 우리 집안과 함께 어려움을 헤쳐 나가도록 해준 것이 아니겠는가? 그 마음가짐을 살피건대, 처음부터 끝까지 변하지 않았고 그 대절(大節)은 험난할 때나 평안할 때나 달라지지 않았으므로, 군부(軍府)에 벼슬을 내리고 군대를 거느리는 책임을 맡기어 의심하지 않았다. 내가 경을 알아준 것이 이와 같았고 경도 나에게 지우(知遇)를 받았다고 생각하여, 매양 성의와 정성에 의지하여 나를 가까이하여 친애하였다. 내가 잠저에 있을 때에도 조호(調護)하였고 인심이 위의(危疑)하는 때에도 나를 도와 거들어서, 나로 하여금 대위(大位)를 계승할 수 있게 하여 마침내 오늘날의 경사(慶事)에 이르게 되었다. 만약 경이 천명을 환하게 알지 못하였거나 하늘이 그 충심을 남몰래 유도(誘導)하지 않았더라면, 어찌 이렇게 해낼 수가 있었겠는가? 경의 그 큰 공적을 가상히 여기어 잊지 않고서 이에 유사(有司)에게 명하여 각(閣)을 세우고 초상(肖像)을 그리게 하고 비석을 새기어 공적을 기념하고, 선세(先世)를 추숭(追崇)하고 자손들을 무궁토록 용서하며 전토를 하사하고 노비를 내려 주며 이어 백금(白金)ㆍ문현(文絃)ㆍ구마(廐馬)를 내려 주는 바이니, 이것을 받도록 하라. 아! 경은 남다른 은전을 받았으니 더욱 충성에 힘쓰기를 바라며, 이에 교시(敎示)하노라.”고 하였으며, 그 노비를 하사하는 문권(文券)에 이르기를, “생각건대, 경은 성심을 다하여 왕실을 도우면서 오랫동안 나를 부지런히 보호하였으니, 그 공로가 가상하다.”고 하고서, 이어 노비 6구(口)와 전토 60결(結)과 내구마(內廐馬) 1필(匹)과 백은(白銀) 25냥(兩)과 표리(表裏, 옷의 겉감과 안찝) 각 1단(段)을 하사하였다.

 

임오년(壬午年, 1402년 태종 2년)에 가정 대부(嘉靖大夫) 승추부 총제(承樞府摠制)에 임명되었다. 이해에 임금이 대궐의 군사를 삼군(三軍)으로 나누고 공을 우군 장인 총제(右軍掌印摠制)로 삼았다. 영락(永樂) 원년(元年)인 계미년(癸未年, 1403년 태종 3년) 6월에 가정 대부(嘉靖大夫) 우군 총제(右軍摠制)에 임명되었으며, 을유년(乙酉年, 1405년 태종 5년) 봄에는 공이 왕명을 받들어 무과(武科)에서 강유(康裕) 등 28인을 선발하였다. 정해년(丁亥年, 1407년 태종 7년) 8월에 자헌 대부(資憲大夫) 도총제부 총제(都摠制府摠制)에 임명되어 판의용순금사사(判義勇巡禁司事)를 겸대(兼帶)하였다.

 

임금과 공은 마치 머리와 팔다리와 같아서 하루라도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관계였으므로 항상 궁액(宮掖) 사이에서 모시었는데, 그 무렵에 어리석고 미련한 야인(野人)들이 강성한 세력을 믿고서 의리를 배신하여 장차 삭방(朔方)을 점거하려고 하였으므로 국가의 걱정거리가 되었다. 이에 마지못하여 기축년(己丑年, 1409년 태종 9년) 겨울 12월에 임금이 공은 덕망과 위엄을 겸전(兼全)하여 그 습속을 잘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여기어 자헌 대부(資憲大夫) 길주도 도안무찰리사(吉州道都安撫察理使) 겸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 영길주목사(領吉州牧使)에 제수하여 그곳에 가서 삭방을 진압하도록 하였다. 이에 공이 궁궐에 나아가 절하고 하직 인사를 할 때 임금이 별실(別室)에 있었는데, 공이 마침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 황희(黃喜)와 함께 들어가서 아뢰기를, “신(臣)이 명을 받은 일이 적지 않습니다. 저 길주(吉州)는 경계(境界)가 호로(胡虜)와 접하여 있으니 만약 중대한 변고가 생기면 신이 혼자서 제어(制御)할 일이 아니므로 마땅히 조정에 보고할 것이고, 만일 산융(山戎)이 사이를 틈타서 노략질을 하면 장차 어찌해야 됩니까?”라고 하자, 임금이 이르기를, “성문(城門) 밖의 일은 장군(將軍)이 제어할 것이거늘, 어찌 나에게 물을 필요가 있는가?”라고 하고, 즉시 참지(參知) 황희(黃喜)에게 이르기를, “조공(趙公)의 이 말은 비록 우연히 한 말이지만 매우 확실한 논의이오. 경으로 하여금 이 말을 동참하여 듣게 하였으니, 뒤에 이와 같은 일이 있게 되면 의정부(議政府)도 또한 더불어 함께 면질(面質)하지 않으면 안 되오.”라고 하였다. 이에 공이 다시 배사(拜辭)하고서 삭방(朔方)에 부임하였는데, 과연 야인(野人)들이 쳐들어와 노략질을 하였다. 이에 공이 거괴(巨魁, 못된 무리들의 우두머리)를 무찔러 없애고 추격하여 내쫓음으로써 위엄을 북방(北方)에 떨치니, 임금이 그 공적을 가상히 여기고 특별히 궁중에서 빚은 술을 보내 주어 위로하였으며 그대로 그곳에 남아 임금의 교화를 펴도록 하였다. 이에 공은 은혜와 위엄을 보임으로써 그 풍속을 안정시키고 그들로 하여금 스스로 원하여 공물을 바치도록 하였다. 그 뒤 경인년(庚寅年, 1410년 태종 10년) 여름 4월에 소명(召命)을 받아 돌아왔다.

 

계사년(癸巳年, 1413년 태종 13년) 6월에 정헌 대부(正憲大夫) 공조 판서(工曹判書)에 임명되었는데, 이때 공의 나이가 39세였다. 병신년(丙申年, 1416년 태종 16년) 11월에 숭정 대부(崇政大夫) 판좌군도총제부사(判左軍都摠制府事)에 임명되었고, 경자년(庚子年, 1420년 세종 2년) 12월에 숭정 대부(崇政大夫) 의정부 찬성사(議政府贊成事) 지호조사(知戶曹事)에 임명되었으며, 신축년(辛丑年, 1421년 세종 3년) 12월에 보국 숭록 대부(輔國崇祿大夫) 한평 부원군(漢平府院君)에 임명되었다. 임금의 총애함이 그지없었고 존중함이 더욱 독실하였으며, 공이 간혹 몸이 편안하지 못하면 임금이 몹시 걱정하여 내의(內醫)와 내약(內藥)을 계속 잇달아 보내 주었고, 평시에도 또한 진기한 음식이나 좋은 물건들을 무시로 특별히 하사하여 매우 총애를 하였다. 또 간혹 휴가를 받아 쉴 때에는 특별히 온화한 말로 불러들였고, 궁중의 내연(內宴)에서 술잔을 주고받을 때에도 공을 부르도록 명하여 함께 술을 마시도록 하지 않은 적이 없었는데, 태도가 점잖고 예법에 들어맞아 어긋난 행동이 없었고 조용히 앞으로 나아가서 공경하고 근신(謹愼)하면서 잠시도 아첨하는 말을 하지 않았으며 또한 교만하게 구는 모습도 없었으므로, 임금이 일찍이 이르기를, “조연(趙涓)공은 말이 어눌(語訥)하면서도 정직하고 또 술에 취하는 일이 없으니, 함께 술을 마실 만한 자이다.”라고 하였다.

 

또 강무례(講武禮)를 거행할 때를 당하여 또한 공에게 명하여 어가(御駕)의 뒤에 있으면서 담론(談論)하게 하였고, 연(輦)에서 내려와 막차(幕次)에 이르렀을 때에도 매양 공을 먼저 불러들여 앉도록 해준 뒤에 더불어 이야기를 나누었으니, 그 총애와 대우가 뭇 신하들은 공보다 더 나은 자가 없었다. 임인년(壬寅年, 1422년 세종 4년) 여름 5월에 태조(太祖)가 승하하자 공은 마치 부모가 돌아가신 것처럼 하늘을 향해 울부짖고 땅을 치면서 여러 날을 밥조차 먹지 않았으며, 임금이 특별히 공을 불러 시릉(侍陵)하도록 명하자 지극한 정성으로 여막(廬幕)에서 거상(居喪)하면서 마음을 졸여 두려워하고 걱정하는 태도가 살아있을 때에 섬기는 것과 다름이 없었다. 복제(服制)를 마치는 날에 이르러 안장을 갖춘 양마(良馬)를 하사하였고 길복(吉服)을 입게 되자 부원군(府院君)에 개하(改下)하였다.

 

공은 벼슬이 여러 재신(宰臣)들의 윗자리에 있으면서도 마음은 평범한 필부(匹夫)의 아래에 있었고, 본래 남을 해치려는 마음이 없고 단지 남의 훌륭한 점을 성취시켜 주려고 하였다. 여러 대(代)를 내리 벼슬하면서 훈구 세신(勳舊世臣)으로 오로지 대신(大臣)의 도리를 다하여 뛰어난 공훈을 세우고 그에 걸맞는 상을 받았으며, 훌륭한 덕망을 쌓아 그에 걸맞는 벼슬에 올랐다. 선덕(宣德) 원년(元年)인 병오년(丙午年, 1426년 세종 8년)에 대광 보국 숭록 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 우의정(議政府右議政)에 임명되어 더욱 은총을 받았다. 공은 어린 나이에 처음 벼슬을 받은 이후로 묘당(廟堂)의 대신에 오를 때까지 재물이나 이익을 불리지 않았고 집안 살림의 유무(有無)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았으며 대수롭지 않은 녹봉처럼 하찮게 여기었다.

 

기유년(己酉年, 1429년 세종 11년) 가을 9월에 병에 걸리자 임금께서 내의(內醫)ㆍ내관(內官)ㆍ내약(內藥)을 보내 주라고 명하였고 연일 문병(問病)을 하였다. 공은 이에 손을 가슴에 모아 놀라고 감격하여 탄식하기를, “다시는 천안(天顔, 임금의 얼굴)을 뵈올 수 없으니, 내 목숨이 다했구나.”라고 하였다. 그해 겨울 10월 10일 초야(初夜)에 정침(正寢)에서 졸(卒)하였으니, 향년 56세였다. 임금이 부음(訃音)을 듣고서 매우 애석히 여기며 백관(百官)을 거느리고 거애(擧哀)하였으며, 이어 쌀과 콩을 합하여 모두 70곡(斛)과 종이 1백 50권을 하사하였다.

 

공은 타고난 자질이 총명하고 민첩하였고 성품이 양순하고 기량이 너그러웠으며 풍채(風彩)가 훤칠하여 눈에 띄었다. 네 임금을 섬기는 동안에 모두 총애와 대우를 받았고 왕실(王室)의 외척(外戚)으로서 충군 우국(忠君憂國)하는 마음이 천성에서 나왔으며, 벗들에게 신의 있게 대하고 친족에게 돈독하게 대하는 것을 마음속에 잊지 않았다. 남을 상대하고 사물을 접할 때에는 사기(辭氣)가 온화하고 후덕하였는데, 아깝게도 하늘이 수명을 좀더 오래 살도록 해주지 않았다. 

국조인물고 권1 상신(相臣) : 조연(趙涓)의 행장(行狀) : 글 홍귀손(洪貴孫)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