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의 향기를 찾아서

[요양등처행중서성(遼陽等處行中書省)]요양행성(遼陽行省)

by 晛溪亭 斗井軒 陽溪 2023. 3. 5.
728x90

https://youtu.be/n3E3l1gdJaw

 https://youtube.com/@user-eg8zu9sv6u 

 

오프더레코드

정치 씬의 뒷이야기, 설상미 기자와 최병현 실장이 3040 시선 그대로 가감없는 질문을 던집니다. 알고싶은 정치의 사생활, 매주 수요일 7시 유튜브 오프더레코드

www.youtube.com

[요양등처행중서성(遼陽等處行中書省)]

요양등처행중서성(遼陽等處行中書省)은 원()이 설치한 행중서성(行中書省)이다. 줄여서 요양행성(遼陽行省)이라고도 하였다.

지리상 위치는 현재의 중국 현재의 중국 동북 3 요령성(遼寧省)、길림성(吉林省)、흑룡강성(黑龍江省) 및 흑룡강(黑龍江) 유역, 우수리 강 동쪽 동해안 지역과, 원의 동녕부(東寧府)와 쌍성총관부(雙城總管府)가 설치되었던 한반도 북부(북한) 지역 및 탐라군민총관부(耽羅軍民總管府) 지역을 관할하였다.

[역사[편집]]

원 왕조는 성립 직후 옛 () 왕조의 행정기구를 답습해 북경부(北京府) 등 노도원수부(路都元帥府)를 설치하고 만주 지역의 진압 및 민정 사무를 행하였다. 쿠빌라이 칸이 즉위한 뒤 선무사(宣撫司)선위사(宣慰司)행성(行省) 등이 설치되고, 군사기구와 민정기구가 분리되었다.

지원(至元) 6(1269)에 현재의 중국 요령성(遼寧省) 요양시(遼陽市)에 동경행성(東京行省)을 설치, 곧 성회(省会)북경(北京) 지역으로 옮겨가면서 북경행성(北京行省)으로 개칭하였다. 이것이 요양행성의 전신이다. 북경행성은 지원 15(1278) 폐지되고 대신 북경선위사(北京宣慰司)로 개편된다. 동경행성 설립 초기에는 무칼리의 후예인 두련가 국왕(頭輦哥國王)이 그 책임자로 행성의 사무를 처리하였으나, 많은 불법행위가 문제가 되어 지원 11(1274) 중서우승상 염희헌(廉希憲)이 평장정사(平章政事)가 되어 두련가의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다. 이는 칭기즈 칸의 막내동생 테무게 옷치긴의 후손으로써 요동지역을 장악하고 있던 옷치긴 왕가의 타가차르에 대한 견제에서 나온 것으로, 행성의 철폐와 재설치는 요동 지역을 통치하고 중앙집권을 강화하려는 쿠빌라이 칸과 요동 지역에서의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옷치긴 왕가의 반발과 양자의 대립과도 관련이 있었으며, 지원 23(1286)의 세 번째 행성 설치 시도는 나얀의 난으로 이어졌다.

지원 23(1286) 북경선위사 일리사카(亦力撒合)의 건의로 다시 동경행성이 설치되고, 행성을 옷치긴 왕가의 속령과 가까운 함평부(咸平府, 요령성 개원현)로 옮겼다. 동경행성은 다시금 5개월만에 폐지되었고, 이듬해인 지원 24(1287) 4월 나얀은 동방의 여러 왕가와 일부 서방 여러 왕가들을 규합해 난을 일으킨다(나얀의 난). 난은 2개월 뒤에 시라무렌 강 부근에서 쿠빌라이가 지휘하는 군에 나얀이 사로잡혀 처형되었으나, 1292년 카다안(哈丹)의 잔당이 압록강 부근에서 몽골과 고려의 연합군에 패퇴할 때까지 5년이나 이어졌다. 나얀이 쿠빌라이에 잡혀 죽은 뒤인 죽은 뒤인 지원 24(1287) 10월에 다시금 요양행성이 설치되고, 이후 폐지되는 일 없이 원 왕조 멸망까지 사용되었다.

금 왕조가 사용했던 부주현을 기초로 설치되었으나 속현의 수는 인구 감소로 이전에 비해 대폭 감소되었다. 또한 주현제 외에도 수렵 민족인 여진족을 통치하기 위한 만호제(투먼)가 유지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요양로(遼陽路)·광녕부로(廣寧府路)·대녕로(大寧路)·동녕로(東寧路)·심양로(瀋陽路)·개원로(開元路수달달로(水達達路)]

 

 

요양로(遼陽路)요양부

요양부(遼陽府)요나라가 지금의 요동을 점령한 이후 랴오양 시 일대에 설치한 옛 행정구역으로 봉천이 요동의 중심지로 선정되는 청 제국 이전까지 요동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시대에 동경(東京, 여진어: /ʤul-'ə gin/ )으로 격상되었다.

 

광녕부로(廣寧府路) 베이전시

베이전시(한국어:북진시,중국어:北镇市,병음:Běizhn Sh)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진저우시의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1782km2이고, 인구는 2007 기준으로 530,000명이다.

대녕로(大寧路)대정부

대정부(大定府)는 거란이 설치한 옛 행정구역으로 요나라5경중 하나인 중경(中京)으로 불렸다. 지금의 내몽골 자치구 츠펑 시 닝청 현일대에 대정부의 옛 고성이 남아있다.

현재 츠펑 시 닝청 현 칭이 진(靑義鎭)에 존재했다. 도성가운데에 요 경종과 승천황후의 묘가 있다. 대동역(大同驛)에서 송나라의 사신을, 조천관(朝天館)에서 고려의 사신을, 래빈관(來賔館)에서 서하의 사신을 맞았다. 1013(개태 2) 인구를 분산시켜 여러 현을 만들었다. 109현을 통치했다.

동녕로(東寧路)동녕부

동녕부(東寧府) 원나라 고려 서경을 편입한 후 설치한 통치기관이다.

1269(원종 10) 서북면 병마사의 기관(記官) 최탄(崔坦) 등이 난을 일으켜 서경을 비롯한 북계(北界)54성과 자비령(慈悲嶺) 이북 서해도(西海道)6성을 들어 원나라에 투항하였다.

1270(원종 11쿠빌라이 칸은 자비령 이북의 영토를 직속령으로 모두 원나라에 편입하고 서경에 동녕부를 설치한 후, 최탄을 동녕부 총관(摠管)에 임명하였다. 이에 고려 원종은 원나라의 수도 대도(大都)로 입조하여 쿠빌라이 칸에게 자비령 이북 지역의 반환을 요구하였으나 관철되지 않았고1275(충렬왕 1)에는 동녕부를 동녕총관부로 승격시켰다.

1290 은 고려의 끈질긴 요구를 받아들여 자비령 이북 지역을 고려에 돌려주고, 동녕부를 요동(遼東)으로 옮겼다.

심양로(瀋陽路)선양시

선양시(沈阳市) Shěnyng 선양시(중국어 간체자: 沈阳市, 정체자: 瀋陽市, 병음:Shěnyng Sh,중국조선어:심양)는 중국랴오닝성의 성도이다.펑톈(중국어간체자:奉天,병음:Fngtiān)은 선양의 옛 이름이다. 국가역사문화명성(國家歷史文化名城)에 선정된 관광 도시로, 만주족은 묵던(만주어:ᠮᡠᡣᡩᡝᠠ Mukden)이라고 부르고, 유럽에서도 묵던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원나라시기에 고려 국왕심양왕으로 봉하였다.

이름의 유래는 선양 남부를 흘러 지나는 훈허(渾河)의 옛 이름 심수(瀋水)의 북쪽에 있다는 심수지양(沈水之阳)에서 유래된다. 7200년에 이르는 아주 오래된 역사를 가지며, 구석기에 취락했던 신락유적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다. 17세기 초반, 사르후 전투에서 승리한 만주족의 누르하치는 선양을 점령하고 1625후금의 수도로 정했으며, 1634에는 성경(盛京)(만주어: 묵던)으로 개칭하였다. 그 후 청나라로 이름을 고친 후금은 1644 명나라를 멸망시킨 후 중국을 점령하고 수도를 베이징으로 변경했다. 하지만 선양은 제2의 수도 대접을 받아 1657에는 봉천부라고 명명되었고, 형식적이나마 중앙정부에 준거한 관제를 행사할 수 있었다. 지금도 시내에는 그 때의 황궁과 선양고궁이 남아 있다.

개원로(開元路)

()나라 때 동북(東北) 지역인 셴핑부[咸平府:遼寧省 開原縣]에 설치하였던 지방행정구.

이익의 성호사설2 옥저읍루일통지(一統志) ‘개원성은 삼만위(三萬衛) 서문(西門) 밖에 있다.’라고 하였고원지(元志)에는 개원 서남쪽을 영원현(寧遠縣)이라 하고,  서남쪽을 남경(南京)이라 하며, 또 남쪽을 합란부(哈蘭府)라 하고, 또 남쪽을 쌍성(雙城)이라 한다.’ 하였다.”라고 되어 있다.
개원로(開元路) : 요양성(遼陽城)에 소속된 지명으로, 원나라에서 처음 설치하였다원사 지리지(地理志)을미년(1235)에 개원 만호부(開元萬戶府) 남경 만호부(南京萬戶府)를 설치하고 치소(治所) 황룡부(黃龍府)에 두었다.”라고 하였다지금의 길림성 농안(農安)이라고 한다.

1254 몽고의 산지산지가 조씨와 이안사를 공격하고 회유하자 항복하였다. 당시 몽고군이 철군할 때 항복한 고려인들을 지린성으로 끌고 갔는데 조씨와 이안사를 개원로(開元路남경(南京)의 오동(斡東, 알동)으로 끌고갔으며 조씨는 쌍성총관그리고 이안사는 1255 오동천호소의 우두머리 오동천호(千戶)  다루가치(達魯花赤)로 임명되었다.

1274 상을 떠나 아들 이행리가 관직을 이어받았다1392 728 태조 이성계에 의해 목왕(穆王)에 추봉되었다가 1411 422 태종에 의해 목조(穆祖인문성목대왕(仁文聖穆大王)에 재추봉되었다.

1271(원종 12)에 국자박사(國子博士)로 대장군 곽여필(郭汝弼)과 함께 서경에 가서 도망한 백성을 찾는 일을 담당하였으며, 1280(충렬왕 6)에는 쌍성(雙城)에 가서 민호(民戶)의 쇄환(刷還)을 추진하였다. 1283년에 정랑으로 낭장(郎將) 김위량(金位良)과 함께 개원로(開元路: 지금의 만주지방)에 가서 인물(人物)을 추쇄한 공으로 이듬해 왕으로부터 말 두 필을 상으로 받기도 하였다.

수달달로(水達達路)

합란부(合蘭府, 哈蘭府수달달로(水達達路): 북만주 헤이룽장성 일대. 원대에는 개원로(開元路), 수달달로(水達達路)가 설치되어 랴오양행성(遼陽行省)에 속하게 되었다.

[왕준王綧, 趙暉]

王綧,高麗王㬚之猶子也,美容儀,慷慨有志略,善騎射,讀書通大義,以質子入朝。

왕준,고려왕㬚지유자야,미용의,강개유지략,선기사,독서통대의,이질자입조。

 

歲癸丑,高麗權臣高令公叛,憲宗命耶虎大王東征,綧奉旨為使講和,仍鎮守其地,時高麗人戶新附者,就命綧總之。中統元年,授金符總管,陞佩虎符,兼領軍民。三年,率兵征濟南李璮。至元七年,高麗臣林衍叛,世祖遣頭輦哥國王討之,綧簽領部民一千三百戶,與國王同行。是年十一月,以疾辭還,家居。二十年九月,卒,壽六十一。子三人。

세계축,고려권신고령공반,헌종명야호대왕동정,준봉지위사강화,잉진수기지,시고려인호신부자,취명준총지。중통원년,수금부총관,승패호부,겸령군민。삼년,솔병정제남리璮。지원칠년,고려신림연반,세조견두련가국왕토지,준첨령부민일천삼백호,여국왕동행。시년십일월,이질사환,가거。이십년구월,졸,수륙십일。자삼인。

 

阿剌怗木兒襲職,授虎符,總管高麗人戶。至元八年,將兵討叛賊金通精,賊敗走躭羅。十一年,進昭勇大將軍,從都元帥忽都征日本國,預有戰功。〔十〕五年,加鎮國上將軍、安撫使、高麗軍民總管,尋陞輔國上將軍、東征左副都元帥。十八年,復征日本,遇風濤,遂沒于軍。

아랄첩목아습직,수호부,총관고려인호。지원팔년,장병토반적금통정,적패주탐라。십일년,진소용대장군,종도원수홀도정일본국,예유전공。〔십〕오년,가진국상장군、안무사、고려군민총관,심승보국상장군、동정좌부도원수。십팔년,부정일본,우풍도,수몰우군。

 

闊闊帖木兒,入侍武宗潛邸,積勞授太中大夫、管民總管。

활활첩목아,입시무종잠저,적로수태중대부、관민총관。

 

兀愛襲兄阿剌帖木兒職,佩金虎符,授安遠大將軍、安撫使、高麗軍民總管、東征左副都元帥。二十四年,乃顏叛,力戰屢捷。復從月魯兒那演討塔不歹、朵歡大王于蒙可山、那江,統兵五千餘眾,與八剌哈赤脫歡相拒,絕流戰黑龍江,箭中右臂,忍傷復戰,敵大敗。二十五年,征哈丹禿魯〔干〕,隸平章闊里帖木兒麾下,論功居多。冬十二月,賊軍古都禿魯干次於斡禿魯塞,平章率兀愛討降之。明年,加授昭武大將軍、遼陽等處行中書省事。又明年,哈丹等入寇高麗國境,遣兀愛鎮守,仍修城壁,嚴卒伍,軍威大振,賊遂潛遁。九月,哈丹禿魯干復寇纏春,兀愛引兵擊却之。

올애습형아랄첩목아직,패금호부,수안원대장군、안무사、고려군민총관、동정좌부도원수。이십사년,내안반,력전루첩。부종월로아나연토탑불알、타환대왕우몽가산、나강,통병오천여중,여팔랄합적탈환상거,절류전흑룡강,전중우비,인상부전,적대패。이십오년,정합단독로〔간〕,례평장활리첩목아휘하,론공거다。동십이월,적군고도독로간차어알독로새,평장솔올애토강지。명년,가수소무대장군、료양등처행중서성사。우명년,합단등입구고려국경,견올애진수,잉수성벽,엄졸오,군위대진,적수잠둔。구월,합단독로간부구전춘,올애인병격각지。

 

二十八年,入覲世祖于內殿,嘉其戰功,賜尚方玉帶及銀酒器。二十九年,改東征左副都元帥府,立總管高麗女直漢軍萬戶府,乃授兀愛三珠虎符,陞鎮國上將軍,總管高麗女直漢軍萬戶府,兼瀋陽安撫使、高麗軍民總管。

이십팔년,입근세조우내전,가기전공,사상방옥대급은주기。이십구년,개동정좌부도원수부,립총관고려녀직한군만호부,내수올애삼주호부,승진국상장군,총관고려녀직한군만호부,겸심양안무사、고려군민총관。

 

[新元史/卷176]

<新元史>

卷一百七十五 ◄新元史

卷一百七十六 列傳第七十三

●洪福源〈茶邱 君祥 萬〉 왕준王綧〈阿剌帖木兒 兀愛〉

 

目录

1 洪福源

1.1 茶邱

2 君祥

2.1 萬

3 王綧왕준 趙暉, 영녕공(永寧公) 안무고려군민총관(按撫高麗軍民摠官), 出生卒 : 1223-1283, ●심양등로안무고려군민총관부(瀋陽等路安撫高麗軍民總管府) 고려 후기 원나라에서 심주(瀋州)·요양(遼陽) 지역을 다스리기 위해 설치한 관부

[洪福源]

洪福源,本高麗唐城人。父大純,爲麟淵都領,因家焉。太祖十一年,契丹叛衆乞奴、金山等竄於高麗,陷江東城據之。十三年,太祖使哈真等追討之,大純率衆迎降,仍歸高麗。十七年,太祖又遣著古與等十二人使於高麗,偵其虛實,還,遇害。

 

太宗二年,以高麗殺使者,遣大將撒禮塔伐之。時福源爲西京郎將,與其党畢賢甫殺宣諭使鄭毅、朴祿全,據西京,內附。高麗遣兵馬使閔曦攻之,獲賢甫。腰斬之。福源來奔,高麗執其父大純及大純弟百壽。徙余民於海島,西京遂丘爲丘墟。福源從撒禮塔攻拔四十餘城,又與阿禿兒進至王京。高麗王瞮乃遣其弟懷安公釢請降,遂置東京及州縣達魯花赤七十二人,以福源爲東京總管,領高麗軍民。瞮畏福源構釁,官其父大純爲大將軍,百壽爲郎將。以張暐爲福源女婿,賄遣不絕。

 

四年,高麗復叛,殺所置達魯花赤,遁入江華島。福源招集北邊四十余城遺民,以待王師。太宗復遣撒禮塔討高麗,福源從大軍攻處仁城,撒禮塔中流矢卒。副將帖哥引兵還,福源留戍。

 

五年,高麗悉衆攻之,陷西京,福源率所部來歸,處於遼、沈二州之地。六年,賜金符,爲管領高麗軍民長官,仍令招流民之未附者。又諭高麗臣民有執王瞮及構亂之人來獻者,與福源同處東京,優加恩禮擢用。若大兵已至,拒者死,降者生,其降民令福源統之。

 

七年,大宗命唐古拔都兒偕福源進討,攻拔龍岡、鹹從二縣鳳、海、洞三州,又拔金山、歸、信、昌、朔等州。十一年二月,入朝,賜鎧甲、弓矢及金織文緞、金銀器、金鞍勒等。

 

定宗初,命阿母河行省軍與福源攻拔威州平虜城。

 

憲宗即位,改授虎符,仍爲前後歸附高麗軍民長官。三年,命諸王耶虎與福源攻拔禾山、東州、春州,三角山,楊振、天龍等城。四年,又攻拔光州、安城、忠州、玄鳳、珍原、甲向、玉果等城。八年,福源入朝,留和林。

 

高麗既納款,永寧公綧爲質子,寓於福源家,福源待之甚厚。久乃與福源有隙。福源令巫作木偶人,縛手足,埋於第七投井中咀咒。綧從者李綱知之,以奏惠宗。遣使驗之。福源曰:「兒子病虐。故用之以厭虐鬼,非有他也。」因謂綧曰:「公受恩於我久矣,今乃使讒人陷我所謂養犬反噬主人也。」綧妻宗室女,聞福源詬綧,使譯者述其詞,大怒,呵福源優於地,切責曰:「汝在高麗爲何等人?」曰:「邊城人。」又問:「我公爲何等人?」曰:「王族。」曰:「然則永寧公真汝主,汝實爲犬,反以公爲犬噬主何也?我皇族女。帝以公爲高麗王族而嫁之公爲犬。安有人而與犬同處者乎?吾當奏帝。」遂行。福源號泣叩頭乞罪,綧追止之,不及。福源傾家資備賄賂,與綧倍道追之。中途遇敕使,令壯士數十人蹴殺福源,籍沒家貲,械其妻及子茶丘、君祥等以歸。

 

福源死時年五十二。中統二年,茶丘雪父冤,贈嘉議大夫,瀋陽侯。諡忠惠。

 

福源七子,俊奇、君祥最知名。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