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의 향기를 찾아서

『상주목선생안(尙州牧先生案):함창현선생안』

by 晛溪亭 斗井軒 陽溪 2022. 8. 3.
반응형

역대 상주의 지방관들 260여 명의 명단을 기록하다
『상주목선생안(尙州牧先生案)』은 1549년(명종 4)에 도임(到任) 하여 1550년에 이임(移任) 한 전팽령(全彭齡, 1480~1560) 목사(牧使)를 시작으로, 1995년 지방자치단체장 직선제로 당선된 김근수(金瑾洙) 상주시장에 이르기까지 상주목사(尙州牧使), 상주군수(尙州郡守), 상주시장(尙州市長) 등 역대 상주의 지방관들 260여 명의 명단을 기록하였다.
『상주목선생안』은 단순히 상주에 부임된 목민관들의 인명만 기재된 것이 아니라, 행정 체재 개편에 따른 상주의 명칭 변경, 지방관들 자호(字號), 출생연도, 최종 관직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도 수록되어 있다. 또한 목민관과 함께 24명의 상주판관(尙州判官)과 10명의 부군수(副郡守), 6명의 부시장(副市長) 명단 및 부가 정보도 들어 있다.
조선시대 지방관의 임무는 농상성(農桑盛), 간활식(姦猾息), 학교흥(學校興), 사송간(詞訟簡), 부역균(賦役均), 호구증(戶口增), 군정수(軍政守)로 표현되는 이른바, 수령칠사(守令七事), 로 정리할 수 있는데, 『상주목선생안』을 통해 상주목민관들의 ‘수령칠사’를 종합적으로 고구(考究)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발간사
머리말
일러두기
해제 상주 지방관들을 이야기하다
국역 상주목선생안
원문 尙州牧先生案
영인본 상주 지방관들을 원문으로 만나다

작가 : 상주박물관 (엮음)

 

상주목선생안(尙州牧先生案)
SANGJU MOKSEONSAENGAN

[咸昌縣先生案]

曺倜

李滋

禹碩孫

蔡申保

辛紹

辛幹父

趙良弼

琴元福

高尙顔

鄭鐵堅

羅德元【甲午日到任己亥日瓜歸】

洪思古【己亥十二月日到任甲辰十一月日瓜歸】

柳焞【乙巳正月日到任丙午二月日遆任】【火邊犯 御諱 塗去火邊只存享字】

沈悰【丙午五月日到任戊申十一月日遆任】

南以傑【戊申十二月日到任癸丑正月日瓜歸】

堂上金善徵【癸丑二月日到任戊午二月日遆任】【善政立碑】

柳信男【戊午三月日到任辛酉二月日遆任】

堂上金景說【辛酉三月八日到任壬戌六月十九日遆任】

鄭宗吉【壬戌十二月十三日到任癸亥四月日遆任】

堂上朴耆賢【癸亥五月初六日到任同年十二月日遆任】

司馬李應蓂【甲子二月初二日到任庚午十一月日遆任】

善政立碑閔汝欽【戊辰正月十九日到任庚午十一月日遆任】

堂上許坪【辛未正月初六日到任壬申正月十二日遆任】

權寂【壬申二月二十三日到任丁丑六月十八日瓜歸】

李祥慶【丁丑七月十六日到任己卯六月日遆任】

邊命益【己卯八月初一日到任甲申二月日遆任】

鄭昌詩【甲申四月初一日到任同年十一月日遆任】

李命益【甲申十二月十九日到任戊子二月初二日遆任】

李叔鎭【戊子三月初一日到任壬辰十二月日遆任】

柳壽昌【癸巳二月初二日到任丙申八月十四日遆任】

金洪慶【丙申十月日到任丁酉十二月二十八日遆任】

許岦【戊戌正月二十七日到任庚子十月初三日遆任】

李最晩【庚子十一月七日到任乙巳三月十六日遆任】

沈若溟【乙巳四月二十二日到任己酉八月二十五日遆任】

韓公佖【己酉九月二十五日到任庚戌十二月十四日遆任】

趙持綱辛亥正月二十六日到任同年十一月二十二日遆任

韓億【壬子正月初一日到任乙卯六月十六日貶遆】

文科金益華【乙卯八月二十日到任同年十二月十八日貶遆】

文科李公泂【丙辰二月初四日到任戊午六月初八日貶遆】

文科李后沆【戊午八月十六日到任庚申九月日修撰拜貶遆】【淸德立碑】

吳道宗【聞慶兼任同縣還上虗錄遆】

司馬李始興【甲子七月初七日到任己巳四月日瓜歸】

司馬李籜【己巳六月初九日到任癸酉十二月日瓜歸】【大同未色不正惠卽摘奸遆】

司馬李蘊【甲戌二月初二日到任乙亥五月日巡撫使啓遆】【善政磨崖】

全克泰【乙亥七月初四日到任丙子三月二十三日瓜歸】【御使罷遆】

司馬尹以豊【丙子四月十九日到任戊寅六月日貶遆】【善政磨崖】

司馬南哲明【戊寅七月十八日到任己卯十一月二十一日】【尙州兼任生猪進上則封事罷遆】

司馬李時鼎【庚辰正月初四日到任辛巳六月日貶遆】

司馬兪道重【辛巳九月日到任丙戌六月十五日瓜歸】

司馬李明觀【丙戌九月初六日到任己丑正月初四日辭狀遆】【淸德立碑】

司馬朴泰遠【己丑二月十三日到任甲午正月十六日瓜歸】

金明錫【以禁府都事甲午二月十二日除授四月月初一日到任乙未九月初一日以身病辭遆】

司馬朴泰舒【以典牲署主簿乙未十月初六日政除授十一月二十四日到任庚子九月十八日瓜歸】

尹東魯【以氷庫別提庚子十二月二十七日政除授辛丑正月二十八日到任壬寅三月十五日移拜金山郡守】

司馬尹盛績【以禁府都事壬寅三月二十七日政除授五月十一日到任甲辰七月十四日以大同木上納事該㕔入啓罷遆】

權授【以禁府都事甲辰七月十八日政本職除授同月二十一日到任乙巳三月二十六日臺啓罷遆】

司馬李顯道【以東氷庫別提乙巳四月二十日政本職除授六月初十日到任戊申六月日貶遆】

司馬南近明【以前禁府都事戊申七月初八日都政本職除授八月初十日到任癸丑三月瓜歸】

元命恒【以平市令癸丑三月二十七日都政本職除授五月二日到任六月初五日別世】

司馬郭鎭基【以掌樂院主簿癸丑六月初九日政本職除授乙卯十月初四日到任以身病辭遆】

司馬李䌖【以刑曹佐郞乙卯十一月二十一日到任己未四月十三日別世】

司馬具萬喜【通訓以漢城判官己未四月十八日政本職除授五月二十六日到任庚申六月日貶罷遆】

司馬李宗遠【以軍資監判官庚申七月十三日政本職除授八月十九日到任甲子六月日以身患辭遆】

司馬朴鳳漢【以刑曹佐郞甲子七月初二日政本職除授八月二十九日到任己巳三月二十五日都政瓜歸】

趙載世以司憲府監察己巳三月十六日政本職除授四月二十六日到任甲戌二月二十五日都政瓜歸

司馬韓夢弼【以司憲府監察甲戌二月二十五日政本職除授三月十九日到任戊寅六月日貶遆】

司馬金魯【以刑曹正郞戊寅十月十八日政本職除授十一月十一日到任己卯六月初六日在喪遆歸】

徐命應【以軍資監判官乙卯六月十一日政本職除授閏六月十九日到任壬午五月祈雨御使啓罷遆】

司馬辛宅寧【以禁府都事壬午六月初九日政本職除授七月初三日到任丙戌十一月十五日在喪遆歸】

趙廷瑗以貞陵令丙戌十一月二十三日政本職除授庚寅正月初十日到任月日瓜歸】【褒貶中點下

金履鐸【以前三嘉縣監庚寅正月初十日政本職除授同月二十八日到任同年十一月日貶遆】

金致誠【以典設司別提庚寅十二月二十五日政本職除授辛卯正月二十日到任壬辰三月十四日】【邑民金辰九山訟事擊錚罷遆】

司馬柳凝之【以北部都事壬辰三月十四日政本職除授四月十九日到任丙申十二月二十九日政移拜敦寧府判官瓜滿】

司馬李潤明【丙申十二月二十九日大政以貞陵令來丁酉正月二十日到任丁酉八月十六日京罷】

司馬李憲洛【丁酉八月十六日以尙衣主簿 除拜九月初十日到任己亥十二月二十七日以大同過限拿罷】

兪漢鼎【庚子正月初一日口傳政以平市令本職除授同月二十四日到任同年六月日貶遆】

朴光海【庚子六月二十二日都政本職 除授七月十五日到任辛丑十二月日拿罷】

南行李廷衡【辛丑十二月十五日政本職 除授壬寅正月十三日到任乙巳五月移拜黃海道金川郡】

司馬柳秉均【乙巳五月二十五日政以 永陵令本職 除授六月初十日到任己酉六月二十日都政移拜白川郡】

南行鄭斗榮【己酉六月二十八日以都政長陵令本職 除授同月晦日到任庚戌四月二十九日以兼任尙州還穀虛錄遞罷使之待待命病未登程五月十六日別世於作廳】

司馬羅烈【庚戌五月晦日政以工曹正郞本職除授辛亥八月十二日以新安書堂事大臣 啓罷】

司馬朴喆源【以厚陵令乾隆五十六年辛亥八月十二日政本職除授九月初六日到任壬子七月初二日以大同上納船運破船事罷職】

南行李榮運【壬子七月初三日政本職 除授同月十一日到任癸丑十二月二十六日政江原道通川郡守移拜】

司馬金成鎭【癸丑十二月二十六日政本職 除授甲寅正月十三日到任同年十一月二十七日吏曹啓罷】

文科朴載淳【甲寅十一月二十七日本職 除授十二月初四日到任乙卯九月初八日平安道順川郡守相換】

武科李秉道【乙卯九月初八日以順川郡守相換十月二十二日到任丙辰七月二十一日以德通驛村後山訟事京罷】

文科申光岳【丙辰八月初四日以振威縣令相換到任丁巳七月初八日康翎縣監相換赴任】

南臺鄭宗魯【丁巳七月初八日政康翎縣監相換同月十九日到任同年十月晦日呈辭還歸十一月初八日狀遆】

司馬趙雲絅丁巳十一月十五日政除授同月二十一日到任戊午十一月初六日喪逝

南行朴澈源【戊午十一月日以肈慶廟令本職除授己未二月初日遭內艱遆歸】

南行權中執【己未二月十九日以中部令到任甲子二月十二日瓜歸還拜中部令】

南行尹弘鎭【甲子二月十三日政以儀賓府都事本職 除授同月二十二日到任戊辰十二月日瓜歸還拜典牲寺判官】

司馬李秉運【戊辰十二月二十二日政以 永禧殿令本職除授甲戌六月二十四日得代實歷二千日以賑恤事自 營門狀聞加一等】

司馬金熙臣【甲戌六月二十四日 政以北部令本職除授七月初六日到任戊寅六月十一日政移拜江原道杆城郡守】

南行金最根【戊寅六月十一日 政以 敬陵令本職 除授二十九日到任壬午六月二十五日貶中點下】

司馬金在星【壬午六月二十五日 政以 宗親府典簿本職 除授七月二十一日到任乙酉十二月初五日 政移拜公淸林川郡守】

司馬尹滋畊【乙酉十二月初五日政以 永禧殿令本職 除授三十日到任 丁亥十二月二十二日政移拜道內大邱判官】

司馬李鳳九【丁亥十二月二十二日 政以義禁府都事本職 除授戊子正月十三日到任 庚寅七月初三日 政移拜江原道歙谷】

司馬洪應謨【庚寅七月初三日 政以慶基令 本職 除授八月初九日到任 癸巳四月十四日卒逝】

朴長馣【癸巳四月十八日 政以奎章閣兼檢書官本職 除授五月初八日到任丙申十二月二十五日 政移拜京畿道振威縣令】

趙基亨丙申十二月二十五日 政以社稷署令本職 除授丁酉正月十九日到任四月二十三日遭外艱喪遆歸吏金致鴻

元有永【丁酉五月初三日 政以檢書官本職 除授同月十九日到任辛丑六月日貶罷】

趙雲容辛丑六月二十四日 政以 宗廟令本職 除授同月二十五日謝恩七月十八日到任 癸卯十一月二十五日 政移拜忠淸道報恩郡

朴泰浩【癸卯十一月二十五日 政以氷庫別提本職 除授十二月二十九日到任丙午十二月二十五日政移拜全羅道昌平縣令】

司馬徐兢淳【丙午十二月二十五日 政以刑曹正郞 本職 除授丁未正月二十二日到任辛亥六月二十六日 政移拜永川郡守】【善政立碑】

李圭秉【辛亥六月二十六日 政以 惠陵令本職 除授七月二十八日到任甲寅十二月二十五日政以咸鏡道高原郡守移拜】

司馬成元鎬【甲寅十二月二十五日政以 仁陵令本職 除授乙卯正月二十四日到任丙辰四月初六日卒逝】【善政立碑】

趙萬兢丙辰四月十五日政以 孝陵令本職 除授五月十二日到任戊午三月日繡 啓罷黜

李源永【戊午三月二十六日 政以 孝陵令本職 除授四月二十七日到任庚申十二月二十日政以江原道杆城郡守移拜】

鄭翼永【庚申十二月二十日政以 社稷署令本職除授辛酉正月二十五日到任甲子正月二十日都 政移拜咸鏡道文川郡守】

司馬閔應善【甲子正月二十日都 政以 仁陵令本職 除授二月二十二日到任丙寅七月十五日都 政移拜京畿道交河郡守】

司馬金鳳鎬【丙寅七月十五日都政以景慕官令本職 除授八月十五日到任十月十八日遭艱】

司馬尹獻采【丙寅十一月初四日政以瓦署別提本職除授同月二十七日到任己巳六月日貶罷】【善政立碑】

司馬姜潁秀【己巳六月二十四日都 政以 貞陵令本職 除授七月十九日到任癸酉正月初二日 政移拜全羅道珍山郡守】

司馬李晩昇【癸酉正月初二日都 政以司憲府監察本職 除授二月初十日到任丙子正月三十日都 政移拜慶山縣令】

趙鍾純丙子正月三十日都 政以翊衛司衛率 本職 除授三月十八日到任戊寅五月日繡 啓罷黜

曺鎭億【戊寅六月十三日都 政以 崇陵令 除授本職 七月二十八日到任辛巳正月十四日政移拜溫陽郡守】

閔泳悅【辛巳正月十六日 政廣興倉令 除授本職三月初八日到任壬午十月二十七日 政相換兎山郡守】

司馬朴宣陽【壬午十月二十七日 政以兎山縣監相換 本職 癸未正月十二日到任十月三十日 政移拜麻田郡守】

鄭禹達【癸未十一月初九日 政除授本職同年同月十五日政相換和順縣監未赴任】

朴齊性【癸未十一月十五日政以和順縣監本職相換同年十二月二十八日到任丙戌正月三十日政移拜京畿加平郡守】

李奎學【丙戌正月三十日政以通訓大夫禮賓主簿本職 除授同月二十八日到任戊子二月二十七日政移拜江原道高城郡守】

趙元植丁亥二月二十七日 政以忠淸道靑陽縣監移拜本職同年四月二十八日到任戊子正月二十八日政移拜梁山郡守

沈定澤【戊子正月二十九日政以通訓大夫司僕寺主簿本職 除授同年三月十三日到任己丑正月三十日政移拜河陽縣監】

李鶴秊【己丑正月三十日都政以全羅道臨陂縣令除授本職同年三月初三日政仍除授臨陂縣令未赴任】

申台善【己丑三月初四日 政以慶山縣令本職 除授四月初四日到任庚寅八月日以民擾事啓罷】

金雲培【庚寅】

郭致秊【壬辰】

李根哲【乙未八月日本職 除授九月二十五日到任丙申六月免歸】

鄭基旭【丙申六月日 政以江原道金城郡守移 除本職以前職事免官未赴任】

朴淵德【丙申七月十九日 政以機械局委員本職 除授同年八月十三日到任己亥七月日免歸】

趙炳淳己亥六月二十五日 政以忠靑道唐津郡守移 除本職八月十一日到任庚子三月十三日 政移拜延日郡守

金大鎭【庚子三月十一日 政以正三品通正大夫侍從院侍從本職 除授同年十月十七日 政移拜京畿交河郡 到任四月日初六日】

丁憙燮【以全羅道咸悅郡守庚子十月十七日政移拜本職辛丑正月二十一日赴任五月 日政移拜英陽郡守】【本羅州居忠州】

金光濟【以武蔭正三品辛丑五月 日政除移本郡六月 日 到任辛丑十一月三十日移拜聞慶郡守 家在聞慶】

李寅聲【以通正大夫開寧郡守辛丑十一月三十日移拜本職同十二月二十一日赴任同月二十六日政移拜仁同郡守完山後人家在丹陽】

張錫五【以仁同郡守辛丑十一月二十六日政移拜本郡十一月 日到任癸卯六月二十八日免歸 家在仁同】

金基洙【以宮內府奎章內閣主事癸卯六月二十八日 政除拜本郡同年八月十九日到任甲辰十二月 日貶歸 家在皇城苑洞】

金光黙【以全羅北道咸悅郡守乙巳正月二十三日移拜本職三月二十四日到任丙午正月十六日免歸】曺倜

李滋

禹碩孫

蔡申保

辛紹

辛幹父

趙良弼

琴元福

高尙顔

鄭鐵堅

羅德元【甲午日到任己亥日瓜歸】

洪思古【己亥十二月日到任甲辰十一月日瓜歸】

柳焞【乙巳正月日到任丙午二月日遆任】【火邊犯 御諱 塗去火邊只存享字】

沈悰【丙午五月日到任戊申十一月日遆任】

南以傑【戊申十二月日到任癸丑正月日瓜歸】

堂上金善徵【癸丑二月日到任戊午二月日遆任】【善政立碑】

柳信男【戊午三月日到任辛酉二月日遆任】

堂上金景說【辛酉三月八日到任壬戌六月十九日遆任】

鄭宗吉【壬戌十二月十三日到任癸亥四月日遆任】

堂上朴耆賢【癸亥五月初六日到任同年十二月日遆任】

司馬李應蓂【甲子二月初二日到任庚午十一月日遆任】

善政立碑閔汝欽【戊辰正月十九日到任庚午十一月日遆任】

堂上許坪【辛未正月初六日到任壬申正月十二日遆任】

權寂【壬申二月二十三日到任丁丑六月十八日瓜歸】

李祥慶【丁丑七月十六日到任己卯六月日遆任】

邊命益【己卯八月初一日到任甲申二月日遆任】

鄭昌詩【甲申四月初一日到任同年十一月日遆任】

李命益【甲申十二月十九日到任戊子二月初二日遆任】

李叔鎭【戊子三月初一日到任壬辰十二月日遆任】

柳壽昌【癸巳二月初二日到任丙申八月十四日遆任】

金洪慶【丙申十月日到任丁酉十二月二十八日遆任】

許岦【戊戌正月二十七日到任庚子十月初三日遆任】

李最晩【庚子十一月七日到任乙巳三月十六日遆任】

沈若溟【乙巳四月二十二日到任己酉八月二十五日遆任】

韓公佖【己酉九月二十五日到任庚戌十二月十四日遆任】

趙持綱辛亥正月二十六日到任同年十一月二十二日遆任

韓億【壬子正月初一日到任乙卯六月十六日貶遆】

文科金益華【乙卯八月二十日到任同年十二月十八日貶遆】

文科李公泂【丙辰二月初四日到任戊午六月初八日貶遆】

文科李后沆【戊午八月十六日到任庚申九月日修撰拜貶遆】【淸德立碑】

吳道宗【聞慶兼任同縣還上虗錄遆】

司馬李始興【甲子七月初七日到任己巳四月日瓜歸】

司馬李籜【己巳六月初九日到任癸酉十二月日瓜歸】【大同未色不正惠卽摘奸遆】

司馬李蘊【甲戌二月初二日到任乙亥五月日巡撫使啓遆】【善政磨崖】

全克泰【乙亥七月初四日到任丙子三月二十三日瓜歸】【御使罷遆】

司馬尹以豊【丙子四月十九日到任戊寅六月日貶遆】【善政磨崖】

司馬南哲明【戊寅七月十八日到任己卯十一月二十一日】【尙州兼任生猪進上則封事罷遆】

司馬李時鼎【庚辰正月初四日到任辛巳六月日貶遆】

司馬兪道重【辛巳九月日到任丙戌六月十五日瓜歸】

司馬李明觀【丙戌九月初六日到任己丑正月初四日辭狀遆】【淸德立碑】

司馬朴泰遠【己丑二月十三日到任甲午正月十六日瓜歸】

金明錫【以禁府都事甲午二月十二日除授四月月初一日到任乙未九月初一日以身病辭遆】

司馬朴泰舒【以典牲署主簿乙未十月初六日政除授十一月二十四日到任庚子九月十八日瓜歸】

尹東魯【以氷庫別提庚子十二月二十七日政除授辛丑正月二十八日到任壬寅三月十五日移拜金山郡守】

司馬尹盛績【以禁府都事壬寅三月二十七日政除授五月十一日到任甲辰七月十四日以大同木上納事該㕔入啓罷遆】

權授【以禁府都事甲辰七月十八日政本職除授同月二十一日到任乙巳三月二十六日臺啓罷遆】

司馬李顯道【以東氷庫別提乙巳四月二十日政本職除授六月初十日到任戊申六月日貶遆】

司馬南近明【以前禁府都事戊申七月初八日都政本職除授八月初十日到任癸丑三月瓜歸】

元命恒【以平市令癸丑三月二十七日都政本職除授五月二日到任六月初五日別世】

司馬郭鎭基【以掌樂院主簿癸丑六月初九日政本職除授乙卯十月初四日到任以身病辭遆】

司馬李䌖【以刑曹佐郞乙卯十一月二十一日到任己未四月十三日別世】

司馬具萬喜【通訓以漢城判官己未四月十八日政本職除授五月二十六日到任庚申六月日貶罷遆】

司馬李宗遠【以軍資監判官庚申七月十三日政本職除授八月十九日到任甲子六月日以身患辭遆】

司馬朴鳳漢【以刑曹佐郞甲子七月初二日政本職除授八月二十九日到任己巳三月二十五日都政瓜歸】

趙載世以司憲府監察己巳三月十六日政本職除授四月二十六日到任甲戌二月二十五日都政瓜歸

司馬韓夢弼【以司憲府監察甲戌二月二十五日政本職除授三月十九日到任戊寅六月日貶遆】

司馬金魯【以刑曹正郞戊寅十月十八日政本職除授十一月十一日到任己卯六月初六日在喪遆歸】

徐命應【以軍資監判官乙卯六月十一日政本職除授閏六月十九日到任壬午五月祈雨御使啓罷遆】

司馬辛宅寧【以禁府都事壬午六月初九日政本職除授七月初三日到任丙戌十一月十五日在喪遆歸】

趙廷瑗以貞陵令丙戌十一月二十三日政本職除授庚寅正月初十日到任月日瓜歸】【褒貶中點下

金履鐸【以前三嘉縣監庚寅正月初十日政本職除授同月二十八日到任同年十一月日貶遆】

金致誠【以典設司別提庚寅十二月二十五日政本職除授辛卯正月二十日到任壬辰三月十四日】【邑民金辰九山訟事擊錚罷遆】

司馬柳凝之【以北部都事壬辰三月十四日政本職除授四月十九日到任丙申十二月二十九日政移拜敦寧府判官瓜滿】

司馬李潤明【丙申十二月二十九日大政以貞陵令來丁酉正月二十日到任丁酉八月十六日京罷】

司馬李憲洛【丁酉八月十六日以尙衣主簿 除拜九月初十日到任己亥十二月二十七日以大同過限拿罷】

兪漢鼎【庚子正月初一日口傳政以平市令本職除授同月二十四日到任同年六月日貶遆】

朴光海【庚子六月二十二日都政本職 除授七月十五日到任辛丑十二月日拿罷】

南行李廷衡【辛丑十二月十五日政本職 除授壬寅正月十三日到任乙巳五月移拜黃海道金川郡】

司馬柳秉均【乙巳五月二十五日政以 永陵令本職 除授六月初十日到任己酉六月二十日都政移拜白川郡】

南行鄭斗榮【己酉六月二十八日以都政長陵令本職 除授同月晦日到任庚戌四月二十九日以兼任尙州還穀虛錄遞罷使之待待命病未登程五月十六日別世於作廳】

司馬羅烈【庚戌五月晦日政以工曹正郞本職除授辛亥八月十二日以新安書堂事大臣 啓罷】

司馬朴喆源【以厚陵令乾隆五十六年辛亥八月十二日政本職除授九月初六日到任壬子七月初二日以大同上納船運破船事罷職】

南行李榮運【壬子七月初三日政本職 除授同月十一日到任癸丑十二月二十六日政江原道通川郡守移拜】

司馬金成鎭【癸丑十二月二十六日政本職 除授甲寅正月十三日到任同年十一月二十七日吏曹啓罷】

文科朴載淳【甲寅十一月二十七日本職 除授十二月初四日到任乙卯九月初八日平安道順川郡守相換】

武科李秉道【乙卯九月初八日以順川郡守相換十月二十二日到任丙辰七月二十一日以德通驛村後山訟事京罷】

文科申光岳【丙辰八月初四日以振威縣令相換到任丁巳七月初八日康翎縣監相換赴任】

南臺鄭宗魯【丁巳七月初八日政康翎縣監相換同月十九日到任同年十月晦日呈辭還歸十一月初八日狀遆】

司馬趙雲絅丁巳十一月十五日政除授同月二十一日到任戊午十一月初六日喪逝

南行朴澈源【戊午十一月日以肈慶廟令本職除授己未二月初日遭內艱遆歸】

南行權中執【己未二月十九日以中部令到任甲子二月十二日瓜歸還拜中部令】

南行尹弘鎭【甲子二月十三日政以儀賓府都事本職 除授同月二十二日到任戊辰十二月日瓜歸還拜典牲寺判官】

司馬李秉運【戊辰十二月二十二日政以 永禧殿令本職除授甲戌六月二十四日得代實歷二千日以賑恤事自 營門狀聞加一等】

司馬金熙臣【甲戌六月二十四日 政以北部令本職除授七月初六日到任戊寅六月十一日政移拜江原道杆城郡守】

南行金最根【戊寅六月十一日 政以 敬陵令本職 除授二十九日到任壬午六月二十五日貶中點下】

司馬金在星【壬午六月二十五日 政以 宗親府典簿本職 除授七月二十一日到任乙酉十二月初五日 政移拜公淸林川郡守】

司馬尹滋畊【乙酉十二月初五日政以 永禧殿令本職 除授三十日到任 丁亥十二月二十二日政移拜道內大邱判官】

司馬李鳳九【丁亥十二月二十二日 政以義禁府都事本職 除授戊子正月十三日到任 庚寅七月初三日 政移拜江原道歙谷】

司馬洪應謨【庚寅七月初三日 政以慶基令 本職 除授八月初九日到任 癸巳四月十四日卒逝】

朴長馣【癸巳四月十八日 政以奎章閣兼檢書官本職 除授五月初八日到任丙申十二月二十五日 政移拜京畿道振威縣令】

趙基亨丙申十二月二十五日 政以社稷署令本職 除授丁酉正月十九日到任四月二十三日遭外艱喪遆歸吏金致鴻

元有永【丁酉五月初三日 政以檢書官本職 除授同月十九日到任辛丑六月日貶罷】

趙雲容辛丑六月二十四日 政以 宗廟令本職 除授同月二十五日謝恩七月十八日到任 癸卯十一月二十五日 政移拜忠淸道報恩郡

朴泰浩【癸卯十一月二十五日 政以氷庫別提本職 除授十二月二十九日到任丙午十二月二十五日政移拜全羅道昌平縣令】

司馬徐兢淳【丙午十二月二十五日 政以刑曹正郞 本職 除授丁未正月二十二日到任辛亥六月二十六日 政移拜永川郡守】【善政立碑】

李圭秉【辛亥六月二十六日 政以 惠陵令本職 除授七月二十八日到任甲寅十二月二十五日政以咸鏡道高原郡守移拜】

司馬成元鎬【甲寅十二月二十五日政以 仁陵令本職 除授乙卯正月二十四日到任丙辰四月初六日卒逝】【善政立碑】

趙萬兢丙辰四月十五日政以 孝陵令本職 除授五月十二日到任戊午三月日繡 啓罷黜

李源永【戊午三月二十六日 政以 孝陵令本職 除授四月二十七日到任庚申十二月二十日政以江原道杆城郡守移拜】

鄭翼永【庚申十二月二十日政以 社稷署令本職除授辛酉正月二十五日到任甲子正月二十日都 政移拜咸鏡道文川郡守】

司馬閔應善【甲子正月二十日都 政以 仁陵令本職 除授二月二十二日到任丙寅七月十五日都 政移拜京畿道交河郡守】

司馬金鳳鎬【丙寅七月十五日都政以景慕官令本職 除授八月十五日到任十月十八日遭艱】

司馬尹獻采【丙寅十一月初四日政以瓦署別提本職除授同月二十七日到任己巳六月日貶罷】【善政立碑】

司馬姜潁秀【己巳六月二十四日都 政以 貞陵令本職 除授七月十九日到任癸酉正月初二日 政移拜全羅道珍山郡守】

司馬李晩昇【癸酉正月初二日都 政以司憲府監察本職 除授二月初十日到任丙子正月三十日都 政移拜慶山縣令】

趙鍾純丙子正月三十日都 政以翊衛司衛率 本職 除授三月十八日到任戊寅五月日繡 啓罷黜

曺鎭億【戊寅六月十三日都 政以 崇陵令 除授本職 七月二十八日到任辛巳正月十四日政移拜溫陽郡守】

閔泳悅【辛巳正月十六日 政廣興倉令 除授本職三月初八日到任壬午十月二十七日 政相換兎山郡守】

司馬朴宣陽【壬午十月二十七日 政以兎山縣監相換 本職 癸未正月十二日到任十月三十日 政移拜麻田郡守】

鄭禹達【癸未十一月初九日 政除授本職同年同月十五日政相換和順縣監未赴任】

朴齊性【癸未十一月十五日政以和順縣監本職相換同年十二月二十八日到任丙戌正月三十日政移拜京畿加平郡守】

李奎學【丙戌正月三十日政以通訓大夫禮賓主簿本職 除授同月二十八日到任戊子二月二十七日政移拜江原道高城郡守】

趙元植丁亥二月二十七日 政以忠淸道靑陽縣監移拜本職同年四月二十八日到任戊子正月二十八日政移拜梁山郡守

沈定澤【戊子正月二十九日政以通訓大夫司僕寺主簿本職 除授同年三月十三日到任己丑正月三十日政移拜河陽縣監】

李鶴秊【己丑正月三十日都政以全羅道臨陂縣令除授本職同年三月初三日政仍除授臨陂縣令未赴任】

申台善【己丑三月初四日 政以慶山縣令本職 除授四月初四日到任庚寅八月日以民擾事啓罷】

金雲培【庚寅】

郭致秊【壬辰】

李根哲【乙未八月日本職 除授九月二十五日到任丙申六月免歸】

鄭基旭【丙申六月日 政以江原道金城郡守移 除本職以前職事免官未赴任】

朴淵德【丙申七月十九日 政以機械局委員本職 除授同年八月十三日到任己亥七月日免歸】

趙炳淳己亥六月二十五日 政以忠靑道唐津郡守移 除本職八月十一日到任庚子三月十三日 政移拜延日郡守

金大鎭【庚子三月十一日 政以正三品通正大夫侍從院侍從本職 除授同年十月十七日 政移拜京畿交河郡 到任四月日初六日】

丁憙燮【以全羅道咸悅郡守庚子十月十七日政移拜本職辛丑正月二十一日赴任五月 日政移拜英陽郡守】【本羅州居忠州】

金光濟【以武蔭正三品辛丑五月 日政除移本郡六月 日 到任辛丑十一月三十日移拜聞慶郡守 家在聞慶】

李寅聲【以通正大夫開寧郡守辛丑十一月三十日移拜本職同十二月二十一日赴任同月二十六日政移拜仁同郡守完山後人家在丹陽】

張錫五【以仁同郡守辛丑十一月二十六日政移拜本郡十一月 日到任癸卯六月二十八日免歸 家在仁同】

金基洙【以宮內府奎章內閣主事癸卯六月二十八日 政除拜本郡同年八月十九日到任甲辰十二月 日貶歸 家在皇城苑洞】

金光黙【以全羅北道咸悅郡守乙巳正月二十三日移拜本職三月二十四日到任丙午正月十六日免歸】

https://yn.ugyo.net/dir/list?uci=KSAC%2BY08%2BKSM-XG.0000.4725-20160630.Y1632202031

●조선후기 함창현감(咸昌縣監) 선생안(道先生案)●

https://yn.ugyo.net/viewer/imageViewer?itemType=des&uci=KSAC+Y08+KSM-XG.0000.4725-20160630.Y1632202031&imgFileName=

▲상주목선생안

목선생안(牧先生案)은 역대 목사의 명단록이다. 상주목선생안의 본 이름은 상주목 제명록(尙州牧 題名錄)이던 것을 병진년에 개장할 때 지금의 이름으로 고친 것이다. 상주는 기원 전후 사벌국으로부터 역사, 문화를 이룩해 온 고도요 웅주라 이 땅을 다스린 목민관만 하여도 수 천에 이를 것이다. 그러나 상대는 문헌의 미비로, 하대는 잦은 병화로 그 자료가 인멸되어 목민관의 명단이 제대로 구비된 것은 조선 중기 때였다.


1604년(선조 37)에 부임하여 1606년에 이임한 선원(仙源) 김상용(金尙容)목사가 전임자의 명단록이 없는 것을 민망히 여겨 야로가(野老家)에서 사초(史草)를 얻어 전임자로서 1549년에 부임해 1550년에 이임한 전팽령(全彭齡) 목사로부터 32인을 밝혀 기록 하였다. 이 시기는 거의 판관(判官)까지 병록 하였으나 선원의 선임자 7번째부터는 목사만 명단을 적었다. 선원(仙源) 이후부터 이 목선생안은 계속 누가(累加)기록하여 최근까지 수 백명의 목민관 명단을 기록하였다. 목선생안의 제작 목적은 한 지역을 다스리고 간 목민관을 잊지 않게 하려는 데에도 있었겠지만 그 이면에는 자경(自警)의 자료로 삼고자 한 것도 없지 않았을 것이다.

함창현(咸昌縣)

동쪽은 상주의 경계까지 8리, 남쪽은 같은 주의 경계까지 17리, 서쪽은 같은 주의 경계까지 23리, 북쪽은 문경현의 경계까지 7리, 서울과의 거리는 4백 37리다.

【건치연혁】 본래 고령가야국(古寧伽倻國)이었는데, 자세한 것은 김해부 산천 조를 보라. 신라가 빼앗아 고동람군(古冬攬郡)으로 하였다가 고릉(古陵)이라고도 한다. 경덕왕 때에 고령으로 고쳤다. 고려 광종(光宗) 때에는 함녕(咸寧)으로, 현종 때에는 상주에 소속되어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으며, 명종 때에는 감무를 두었고, 본조 태종 때에는 규례에 따라 현감으로 고쳤다.

【관원】 현감ㆍ훈도 각 1인.

【군명】 고령(古寧)ㆍ함녕(咸寧)ㆍ고동람(古冬攬)ㆍ고릉(古陵).

【성씨】 본현 김(金)ㆍ오(吳)ㆍ임(任) 덕봉(德峯) 김(金) 이안(利安) 구(仇), 김(金)ㆍ오(吳) 모두 촌성(村姓)이다.

【산천】 재악산(宰嶽山) 현의 서쪽 13리에 있는 진산이다. 황령산(黃嶺山) 현의 서쪽 37리에 있다. 고산(孤山) 현의 동쪽 9리에 있다. 큰 들 가운데에 있어 바라보면 섬과 같다. 관천(串川) 현의 동쪽 7리에 있다. 문경현 견탄(犬灘)의 하류로서, 남쪽으로 흘러 용궁현(龍宮縣)의 하풍진(河豐津)과 합쳐진다. 남지(南池) 객관이 작은 언덕에 자리잡고 있으며, 못을 파서 이 언덕을 둘렀다. 저곡천(猪谷川) 현의 남쪽 7리에 있다. 공검지(恭檢池) 현의 남쪽 13리에 있다. 자세한 것은 상주 조를 보라. 『신증』 홍귀달(洪貴達)의 기문에, “방죽[陂澤]이 많기로는 남방이 제일이요, 그 크기로는 공검지에 비길 만한 것이 없다. 처음 둑을 쌓은 것이 언제인지 모르나, 전설에 의하면, ‘처음 쌓을 때에 물이 너무 많아서 공사가 진행되지 않았으므로 사람을 넣어 함께 쌓았는데, 둑이 다 이루어진 뒤에 그 둑 속에 넣은 사람의 이름을 붙여 못의 이름으로 삼았다.’라고 하나, 그 이야기가 허황하여 믿을 수 없다. 그 못을 보면 넓은 것이 그득하게 출렁이고, 구불구불 둘러 싸인 것은 마치 거울을 닦아 놓은 것같이 편평하다. 가뭄에도 마르지 않고 큰 비에도 넘치지 않으니, 여러 가는 냇물들이 모여드는 것뿐으로 그와 같을 수 있겠는가. 은하수가 땅에 흘러 통하는 것을 땅이 새지 않게 하여 백성들에게 관개의 이익을 주고, 나머지로 술을 빚어내어 영주(瀛洲 신선 있는 곳)의 항아리 속 물건이 되게 하여(술이 되게 하였다는 말) 인간세상에서 구경하고 노는 자에게 주게 한 것인가. 그러나 관개의 이익은 상주 백성들만이 누리고, 함창(咸昌) 백성들은 땅을 내어주고 그 물을 모아서 남에게 줄 뿐이니, 이해의 치우침이 어찌 이러하랴. 내가 보건대, 함창의 모든 산들이 서북쪽으로부터 물을 바라보고 달려가다가 물에 다다라서, 머무르는 것이 마치 뱀이 긴 강으로 기어가는 것 같기도 하고, 말이 하수(河水)에서 물 마시는 것 같기도 하며, 비녀다리나 자라 등 같은 것들이 잇달아 늘어서서 사람이 유람하고 관상함을 맞이하는 것 같으니, 어찌 하늘이 베풀고 땅이 내어놓아 함창 백성들에게 보답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 가운데서도 내가 가장 사랑하는 것은 맨 서쪽에 있는 오산(鰲山)이다. 전에 헌납(獻納) 김이상(金履祥)의 무덤이 있었는데, 뒤에 이장하여 지금은 빈터가 되었다. 조금 동쪽에 있는 것은 그 고장 사람 무쌍(無雙)의 집 정자요, 그 동쪽 1리에 있는 것은 노경신(盧敬信) 공의 송정(松亭)이다. 노공은 죽고 그의 손자가 주관하고 있다. 이 모두가 아담하고 시원스러워서 특별히 빼어났다는 말이 있는 것들이다. 그런데도 시인 묵객이 여기에서 노닌 일이 없었으므로 정자의 이름 지은 자가 없으니, 이 어찌 고장의 불행이 아니겠는가. 내가 이 고을에서 자라나 이제 흰 털이 희끗희끗하게 되도록 한번도 여기에서 조용히 놀아본 일이 없으니, 또한 나의 불행이 아니겠는가. 경술년 여름에 일이 있어 지나가다가 해가 저물어 머문 곳이 마침 오산(鰲山)의 옛터다. 말에서 내려 거닐면서 올라가 사면을 바라보니, 심신이 시원하고 흐뭇해졌다. 이것이 이른바 천년에 한번 맛보는 상쾌감이라는 것이리라. 조금 있다가 무쌍(無雙)의 집에서 자게 되었는데, 밤비가 개고 밝은 달이 하늘에 걸려 있었다. 같이 자던 두 사람과 걸어서 정자 언덕으로 나가 천지사방을 살펴보니, 1만 구렁에 바람이 없었고 물과 하늘은 고요하고 잠겨 있었다. 내가 말하기를, ‘이 정자의 기이함이 그 주인의 이름과 꼭 들어맞는다.’ 하니, 두 사람이 말하기를, ‘동쪽에도 한 정자가 있는데 그것 또한 경치가 기이하여 올라가 보면, 티끌 묻은 가슴을 씻을 만하다. 이른바 노씨네 정자[盧家亭]다. 모두 이름이 없는데 어찌 이름을 지어주지 않는가.’ 하여 가장 서쪽에 있는 것을 광신(曠神)이라 하였는데, 내가 올라가 보고 그렇게 느꼈기 때문이요, 동쪽에 있는 것을 무쌍(無雙)이라 하였으니, 그 주인의 이름을 딴 것이요, 또 그 동쪽에 있는 것을 세심(洗心)이라 했으니, 두 사람의 말을 따른 것이다. 아, 수많은 어진 선비가 조정에 가득하나, 나 같은 것은 내 스스로 알기에 호락(濩落)하여 쓰일 곳이 없는데, 여기에 이런 땅이 있건만 지금까지 붉은 먼지 속에서 분주하는 것은 무엇 때문이냐. 이제라도 오산(鰲山) 뒤에 띠집을 짓고 거기에서 늙고 싶다. 비록 늦기는 했으나 이제부터라도 3년 동안 쑥을 묵혀 두면, 혹시 7년의 병을 고칠 수 있을 것이다. 돌아온 뒤에 그 말을 적어 같이 있던 두 사람에게 보내었다. 두 사람이란 누구인가. 김국로(金國老) 공과 조계형(曹繼衡) 공인데 모두 문인으로서 나와 뜻을 같이하는 이들이다.” 하였다.

【토산】 은어[銀口魚]ㆍ송이[松蕈]ㆍ산무애뱀[白花蛇]ㆍ지황ㆍ꿀[蜂蜜].

【봉수】 성산(城山) 봉수 현의 남쪽 10리에 있다. 남쪽으로 상주의 소산(所山)에, 북쪽으로 문경현의 선암산(禪巖山)에 응한다.

『신증』 【궁실】 동헌 정은(鄭垠)의 시에, “함녕(咸寧) 옛 고을이 동쪽 바다[東瀛]에 가까운데, 관우를 새로 중수하여 그림인양 잘 되었구나. 꽃은 이슬을 담뿍 머금어 붉기가 비단 같고, 나무는 연기가 깊이 끼어 푸르기가 무우 같도다. 누각은 멀리서 보면 구름과 가지런히 솟은 듯하고, 대나무는 바람을 받아 흔들리니 옥 갈리는 소리처럼 맑기도 하다. 성주에 힘입어 경치 좋은 고장이 되었으니, 이제부터 영원히 이름 전할 줄을 알겠도다.” 하였다. 우련당(友蓮堂) 객관 서쪽에 있다.

【누정】 함녕루(咸寧樓) 객관 동쪽에 있다. 『신증』 조위(曺偉)가 광원(廣遠)이라 고치고 기문에 쓰기를, “당제(堂弟 사촌 아우) 존신(存愼)이 함녕의 원이 된 지 2년 만에 나에게 말하기를, ‘함녕 고을은 경상도의 요충지여서 갓 쓰고, 일산 받고 수레 타고, 말을 타고 오고 가는 자가 폭주하므로, 관우(館宇)와 누각은 급히 서둘러야 하겠습니다. 예전에 누각이 객관 동쪽에 있어 함녕(咸寧)이라 하였으나, 규모가 좁고 작은데 상주 목사 이전수(李全粹) 공이 그 이름이 평범하다 하여 청신(淸新)이라 고쳤고, 그 후로 거의 30년이 되었으니, 대들보는 휘고 기둥은 기울어져 사람이 올라갈 수가 없게 되었습니다. 관찰사 김군량(金君諒) 공이 이 누각이 쓰러지려는 것을 개탄하였으나, 본현이 피폐하여 물자가 없음을 돌보아 영포(營布) 약간을 내어, 현감 이자(李滋)에게 위촉하여 고쳐 짓게 하였습니다. 이자가 재목을 모아 계획했으나 진행하지 못한 채 병으로 세상을 떠났으므로 제가 지금 그것을 이어 받았습니다. 전공(前功)을 중단해서는 안 되겠기에 목수를 불러 계획을 세우고, 몸소 아전들을 지휘하여 전보다 조금 늘려 4칸을 기공하여 한 달을 많이 넘기지 않고 끝마쳤습니다. 높고 밝고 시원하며, 널따랗고 탁 트여서 올라가서 바라보기에 좋습니다. 주흘(主屹)의 빼어난 봉우리와 사불(四佛)의 푸른 숲이 나는 듯 춤추는 듯, 일어선 듯, 엎드린 듯 동북쪽에서 읍을 하고, 서남쪽에는 모든 산들이 이어 있어 가까운 것은 초록을 발라 놓은 듯하고 먼 것은 푸른 빛이 모인 듯한 것이 책상 앞에 둘러서니, 실로 모든 현에서 가장 뛰어난 경치입니다. 이 기이하고 웅장하고 아름다운 경치는 청신(淸新)의 두 글자로써는 다 할 수가 없으므로, 청컨대 옛 이름을 바꾸고 아울러 중수한 연월을 적어서 후세 사람으로 하여금 상고하게 하여 주기 바랍니다.’ 하였다. 그리하여 내가 말하기를, ‘나라가 백년토록 태평하여 백성들이 편안히 살아가며, 조야가 평안하고 조용하니, 영남에서는 다투어 단청(丹靑)을 칠한 훌륭한 누각들이 서로 바라보며, 지붕을 높이 하고 난간을 널따랗게 하지 않은 곳이 없으니, 이름도 이루 다 말할 수가 없다. 비록 옛 관례에 따른 것이지만 함녕이라고 한 것도 무방하다. 청신도 괜찮다. 하물며, 고을을 다스리는 데 있어 건물을 짓고 수리하는 것은 다만 여사(餘事)일 뿐인데, 어찌 한 누각을 위하는 것이랴.’ 하고, 오랫동안 응하지 아니하였다. 조금 뒤에 존신의 글월이 다시 와서 간청하기를 더욱 근간하게 하므로 내가 들은 바에 의하여 이름 짓기를 광원(廣遠)이라 하였다. 자세가 평탄하고 넓어서 거칠 것이 없어야 안계(眼界 시야)가 넓게 트이고, 안계에 막히는 것이 없어야 마음이 넓고 커져서 옹색함이 없는 법이다. 군자가 높고 밝은 곳에 사는 것을 귀히 여기는 것이 어찌 부질없는 일이겠는가. 오늘날 누각을 짓되, 혹은 산을 등지고 물을 향하여 다만 경치의 좋은 것만을 취하고, 안계를 고려하지 않은 것이 많다. 이런 것은 막힌 생각을 풀고 번거롭고 답답한 마음을 가시게 할 수가 없으니, 올라와 구경한들 무엇이 유익하겠는가. 그런데 이 누각은 비록 가까이 산수의 훌륭한 경치는 없으나 올라가 사방을 바라보면 훤히 트이고 막히는 것이 없어, 마음이 넓어지는 것이 바로 천지와 함께 그 광원(廣遠)함을 함께하니 그 기상이 어떠하겠는가. 이것이 내가 이름을 광원(廣遠)이라고 지은 취지이다. 존신이 회답하기를, ‘광원의 뜻은 우리 함영루의 모습을 거의 다 나타냈지만, 내 마음의 본체(本體)와 정치로 백성에 임할 때에도, 그것을 미루어 실행하면 좋지 않겠습니까. 지극히 크고 지극히 넓은 것[至大至廣]은 내 마음의 본체인데, 거기에 사심이 어지럽히고 외물(外物)이 침삭하여 본체를 굶주리게 만드는 것입니다. 만약 이에 힘써서 밝은 거울에 먼지나 때가 침식하지 못하고 맑은 물에 진흙이나 모래가 앙금지지 못하게 한다면, 지극히 크고 지극히 넓은 본체는 조금도 이지러지고 손상된 것이 없이 천지 사이에 꽉 차 있어서 마음에 벽이 없고, 물(物)에 피차(彼此)가 없어서 환한 세상[八荒]이 모두 내 울안에 있게 됩니다. 그러므로 작게는 한 읍의 원이 되고, 크게는 한 주에 임할 제, 백성들은 나의 적자(赤子)요, 형제[同胞]와 같이 보게 될 것이니, 무슨 틈새가 있겠습니까. 그렇게 된 뒤에라야 내 마음의 본체를 온전히 하여, 정치의 도리에 다함으로써 광원한 경지에 도달할 수 있겠습니다.’ 하였다. 존신은 힘썼도다. 군량(君諒)은 창건, 중수를 계획하고, 존신은 마침내 앞 사람의 공을 이루어 놓았으니, 모두 기록할 만하므로 내가 마침내 쓰기를 거절하지 못하였다. 군량의 휘는 심(諶)이며, 나와 같은 해에 과거한 벗이다. 존신의 이름은 척(倜)이며, 기미년 봄에 사헌 감찰(司憲監察)로부터 나와서 함창의 원이 되었다고 한다.” 하였다.

『신증』 명은루(明隱樓) 곧 객관의 문루이다. ○ 홍귀달(洪貴達)의 기문에, “우리 읍의 원 우석손(禹碩孫) 공은 문무를 겸하고 관리로서 재질이 뛰어난 사람이다. 수레에서 내리자(부임하자) 개연히 황폐하고 퇴락 한 것을 일으키고, 보수하는 것을 일삼아 몇 해 안 가서 온갖 황폐한 것이 다 흥하게 되었다. 밭과 들을 개척하고 관우(館宇)를 중수하여 모습이 완연히 일신되었다. 이리하여 전에는 낮고 좁던 대문이 잠깐 사이에 변하여 백척 높은 누각이 되어 객관 남쪽에 우뚝 섰으니, 어떻게 그렇게 백성의 힘을 괴롭히지 않고 속히 준공했는가. 지나는 나그네가 말하기를, ‘고을에 훌륭한 누각이 있다고 해서 정치에 보탬이 되는 것도 아니요, 더욱이 함창은 작은 고을인데 누각이 좋은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하기에 내가 말하기를, ‘그런 것이 아니다. 무릇, 사람이 막힌 데서 살면 생각이 정체(停滯)되고, 높은 데에 있으면 마음이 넓어지는 법인데, 정치를 하는 사람이라고 해서 그렇지 않을 수 있겠는가. 생각이 정체되었는데 정치가 달통(達通)하고, 마음이 넓지 못한데 능히 사람을 널리 용납하는 이를 나는 아직 보지 못하였다. 하물며, 백성에게 원노릇을 함에 있어서랴. 비록 백성을 아들과 같이 보아도 백성은 그를 바라보기를 군신과 같이 엄하게 한다. 그러므로 그들에게 슬프고 답답한 사정이 있는 것을 원된 사람이 알지 못하는 것이 있고, 시름하고 탄식하는 소리가 있어도 원된 사람이 듣지 못하는 것이 있고, 눈살을 찌푸리는 기색이 있어도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은 그 무엇 때문이냐. 원과 백성 사이가 서로 막히는 것이 있음은 사정이 서로 막혀 있는 까닭이다. 내가 보니 세상의 백성을 대하는 자가 듣고 다스림이 대개 큰 집의 깊고 엄한 데에서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청사(廳舍)와 곳간이 막혀 있는 곳에서 아전들에게 둘러싸이고, 장부와 문서와 쌀과 소금 사이에 정신이 빠져 있고, 문지기는 안타까이 들어오려는 사람을 억누르고, 뜰지기는 함부로 소송한다고 꾸짖으니, 앞에 이른바 민망하고 억울하고 답답하고 찌푸리고서 원통한 것을 펴보려는 사람은, 남의 손을 빌려서 그 억울한 가슴속을 써 가지고 10분의 1의 효과를 걸어 보고, 한 치는 나아가고 한 자를 물러나곤 하여서 그 문을 들어갈 수 있는 사람도 적거늘, 뜰 안으로 들어가 송사할 수 있겠는가! 원을 만나보기도 힘들거늘, 그 실정을 상달(上達)할 수 있겠는가! 이런 사실을 안다면 그 고장의 관리되는 사람은 그 거처가 낮고 비좁으면 안 된다. 우공 같은 이는 이런 점에 보는 바가 있었던 것이 아닌가. 내 생각에는, 우리 우공이 누각에 의지하는 것은 멀리 환하게 보고, 숨어 있는 자세한 것을 밝히어, 관내에 혹시 슬프고 답답한 자, 시름하고 탄식하는 자, 눈살을 찌푸리는 자, 입으로 하소연하는 자, 글로 써 올리는 자들 모두 접견하여 굽은 것을 펴고 소원을 들어주며, 한 사람도 뜻을 이루지 못하는 백성이 없을 것이다. 그런 뒤에는 옷깃을 열고 앉아서 순(舜) 임금의 남풍가(南風歌)를 듣고, 백성의 재물이 푸짐하고[可以阜吾民之財兮] 백성의 시름을 푸는[可以解吾民之慍兮] 노래를 읊어 우리의 마음을 즐겁게 해 주고, 노래와 춤이 누각 밖에까지 들리게 될 것이니, 누가 고을에 누각이 있는 것이 정치에 보탬이 되지 못한다고 하겠는가. 밀양의 영남루, 진주의 촉석루(矗石樓), 울산의 대화루(大和褸), 안동의 영호루(映湖樓)가 다만 기생을 모아 놓고 노래와 춤을 간직하여 손님을 즐겁게 하며, 음란하고 요사한 풍조를 기르는 데 쓰인다. 어느 것이 쓸데 없고, 어느 것이 쓸데 있는가.’ 하였더니, 손[客]이 말하기를, ‘오직 선생이 아니면 무용지용(無用之用)을 누가 알리오.’ 하였다. 이리하여, 우공에게 알려서 명은(明隱)이란 편액(扁額)을 걸도록 하였다. 대개 백성들의 감추고 있는 것을 밝힌다는 뜻을 취한 것이다. 아, 우공의 뒤를 이어 원이 되는 이가 앞으로 그치지 않을 것이니, 이 편액을 보고 그 뜻을 생각하여 자신을 반성하게 된다면 우리 고을 백성의 행복은 이미 얻어진 것이 아니냐.” 하였다.

쾌재정(快哉亭) 이안부곡(利安部曲)의 서쪽인데, 채수(蔡壽)의 별장이 있다. 자신의 기문에 이르기를, “냇물이 동쪽으로 달려 무지개를 드리운 것 같고 산이 냇물에 임하여 마치 누에의 머리같이 된 곳에 정자가 있어 나는 듯하니 이름은 쾌재정이다. 동쪽으로는 학가(鶴駕 산 이름)를 서쪽으로는 속리(俗離)를 바라본다. 남쪽으로는 갑장(甲長)을 바라보고 북쪽으로는 대승(大乘)을 바라본다. 강산이 서리고 얽혀서 발 밑에 벌여 서 있다. 그 주인은 누구인가. 채기지(蔡耆之 채수의 자)로다. 그는 젊어서 과거 보아 용두(龍頭 장원)를 차지한 사람이다. 지위가 봉군(封君)에 이르렀으니 영광이 분에 넘친다. 늙어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에 돌아왔다. 입고 먹는 것이 겨우 족하니 다른 욕망은 없다. 거문고와 바둑, 시와 술로 즐기니 한 한인(閑人)이다. 시비와 영욕을 도무지 알지 못한다. 좋고도 좋다. 이렇게 해서 여생을 한가로이 끝마칠 것이다.” 하였다. ○ 앞사람의 시에, “늙은 내 나이 이제 예순 일곱, 지난 일 돌이켜 생각하니 아득하기만 하구나. 젊었을 때는 재주가 겨룰 이 없기를 기약했고, 중년의 공명 또한 홀로 잘난 체하였네. 세월은 흘러 노끈으로도 잡아매기 어렵고, 산길은 멀고 멀어 말이 나가지 못하는구나. 무슨 방법으로 세상일 다 버리고, 봉래산 꼭대기에서 신선의 벗이 될까.” 하였다. 기정(岐亭) 공검못의 북쪽에 있는데 권민수(權敏手)가 지었다.

【학교】 향교 현의 서쪽 5리에 있다.

【역원】 덕통역(德通驛) 현의 동쪽 7리에 있다. 다방원(茶方院) 현의 동쪽 8리에 있다. 함제원(咸濟院) 현의 남쪽 13리에 있다. 당교원(唐橋院) 당교 곁에 있다. 관천원(串川院) 관천 기슭에 있다.

【교량】 당교(唐橋) 현의 북쪽 6리에 있다. 신라 고기(古記)에, “소정방(蘇定方)이 이미 고구려와 백제를 치고 또 신라를 치려고 여기에 머물렀을 때, 김유신(金庾信)이 그 계획을 알고, 당 나라 군사에게 잔치를 베풀어 취하게 하고 모두 여기에 묻어 죽였다. 뒷날 사람들이 그것으로 당교라고 이름 지었다.” 하였다.

【불우】 상안사(詳安寺)ㆍ안룡사(安龍寺)ㆍ개원사(開元寺)ㆍ보제사(普提寺)ㆍ상원사(上元寺) 모두 재악산에 있다. 황령사(黃嶺寺) 현의 서쪽 황령산에 있다.

【사묘】 사직단 현의 서쪽에 있다. 문묘 향교에 있다. 성황사 현의 북쪽 3리에 있다. 여단 현의 북쪽에 있다.

【고적】 이안 부곡(利安部曲) 현의 서쪽 5리에 있다. 덕봉 부곡(德峯部曲) 현의 동쪽 10리에 있다. 금천소(金川所) 현의 동쪽 5리에 있다. 남산고성(南山古城) 현의 남쪽 10리에 있다. 돌로 쌓았으며, 둘레가 4천 5백 30자며 안에 우물이 하나 있었는데 지금은 폐지되었다.

『신증』 【명환】 본조 신소(辛紹).

【인물】 고려 김택(金澤) 이곡(李穀)이 젊어서 영해(寧海)에 놀았을 때, 택이 향교의 대현(大賢)으로서 곡이 반드시 귀하게 될 것을 알고, 자기 딸을 곡의 아내로 주어 낳은 아들이 색(穡)이다. 대현은 생도로서 나이가 많은 사람의 일컬음이다. 김요(金饒) 택의 아들인데, 과거에 올라 벼슬이 중대광 함녕군(重大匡咸寧君)에 이르렀다.

【제영】 유풍래세세(柳風來細細) 김계창(金季昌)의 시에, “조그만 누각 하나 산기슭에 서 있으니, 올라가서 좋은 경치를 찾는다. 버들을 스치는 바람은 솔솔 불어오고, 꽃잎은 비처럼 펄펄 떨어진다. 태수의 시에 겨룰 자 없고, 나그네는 술이 거나하구나. 붓을 잡고 해[歲月]를 적어 놓으니, 천순(天順) 3년이로다.” 하였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연혁】 고종 32년에 군으로 고쳤다.

 

《대동지지(大東地志)》

【토산】 대[竹]ㆍ감ㆍ호두[胡桃]ㆍ연실(蓮實)ㆍ붕어[鯽魚].

【성지】 남산성(南山城) 남쪽으로 10리에 있는데, 둘레가 4천 5백 30척이며, 우물이 1개 있다.

【누정】 명은루(明隱樓) 읍내에 있다.

【방면】 현내(縣內) 끝이 7리다. 북면(北面) 처음이 3리, 끝이 7리다. 동면 처음이 7리, 끝이 15리다. 남면 처음이 7리, 끝이 10리다. 상서(上西) 처음이 7리, 끝이 15리다. 하서(下西) 처음이 5리, 끝이 25리다. ○ 이안(利安) 부곡은 5리, 덕봉(德峯) 부곡은 동쪽으로 10리, 금천(金川) 소재지는 동쪽으로 5리다.

【창고】 읍창 읍내에 있다. 산창(山倉) 문경의 조령산성에 있다.

ⓒ 한국고전번역원 | 김종오 (역) | 1969

 

명종 19년(1564)부터 광무 3년(1899)까지의 경상도 관찰사 명단인 도선생안(道先生案)이미지+텍스트 본문 확대 본문 축소

KSAC+Y08+KSM-XG.1899.4725-20160630.Y1632202030   

기본정보

분류작성주체작성지역작성시기형태사항소장정보

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유안
함창향교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1899
크기: 36.5 X 24.5
판본: 필사본
장정: 선장
수량: 38장
재질: 종이
표기문자: 한자
원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현소장처: 상주 함창향교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안내정보

명종 19년(1564)부터 광무 3년(1899)까지의 경상도 관찰사 명단인 도선생안(道先生案)
함창향교 소장 선생안(先生案)은 모두 3책으로 본 자료는 그중 도선생안(道先生案)이다. 명종 19년(1564) 2월 이우민(李友閔)부터 광무 3년(1899) 2월 김직현(金稷鉉-경상북도 관찰사)까지 290명의 경상도 관찰사 명단으로 입사성분・성명・재임기간・교체사유・퇴임 후 진로 등이 수록되어 있다. 본 자료에는 출사성분(出仕成分)은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경상도 관찰사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비교적 우수한 성적의 문과급제 출신들이 파견되었다. 이를 관찰사 제수 당시 관직 기록된 66명의 인사가 있어 출사성분을 통해 어느 정도 유출할 수 있다. 이를 내외직으로 구분해 보면 내직 제수자 45명, 외직 제수자 21명으로 내직에서 많이 제수됨을 알 수 있다. 관직의 품계는 정2품에서 종4품까지 다양하다. 교체사유는 체귀 103명[체귀(遆歸) 97명·체귀(遞歸) 6명], 체거(遆去) 22명, 졸(卒) 6명, 체부(遞付) 3명, 죄사(罪死) 1명・파귀(罷歸) 1명, 부상(父喪) 1명이다. 이처럼 경상도 관찰사의 교체 사유는 천관(遷官)이 압도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배 기록이 있는 46명 가운데 내직으로 천관된 자는 38명 외관직으로 천관된 자는 8명 뿐으로 내직이 훨씬 많다. 도선생안은 조선시대 경상도 관찰사의 전직(前職), 재임기간, 교체사유, 천관(遷官)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조선왕조실록,
「조선후기 경상감사고(상・중・하)」 『도협월보 21집~23집』, 장인진, 1980
『朝鮮時代 地方行政史』, 이수건, 民音社, 1989.
『尙州市史』, 상주시, 2010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상세정보

명종 19년(1564)부터 광무 3년(1899)까지의 경상도 관찰사 명단인 도선생안(道先生案)
자료의 내용
선생안(先生案) 내지 관안(官案)은 도(道)・부(府)・목(牧)・군(郡)・현(縣)에 역대로 부임과 교체된 지방관의 성명・입사성분(入仕成分)・재임기간・교체사유・치적 등을 간략히 기록한 명부이다. 이러한 선생안을 작성하는 배경에는 부임해 오는 수령에게 선정과 악정(惡政)을 분별할 수 있게 하는 교훈의 성격과 권과(勸課)의 규범으로 삼고자 함에 있었다. 관찰사는 종이품(從二品) 문관(文官)으로 도내의 모든 정사를 관찰하여 외관(外官) 출척, 관곡(官穀) 감독, 민생안정과 유이민의 안집, 조세・공부(貢賦) 수송과 권농(勸農), 흥학(興學) 및 교화 임무, 사법문제, 군사행정 등 모든 통치행정 업무를 총괄책임자이다. 경상도 관찰사는 고려 문종 32년(1078) 이제원(李齊元) 도부서사(都府署使)로부터 비롯되었으며, 관찰사라는 명칭은 세조 11년(1465)에 사용되었다. 경상도 감영은 고려이래 조선 태종초까지는 경주에 태종 후반 상주로 이전했고 임란 이후 대구로 옮기면서 감사 직제가 2년의 솔권겸부사(率眷兼府使)의 유영(留營)체제를 확립했으나 행영(行營)과 유영체제를 반복하다가 18세기부터 유영체제로 통일되어 갑오개혁까지 유지되었다.
함창향교에는 선생안은 도선생안(道先生案) 1책, 함창현선생안 1책, 함창부임록(咸昌赴任錄) 1책과 모두 3책이 현전하고 있다. 본 자료는 3책 중 도선생안으로 기재된 것으로 명종 19년(1564) 2월 이우민(李友閔)부터 광무 3년(1899) 2월 김직현(金稷鉉-경상북도 관찰사)까지 290명의 경상도 관찰사 명단이다. 재임한 인물은 10명이다. 본 좌목에는 입사성분・성명・재임기간・교체사유・퇴임 후 진로 등을 수록하고 있다. 본 자료에는 출사성분(出仕成分)은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경상도 관찰사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비교적 우수한 성적의 문과급제 출신들이 파견되었다. 관찰사 제수 당시 관직 기록된 66명의 인사를 통해 출사성분을 어느 정도 유출할 수 있다. 이를 내외직으로 구분해 보면 내직 제수자 45명, 외직 제수자 21명으로 내직에서 많이 제수됨을 알 수 있다. 관직의 품계는 정2품에서 종4품까지 다양하다. 우선 내직에는 호조판서(戶判) 2명・대사헌(大司憲) 1명・참판(參判) 5명[형조참판(刑參) 2명・호조참판(戶參) 1명・예조참판(禮參) 1명・참판(參判) 1명]・부제학(副學) 1명・승지(承旨) 22명・좌승지(左丞) 1명・첨지(僉知) 4명・참의(參議) 5명[병조참의(兵議) 2명・예조참의(禮議) 1명・형조참의(刑議) 1명・호조참의(戶議) 1명]・판결사(判決) 1명・대간(大諫) 2명・응교(應敎) 1명이다. 이중 승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경상도 관찰사직의 중요성을 고려해서 왕이 신임하는 인사를 제수했을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외직 제수자는 경기도 관찰사(畿伯) 1명・부윤(府尹) 4명[경주부윤(慶尹) 2명・광주부윤(廣尹) 2명]・우윤(右尹) 2명・광주목사(光牧) 1명・부사(府使) 13명[담양부사(潭陽府使) 1명・동래부사(東來府使) 2명・수원부사(水原府使) 4명・안동부사(安東府使) 4명・장단부사(長端府使) 1명・정평부사(定平府使) 1명] 이다. 경상도 관찰사의 임기는 법적으로 대구부사를 겸했을 때의 임기는 2년, 그렇지 않을 경우 1년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규정된 임기가 있음에도 그 기간이 잘 지켜지지 않고 대부분 임기 만료 전에 빈번히 교체가 이루어졌음을 본 자료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 교체사유는 체귀 103명[체귀(遆歸) 97명·체귀(遞歸) 6명], 체거(遆去) 22명, 졸(卒) 6명, 체부(遞付) 3명, 죄사(罪死) 1명・파귀(罷歸) 1명, 부상(父喪) 1명이다. 이처럼 경상도 관찰사의 교체 사유는 천관(遷官)이 압도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다. 죄사된 자는 광해군 11년(1619)부터 광해군 13년(1621)간 재임한 정조(鄭造)로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폐모론(廢母論)의 주동자로 지목되어 처형되었다. 파직자는 숙종 38년(1712) 6월부터 숙종 40년(1714) 6월까지 재직하던 이탄(李坦)은 밥상에 금육(禁肉)을 올린 과실 때문에 파직당했다. 이배의 기록이 있는 46명 가운데 내직으로 천관된 자는 38명 외관직으로 천관된 자는 8명 뿐으로 내직이 훨씬 많다. 내직 관직에는 영의정(領相) 4명, 우의정(右相) 6명, 판서(判書)[이조판서(吏判) 10명・예조판서(禮判) 2명・형조판서(刑判) 2명・판서 2명], 대사헌(大司憲) 3명, 참판(參判) 4명[참판 3명・이조참판(吏參) 1명], 대사간(大司諫) 2명, 이조참의(吏議) 1명, 제학(提學) 1명, 판결(判決) 1명 순이다. 외관직에는 감사 6명[경기감사(畿伯) 1명・평안감사(平安監司) 4명・함경감사(咸慶監司) 1명], 유수 3명[강화유수(江華留守) 1명・개성유수(開城留守) 2명] 이다. 천관(遷官) 인사 7명을 제외하면 전부 승진 내지 동일 품계로 옮겼다는 사실은 경상도 관찰사 직이 요직(要職)임을 말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한편 임진왜란 당시 경상좌·우도 분리 시에는 좌감사(左監司) 1명, 우감사(右監司) 3명의 기록도 보인다.
자료적 가치
도선생안은 조선시대 경상도 관찰사의 전직(前職), 재임기간, 교체사유, 천관(遷官)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慶北鄕校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영남대출판부, 1991
조선왕조실록,
「조선후기 경상감사고(상・중・하)」 『도협월보 21집~23집』, 장인진, 1980
『朝鮮時代 地方行政史』, 이수건, 民音社, 1989.
『尙州市史』, 상주시, 2010
1차 작성자 : 채광수, 2차 작성자 : 이수환

이미지

원문 텍스트

道先生案
道先生嘉靖甲子以後案
李友閔【甲子二月到界乙丑二月遆歸】
李澤【乙丑二月到界同年四月遆歸】
宋贊【乙丑五月到界同年九月遆歸】
姜士尙【乙丑十一月到界丙寅十一月遆歸】
柳昌門【丙寅十一月到界丁卯九月遆歸】
朴啓賢【丁卯十一月到界戊辰六月遆歸】
鄭惟吉【戊辰七月到界己巳二月遆歸】
姜濯【己巳三月到界同年五月遆歸】
李陽元【己巳閏月到界庚午四月遆歸】
朴大立【庚午二月到界辛未二月遆歸】
在任宋贊【辛未六月到界壬申正月遆歸】
任說【壬申二月到界同年十二月遆歸】
盧禎【癸酉正月到界同年八月遆歸】
金繼輝【癸酉九月到界甲戌十月遆歸】
尹根壽【甲戌十月到界戊寅十月遆歸】
朴謹元【戊寅十月到界丙子二月遆歸】
朴素立【丙子三月到界丁丑三月遆歸】
李遴【丁丑三月到界同年八月遆歸】
兪泓【丁丑閏月到界戊寅正月遆歸】
崔顒【戊寅三月到界同年十月遆歸】
鄭之衍【戊寅十二月到界己卯五月遆歸】
許曄【己卯六月到界庚辰二月卒】
鄭彦智【庚辰三月到界同年七月遆歸】
洪聖民【庚辰八月到界辛巳九月遆歸】
尹卓然【辛巳十月到界壬午八月遆歸】
柳塤【壬午九月到界癸未八月遆歸】
柳成龍【癸未十月到界甲申七月遆歸】
權克禮【甲申七月到界乙酉八月遆歸】
李山甫【乙酉八月到界丙戌八月遆歸】
柳永立【丙戌八月到界丁亥八月遆歸】
權克智【丁亥八月到界戊子九月遆歸】
金睟【戊子九月到界庚寅六月遆歸】
再任洪聖民【庚寅六月到界辛卯六月遆歸】
再任金睟【辛卯六月到界壬辰八月遆歸】
左監司韓孝純【壬辰九月到界】
右監司金誠一【壬辰九月到界癸巳四月卒】
右監司金玏【癸巳五月到界同年十月遆歸】
再任韓孝純【癸巳十月合道甲午八月遆歸】
洪履祥【甲午八月到界丙申四月遆歸】
右監司徐渻【乙未二月到界】
左監司李用淳【丙申四月牧使到界】
李用淳【丙申六月合道戊戌二月遆歸】
尹承勳【戊戌二月到界同年四月遆歸】
鄭經世【戊戌四月到界同年十二月遆歸】
柳永慶【戊戌十二月到界戊寅三月遆歸】
韓浚謙【己亥三月到界庚子三月遆歸】
金信元【庚子三月到界辛丑十月遆歸】
李時發【辛丑十月自慶尹到界甲辰九月遆歸】
李時彦【甲辰九月自慶尹到界乙巳九月遆歸】
柳永詢【乙巳九月自定平府使到界丁未三月遆歸】
鄭賜湖【丁未四月到界同年十二月遆歸】
李尙信【丁未十二月到界戊申九月遆歸】
崔瓘【戊申九月到界己酉遆歸】
辛慶晉【己酉二月到界同年五月遆歸】
姜籤【己酉五月左丞到界庚戌三月遆歸】
李廷臣【庚戌三月安東府使到界辛亥三月遆歸】
尹昉【辛亥三月畿伯到界同年十一月遆歸】
宋英考【辛亥十二月到界壬子十二月遆歸】
尹暉【壬子十二月到界癸丑五月遆歸】
權昐【癸丑五月到界甲寅六月遆歸】
張晩【甲寅七月到界同年十一月遆歸】
沈悅【甲寅十二月到界乙卯六月遆歸】
成晉善【乙卯八月到界丁巳四月遆歸】
尹暄【丁巳四月到界戊午七月遆歸】
朴慶新【戊午七月到界己未十一月遆歸】
鄭造【己未十二月兵議到界辛酉十一月去罪死】
金止南【辛酉十一月到界癸亥七月遆歸】
閔聖徵【癸亥七月到界甲子三月遞歸】
李敏求【甲子三月到界乙丑四月遆歸】
金{糸+致}【乙丑四月到界同年五月卒】
元鎤【乙丑七月到界丙寅五月遆歸】
鄭蘊【丙寅五月大諫到界同年閏六月遞歸】
金時讓【丙寅八月僉知到界戊辰十二月遞歸】
洪霶【戊辰十二月到界庚午正月遞歸】
李溟【庚午正月刑參到界辛未正月遞歸】
趙希逸【辛未正月禮參到界同年九月遞歸】
吳䎘【辛未十月承旨到界壬申十月遆歸】
鄭世矩【壬申三月僉知到界癸酉二月遆歸】
洪命考【癸酉二月僉知到界甲戌七月遆歸】
李基祚【甲戌八月戶議到界戊寅八月遆歸】
兪伯曾【戊寅八月水原府使到界丙子三月遆歸】
沈演【丙子三月光牧到界丁丑四月遆歸】
李敬輿【丁丑閏四月承旨到界戊寅二月遆歸】
李景曾【戊寅二月大諫到界己卯四月遆歸官至吏判】
李命雄【己卯七月到界庚辰七月遆歸】
具鳳瑞【庚辰七月承旨到界壬午七月遆歸】
鄭太和【壬午七月戶參到界同年十月遆歸領相】
林墰【壬午十月安東府使到界癸未十月遆歸吏判】
元斗杓【癸未十月江都守到界同年十二月遆歸】
再任林墰【甲子正月兵議到界乙酉二月遆歸】
兪㯙【乙酉二月承旨到界丙戌正月遆歸大司憲】
許積【丙戌正月承旨到界丁亥七月遆歸領相】
睦性善【丁亥七月承旨到界同年九月卒】
趙壽益【丁亥九月承旨到界戊子二月遆歸】
李曼【戊子三月禮議到界己丑十一月遆歸平安監司】
閔應協【己丑十一月承旨到界庚寅十一月遆歸】
南銑【庚寅十一月大司憲到界辛卯七月遆歸吏判】
柳淰【辛卯九月東來府使到界壬辰十月遆歸】
趙啓遠【壬辰十月潭陽府使到界癸巳十月官至正憲刑判忠靖公】
權堣【癸巳十月承旨到界乙未二月去開城留守】
南翧【乙未六月安東府使到界丙申正月遆歸】
洪處厚【丙申正月承旨到界同年閏五月遆歸】
徐元履【丙申六月到界丁酉七月遆去咸慶監司】
任義伯【丁酉七月到界戊戌九月遆去平安監司】
洪葳【戊戌九月萊伯到界己亥九月遆歸】
再任洪處厚【己亥九月廣尹到界辛丑閏七月遆歸】
閔熙【辛丑七月承旨到界壬寅九月遆去右相】
鄭萬和【壬寅九月承旨到界癸卯二月去平安監司】
李尙眞【癸卯二月到界甲辰八月遆去右相】
再任任義伯【甲辰八月到界乙巳八月遆歸】
金徽【乙巳八月右尹到界丙午正月遆歸吏判】
閔點【丙午三月到界同年七月遆歸贊成】
李泰淵【丙午七月到界丁未八月遆去平安監司營卒】
南龍翼【丁未八月到界戊申四月遆去官至輔國吏判】
沈梓【戊申四月承旨到界己酉遆去官至吏判】
閔蓍重【己酉六月水原府使來壬子正月去】
李䎘【壬子正月來癸丑官至右相】
李觀徵【癸丑四月承旨到界乙卯三月官至吏判奉朝賀】
鄭重徽【乙卯五月承旨到界丙辰九月官至參判海興君】
金德遠【丙辰九月承旨到界丁巳五月官至右相】
鄭檏【丁巳五月到界戊午二月官至大司憲】
李端錫【戊午三月承旨到界己未六月官至參判】
朴信圭【己未六月右尹到界庚申八月官至戶判】
尹趾完【庚申八月到界辛酉四月官至右相】
李翊【辛酉四月戶判到界同年遆去吏判】
李秀彦【辛酉八月應敎到界壬戌九月遆去禮判】
權是經【壬戌九月水原府使到界癸亥十一月官至判敦寧】
徐文重【癸亥十一月戶判到界甲子九月官至領相】
再任尹趾完【甲子九月參判到界乙丑九月遆去右相】
李奎齡【乙丑九月到界丙寅四月遆去刑判】
朴泰遜【丙寅四月承旨到界丁卯九月遆吏議】
李世華【丁卯九月長端府使到界己巳三月行吏判忠肅公】
李玄錫【己巳閏三月安東府使到同年十二月遆去禮判】
吳始大【己巳十二月僉知到界庚午八月遆去江華留守】
李聃命【庚午八月副學到界辛未七月遆去參判】
閔昌道【辛未七月承旨到界壬申十月遆歸】
李玄紀【壬申十月承旨到界癸酉十月遆去大司諫】
李端雨【癸酉十月到界甲戌閏五月遆去參判提學】
李寅煥【甲戌閏五月刑議到界丙子五月遆去吏參】
李善溥【丙子五月判決到界同年十二月遆歸】
李彦紀【丙子十二月到界戊寅九月遆去開城留守】
金世翊【戊寅九月廣尹到界同年十月卒】
李世載【戊寅十一月到界辛巳二月遆去平安監司】
崔錫恒【辛巳二月承旨到界壬午十月遆去大諫】
趙泰東【壬午十月到界癸未七月遆去大司憲】
朴權【癸未七月前承旨到界甲申六月吏參去至吏判】
金演【甲申六月刑參到界丙戌七月右尹去至判書】
李壄【丙戌七月到界戊子三月判決去至畿伯】
洪萬朝【戊子三月到界官至判書】
李師尙【己丑十一月到界】
兪命弘【庚寅六月到界】
李宜顯【辛卯八月到界壬辰六月大司諫去至領相奉朝賀】
李坦【壬辰六月水原府使到界甲午六月罷歸】
洪禹寧【甲午六月到界】
權{忄+業}【丁酉六月到界戊戌四月遆去判書】
李㙫【戊戌四月到界己亥四月遆歸】
吳命恒【己亥四月到界】
趙泰億【庚子十一月到界】
洪禹傳【辛丑八月到界】
兪命凝【壬寅四月二十四日到界】
李廷濟【壬寅十月二十七日到界】
李世瑾【癸卯八月日到界】
金東弼【甲辰三月初八日到界】
柳以鎭【甲辰九月十九日到界】
趙榮福【乙巳四月二十四日到界】
兪拓基【丙午五月十九日到界】
黃濬【丁未七月二十四日到界】
朴文秀【戊申四月二十四日到界】
趙顯命【庚戌七月十七日到界】
金始炯【壬子十月十三日到界】
金在魯【甲寅七月二十三日到界】
閔應洙【乙卯三月初八日到界】
再任兪拓基【丁巳四月初七日到界】
尹陽來【戊午七月二十二日到界】
李箕鎭【戊午九月初九日到界】
趙明謙【기미六月二十九日到界】
鄭益河【己未十二月日到界】
沈聖希【辛酉六月十五日到界】
金尙星【壬戌九月日到界】
金尙魯【甲子四月日到界】
權爀【乙丑五月初九日到界】
南泰良【丁卯正月二十九日到界】
閔百祥【己巳正月日到界】
趙載浩【辛未六月日到界】
尹東度【壬申六月日到界】
李彛章【甲戌正月日到界】
李益輔【戊寅十月日到界】
李成中【丙子十月日到界】
趙雲逵【丁丑九月日到界】
趙曮【己卯正月十五日到界】
黃仁儉【辛巳正月二十二日到界】
金尙喆【壬午六月二十六日到界】
鄭存謙【甲申正月初九日到界】
金應淳【丙戌正月十七日到界】
趙暾【丁亥閏七月初八日到界】
李溵【丁亥十二月初八日到界】
金漢耆【己丑三月晦日到界】
李瀰【己丑十二月十五日到界】
李命植【辛卯二月十五日到界】
李潭【辛卯十一月十二日到界】
金華鎭【壬辰四月二十三日到界】
閔弘烈【甲午六月十八日到界】【同年九月初一日遭父喪】
尹養厚【甲午九月十二日到界】【本縣交龜】
金載順【乙未四月二十六日到界】【丙申五月遞付大司憲】
李衍祥【丙申五月初六日到界】
李性源【丁酉八月初三日到界】
李在簡【戊戌九月初一日到界】
洪樂彬【己亥十月二十七日到界】
趙時俊【庚子二月二十七日到界】
李文源【辛丑二月初四日到界】
再任趙時俊【辛丑十月初九日本道慰使巡營交龜】
李秉模【壬寅十二月初九日到界尙州梧里院交龜】
鄭昌順【乙巳二月二十四日到界交龜亭交龜】
金尙集【丙午九月初四日到界】
金光默【丁未六月初九日到界亭松林寺亭交龜】
洪檍【己酉二月十二日到界尙州交龜】
李祖源【己酉十月二十四日到界善山交龜】
鄭大容【辛亥四月二十四日金山到界尙州交龜】
趙鎭宅【癸丑六月十三日到界交龜亭交龜】
李泰永【乙卯六月初七日到界尙州交龜】
李亨元【丁巳三月初九日到界尙州交龜】
李義綱【戊午六月初九日到界本縣交龜】
申耆【己未正月二十六日到界聞慶交龜】
金履永【庚申八月十七日到界制勝堂交龜】
南公轍【壬戌二月二十九日到界善山交龜】
金義淳【甲子正月十六日到界交仁同龜】
尹光顔【丙寅二月日秋風嶺到界仁同交龜】
鄭東觀
鄭晩錫
金會淵
金魯應
李存秀【甲戌七月十五日到界仁同交龜】
金魯敬【丙子十二月二十二日到界交龜亭交龜】
金履載
李在秀
金相休
李止淵
趙寅永
李鶴秀
鄭基善【丁亥九月初六日到界己丑六月日遞付吏曹判書】
李勉昇【己丑七月十一日到界鳥嶺館交龜辛卯正月日遞付吏判】
朴岐壽【辛卯正月十五日尙州交龜壬辰五月遆歸】
金陽淳【壬辰五月十六日到界】
徐喜淳【癸巳五月二十一日到界】
趙秉鉉【甲午十二月二十四日到界】
尹聲大【丙申十月二十二日到界】【戊戌五月初十日遆歸】
權敦仁【戊戌五月初十日到界】
金道喜【己亥三月二十五日到界】
洪在喆【庚子九月初六日到界】
李景在【壬寅四月初七日遆歸】
洪鐘英【癸卯十二月二十四日到界】
李啓朝【乙巳十一月十二日到界】
金公鉉【丁未四月初十日到界】
金大根【戊申八月日本邑交龜】
徐箕淳【己酉十月日到界】
李鼎臣【庚戌十月日到界】
李紀淵【辛亥三月日到界】
洪說謨【壬子二月日到界】
曺錫雨【癸丑四月二十日到界】
金學性【甲寅八月日到界】
申錫愚【乙卯三月日到界】
趙秉駿【丁巳四月日到界】
沈敬澤【戊午三月日到界】
洪祐吉【己未二月十七日到界】
金世均【庚申六月二十日到界】
李敦榮【壬戌】
徐憲淳【癸亥】
李參鉉【乙丑】
吳取善【戊辰】
金世鎬【己巳八月初四日到界】
兪致善【甲戌二月日到界】
洪垸【甲戌七月日到界】
朴齊寅【戊寅七月二十六日到界翌日交龜本邑】
李根弼【戊寅二月日到界】
尹滋承【辛巳二月二十一日到界】
趙康夏【癸未二月二十九日到營】
南一佑
李鎬俊
金明鎭
閔廷植
李憲永
李容直
趙秉鎬

安東觀察府金奭中
李南珪
北道李重夏
嚴世永
趙漢國
金稷鉉

열아홉 번째 상주 보물 「경상도영주제명기(慶尙道營主題名記)」
상주시 사벌면 경천로 684(상주박물관)


상주향교에서 상주박물관에 기탁 보관 중인 경상도영주제명기(慶尙道營主題名記)가 상주시의 19번째 보물(제2039호, 2019.10.31)로 지정되어 또 하나의 상주 자랑이 되었다. 고려 때는 상주, 경주, 진주 등 3개 계수관(界首官)을 포함하여 경상도로 칭하였는데, 경상도 안찰사는 이 3개 계수관을 순찰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그 직명도 도부서사(都部署使), 안찰사(按察使), 안렴사(按廉使), 제찰사(提察使), 도관찰출척사(都觀察黜陟使), 관찰사(觀察使) 등을 사용하였다.


경상도영주제명기는 경상도에 파견된 역대 경상도 관찰사의 명단록으로 1078년(고려 문종32) 도부서사(都部署使) 이제원(李齊元)을 시작으로 1886년(조선 고종23) 관찰사(觀察使) 이호준(李鎬俊)까지 808년간 1,000여 명의 명단을 수록한 2종 2책의 선생안으로, 역사적으로 여러 가지를 파악할 수 있어 그 가치가 높다.

이 책은 1425년(세종 7) 경상도 도관찰출척사로 부임한 경재(敬齋) 하연(河演, 1376~1453)이 경상도영주제명기 두 책을 제작하여 경주본영(慶州本營)과 상주행영(尙州行營)에 보관한 것이 그 효시(嚆矢)이다. 제작의 목적은 후임자들이 선정(善政)·악정(惡政)·중간인(中間人) 중 자신은 과연 어디에 속할 것인가를 늘 계감(戒鑑) 하도록 하는 데 있었으며, 이름 석 자와 뒤에 붙는 선생(先生)이 천추토록 부끄러움이 없도록 하자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었다고 하겠다.

 

상주향교 소장본의 표제는 ‘도선생안(道先生案)’으로 1622년(광해군 14) 관찰사 용계(龍溪) 김지남(金止男, 1559~1631)이 경주 아전 최락(崔洛)이 소장해 온 하연본(河演本)을 토대로 증보수사(增補手寫)하여 경주, 상주, 안동, 대구 등 네 곳에다 영구 보존토록 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慶州 河演本과 尙州 金止男本 두 책만 남았는데, 경주본은 1718년(숙종 44)까지만 기록되었고, 상주본은 169년이나 더 이어져 1886년까지 기록이 되어, 두 책 모두 사료적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다.


상주본은 1970. 10. 20 전 국회도서관장 강주진(姜周鎭) 박사(博士)에 의해 해제와 서문을 증보하고, 일제강점기로부터 1970년까지 경상남·북도 도지사 명단을 증보하여 영인하였다. 그러나 체제가 작아 글씨를 알아보기가 불편하여 1997. 12. 15 사륙배판으로 최대한 원문을 판독하기 쉽게 영인하였다. 또한, 상주문화원에서는 1997년 “註解(慶尙道先生案)”을 발간했다.
이 책은 관찰사 이름의 변천, 관찰사·도사경력·영리(營吏) 등의 역대 명단을 수록함으로써 지방행정의 일면 모를 보게 한 것도 그 사료적 가치가 높다 할 것이다.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 1563~1633) 선생을 보면「觀察使兼巡察使通政大夫兵馬水軍節度使鄭經世, 戊戌四月二十七日右承旨來 十一月辞遆」라 적고 있다. 대부분 부임 시는 날자 뒤에 ‘래(來)’ 자(字)와 이임 시에는 ‘거(去)’ 자(字)를 표기하고 있다.
상주향교의 도선생안(道先生案)과 국립경주박물관에 당하제명기(棠下題名記)가 동시에 보물로 지정이 되었으며, 또한 상주목치(尙州牧置)라는 기록을 통해 상주 목에 보관했던 책이었음이 확인된다.

현재 상주박물관 로비의 ‘이달의 작은 전시’ 코너에서 귀중한 ‘도선생안’을 만날 수가 있으며, 아울러 1604년(선조 37)에 부임한 선원(仙源) 김상용(金尙容, 1561~1637) 목사가 체계적으로 기록하기 시작한 이후, 누대에 걸쳐 수백 명의 명단이 적혀 있는 「상주목선생안(尙州牧先生案)」과 또한, 조선 시대 경상감영의 운영에 대한 종합적인 ‘행정편람서’라고 할 수 있는 귀중한 「영영사례(嶺營事例, 1862~1863년 편찬)」, 그리고 1777년(정조 1) 이진흥(李震興)이 향리(鄕吏)의 사적(事蹟)을 모아 정리하여 상주에서 간행한 연조귀감(掾曹龜鑑) 등도 볼 수가 있다. 이 작은 전시는 올해 말까지 전시를 함으로 상주박물관을 한번 들리시면 새로운 것을 얻을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