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해동역사 속집 제10권 / 지리고(地理考) 10
고려(高麗) 1
강역총론(疆域總論)
○ 고려 초기에는 그 강역이 삼면은 바다로 막혔고, 북쪽은 정평(定平)의 도련포(都連浦)를 경계로 삼았으며, 서북쪽은 청천강(淸川江)을 경계로 삼았다가 뒤에는 압록강(鴨綠江)을 경계로 삼았다.
《금사(金史)》 고려열전(高麗熱傳)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고려 지역은 압록강 동쪽과 갈라로(曷懶路) 남쪽에 위치하였으며, 동쪽과 남쪽은 모두 바다에 닿았다.
《고려도경(高麗圖經)》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고려는, 남쪽은 요해(遼海)로 막히고 서쪽은 요수(遼水)로 막혀 있고 북쪽은 옛 거란(契丹)의 땅과 접하였고 동쪽은 금(金)나라와 맞닿았다. 또한 일본(日本), 유구(琉球), 탐라(耽羅), 흑수(黑水), 모인(毛人) 등의 나라와 땅의 경계가 서로 맞물려 있다. 신라(新羅)와 백제(百濟)가 스스로 그 국경을 견고히 하지 못하여 고려 사람들에게 병합되었으니, 지금의 나주도(羅州道)와 광주도(廣州道)가 그 지역이다. 그 나라는 경사(京師)에서 동북쪽으로 있다. 연산도(燕山道)에서 육로(陸路)로 가다가 요수를 건너 동쪽으로 가면 그 국경에 이르는데, 무릇 3790리이다. 바닷길로 갈 경우에는, 하북(河北), 경동(京東), 회남(淮南), 양절(兩浙), 광남(廣南), 복건(福建)에서 모두 갈 수가 있다. 지금 세워진 나라는 등주(登州), 내주(萊州), 빈주(濱州), 체주(棣州)와 마주 보고 있다. 옛날에는 봉경(封境)이 동서 간의 거리가 2000리이고 남북 간의 거리가 1500여 리였는데, 지금은 이미 신라와 백제를 병합하였으며, 동북쪽은 조금 넓어졌고, 그 서북쪽은 거란과 접하였다. 옛날에 대요(大遼)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가 뒤에는 대요의 침입을 받게 되어 내원성(來遠城)을 쌓아 요새로 삼았다. 그러나 역시 압록강을 험요처로 믿었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고려 태조가 신라(新羅), 궁예(弓裔), 견훤(甄萱)의 땅을 통합하여 그 강역이 동쪽, 서쪽, 남쪽은 모두 바다에 닿았고, 북쪽 경계는 서쪽으로는 청천강(淸川江)에서부터 동쪽으로 도련포(都連浦)에 이르기까지를 경계로 삼았다. 그 뒤에 서쪽 경계를 조금 더 개척하여 압록강까지 이르렀다. 그러니 《고려도경》에서 서쪽 경계는 요수(遼水)까지라고 한 것은 잘못된 것이다.
○ 태조(太祖) 때 주현(州縣)을 설치하면서는 신라의 옛 제도를 그대로 따랐다.
《오대사(五代史)》 고려열전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왕건(王建)이 군사를 출동시켜 신라와 백제를 격파하였다. 이에 동이(東夷)의 여러 나라가 모두 고려에 귀속하였다. 2경(京), 6부(府), 9절도사(節度使), 120군(郡)이 있다.
《문헌비고(文獻備考)》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태조 때에는 송경(松京)과 서경(西京)이 있었으니 2경(京)이라고 하는 것은 이를 두고 한 말이다. 신라에는 6소경(小京), 9주(州), 128군(郡)이 있었으니, 6부, 9절도사, 120군이라고 하는 것은 대개 신라의 옛 제도를 그대로 따라서 크게 변혁시키지 않은 것이다.
○ 성종(成宗) 때 경내를 나누어서 10도(道)로 만들었다.
《송사(宋史)》 고려열전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곽원(郭元)이 스스로 말하기를, “본국의 도성에는 담장이 없다. 부(府)를 개성(開城)이라고 하는데, 6현(縣)을 관할하고, 주민은 3000호에서 5000호를 밑돌지 않는다. 주(州)마다 군사 100여 명씩을 두고, 10로(路)에 전운사(轉運司)를 설치하여 그들을 통할하고 있다. 주마다 5, 6개의 현을 관할하는데, 작은 주는 3, 4개의 현이며, 현마다 3, 4백 호가 산다. 국경은 남쪽에서 북쪽까지가 1500리이고 동쪽에서 서쪽까지가 2000리이다.” 하였다.
《고려사(高麗史)》 지리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성종이 주(州), 부(府), 군(郡), 현(縣) 및 관(關), 역(驛), 강(江), 포(浦)의 호칭을 고치고 마침내 경내를 나누어서 10도로 만들었으며, 12개의 주에다 각각 절도사를 두었다. 10도는 관내도(關內道) -양주(楊州), 광주(廣州), 황주(黃州), 해주(海州)를 관할한다-, 중원도(中原道) -청주(淸州), 충주(忠州)를 관할한다-, 하남도(河南道) -공주(公州), 운주(運州)를 관할한다-, 강남도(江南道) -전주(全州), 영주(瀛洲), 순주(淳州), 마주(馬州)를 관할한다-, 영남도(嶺南道) -상주(尙州)를 관할한다-, 영동도(嶺東道) -경주(慶州), 김주(金州)를 관할한다-, 산남도(山南道) -진주(晉州)를 관할한다-, 해양도(海陽道), -나주(羅州), 광주(光州), 정주(靜州), 승주(昇州), 견주(見州), 담주(潭州), 낭주(朗州)를 관할한다-, 삭방도(朔方道) -춘주(春州), 교주(交州), 화주(和州), 명주(溟州), 등주(登州)를 관할한다-, 패서도(浿西道) -서경(西京)에서 관할하는 바를 관할한다.- 등이다. 10도가 관할하는 주와 군은 모두 580여 개다.
○ 현종(顯宗) 때 3경(京), 4도호부(都護府), 8목(牧)을 설치하였다. 이 뒤로는 5도(道), 양계(兩界)로 정하였으며, 문종(文宗) 때 또 남경(南京)을 두어서 모두 4경이 되었다.
《송사》 고려열전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고려 왕은 개주(開州) 촉막군(蜀莫郡)에서 사는데, 이곳을 개성부(開城府)라고 한다. 신라 지역을 동주(東州) 낙랑부(樂浪府)로 삼아 동경(東京), 백제 지역을 금주(金州) 금마군(金馬郡)으로 삼아 남경(南京), 평양(平壤)을 진주(鎭州)로 삼아 서경(西京)이라고 부르는데, 서경이 가장 번성하다. 통틀어서 모두 3경, 4부, 8목에 군이 118개, 현(縣)과 진(鎭)이 390개, 주도(洲島)가 3700개이다. 작은 군읍은 간혹 100호밖에 안 된다. 인구는 남녀가 총 210만 명이며, 병사, 백성, 승려 등이 각각 3분의 1씩을 차지한다. 지역은 기후가 춥고 산이 많다.
《고려사》 지리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현종 초기에 절도사를 폐지하고 4도호부, 8목을 설치하였다. 이로부터 이후로는 5도, 양계로 정하였는데, 5도는 양광도(楊廣道), 경상도, 전라도, 교주도(交州道), 서해도(西海道)이고, 양계는 동계(東界), 북계(北界)이다. 총 4경(京), 8목, 15부, 129군, 335현, 29진(鎭)이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양광도는 지금의 경기 양주(楊州) 남쪽 및 충청도 지역이다. 경상도와 전라도는 지금과 같다. 교주도는 지금의 강원도 영서(嶺西) 지역이다. 서해도는 지금의 황해도 지역이다. 동계는 지금의 강원도 영동(嶺東) 및 함경남도 지역이다. 북계는 지금의 평안도 지역이다. 이 이외에 또 경기가 있는데, 지금의 양주 북쪽 및 황해도 금천(金川), 평산(平山) 등지이다.
또 살펴보건대, 고려 초기부터 송경과 서경 두 경이 있었는데, 성종이 또 경주(慶州)에 동경을 두고서 낙랑부(樂浪府)라고 불렀다가 뒤에 강등시켜서 주(州)로 삼았다. 현종(顯宗)이 다시 동경을 두어 3경을 갖추었다. 문종(文宗) 때 또 지금의 경성(京城)을 승격시켜서 남경으로 삼아 모두 4경이 되었다. 《송사》에서 금마군(金馬郡)을 남경으로 삼았다고 한 것은 잘못된 것이다. 금마군은 지금의 익산군(益山郡)이다.
《고려도경》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고려의 주현(州縣)의 설치는 실제와 명칭이 맞지 않고, 다만 취락이 번성한 곳일 뿐이다. 나라의 서북쪽으로부터 거란(契丹), 대금(大金)의 접경에 이르기까지 간간이 보루(堡壘)와 참호(塹壕)가 있고, 그 동남쪽의 바닷가에도 도서(島嶼)에 설치한 것이 있다. 오직 서경이 가장 번성하여 성과 시가(市街)가 대략 왕성(王城)과 같다. 또한 3경, 4부, 8목이 있고, 또 방어하는 군이 118개, 현과 진이 390개, 주도(洲島)가 3700개가 있는데, 여기에는 모두 수령(守令)과 감관(監官)을 두어 백성을 다스린다. ○ 신이 듣건대, 사이(四夷)의 군장(君長)들은 대부분 산과 계곡을 의지하거나 물과 풀이 있는 곳을 따라 수시로 옮겨 다니는 것을 편하게 여겼으므로, 본디부터 나라에 도읍(都邑) 제도가 있었는지는 알 수가 없습니다. 서역(西域)의 거사(車師)나 선선(鄯善) 등의 나라만이 겨우 담장을 쌓아 거성(居城)으로 삼을 줄 알았으므로, 사가(史家)들이 그것을 가리켜 ‘성곽제국(城郭諸國)’이라고 하였습니다. 이는 대개 그 특이함을 기록한 것입니다. 그러나 고려의 경우는 그렇지 아니하여 종묘(宗廟)와 사직(社稷)을 세우고, 읍(邑)에는 가옥을 만들고, 주(州)에는 마을 문을 세우고, 높은 성첩(城牒)을 둘러쌓아 중화(中華)를 모방하였습니다. 아마도 이것은 기자(箕子)가 봉작(封爵)을 받은 옛 땅이라서 중화의 전해 오는 풍속과 습성이 아직도 남아 있는 것인 듯합니다. 우리 조정에서 간간이 그 나라를 무마하기 위하여 사신을 파견하여 그들의 지경에 들어가 보면, 성곽들이 우뚝우뚝하여 실로 쉽사리 업신여길 수가 없습니다. 이제 그 나라를 세운 형세를 모두 파악하여 그림으로 그렸습니다.
[동북계(東北界)의 연혁(沿革)]
동북계는 지금의 함경도이다. 옛날에는 옥저국(沃沮國)이었고, 한나라 때에는 현도군(玄菟郡)을 설치하였다가 곧바로 고구려에 함락되었는데, 졸본(卒本), 책성(柵城) 등지가 바로 그 지역이다. 당나라가 고구려를 멸망시킨 뒤에는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에 속하였으며, 덕원(德源) 남쪽은 신라에 편입되었다. 발해의 대씨(大氏)가 흥성하고서는 남해부(南海府), 용원부(龍原府), 솔빈부(率賓府) 세 부를 이곳에 설치하였다. 발해가 망하고서는 함흥(咸興) 북쪽은 여진(女眞)이 차지하였는바, 바로 금(金)나라 사람들이 처음 일어난 지역이다. 고려의 시대가 다 끝나도록 얻고 잃음이 무상하였다. 그러므로 별도로 조항을 만들어 상고하였다.
○ 고려 초기에는 여진과 더불어 정평(定平)의 도련포(都連浦)를 경계로 삼았으며, 뒤에는 이곳에 장성(長城)을 쌓았다.
《문헌통고(文獻通考)》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여진은 옛 숙신씨(肅愼氏)로, 대대로 혼동강(混同江)의 동쪽, 장백산(長白山)의 압록강(鴨綠江)이 발원하는 지역에서 살았으며, 남쪽으로 고려와 인접하였다.
《금사》 세기(世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금(金)나라 시조(始祖) 함보(函普)가 처음 고려에서 올 적에 동생인 보활리(保活里)와 함께 왔다. 시조는 완안부(完顔部) 복간수(僕幹水)의 물가에서 살았고, 보활리는 야라(耶懶)에서 살았다.
《고려사》 열전(列傳)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여진은 본디 고구려의 부락으로, 개마산(蓋馬山)의 동쪽에 모여 살면서 대대로 직공(職貢)을 닦았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개마산은 바로 백두산의 남쪽 대간(大幹)이다. -이에 대한 내용은 산수조(山水條)에 나온다.- 개마산의 동쪽은 지금의 함흥(咸興), 길주(吉州) 등지로, 이른바 야라(耶懶) 및 복간수(僕幹水)가 바로 그곳에 있다. 《고려사》를 보면, 예종(睿宗)이 금나라 임금에게 준 글에 “더구나 저들이 발원한 곳은 반이 우리의 영토이다.” 한 것이 바로 이를 두고 한 말이다.
또 살펴보건대, 《고려사》 지리지를 보면, “북쪽으로는 도련포로 경계를 삼아 장성(長城)을 쌓았다.” 하였고, 병지(兵志)에는 이르기를, “덕종(德宗) 2년(1033) -송나라 인종(仁宗) 11년- 에 유소(柳韶)가 비로소 북쪽 경계의 관방(關防)을 설치하였는데, 압록강이 바다로 들어가는 입구에서부터 시작하여 동쪽으로 화주(和州) -지금의 영흥부(永興府)이다.- 등의 성까지 이어지는 곳에 설치하여 동쪽으로 바다에 닿았다.” 하였다. 《여지승람(輿地勝覽)》을 보면, 도련포는 함흥부에서 남쪽으로 35리 되는 곳에 있는데, 옛 장성의 꼬리가 이곳까지 닿았다. 이곳이 바로 고려와 여진의 경계가 나누어진 곳이다.
○ 함흥 북쪽에서 단천(端川), 길주(吉州) 등지에 이르는 지역을 금나라 사람들은 합라로(合懶路)라고 한다.
《금사》 지리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합라로에 총관부(摠管府)를 설치하였다. 정원(貞元) 1년(1153)에 총관(摠管)을 고쳐서 윤(尹)으로 삼고 이어 합라로 병마도총관(合懶路兵馬都摠管)을 겸하게 하였다. 승안(承安) 3년(1198)에 병마부총관(兵馬副摠管)을 설치하였다. 옛날에 해총(海蔥)을 바쳤는데, 대정(大定) 17년(1177)에 혁파하였다. 이록고수(移鹿古水)가 있다. 서북쪽으로 상경(上京) -삼가 살펴보건대, 영고탑(寧古塔)이다.- 까지 1800리이고, 동남쪽으로는 고려의 경계까지 500리이다.
《대청일통지(大淸一統志)》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폐합라로(廢合懶路)가 영고탑성 동남쪽에 있다. 금나라에서 설치하였으며, 갈라로(曷懶路)라고도 한다. 서북쪽으로는 상경까지 1800리이고, 동남쪽으로는 고려까지의 경계가 500리이다. 원(元)나라 때에 폐지되었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합라로는 갈라로라고도 하고, 압라로(押懶路)라고도 하고, 야라로(耶懶路)라고도 하고, 이라로(移懶路)라고도 하는데, 모두 같은 것이다. 《금사》 지리지를 보면, 회령부(會寧府)에서 동남쪽으로 휼품로(恤品路)까지 1600리이고, 갈라로까지 1800리이며, 휼품로에서 서남쪽으로 갈라로까지 1200리이다. 《대청일통지》를 보면, “회령고성(會寧古城)이 영고탑성 서남쪽에 있다.” 하였으며, 또 이르기를, “영고탑에서 남쪽으로 토문강(土門江)의 조선 경계까지가 600리이다.” 하였다. 회령부는 바로 금나라의 상경으로, 옛 성이 지금의 영고탑에서 서남쪽으로 90여 리 되는 곳에 있는 호이합하(虎爾哈河)의 남쪽에 있다. 그런즉 남쪽으로 토문강까지는 의당 500리에 불과할 것이다. 휼품로나 갈라로 역시 토문강 남쪽의 함경도 안에 있어서 북쪽은 휼품로가 되고 남쪽은 갈라로가 된다. 휼품로에서 갈라로까지 1200리라는 것은 도발근(都孛菫)이 주둔해 있는 곳을 가리키는 듯한바, 실제로는 지역을 서로 접하고 있는 것이다.
또 살펴보건대, 《금사》 지리지를 보면, 합라로 동남쪽에서 고려의 경계까지 500리이다. 지금 도련포 북쪽에서부터 500리를 가면 이원(利原)이나 단천(端川) 등지에 이른다. 그런즉 합라로총관부(合懶路摠管府)는 마땅히 마천령(磨天嶺) 남쪽 지역에 있어야 한다.
○ 삼수부(三水府) 서북쪽의 압록강 안팎 지역을 금나라 사람들이 휼품로라고 하였다.
《금사》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지리지에 이르기를, “휼품로에는 절도사(節度使)를 두었다. 요나라 때에는 솔빈부(率賓府)로 삼고 자사(刺史)를 두었다. 본디는 솔빈(率賓)의 옛 지역이다. 태종(太宗) 천회(天會) 2년(1124)에 야라로의 도발근이 거주하는 곳의 땅이 척박하다는 이유로 마침내 이곳으로 옮겼다. 그러고는 해릉(海陵)의 예로써 만호(萬戶)를 혁파하고 절도사를 두었으며, 인하여 속빈로 절도사(速頻路節度使)라고 하였다. 세종(世宗) 대정(大定) 11년(1171)에 야라로와 속빈로의 거리가 1000리가 되는 데다가 이미 속빈로에 거처하고 있었으나, 근본을 잊을 수가 없다고 하여 마침내 석토문 친관맹안(石土門親管猛安)을 일러 압라 맹안(押懶猛安)이라고 하였다. 승안(承安) 3년(1198)에 절도부사(節度副使)를 두었다. 서북쪽으로 상경(上京)까지 1570리이고, 동북쪽으로 호리개(胡里改)까지 1100리이고, 서남쪽으로 합라로까지 1200리이고, 북쪽으로 변방 경계인 간가아련(幹可阿憐) 천호(千戶)까지 2000리이다. 야라(耶懶)는 또 압라(押懶)로도 표기한다.” 하였다. ○ 본기(本紀)에 이르기를, “천회 9년(1131)에 도문수(徒門水) 서쪽, 혼동수(渾疃水), 성현수(星顯水), 잔준수(僝蠢水)의 삼수(三水) 북쪽의 한전(閑田)을 갈라로의 여러 모극(謀克)에게 주라고 명하였다.” 하였다.
《대청일통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폐휼품로(廢恤品路)가 영고탑성의 동남쪽에 있다. 원나라 때 폐지하였다.
살펴보건대, 휼품(恤品), 속빈(速頻)은 바로 솔빈(率賓)의 와음(訛音)이고, 야라(耶懶), 압라(押懶)는 바로 합라(合懶)의 와음이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휼품은 바로 발해의 솔빈부와 고구려의 졸본(卒本)으로, 모두 음이 바뀐 것이다. 《금사》 지리지를 보면, “천회 2년(1124)에 야라로의 도발근이 거주하는 곳의 땅이 척박하다는 이유로 휼품로로 옮겼다.” 하였으며, 본기(本紀)를 보면, “천회 2년에 이라로(移懶路)의 도발근 완안충(完顔忠)을 소빈수(蘇濱水)로 옮겼다. 9년에 도문수 서쪽, 삼수(三水) 북쪽의 한전을 갈라로의 여러 모극에게 주었다.” 하였는데, 이라로는 야라로이고, 소빈(蘇濱)은 휼품이고, 도문수는 지금의 두만강이다. 삼수는 지금의 삼수부(三水府)이다. 삼수부라는 이름은, 압록강이 그 북쪽을 경유하고 허천(虛川)이 동쪽에 있으며 장진강(長津江)이 서쪽에 있음으로 인해 그렇게 이름한 것인데, 《금사》에서는 혼동수, 성현수, 잔준수 세 강을 일러 삼수라고 하였는바, 이는 옛날과 지금의 명명한 것이 다른 것이다. 《금사》에 또 이르기를, “오연포할노(烏延蒲轄奴)는 속빈로(速頻路) 성현하(星顯河) 사람이다.” 하였는바, 성현수 등 세 강이 속빈로에 있음을 여기에 의거하여 더욱더 분명하게 알 수가 있다. 《성경통지(盛京通志)》에 이르기를, “휼품로는 지금의 흥경(興京) 동남쪽 변경 밖에 있다.” 하였고, 《고려사》 지리지에는 이르기를, “갑산(甲山)은 본디 허천부(虛川府)로, 오랫동안 여진이 차지하고 있었다.” 하였고, 《갑산부지(甲山府志)》에는 칭하기를, “여진의 도통(都統)이 살던 곳이다.” 하였다. 그리고 고구려의 졸본이 지금의 폐여연군(廢閭延郡)의 강 건너편 지역에 있었다. -이에 대한 내용은 고구려 흘승골성조(高句麗紇升骨城條)에 나온다.- 이상의 여러 사실들을 참고해 볼 때 지금의 갑산부, 삼수부 등의 지역에서부터 서쪽으로 폐여연군의 압록강 지역에 이르기까지는 모두 옛날의 졸본, 솔빈, 휼품의 지역이었다.
○ 《금사》에서 칭한 오국(五國)의 여러 부(部)와 그 나머지 여러 지역들은 모두 지금의 관북(關北) 지역이다.
《금사》 세기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소조(昭祖)가 무위(武威)를 빛내면서 청령(靑嶺), 백산(白山)에 이르러서 소빈(蘇濱), 야라(耶懶)의 지역에 들어가 이르는 곳마다 승리를 거두었다. ○ 경조(景祖) 때 -송나라 인종(仁宗) 때이다.- 점차 여러 부(部)가 역속(役屬)하여 백산(白山), 야회(耶悔), 통문(統門), 야라(耶懶), 토골론(土骨論)의 족속에서부터 오국(五國)의 장(長)에 이르기까지 모두 명령에 따랐다. ○ 오국(五國)의 포섭부 절도사(蒲聶部節度使) 발을문(拔乙門)이 반란을 일으켜 요나라의 응로(鷹路)가 통하지 않았다. 이에 경조가 습격하여 사로잡아서 요나라 임금에게 바쳤다. 그러자 요나라 임금이 경조를 생여진 절도사(生女眞節度使)로 삼으니, 전후로 귀부(歸附)하기를 원하는 자가 많았다. 알민수(斡泯水)의 포찰부(蒲察部), 태신특보수(泰神忒保水)의 완안부(完顔部), 통문수(統門水)의 온적흔부(溫迪痕部), 신은수(神隱水)의 완안부(完顔部) 등이 모두 서로 연이어 와서 귀부하였다. ○ 요나라 함옹(咸雍) 8년(1072)에 오국(五國) 몰연부(沒撚部)의 사야 발근(謝野勃菫)이 반란을 일으켜 요나라의 응로가 통하지 않자, 경조가 정벌하였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백산(白山)은 지금의 백두산이고, 통문(統門)은 바로 도문(徒門)으로 지금의 두만강이고, 야라는 바로 함흥 북쪽 지역이고, 소빈은 바로 삼수 등지이다. 함흥 북쪽으로부터 백산, 소빈에 이르기까지는 금나라 사람들이 처음으로 일어난 지역임이 분명하다. 그런즉 그 접경에 있었던 오국(五國)의 여러 부들을 어찌 다른 지역에서 찾아보아서야 되겠는가.
《금사》 세기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목종(穆宗) 3년(1096, 숙종1) -송나라 철종(哲宗) 11년- 에 성현수(星顯水) 흘석렬부(紇石烈部)의 아소(阿疏)와 모도록(毛睹祿)이 군사를 출동시켜 막아 일이 어려워졌다. 이에 목종이 직접 군사를 거느리고 나가 아소를 정벌하였다. 이때 도온수(陶溫水)와 도롱고수(徒籠古水) 흘석렬부의 아합판(阿閤版) 및 석로(石魯)가 오국(五國)의 응로를 막아 요나라의 매[鷹]를 잡는 사자(使者)를 붙잡아서 살해하였다. 그러자 요나라에서 목종에게 조서를 내려 토벌하게 하였다. ○ 태조(太祖)에게 명하여 유가성(留可城)을 공격하여 격파하게 하였다. 태조가 이로 인하여 목종을 모셔 오고서는 통문(統門), 혼준(渾蠢), 야회(耶悔), 성현(星顯) 4로(路) 및 영동(嶺東)의 여러 부(部)로 하여금 이 뒤로는 부장(部長)을 칭하지 못하게 하였다. 그러고는 승관(勝管)과 추아(醜阿) 등에게 명하여 을리골령(乙離骨嶺)과 주아문수(注阿門水)의 서쪽에 있는 여러 부의 백성들을 무마하여 안정시키게 하였다. ○ 주외수(主隈水)와 독답수(禿答水)의 백성들이 응로를 막았다. 이에 요나라에서 목종에게 명하여 응로를 막는 자들을 토벌하게 하였다. 그러자 목종이 겉으로는 응로를 평정한다고 떠들어 대고서 토온수(土溫水)에서 사냥을 하다가 돌아왔다. ○ 경조(景祖) 이래로 양세(兩世) 4주(主)에 이르기까지 지업(志業)이 서로 이어져서 마침내는 각 지방을 나누고서 일체를 본부(本部)의 법령(法令)으로 다스렸다. 이에 동남쪽으로는 을리골령, 갈라, 야라, 토골론에서부터 동북쪽으로는 오국, 주외, 독답에까지 이르렀는바, 금나라는 대개 여기에서 강성해졌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혼준(渾蠢)은 지금의 혼춘하(渾春河) -두만강 북쪽에 있다.- 이다. 을리골령과 토골론은 모두 여진의 동남쪽에 있는바, 이곳은 마땅히 정평부(定平府) 근처의 지역이며, 주아문수 역시 이곳과 서로 가까운 곳에 있는 것이다. 도온(陶溫)은 바로 토온(土溫)으로, 《여지승람》 온성부조(穩城府條)를 보면, 여진이 들어와 살면서 다온평(多溫平)이라 하였다고 하였는바, 도온은 바로 다온(多溫)인 듯하다. 도롱고수는 바로 오롱소수(吾籠所水)의 음이 변한 것으로, 근원이 종성부(鍾城府) 녹야현(鹿野峴)에서 나와 북쪽으로 흘러 두만강과 합해지는 물이다. 성현수는 지금의 삼수부(三水府)이다. 《금사》에서는 성현수 흘석렬부라 하고 또 도롱고수 흘석렬부라고 하면서 오국의 응로를 막았다고 하였다. 이것을 근거로 하여 보면, 흘석렬부는 삼수부와 가까운 지역에 있었던 것이 분명하다. 그리고 종성에 있는 도롱고부와 함께 응로를 막았으니, 이른바 오국이라는 것은 삼수나 종성과 멀지 않은 곳에 있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또 살펴보건대, 《고려사》를 보면, “문종(文宗) 27년(1073) -송나라 신종(神宗) 6년- 에 동북면 병마사(東北面兵馬使)가 상주하기를, ‘대지절(大支櫛)부터 소지절(小支櫛)의 요응포(褭應浦) 해변까지의 장성(長城) -바로 도련포(都連浦)의 장성이다.- 이 무릇 700리입니다. 지금 제번(諸蕃)이 줄지어서 귀순하고 있습니다.’ 하였고, 또 동로병마사(東路兵馬使)가 상주하기를, ‘동번(東蕃)의 두룡골이(豆龍骨伊), 여파한(餘波漢) 등의 부락이 주현(州縣)이 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이 무리들이 사는 곳은 멀어서 예전에도 일찍이 조근(朝覲)한 적이 없었는데, 지금 모두 귀복(歸服)하였습니다. 만약 봉강(封疆)을 정하고 관방(關防)을 설치할 경우, 여파한의 고개 바깥 지역은 들판이 가없이 펼쳐졌고 번호(蕃戶)들이 줄지어 살고 있어서 변방 끝까지 다 설험(設險)할 수는 없습니다.’ 하였다.” 하였다. 동번은 바로 동여진(東女眞)을 칭하며, 두룡골이는 바로 도롱고(徒籠古)이다. 도문수(徒門水)를 우리나라 사람들이 두만강이라고 부르는데, 도(徒)와 두(豆)는 음이 비슷하다. 두룡골이가 사는 곳이 비록 멀다고는 하였으나, 지금 이에 내복(內服)이 되기를 청하였고, 고려에서는 그 지역에 관방을 설치하려고 하였으니, 두만강 남쪽에 있는 것이 분명하다. 이것을 근거로 하여 볼 때 도롱고가 지금의 종성부임이 더욱더 의심할 여지가 없다.
《금사》 고려열전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강종(康宗) -송나라 휘종(徽宗) 때이다.- 이 석적환(石適歡)을 파견하여 성현(星顯)과 통문(統門)의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을리골령(乙離骨嶺)에 이르러서 군사를 더 모집한 다음, 활녈수(活涅水)로 나아가 갈라전(曷懶甸)을 순행하면서 배반하여 도망한 7성(城)을 수습하도록 하였다. ○ 2년(1104)에 고려가 와서 침공하자, 석적환이 벽등수(闢登水)에서 막아 크게 격파하였다. 그러고는 고려의 군사를 추격해서 벽등수로 들어가 그 잔병들을 국경 밖으로 축출하였다. 이에 고려 왕이 사신을 파견하여 강화를 요청하였다. 이에 드디어 사갈(斜葛)로 하여금 국경을 확정하게 하였다. 사갈이 을리골수(乙離骨水)와 갈라전, 활녜수(活禰水)에 이르렀다. 사갈이 송사(訟事)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자, 강종이 사갈을 송환하고 석적환을 파견하였다. 석적환이 삼잔수(三潺水)에 막부(幕府)를 설치하고, 지난날에 몰래 고려와 왕래하면서 화란을 일으킨 자들을 즉시 법에 의거해 처단하였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고려사》를 보면, “숙종(肅宗) 9년(1104) -금나라 강종(康宗) 2년- 에 동북면 병마사 임간(林幹)이 동여진(東女眞)과 정주(定州) -지금의 정평부(定平府)이다.- 의 성 밖에서 싸워 패하자, 여진이 정주의 선덕관(宣德關)에 난입해 사람들을 무수히 죽이고 약탈하였다.” 하였다. 이것이 바로 《금사》에서 이른 바 벽등(闢登)의 전역(戰役)으로, 벽등수가 정평부에 있음이 분명하다. 을리골수는 바로 을리골령에서 흐르는 물이다. 활녈수는 바로 활녜수이다. 을리골수나 활녈수는 모두 여진과 고려 두 나라의 경계에 있는바, 이것 역시 정평부의 근처 지역에 있는 것이다. 삼잔수는 또 그와 서로 가까운 곳에 있는 것이다.
《금사》 세기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천회(天會) 2년(1124) -송나라 휘종 24년- 에 갈라로(曷懶路)의 군사(軍師)가 말하기를, “지난날에는 해마다 고려의 경내에서 해구(海狗), 해동청(海東靑), 아골(鴉鶻) 등을 포획하였는데, 근래에 배 두 척을 타고 그곳에 가자 고려에서 전함(戰艦)을 타고 기다렸다가 쳤습니다.” 하였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이 당시에 고려의 경계는 정평(定平)을 넘어가지 못하였는데, 금나라 사람들이 매번 고려의 경내에서 매[鷹]를 포획하였다. 그런즉 정평 북쪽 바닷가 지역은 모두 예전에 매를 포획하던 지역이었다. 지금 관북 지방의 여러 현에서는 모두 좋은 매가 산출된다.
《문헌통고》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해동청은 오국(五國)의 동쪽에서 산출된다. 거란 사람들이 몹시 좋아하는데, 스스로 잡아 올 수가 없다. 이에 여진의 동북쪽이 오국과 인접해 있으므로, 해마다 거란에서는 반드시 사신을 파견해 오국의 경내로 들어가 둥지를 뒤져서 잡는다. 거란의 임금인 연희(延禧)가 임금의 자리를 이어받고는 응방자(鷹坊子) 1000명을 파견해 장백산(長白山)을 넘어가 그물로 잡아 왔는데, 해가 갈수록 더 많이 잡아 왔다.
《대청일통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오국고성(五國故城)이 영고탑성 동북쪽에 있다. 《거란국지(契丹國志)》를 보면, “여진의 동북쪽은 오국과 인접해 있고, 오국의 동쪽은 큰 바다와 접해 있는데, 좋은 매가 산출된다. 해동(海東)에서 온 좋은 매를 해동청(海東靑)이라고 부르는데, 요나라 사람들이 이를 몹시 좋아해 해마다 여진에 그것을 보내라고 요구한다. 이에 여진에서는 오국에 가서 전투를 벌인 다음에야 그것을 잡을 수 있어서 몹시 괴롭게 여겼다.” 하였으며, 《대금국지(大金國志)》를 보면, “천회(天會) 8년(1130)에 송나라의 휘종(徽宗)과 흠종(欽宗) 두 황제가 한주(韓州)에서 오국성으로 갔다. 오국성은 금나라가 도읍한 곳에서 동북쪽으로 1000리 되는 곳에 있다.” 하였으며,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를 보면, “이곳으로부터 동쪽은 나누어져서 5국이 되었으므로 오국성이라고 한 것이다. 예전에 전해 오기를 송나라 휘종을 이곳에 장사 지냈다고 한다.” 하였으며, 《호종록(扈從錄)》을 보면, “영고탑에서 동쪽으로 600리를 가면 강돌리갈상(姜突里噶尙)이라는 곳이 있는데, 송화강(松花江)과 흑룡강(黑龍江)이 이곳에서 합류한다. 큰 토성(土城)이 있는데, 혹 오국성이라고도 한다.” 하였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지금 우리나라의 회령(會寧) 등지가 바로 옛 오국성이다. 《거란국지》에서 여진의 동북쪽에 있다고 하였는데, 후세 사람들은 단지 금나라가 도읍한 곳이 상경 회령부(上京會寧府)인 줄만 알고서 마침내는 오국성이 상경(上京)에서 동북쪽으로 1000리나 600리 되는 곳으로, 송화강과 흑룡강이 합류하는 등지에 있는 줄만 알았다. 그러나 실은 거란이 매를 보내기를 요구하였을 때는 금나라의 경조(景祖)와 목종(穆宗)이 바야흐로 갈라전(曷懶甸)에 있으면서 오국(五國)의 포섭부(蒲聶部), 몰연부(沒撚部) 등과 고전(苦戰)하면서 응로(鷹路)를 열 때였다. 갈라전은 지금의 함흥 등지인즉, 오국성은 마땅히 갈라전의 동북쪽에 있어야 하는바, 상경의 동북쪽에 있는 것이 아니다. -상경은 지금의 영고탑이다.- 지금 우리나라의 회령부는 바로 함흥의 동북쪽에 있다. 그리고 회령부의 보을하진(甫乙下鎭) 서쪽에 대총(大塚)이 있는데, 예로부터 이곳을 황제총(皇帝塚)이라고 칭하며, 여러 개의 소총(小塚)이 대총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데, 이를 시신총(侍臣塚)이라고 부른다. 지금 밭을 가는 자들이 가끔씩 숭녕전(崇寧錢)을 발견하고 있는바, 이곳이 어찌 휘종을 장사 지낸 곳이 아니겠는가. 또 《철경록(輟耕錄)》을 보면, 양련진하(楊璉眞瑕)가 송나라의 능침(陵寢)을 발굴한 일에 대해 말하면서, 송나라 주밀(周密)이 지은 《계신잡지(癸辛雜識)》를 인용하여 말하기를, “휘종과 흠종을 오국성에 장사 지냈으므로 자주 사신을 파견하여 금나라 사람들에게 간청해 재궁(梓宮)을 송나라로 돌아오게 하려고 하였다. 이에 6, 7년 동안 간청한 뒤에야 허락받아서 회계(會稽)의 영릉(永陵)과 우릉(祐陵)에 장사 지냈다. 이때에 이르러 파헤쳐지게 되었는데, 휘릉에는 썩은 나무 한 토막만 있었고, 흠릉에는 나무로 된 등잔걸이 하나만 있을 뿐이었다. 두 황제의 유해(遺骸)는 사막 지방에서 흩어져 애당초 송나라로 돌아오지 않은 것이다.” 하였다. -이상은 《독례통고(讀禮通考)》에 나왔다.- 그렇다면 휘종과 흠종의 능은 모두 우리나라의 회령에 있는 것인바, 회령이 오국성임은 분명하다.
또 살펴보건대, 매가 함흥 북쪽 지역에서 산출되므로 요나라의 매를 포획하는 자들이 매번 요동에서 백두산을 넘어 온다. 《문헌통고》에서 이른 바 “장백산을 넘어가서 그물로 잡는다.”고 한 것은 이를 두고 한 말이다. 그리고 《금사》 세기를 근거로 해서 보면, 당시에 응로(鷹路)를 막은 자는 분명히 삼수, 종성 등지의 사람들이다. 오국이 만약 영고탑의 동북쪽에 있다면, 요나라 사신은 백두산을 넘을 수가 없으며, 삼수 등의 사람들이 길을 막을 수가 없다. 오국성이 지금의 회령부임은 다시 무엇을 더 의심하겠는가.
○ 지금 우리나라의 회령 북쪽 금나라 호리개로(胡里改路)의 남쪽 경계였다.
《금사》 지리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호리개로는 국초(國初)에 만호(萬戶)를 두었다. 해릉(海陵)이 만호를 폐하고 이어 고쳐서 절도사(節度使)를 두었다. 승안(承安) 3년(1198)에 절도부사(節度副使)를 두었다. 서쪽으로 상경까지 630리이고, 북쪽으로는 변방 경계인 합리빈특(合里賓忒) 천호(千戶)까지 1500리이다.
《대청일통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폐호리개로(廢胡里改路)는 영고탑성의 동쪽에 있다. 금나라 때에는 절도부사를 두었으며, 원나라 때에는 군민만호부(軍民萬戶府)를 두었다. 《원사(元史)》 지리지를 보면, “상도(上都)에서의 거리가 4200리이고, 대도(大都)에서의 거리가 3800리이다. 또 도온로(都溫路)가 있는데, 상도에서의 거리가 4000리이다.” 하였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호리개로는 금나라의 상경에서 동쪽으로 630리 되는 곳에 있고, 휼품로는 동북쪽으로 1100리 되는 곳에 있다. 지금의 영고탑 동쪽 지역이 바로 그 지역이며, 남쪽 경계는 우리나라의 회령 등지에 미친다. 《대금국지》를 보면, “천회 8년(1130)에 송나라의 휘종과 흠종 두 황제가 한주(韓州)에서 오국성으로 갔다.” 하였고, 《금사》 본기를 보면, “태종(太宗) 천회 8년 7월에 혼덕공(昏德公)과 중혼후(重昏侯)를 골리개로(鶻里改路)로 옮겼다.” 하였으며, “희종(煕宗)이 즉위한 4월 병인에 혼덕공 조길(趙佶)이 졸하였다.” 하였다. 이것으로 참고해 보면, 오국성은 골리개로에 있었으며, 골리개는 바로 호리개의 음이 바뀐 것이다. 휘종이 옮겨지고 졸하고 장사 지낸 곳이 모두 이곳에 있다. 그런즉 우리나라의 회령이 호리개로에 예속되어 있었던 것이 분명하다. 대개 회령 등지는 초기에는 오국(五國)의 여러 부였다가 금나라가 여러 부를 멸하고 호리개로에 예속시킨 것이다.
○ 고려 예종(睿宗) 2년(1107)에 금나라의 갈라전(曷懶甸) -바로 합라로(合懶路)이다.- 을 공격해 빼앗고는 함주(咸州), 길주(吉州) 등 9성(城)을 수축하였는데, 지금의 함흥 북쪽에 있는 단천(端川), 길주(吉州) 등지이다.
《금사》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고려열전에 이르기를, “강종(康宗) 4년(1106) -고려 예종 1년- 에 고려에서 갈라전에 군사를 출동시켜 9성을 쌓았다. 여러 사람들이 모두들 말하기를, ‘군사를 일으켜서는 안 됩니다. 요나라 사람들이 장차 우리를 탓하여 공격해 올까 염려됩니다.’ 하였는데, 태조(太祖)만이 혼자 아뢰기를, ‘만약 군사를 일으키지 않는다면 어찌 갈라전 지역만 잃겠습니까. 여러 부(部)를 모두 우리가 소유하지 못할 것입니다.’ 하니, 강종이 그 말을 옳게 여겼다. 이에 알새(斡賽)로 하여금 군병을 거느리고 고려를 정벌하게 하였는데, 고려의 군사를 대파하였다.” 하였다. ○ 열전(列傳)에 이르기를, “알로(斡魯)가 알새를 대신해서 그 군사를 거느렸다. 알로 역시 고려의 9성에 대치해서 9개의 성을 쌓아 고려와 버티면서 나가서는 싸우고 들어와서는 지켰다.” 하였다.
《고려사》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지리지에 이르기를, “예종 2년(1107)에 평장사(平章事) 윤관(尹瓘)을 원수(元帥)로 삼고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오연총(吳延寵)을 부원수로 삼았다. 이들이 군사를 거느리고 여진을 격파하여 내쫓고는 9성을 쌓은 다음 공험진(157200, Dongningzhen(东宁镇)둥닝현 무단장시 헤이룽장성 중국)의 선춘령(先春嶺)에 비(碑)를 세워서 경계로 삼았다.” 하였다.
○ 살펴보건대, 구사(舊史)를 보면, 9성의 지역은 오래도록 여진이 차지하고 있었다. 예종 2년에 윤관과 오연총에게 명하여 여진을 쳐서 내쫓고 군사를 나누어 땅을 경략(經略)하게 하였다. 이에 동쪽으로는 화곶령(火串嶺)에 이르고, 북쪽으로는 궁한령(弓漢嶺)에 이르고, 서쪽으로는 몽라골령(蒙羅骨嶺)에 이르렀는바, 이것을 우리 강역으로 삼았다. 그러고는 몽라골령 아래에 영주(英州)를 수축하고, 화곶산(火串山) 아래에 웅주(雄州)를 수축하고, 오림금촌(吳林金村)에 복주(福州)를 수축하고, 궁한촌(弓漢村)에 길주(吉州)를 수축하였다. 3년 2월에 함주(咸州) 및 공험진(公嶮鎭)에 성을 쌓고, 3월에 의주(宜州), 통태진(通泰鎭), 평융진(平戎鎭) 세 성을 수축하였다. 이에 여진이 그들의 소굴을 잃고는 해마다 침입해 왔다. 국가에서는 갖가지로 군사를 징발한 탓에 중외(中外)가 소요하였다. 4년(1109)에 여진이 강화를 요청하였다. 이에 비로소 길주에서부터 시작하여 9성의 전구(戰具)를 내지(內地)로 실어 들이고, 마침내 숭녕진(崇寧鎭)과 통태진, 진양진(眞陽鎭) 및 영주, 복주(復州)를 철수하였으며, 또 함주와 웅주 및 선화진(宣化鎭)의 성을 철수하여 여진에게 돌려주었다. 이상을 가지고 상고해 보건대, 함주, 영주, 웅주, 복주, 길주, 의주 여섯 주와 공험진, 통태진, 평융진 세 진이 9성의 수에 들어간다. 성을 철수하고 여진에게 돌려줄 적에는 의주 및 공험진, 평융진이 없고, 숭녕진, 진양진, 선화진 세 진이 더 나오는바, 이것은 의심스럽다. 그리고 의주의 지역은 정주(定州) 남쪽에 있는바, 반드시 여진을 쳐서 쫓아낸 뒤에 설치한 것은 아니다. 그러니 어찌 마침 이때에 이르러서 성보(城堡)를 처음 수축하였으므로 아울러 9성으로 칭하였으면서도 철수한 숫자에는 포함되지 않은 것이 아니겠는가. ○ 윤관열전(尹瓘列傳)에 이르기를, “병마검할(兵馬鈐轄) 임언(林彦)이 지은 영주청벽기(英州廳壁記)에 이르기를, ‘윤관(尹瓘)이 정병(精兵) 30만 명을 거느리고 여진을 토벌하여 6000여 급(級)을 참수하자, 궁시(弓矢)를 싣고서 진(陣) 앞에 와서 항복한 자가 5000여 구(口)였다. 그 지역이 사방 300리로, 동쪽으로는 대해(大海)에 이르고, 서북쪽으로는 개마산(蓋馬山)을 끼고 있으며, 남쪽으로는 장주(長州), 정주(定州) -삼가 살펴보건대, 지금 두 주를 합하여 정평부가 되었다.- 와 접하였다. 이곳은 본디 고구려가 차지하고 있었는바, 옛 비석의 유적(遺跡,공험진(157200, Dongningzhen(东宁镇)둥닝현 무단장시 헤이룽장성 중국))이 아직도 남아 있다. 이에 새로 6개 성을 설치하고는 첫 번째를 진동군 함주대도독부(鎭東軍咸州大都督府), 두 번째를 안령군 영주 방어사(安嶺軍英州防禦使), 세 번째를 영해군 웅주 방어사(寧海軍雄州防禦使), 네 번째를 길주 방어사(吉州防禦使), 다섯 번째를 복주 방어사(福州防禦使), 여섯 번째를 공험진 방어사(公嶮鎭防禦使, 공험진(157200, Dongningzhen(东宁镇)둥닝현 무단장시 헤이룽장성 중국))라고 하였다.’ 하였다.” 하였다. -삼가 살펴보건대, 지리지를 보면, 임언이 기문을 지은 것이 예종 3년 2월이었으므로 3월에 수축한 의주(宜州) 등 세 성은 미처 언급하지 않은 것이다.- 처음 설치하였을 때의 9성은 함주 -지금의 함흥부이다-, 영주 -지리지에 이르기를, “길주(吉州)에 병합되었다. 옛터가 아직도 남아 있다.” 하였다-, 웅주 -지리지에 이르기를, “길주에 병합되었다. 옛터가 아직도 남아 있다.” 하였다-, 길주 -지금도 그대로이다. 지리지에 이르기를, “길주는 북쪽에 있고, 웅주는 남쪽에 있다.” 하였다-, 복주 -지금의 단천부(端川府)이다-, 공험진(공험진(157200, Dongningzhen(东宁镇)둥닝현 무단장시 헤이룽장성 중국)) -지리지에 이르기를, “일설에는 공주(孔州)에 있다고 하며, 일설에는 광주(匡州)에 있다고 하며, 일설에는 선춘령(先春嶺,공험진(157200, Dongningzhen(东宁镇)둥닝현 무단장시 헤이룽장성 중국)) 동남쪽, 백두산 동북쪽에 있다고 하며, 일설에는 소하(蘇河) 강변(江邊)에 있다고 한다. 공주와 광주는 모두 지금의 경원부(慶源府)이다.” 하였다-, 의주 -지금의 덕원군(德源郡)이다-, 통태진 -유형원(柳馨遠)이 이르기를, “마땅히 길주의 남쪽에 있어야 한다.” 하였다-, 평융진이다. 여진에게 돌려주었을 때의 9성은 함주, 영주, 웅주, 길주, 복주, 통태진, 숭녕진, 진양진, 선화진이다.
◐공험진(157200, Dongningzhen(东宁镇)둥닝현 무단장시 헤이룽장성 중국)◑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고려사》를 보면, 9성을 처음 설치하였을 때와 여진에게 돌려주었을 때는 그 명호(名號)가 같지 않으며, 게다가 공험진은 애당초 분명하게 어디라고 가리켜 말하지 아니하였으므로 지금 억지로 해석할 수는 없다. 오직 임언이 지은 기문이 믿을 만한 것인데, 거기에서 이미 “여러 성은 사방 300리에 불과하다.” 하였다. 그런즉 공험진(공험진(157200, Dongningzhen(东宁镇)둥닝현 무단장시 헤이룽장성 중국))의 위치 역시 함흥 북쪽 300리 안쪽 지역이어야 마땅하다. 그리고 《고려사》 오연총열전(吳延寵列傳)을 보면, “여진이 다시 길주성을 포위하여 거의 함락당할 뻔하자 왕이 다시 오연총을 파견하여 구원하게 하였는데, 가다가 공험진에 이르렀을 적에 적들이 길을 막고 습격하는 바람에 우리 군사가 대패해 여러 성으로 흩어져 들어갔다.” 하였다. 여기에서 더욱더 공험진이 길주 남쪽에 있었다는 것을 잘 알 수가 있다. 지금의 경원(慶源) 등지에 있었다고 하는 것은 아주 잘못된 것이다.
또 살펴보건대, 임언이 지은 기문을 보면, “첫 번째를 함주, 두 번째를 영주라고 하였다.” 하였으며, 또 지리지를 보면, “서쪽으로는 몽라골령(蒙羅骨嶺) 아래에 이르러서 영주를 수축하였다.” 하였으며, 예종세가(睿宗世家)를 보면, “3년 8월에 병마판관(兵馬判官) 척준경(拓俊京)이 여진과 더불어서 함주와 영주에서 싸워 격파하였다.” 하였다. 이상의 여러 가지 설을 가지고 참고해 볼 때, 영주는 함주 접경 지역에 있었으며 여러 성 중에서 가장 서쪽에 있었다. 《고려사》 지리지에서 “영주는 뒤에 길주에 병합되었다.”고 한 것은 잘못된 것이다.
또 살펴보건대, 9성의 북쪽 경계는 상세하게 알 수가 없다. 그러나 《고려사》를 보면, 공민왕(恭愍王) 6년(1357)에 도당(都堂)에서 원나라의 행성(行省)에 올린 글에 이르기를, “쌍성(雙城)과 삼살(三撒) -지금의 북청부(北靑府)이다.- 은 본디 우리나라의 영토로, 북쪽으로는 이판(伊板)까지를 경계로 삼는다.” 하였다. -이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 상세하게 나온다.- 이판은 바로 길주의 마천령(磨天嶺)이다. 이보다 앞서서는 북쪽 경계가 일찍이 마천령까지 이르지 않았다. 그런즉 여기에서 말한 바는 생각건대 바로 9성의 옛 경계인 것이다.
《성경통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금사》를 보면, “알로(斡魯)가 합라전(合懶甸) 지역에 9성을 수축하여 고려와 대치하면서 나가서는 싸우고 들어와서는 지켰다.”라고 하였는데, 지금의 봉황성(鳳凰城) 변경 밖에 구련성(九連城)이 있어서 그 터가 아직도 남아 있다. -《대청일통지》 역시 이 설을 따랐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구련성은 지금의 압록강 서쪽에 있어서 합라전의 9성과는 동쪽과 서쪽으로 현격하게 멀리 떨어져 있는바, 《성경통지》의 설은 아주 잘못된 것이다.
○ 《금사》에서 이른 바 타길성(駝吉城)과 아로성(亞魯城) 등도 9성의 칭호이다.
《금사》 열전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고려에서 갈라전(曷懶甸)에 9성을 수축하자 알새(斡賽)가 이를 막으면서 아도한(阿徒罕)을 선봉으로 삼았다. 고려의 군사 가운데 해도(海島)에 주둔해 있는 자들이 있었는데, 아도한이 밤중에 바다를 건너가 영책(營柵)과 전함(戰艦)을 불태우고 크게 격파하였다. 이에 마침내 타길성을 함락시켰으며, 얼마 뒤에는 나머지 여덟 성을 모두 함락시켰다. ○ 출로(朮魯)가 정왕(鄭王) 알새를 따라 갈라전에서 고려를 정벌하여 아로성을 빼앗았다. ○ 골모파(鶻謀琶)가 고려를 정벌하는 데 따라가서 갈라전을 격파하였는데, 타로성(陀魯城)을 함락할 때 공을 세웠다. ○ 고려가 갈라전에 9성을 수축하자, 혼탄(渾坦)이 이를 공격하면서 목리전(木里甸)에서 고려 군사를 만나 오래도록 힘을 다해 싸운 끝에 적이 마침내 무너졌다. 혼탄이 석적환(石適歡)과 더불어 도문수(徒門水)에서 군사를 합하였다. 아리(阿里)가 먼저 적병을 쳐부수고 두 성을 빼앗았다. 고려 군사들이 와서 공격하였으나 우리 군사가 요해처를 차지하고 있어서 진격하지 못하고 되돌아갔다. 아리가 이들을 추격한 끝에 갈라수(曷懶水) 가에 이르러 고려의 군사를 거의 대부분 죽였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타길성은, 《금사》에 의거하면 분명히 9성 가운데 하나이다. 길주를 옛날에는 길성(吉城)이라고 칭하였는바, 이곳이 바로 타길성이다. 타로(陀魯)는 바로 아로(亞魯)의 음이 변한 것이며, 이 역시 9성 가운데 한 성의 이름인데, 이는 금나라의 국어(國語)가 같지 않은 탓에 칭호가 다르게 표기된 것이다. 목리전(木里甸)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알 수가 없으나, 《고려사》에 의거해 보면, 9성의 전역(戰役)에서는 매번 여진과 더불어 함주와 길주 사이에서 싸웠다. 그런즉 목리전의 위치가 함주나 길주에서 가까운 곳에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 몇 년 뒤에 9성의 지역을 금나라 사람들에게 돌려주고는 다시 도련포(都連浦)의 장성(長城)을 경계로 삼았다.
《금사》 고려열전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7월에 고려에서 강화를 요청하면서 9성의 둔수(屯守)를 파하고 침략한 옛 땅도 되돌려 주겠다고 하였다. 이에 마침내 고려와 강화하였다.
《고려사》 세가(世家)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예종(睿宗) 4년(1109) 6월에 여진의 사신 요불(褭弗)과 사현(史顯) 등이 조회와서 말하기를, “옛날에 우리 태사(太師) 영가(盈哥)께서 일찍이 ‘우리 조종들께서 대방(大邦)에서 나왔으니 자손들에 이르러서는 의리상 대방에 귀의하는 것이 합당하다.’ 하였습니다. 그리고 지금 태사로 있는 오아속(烏雅束)께서도 역시 대방을 부모의 나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에 조공(朝貢)을 끊지 않고 있었는데, 생각지도 않게 지난해에는 크게 군사를 출동시켜서 9성을 설치해, 떠돌아다니면서 살고 있는 자들로 하여금 돌아가 의지할 곳이 없게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태사께서 저희들을 보내어 옛 땅을 돌려 달라고 청하게 하였습니다. 지금 만약 9성을 돌려주도록 허락하여서 우리들로 하여금 생업에 안정할 수 있게 해 주신다면, 우리들은 하늘에 맹세하고는 대대로 자손에 이르기까지 감히 기와 조각 하나 변경에 던지지 않겠습니다.” 하였다. 이에 원수(元帥) 등에게 조서를 내려서 9성을 돌려주라고 유시하였다. 7월 신유에 여진의 추장이 함주(咸州)의 성문 밖에 단(壇)을 설치하고는 하늘에 맹세하기를, “지금 이후로는 자손 대대로 악심(惡心)을 품지 않고 해마다 조공을 바치겠습니다. 이 맹세를 어길 경우에는 번토(蕃土)가 멸망할 것입니다.” 하며 맹세를 마치고는 물러갔다. 이에 비로소 길주(吉州)에서부터 시작하여 차례대로 9성의 전구(戰具), 물자와 군량을 내지(內地)로 실어 들였다. 임술에 숭녕진(崇寧鎭)과 통태진을 철수하였으며, 갑자에 영주(英州)와 복주(福州), 진양성(眞陽城)을 철수하였으며, 을축에 함주(咸州)와 웅주(雄州) 및 선화진(宣化鎭)의 성을 철수하였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길주에서 철수하기 시작해서 차차 함주, 웅주에 이르렀다는 것에서 먼 곳부터 시작해서 차차로 내지(內地)로 들어왔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9성의 지역은 북쪽으로 길주까지라는 것을 더욱더 징험할 수 있다.
《금사》 세기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천보(天輔) 3년(1119) -고려 예종 14년- 11월에 갈라전의 장성(長城)을 고려에서 3척을 높여서 증축하였다. -《금사》 고려열전에 이르기를, “변경의 관리가 군사를 출동시켜 이를 막자 따르지 않으면서 말하기를, ‘옛 성을 보수하는 것이다.’ 하였다.” 하였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장성은 바로 유소(柳韶)가 쌓은 장성이다. 이미 9성을 되돌려 주고서 다시 도련포를 경계로 삼았으므로 옛 성을 증축한 것이다. 그리고 《금사》에 의거해 보면, “대정(大定) 15년(1175)에 의주(義州) -지금의 의주이다.- 는 길이 막혀 통하지가 않으니 정주(定州) -지금의 정평부(定平府)이다.- 를 경유해 갈라로(曷懶路)로 들어가게 해 달라고 고려에서 상주(上奏)하자, 조서를 내려 허락하였다.” 하였다. 이것을 근거로 하여 보면, 정평부의 북쪽이 금나라의 갈라로임이 더욱더 분명하다.
○ 그 뒤에 금나라가 망하고 원나라가 흥하여서는 도련포 북쪽 지역은 모두 원나라의 차지가 되어 원나라에서 함흥에 합란부(合蘭府)를 설치하였다.
《원사》 지리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금나라 말기에 금나라의 장수 포선만노(蒲鮮萬奴)가 요동에 웅거해 있었다. 원나라 초기인 계사년(1233) -고려 고종 20년- 에 군사를 출동시켜 정벌해 포선만노를 사로잡았다. 군사가 개원(開元), 휼품(恤品)에 도달하여서 동쪽 지역이 다 평정되었다. ○ 합란부(合蘭府), 수달달로(水達達路) 등의 지역은 토지가 광활하고 백성들이 흩어져 살았다. 원나라 초기에 5개의 군민만호부(軍民萬戶府)를 설치하여 북쪽 변경을 진무하였는데, 하나는 도온(桃溫)으로 상도(上都)에서의 거리가 4000리이고, 하나는 호리개(胡里改)로 상도에서의 거리가 4200리, 대도(大都)에서의 거리가 3800리이고, -호리개강(胡里改江)과 혼동강(混同江)이 있으며, 또 합란하(合蘭河)가 있어서 바다로 흘러 들어간다.- 하나는 알타련(斡朶憐)이고, 하나는 탈알련(脫斡憐)이고, 하나는 발고강(孛苦江)으로, 각각 유사(有司)가 있어서 혼동강 남북 지역을 나누어 거느렸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휼품로는 지금 우리나라의 삼수, 갑산 등지이다. 합란부는 《고려사》 지리지를 보면, “함주(咸州)를 원나라 때 합란부(哈蘭府)라고 칭하였다.” 하였으며, 《여지승람》에 이르기를, “합란부의 옛 치소가 지금의 함흥부에서 남쪽으로 5리 되는 곳에 있다.” 하였다. 합란(哈蘭)은 바로 합란(合蘭)이며, 합란(合蘭)이란 것은 금나라 때의 합라(合懶)이다. 도온(桃溫)은 바로 《금사》에서 칭한 도온(陶溫)이다. 호리개 역시 금나라 때의 호리개로이다. 호리개강은 지금의 오소리강(烏蘇哩江)이다. -두만강의 북쪽에 있다.- 수달달로는 지금의 영고탑 등지이다. 원나라 초기에는 개원로(開元路) -지금의 개원현(開原縣)이다.- 에서 지금의 흥경(興京) 지방을 거쳐 동쪽으로 압록강을 건너기까지 모두 휼품로의 옛 지역이었다. 인하여 남쪽으로 내려와서는 함흥에 합란부를 설치하였으며, 또 도온만호부(桃溫萬戶府), 호리개만호부(胡里改萬戶府) 등을 설치하였는데, 지금의 우리나라 육진(六鎭) 등이 바로 그 지역이다.
○ 그 뒤 수십 년 동안 영흥부(永興府) 북쪽 지역은 또 원나라에 함락당하였으며, 원나라에서는 영흥에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를 설치하였다.
《명산장왕향기(名山藏王享記)》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원나라 헌종(憲宗) 8년(1258) -고려 고종 45년- 에 차라대(車羅大)를 파견하여 고려를 책하였다. 차라대가 여사(廬舍)를 불지르고 백성들을 마구 죽이면서 약탈하였다. 이에 고려 사람 휘(暉) -삼가 살펴보건대, 휘(暉)는 바로 조휘(趙暉)이다.- 등이 마침내 화주(和州) 북쪽 땅을 들어 원나라에 항복하였다.
《고려사》 세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고종 45년(1258)에 몽고의 산길대왕(散吉大王) 보지관인(普只官人) 등이 군사를 거느리고 옛 화주(和州) 지역에 와서 주둔하였다. 용진(龍津) 사람 조휘(趙暉)와 정주(定州) 사람 탁청(卓靑)이 화주 북쪽 지역을 들어 몽고에 항복하자, 몽고에서는 화주에 쌍성총관부를 설치하고 조휘를 총관으로, 탁청을 천호로 삼았다.
《원사》 세기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지원(至元) 29년(1292)에 고려와 여진의 계수관(界首官)인 쌍성(雙城)에 기근이 들었다. 고려 왕에게 칙령을 내려 해운(海運)한 곡식 가운데서 덜어 내어 진휼(賑恤)하게 하였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화주는 지금의 영흥부(永興府)이다. 영흥의 서쪽은 바로 강계부(江界府) 등지인데, 이 당시에는 오히려 서여진(西女眞)이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쌍성을 고려와 여진의 계수관이라고 칭한 것이다.
또 살펴보건대, 《대청일통지》를 보면, “쌍성폐현(雙城廢縣)이 철령현(鐵嶺縣) 서쪽에 있다. 《요사》 지리지를 보면, ‘쌍주(雙州) 보안군(保安軍)은 구리승왕(漚里僧王)이 남쪽으로 정벌하여 진주(鎭州)와 정주(定州)의 백성들을 포로로 잡아서 주(州)를 설치하였는데, 치소는 쌍성현(雙城縣)이다.’ 하였다. 《전요지(全遼志)》에는 이르기를, ‘쌍성현은 철령성에서 서쪽으로 60리 되는 곳에 있다.’ 하였다.” 하였다. 대개 쌍성은 본디 요나라 때 요동현(遼東縣)의 이름인데, 원나라에서 화주에 모칭(冒稱)한 것이다.
https://blog.naver.com/gnbone/220903300219
○ 원나라 말기에 고려가 쌍성을 공격해 격파하고서 도련포(都連浦) 남쪽 지역을 수복하였으며, 또 도련포 북쪽 지역을 빼앗아 함주(咸州), 길주(吉州) 등을 설치하였다. 이에 합라로(合懶路)의 옛 지역이 비로소 우리나라의 판도 안으로 들어왔다.
《고려사》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지리지에 이르기를, “공민왕 5년(1356) -원나라 순제(順帝) 16년- 에 추밀원 부사(樞密院副使) 유인우(柳仁雨)를 파견하여 쌍성을 공격해 격파하였다. 이에 지도(地圖)를 상고하여 화주(和州), 등주(登州), 정주(定州), 장주(長州), 예주(預州), 고주(高州), 문주(文州), 의주(宜州) 및 선덕진(宣德鎭), 원흥진(元興鎭), 영인진(寧仁鎭), 요덕진(耀德鎭), 정변진(靜邊鎭) 등 여러 성을 수복하였다. 이보다 앞서 삭방도(朔方道)에서 도련포를 경계로 삼아 장성(長城)을 수축하였는데, 원나라에게 함락당하였다가 99년 만인 이때에 이르러 비로소 수복한 것이다.” 하였다. ○ 함주(咸州)는 원나라에서 합란부(哈蘭府)라고 칭하였다. 공민왕 5년에 옛 강역을 수복하여 지함주사(知咸州事)로 삼았다. 길주(吉州)는 원나라에서 해양(海洋)이라고 칭하였다. 공민왕 5년에 수복하였다. 복주(福州)는 원나라에서 독로올(禿魯兀)이라고 칭하였다. 공민왕 때 수복하였다. -지금의 단천(端川)이다.- 북청주(北靑州)는 원나라 때 삼살(三撒)이라고 칭하였다. 공민왕 5년에 수복하였다. ○ 세가(世家)에 이르기를, “공민왕 6년(1357)에 도당(都堂)에서 원나라의 행성(行省)에 올린 글에 이르기를, ‘살펴보건대, 쌍성(雙城)과 삼살(三撒) 등지는 본디 우리나라의 땅으로, 북쪽으로 이판령(伊板嶺)까지를 경계로 삼았습니다. 그런데 지난날에 관방(關防)을 잘못함으로 인하여 여진 사람들이 토지와 인민을 취득해서는 멋대로 채금호계(採金戶計)라고 하였습니다. 화주의 이름을 쌍성이라고 고침에 미쳐서는 총관부(摠管府)와 천호소(千戶所)를 설치하였습니다. 근래에는 본국에서 죄를 짓고 도망친 무리들이 국경을 넘어 그곳으로 가서 숨어 있습니다. 만약 이판령의 좁은 길목에 관방을 설치하여 출입을 제한한다면 거의 후환이 없을 듯합니다.’ 하였다.” 하였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유인우(柳仁雨)가 수복한 8주와 5진은 모두 도련포 남쪽 지역에 있는바, 본디 고려조 경내 지역이다. 도련포 북쪽은 바로 윤관(尹瓘)이 개척한 9성의 지역인데, 곧바로 금나라 사람들에게 되돌려 주었다. 이 뒤로는 금나라와 원나라에 함락되었으며, 240여 년이 지난 뒤인 이때에 이르러서 수복하여 다시 이판령으로 경계를 삼은 것이다. 이판령은 지금의 마천령(磨天嶺)으로, 이곳이 바로 9성의 옛 경계였다.
○ 대명(大明) 홍무(洪武) 연간에 명나라에서 안변(安邊)의 철령(鐵嶺) 북쪽 지역을 떼어 달라고 하여 철령위(鐵嶺衛)를 설치할 것을 의논하였는데, 고려에서 주청하여 중지되었다.
《명사(明史)》 조선전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홍무 20년(1387) -고려 신우(辛禑) 13년- 7월에 고려에서 주달하기를, “요동(遼東)의 문주(文州), 고주(高州), 화주(和州), 정주(定州) 등은 모두 우리나라의 옛 영토이니, 철령(鐵嶺)에 나아가 둔수(屯守)하게 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였는데, 예부(禮部)가 아뢰기를, “이들 몇 주는 모두 원나라의 판도(版圖) 안으로 들어와서 요동에 속하였으며, 고려의 영토는 압록강을 경계로 하였습니다. 지금 철령에 이미 위(衛)를 설치하였으니, 다시 진정(陳情)하여 청하게 해서는 안 됩니다.” 하였다. 12월에 황제가 호부(戶部)에 명하여 고려 왕에게 자문(咨文)을 보내게 하였는데, 그 자문에, “철령의 북쪽, 동쪽, 서쪽의 지역으로 예전에 개원로(開元路)에 소속되었던 곳은 요동에서 관할하고, 철령 남쪽의 예전에 고려에 소속되었던 곳은 고려에서 관할하라. 그리하여 각자 경계를 확실히 정하여 서로 침범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 하였다. 21년(1388) 4월에 신우가 표문을 올려서 아뢰기를, “철령의 땅은 실제로는 대대로 고려에서 지켜왔으니, 예전대로 해 주시기 바랍니다.” 하였는데, 황제가 이르기를, “고려는 예전에 압록강으로 경계를 삼았다. 그런데 지금 와서 철령이 경계였다고 꾸며 대는바, 이는 속이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니 짐이 말한 대로 효유하여 고려로 하여금 흔단을 일으키지 않게 하라.” 하였다.
《고려사》 열전(列傳)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신우 14년(1388)에 설장수(偰長壽)가 경사(京師)에서 돌아와 구선(口宣)한 성지(聖旨)에 이르기를, “철령 북쪽은 본디 원(元)나라에 속한 지역이니 모두 요동에 속하게 하라.” 하였다. 명나라에서 철령위(鐵嶺衛)를 세우려고 하자, 신우가 밀직제학(密直提學) 박의중(朴宜中)을 경사에 보내어 표문을 올려 청하기를, “철령 북쪽의 문주, 고주, 화주, 정주, 함주 등 여러 주를 거쳐 공험진(公嶮鎭)에 이르기까지는 본디 본국의 땅이었습니다. 원나라 초기에 몽고(蒙古)의 산길대왕(散吉大王) 보지관인(普只官人) 등이 여진(女眞)을 거두어들일 적에 본국의 정주(定州) 반민(叛民) 탁청(卓靑)과 용진현(龍津縣) 사람 조휘(趙暉)가 화주(和州) 북쪽 땅을 들어 원나라에 항복하였는데, 이들이 금조(金朝)의 요동(遼東) 함주로(咸州路) 부근에 있는 심주(瀋州)에 쌍성현(雙城縣)이 있다는 사실을 듣고는 본국의 함주 근처의 화주에 옛적에 쌓은 작은 성 두 개가 있음을 인하여 애매하게 주청하면서 마침내 화주를 쌍성이라고 모칭(冒稱)하였습니다. 그 뒤 지정(至正) 16년(1356)에 이르러 원나라 조정에 신달(申達)하여 화주 북쪽 지역을 본국으로 환속시켰습니다. 지금 성지를 흠봉(欽奉)하건대, ‘철령 북쪽, 동쪽, 서쪽 지역은 본디 개원로(開元路)에 속하는 곳이니 소관(所管) 군민(軍民)도 그대로 요동에 속하게 하라. 이를 공경히 시행하라.’ 하였습니다. 철령(鐵嶺)의 산은 왕경(王京)과의 거리가 겨우 300리 밖에 안 되며, 공험진으로 변방의 경계를 정한 지는 한두 해가 아닙니다. 삼가 바라건대 이들 몇 개의 주 지역을 그대로 하국(下國)의 강토로 삼게 해 주소서.” 하였다. 서북면 도안무사(西北面都按撫使) 최원지(崔元沚)가 보고하기를, “요동도사(遼東都司)가 지휘(指揮) 2인을 보내어 군사 1000여 명을 거느리고 강계(江界)에 와서 장차 철령위를 세우려 합니다. 그런데 황제가 미리 철령위를 설치하였으므로 진무(鎭撫) 등의 관원들이 모두 요동에 이르렀으며, 요동으로부터 철령에 이르기까지 70참(站)을 설치하고서 참마다 백호(百戶)를 두었습니다.” 하였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문주는 지금의 문천군(文川郡)이고, 고주는 지금의 고원군(高原郡)이다. -화주, 정주, 함주는 앞에 나온다.- 철령은 안변부(安邊府)에서 남쪽으로 83리 되는 곳에 있다. 명나라 초기에 압록강 서쪽의 봉황성(鳳凰城) 근처 지역에 철령위를 두고서 지금의 평안도 강계(江界)와 폐사군(廢四郡) 동쪽에서 철령 북쪽에 이르는 지역을 떼어서 경계로 삼았다. 그러므로 요동에서부터 철령에 이르는 지역에 70개의 참(站)을 늘어세우고서 요동의 지휘(指揮)가 먼저 강계부(江界府)에 이른 것이다. 대개 요동에 함주, 쌍성, 철령이란 호칭이 있으며, 우리나라 함경남도에도 역시 함주, 쌍성, 철령이란 호칭이 있어서 여지(輿地)를 상고하는 자가 쉽사리 의혹하게 된다. 고려에서 상주하여 밝혀 정지시킨 것은 이 때문이다.
《성경통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봉천부(奉天府) 철령현(鐵嶺縣)은 금나라와 원나라 때에는 함평부(咸平府)였고, 명나라 때에는 철령위로 고쳤다. 옛날에는 철령성이 철령위의 치소에서 동남쪽으로 500리 되는 곳에 있어 고려와 경계를 접하고 있었다. 홍무 21년(1388)에 그곳에 철령위를 설치하였다가 그 뒤 26년(1393)에 이곳으로 옮겨 오고서는 -삼가 살펴보건대, 지금의 철령현이다.- 그대로 철령위라고 이름하였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봉천부에서 동남쪽으로 500리 되는 곳을 헤아려 보면 봉황성 근방에 이른다. 홍무 21년에 이곳에 철령위를 설치하고서 고려의 북계(北界) 지역을 떼어 여기에 예속시키려고 하다가 그 뒤에 끝내 실행하지 못하였다. 26년에 이르러서는 봉천부(奉天府)의 북쪽으로 철령위의 치소를 옮겼는데, 지금의 철령현이 바로 그곳이다.
○ 고려 말기에 비로소 지금의 갑산, 삼수 등지를 수복하였는데, 이곳은 바로 휼품로(恤品路)의 옛 지역이다. 지금의 마천령(磨天嶺) 북쪽의 육진(六鎭) 등지는 오히려 여진이 차지하고 있었다.
《고려사》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지리지에 이르기를, “갑주(甲州)는 본디 허천부(虛川府)인데, 오랫동안 여진이 차지하고 있어서 여러 차례 병화를 겪은 탓에 사는 사람이 없었다. 공양왕 3년(1391)에 비로소 갑주라고 칭하였다.” 하였다. -지금은 갑산부(甲山府)와 삼수부(三水府)로 되었다.- ○ 세가에 이르기를, “공양왕 4년(1392) 3월 경자에 알도리(斡都里) 올량합(兀良哈)의 여러 추장(酋長)에게 모두 만호(萬戶), 천호(千戶), 백호(百戶) 등의 관직을 제수하였는데, 차등이 있었다. 또 방문(牓文)을 보내어 여러 부락에 유시(諭示)하기를, ‘홍무 24년(1391) 7월에 이필(李必) 등을 차임하여 방문을 싸 가지고 여진의 지역인 두만(豆萬) 등지로 가서 불러 유시하라고 하였다. 그러자 그해에 알도리 올량합의 만호ㆍ천호ㆍ두목(頭目) 등이 즉시 귀부하였으므로 상을 내리고 명호(名號)를 나누어서 그들 모두 각자가 생업에 복귀하도록 하였다. 그곳에 있는 속빈(速頻), 실적멱(失的覓), 몽골(蒙骨), 개양(改陽), 실련(實憐), 팔린(八隣), 안돈(安頓), 압란(押蘭), 희날올(喜刺兀), 올리인(兀里因), 고리한(古里罕), 노별(魯別), 올적개(兀的改) 등의 지역은 본디 우리나라 공험진(公嶮鎭)의 경내에 속하므로 일찍이 불러서 유시하였다. 그런데도 지금까지 아직 귀부하지 않고 있다. 이는 이치에 있어서 맞지 않으므로 다시금 이필 등을 보내어 방문을 가지고 가서 불러 유시하게 하니, 방문이 도착하는 날에 각자 와서 귀부하면 상을 주고 명호를 나누는 것은 일체 앞서 귀부한 알도리 올량합의 예에 의하여 할 것이다.’ 하였다.” 하였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알도리(斡都里)는 알타리(斡朶里)라고도 한다. 《문헌비고》에, “회령부는 본디 여진 알타리부락의 맹가첩목아(孟哥帖木兒)가 차지해 살던 곳이다.” 한 것이 이를 두고 한 말이다. 두만(豆萬)은 도문수(徒門水)이다. 속빈(速頻)은 휼품(恤品)이다. 압란(押蘭)은 합라(合懶)이다. -또한 압라(押懶)라고도 한다.- 올적개(兀的改)는 호리개(胡里改)이다. 이들은 모두 《금사》에 나오는데, 지금의 단천(端川), 길주(吉州) 북쪽의 육진 지역이 그곳이다. 이 당시에는 육진 지역을 모두 여진이 차지하고 있었으며, 합라와 휼품 지역은 고려가 비록 수복하기는 하였으나, 예전의 여진 부락들 가운데에는 아직도 귀부하지 않고 있는 자들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들 지역도 역시 방문에 아울러서 칭한 것이다.
또 살펴보건대, 우리나라의 철령 북쪽을 일러 북관(北關)이라고 하는데, 옛날의 옥저(沃沮) 지역이다. 한(漢)나라 무제(武帝) 초기에 이곳에 현도군(玄菟郡)을 두었다가, 그 뒤에 구려현(句驪縣) -지금의 흥경(興京)이다.- 으로 옮겼다. 위(魏)나라 때에는 현도 태수(玄菟太守) 왕기(王頎)가 고구려 왕을 추격하여 남옥저(南沃沮)를 지나 1000여 리를 가서 숙신씨(肅愼氏)의 남쪽 경계에 이르렀다. 그렇다면 한나라와 위나라 때 우리나라 북관 지역과 통하면서는 모두 요동으로부터 흥경(興京) 지방을 지나 동쪽으로 압록강을 건넌 다음 황초령(黃草嶺)을 넘어서 왕래하였던 것이다. 이 뒤로는 일찍이 중국에서 이 지역을 엿본 적이 없었다. 발해의 대씨(大氏)가 망하자 함흥 북쪽 및 평안도 북계 지역이 모두 여진의 차지가 되어 동여진(東女眞), 서여진(西女眞)의 칭호가 생겼다. 동여진이 갈라전(曷懶甸) -바로 함흥(咸興)이다.- 에서 일어나 드디어 서여진 -지금의 평안도 북계에 있었다.- 을 병합하였는바, 《금사》에서 “수국(收國) 1년(1115, 예종10)에 보주(保州) -바로 의주(義州)이다.- 의 제부(諸部) 여진이 모두 항복하였다.”라고 한 것이 이를 두고 한 말이다. 이에 서쪽으로 압록강을 건너가 요주(遼州), 심주(瀋州) 지역을 차지하였다. 원나라 때에는 국토를 확장하길 좋아하여 개원(開元) -지금의 개원현(開原縣)이다.- 에서부터 휼품(恤品) -지금의 삼수부 등지이다.- 까지 동쪽으로 압록강을 건너와서는 함흥에 합란부(合蘭府)를 설치하였다. 명나라 초기에 이르러서는 철령위(鐵嶺衛)를 설치하기로 의논하여 역시 요동에서부터 역참(驛站)을 죽 연결시켰는데, 길은 강계(江界)를 경유하였다. 대개 두만강 북쪽의 영고탑(寧古塔) 등지는 예로부터 읍루(挹婁), 말갈(靺鞨), 여진(女眞)의 구역으로, 중국에서 경략(經略)하면서는 일찍이 이 지역까지는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중국에서 북관(北關)으로 통하는 길은 반드시 압록강을 경유하는 것이 편하고 빨랐던 것인바, 지금 북관의 관방(關防)에 유의하는 자는 이런 사실을 몰라서는 안 된다. 그러나 고려의 북쪽 경계는 끝내 마천령을 넘어가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우리 조선이 북방에서 일어나서는 야인(野人)을 정벌하여 육진(六鎭)을 설치하고서야 비로소 두만강을 경계로 삼았다. 그 당시에 명나라는 천하를 막 안정시킨 때라서 달단(韃靼)에 대해서만 걱정하였고, 동북쪽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러므로 비록 건주위(建州衛), 모련위(毛憐衛) 등을 설치하기는 하였으나, 한갓 견제만 할 뿐이었다. 그리고 역시 일찍이 쌍성(雙城) 지역을 달라고 요구하지 않았으며, 그 뒤에는 마침내 이에 대해서 거론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고로 인하여 우리나라가 군사를 출동시켜 북쪽을 정벌하면서 날마다 조금씩 넓혀 성읍(城邑)을 세웠는바, 이 역시 천하의 큰 기회였던 것이다. 육진의 지역은 동북쪽으로 뚫고 들어가 있는바, 백두산이 서남방에 위치해 있으며, 서북쪽으로는 영고탑까지 600리에 불과하다. 그런즉 갈라전(曷懶甸)을 지나서 호리개(胡里改)까지 이르고, 옥저를 지나서 읍루의 지역까지 이른 것인바, 봉역(封域)의 크기가 전 시대보다 훨씬 넓어지게 되었으니, 참으로 아름답고도 성대하도다.
[서북계(西北界)의 연혁(沿革)]
서북계는 지금의 평안도 지역이다. 한나라 때에는 낙랑군(樂浪郡)을 설치하였으며, 뒤에 고구려에 편입되었다. 당나라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서는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설치하였으며, 곧바로 발해의 대씨(大氏)에게 함락되어 압록부(鴨綠府)에 속해졌다. 대씨가 쇠약해져서는 궁예(弓裔)가 비로소 패서(浿西) 지역 13진(鎭)을 취하였다. 고려가 흥함에 미쳐서는 궁예의 옛 영토임을 인하여 안북부(安北府)로 경계를 삼았으며, 청천강(淸川江) 북쪽 지역은 여진이 차지하였다가 그 뒤에 고려에 편입되었다.
○ 고려 초기에 서북쪽은 지금의 안주(安州) 청천강을 경계로 삼았으며, 청천강 바깥쪽 지역은 여진의 땅이었다.
《문헌비고》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지금의 평안도와 함경도는 고구려가 망한 뒤부터는 발해와 여진의 차지였고, 궁예가 차지한 것은 패서 지역의 12진뿐이었다. 서희(徐煕)가 말하기를, “거란의 동경(東京)에서 우리나라 안북부(安北府)까지는 모두 생여진(生女眞)이 차지하였었는데, 광종(光宗)이 이곳을 취하여 가주(嘉州)의 송성(松城)을 쌓았다.” 하였다. 서희는 바로 성종(成宗) 때의 사람인바, 이는 그가 직접 보고 들은 사실일 것이다. -삼가 살펴보건대, 안북부(安北府)는 지금의 안주(安州)이다.
○ 정종(定宗) 때부터 청천강 북쪽 지역을 조금씩 취하여 광종 때에는 서북쪽으로 운산(雲山), 태천(泰川) 등지까지 이르렀다.
《고려사》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병지(兵志)에 이르기를, “정종 2년(947)에 덕창진(德昌鎭) -지금의 박천(博川)이다.- 에 성을 쌓고, 덕성진(德成鎭) -지금의 영변(寧邊)이다.- 에 성을 쌓았다. 광종 1년(950)에 위화진(威化鎭) -지금의 운산(雲山)이다.- 에 성을 쌓고, 3년(952)에 안삭진(安朔鎭) -지금은 영변에 병합되었다.- 에 성을 쌓았고, 20년(969)에 태주(泰州) -지금의 태천(泰川)이다.- 에 성을 쌓고, 24년(973)에 가주(嘉州) -지금의 가산(嘉山)이다.- 에 성을 쌓았다.” 하였다. ○ 최승로열전(崔承老列傳)에 이르기를, “성종 1년(982)에 최승로가 상서(上書)하기를, ‘우리나라가 삼국을 통합한 이래 47년 동안 사졸들이 편안하게 쉬지 못하고 군량을 허비함을 면치 못하였던 것은 서북 지방이 오랑캐들과 인접해 있어 방수(防戍)할 곳이 많아서였습니다. 무릇 마헐탄(馬歇灘)으로 경계를 삼고자 한 것이 태조(太祖)의 뜻이었으며, 압록강 가의 석성(石城)으로 경계를 정한 것은 대조(大朝)에서 정한 것입니다. 바라건대 성상께서는 이 두 곳 가운데에서 결단을 내리시어 요해처를 선택해 강역을 획정하고 토인(土人)들 가운데 활을 잘 쏘고 말을 잘 타는 자를 선발해 방수에 충당시키소서. 그럴 경우 경군(京軍)이 번갈아 가면서 수자리를 사는 고생을 면할 것이고, 군량을 실어 나르는 비용도 줄어들 것입니다.’ 하였다.” 하였다.
《송사》 고려열전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옹희(雍煕) 3년(986) -고려 성종 5년- 에 북쪽으로 군사를 출동시켜 거란(契丹)을 정벌하였다. 고려가 거란과 국경을 접하고 있었다. 이에 감찰어사(監察御史) 한국화(韓國華)를 보내어 조서(詔書)를 가지고 가서 유시하게 하였다. 이보다 앞서 거란이 여진을 칠 적에 고려의 경계를 거쳤기 때문에 여진은 고려가 거란의 군사를 유인한 것이 아닌가 의심하였다. 이에 조정에 와서 하소연하였다. 그러자 왕치(王治) -살펴보건대, 고려 성종의 휘(諱)이다.- 가 그 말을 듣고 근심하고 두려워하였다. 한국화가 이르자, 그에게 말하기를, “지난해 늦겨울에 여진이 와서 고하기를, ‘거란이 군사를 내어 우리의 경계에 들어왔는데, 고려에서 알지 못하고 있을 듯하다. 그에 대해 미리 방비하라.’ 하였다. 그러고는 또 사람을 보내어 거란의 기병(騎兵)이 이미 매하(梅河)를 건너왔다고 알려 왔다. 그 뒤 얼마 지나서 거란의 군사들이 구름처럼 몰려나와서 여진을 크게 공격하여 죽이고 빼앗은 것이 매우 많았다. 이에 여진의 남은 족속들도 패하여 도망가자, 거란의 군사들이 여진을 잡으려고 뒤쫓아 와서 우리의 서북쪽 지역인 덕창(德昌) -삼가 살펴보건대, 지금의 박천(博川)이다-, 덕성(德成) -삼가 살펴보건대, 지금의 영변(寧邊)이다-, 위화(威化) -삼가 살펴보건대, 지금의 운산(雲山)이다-, 광화(光化) -삼가 살펴보건대, 지금의 태천(泰川)이다.- 의 경내로 들어와서 사로잡아 갔다. 그때 거란의 한 기병이 덕래하(德來河)의 북쪽에 이르러서 관성(關城)을 지키는 군졸을 큰소리로 불러 말하기를, ‘여진이 우리의 변방 지역을 노략질하였다. 이제 원수 갚는 일을 끝냈으니, 군사를 정돈하여 돌아가겠다.’ 하였다. 그러자 여진에서는 또 본국에게 매하진(梅河津)을 봉쇄하고 성루를 쌓아 거란을 방비하라고 권하였다. 이에 그렇게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여 막 그곳을 둘러보고 공사를 일으키려고 하고 있었다. 그런데 뜻밖에도 여진은 군사를 몰래 출동시켜 본국의 관원과 백성을 죽이고 노략질하였다. 그러나 본국에서는 여진이 해마다 중국에 조공을 바치기 때문에 감히 군사를 내어 원수를 갚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데 거란은 요해(遼海)의 바깥에 끼어 있고 또 대매하(大梅河)와 소매하(小梅河)의 두 강으로 막혀 있으니, 어떤 길을 통해 오갈 수 있겠는가.” 하였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최승로(崔承老)가 이른바 마헐탄은 청천강 나루의 요해처로, 바로 고려 태조가 경계를 정한 곳이다. 그리고 “압록강 가로 경계를 정한 것은 대조(大朝) -경종(景宗)을 가리킨다. 경종은 광종의 아들이고 성종의 형이다.- 에서 정한 것입니다.” 한 것은, 경종(景宗)이 일찍이 그런 뜻을 품고 있었으나 미처 획정하지 못한 것을 말한다. 대개 광종(光宗)이 개척한 지역은 북쪽으로 운산(雲山), 태천(泰川) 등지에 불과하였다. 그러므로 성종 1년에 운산과 태천 사이를 고려의 서북쪽 경계라고 칭한 것이다. 덕래하(德來河)는 《송사》에 의거하면 마땅히 운산과 태천의 북쪽에 있어야 하는바, 지금의 대령강(大寧江) 상류 지역이 아마도 그곳인 듯하다. 매하(梅河)는 압록강을 가리키는 듯하다.
○ 성종 때 여진을 축출하고 구주(龜州)와 곽주(郭州) 등 여섯 주를 두어 서쪽으로는 압록강을 경계로 삼았다. 그러나 지금의 운산 북쪽 지역은 오히려 여진이 차지하고 있었다.
《요사(遼史)》 고려열전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통화(統和) 10년(992) -고려 성종 11년- 에 동경 유수(東京留守) 소항덕(蕭恒德)이 고려를 정벌하였다. 11년에 고려 왕 왕치(王治)가 박양유(朴良柔)를 보내어 표문(表文)을 받들고 죄를 청하였다. 그러자 조서(詔書)를 내려서 여진에게서 빼앗았던 압록강 동쪽 수백 리의 땅을 고려에 내주었다.
《송사》 고려열전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거란이 고려를 습격하자, 고려에서는 흥주(興州) -삼가 살펴보건대, 바로 흥화진(興化鎭)으로 지금의 의주(義州)에 병합되었다-, 철주(鐵州), 통주(通州) -삼가 살펴보건대, 지금의 선천(宣川)이다-, 용주(龍州), 구주(龜州), 곽주(郭州) 등 여섯 성을 국경에 쌓았다.
《고려사》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서희열전(徐煕烈傳)에 이르기를, “성종 12년(993)에 거란이 침입해 오자, 성종이 스스로 이를 막고자 서경(西京)으로 행차하였다. 거란의 동경 유수(東京留守) 소손녕(蕭遜寧)이 봉산군(蓬山郡)을 공격해 격파하고는 또다시 글을 보내어 속히 항복하라고 하였다. 성종이 여러 신하들을 모아 놓고 회의하였는데, 어떤 자가 서경 북쪽 지역을 떼어서 거란에게 주고 황주(黃州)에서부터 절령(岊嶺)에 이르기까지를 봉강(封疆)으로 삼자고 하였다. 서희가 말하기를, ‘거란의 동경에서부터 우리의 안북부(安北府)에 이르기까지 수백 리의 지역은 옛날에 모두 생여진(生女眞)이 차지하였던 곳인데, 광종(光宗)께서 이를 취하여 가주(嘉州)와 송성(松城) 등의 성을 쌓았습니다. 지금 거란이 침입해 온 것은 그 뜻이 이 두 성을 취하고자 하는 데 불과할 뿐입니다. 그들이 고구려의 옛 땅을 모두 취할 것이라고 큰소리치는 것은 실은 우리를 두려워해서 그러는 것입니다. 지금 그들의 병세(兵勢)를 보건대 몹시 성대한바, 갑자기 서경 북쪽 지역을 떼어서 그들에게 주는 것은 좋은 계책이 아닙니다. 그리고 삼각산(三角山) 북쪽 지역 역시 고구려의 옛 지역입니다. 저들이 끝없는 욕심을 가지고 계속해서 달라고 요구할 경우, 그들의 요구를 모두 들어줄 것입니까? 하물며 땅을 떼어서 적에게 내주는 것은 만대토록 수치스러운 짓입니다.’ 하였다. 성종이 누가 거란의 군영으로 가서 담판을 벌여 적을 물리칠 것인가를 물으니, 서희가 자신을 보내 주기를 요청하였다. 서희가 소손녕의 군영으로 가자, 소손녕이 말하기를, ‘너희 나라는 신라의 지역에서 일어났으며, 고구려의 지역은 우리의 소유인데, 너희들이 침입해 잠식하였다. 또 우리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면서도 바다를 건너서 송나라를 섬기고 있다. 그러므로 지금 군사를 출동시킨 것이다. 만약 땅을 떼어서 바치고 조빙(朝聘)을 닦는다면 아무런 일이 없을 것이다.’ 하였다. 이에 서희가 말하기를, ‘우리나라는 바로 고구려의 옛 지역이다. 그러므로 국호를 고려라고 하고, 평양에 도읍한 것이다. 만약 지계(地界)를 가지고 논할 것 같으면, 상국(上國)의 동경(東京)이 모두 우리의 영역이다. 그런데 어찌 침입해 잠식하였다고 말하는가. 그리고 압록강 내외의 지역 역시 우리의 경내(境內)이다. 지금 여진(女眞)이 그 사이를 차지하고 있어서 가는 길이 바다를 건너가는 것보다도 더 어렵고 힘들다. 조빙을 통하지 못하는 것은 여진이 그 지역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진을 몰아내고 길을 통할 수 있게 한다면 어찌 감히 조빙을 닦지 않겠는가.’ 하였는데, 사기(辭氣)가 몹시 강개하였다. 그러자 소손녕이 억지로 굴복시킬 수 없음을 알고는 마침내 강화를 맺고 군사를 거느리고 물러갔다. 성종이 크게 기뻐하면서 즉시 박양유(朴良柔)를 파견해 들어가 조근(朝覲)하게 하였다. 그러자 서희가 말하기를, ‘신이 소손녕과 더불어 여진을 탕평하기로 약속하였으니 옛 지역을 다 수복한 다음에 조근을 통하여야 합니다. 이제 겨우 압록강 안쪽 지역을 수복하였으니 압록강 바깥 지역을 얻기를 기다려서 조빙을 닦아도 늦지 않을 것입니다.’ 하니, 성종이 마침내 서희를 파견하였다. 13년(994)에 서희가 군사를 거느리고 나가 여진을 축출하고는 장흥진(長興鎭), 귀화진(歸化鎭)과 곽주(郭州), 구주(龜州)의 성을 쌓았다. 그다음 해에 또다시 안의진(安義鎭)과 흥화진(興化鎭)의 성을 쌓았으며, 그다음 해에 선주(宣州)와 맹주(孟州)의 성을 쌓았다.” 하였다. ○ 세가에 이르기를, “성종 13년에 소손녕이 글을 보내어 말하기를, ‘근자에 압록강 서리(西里)에 다섯 개의 성을 쌓으려고 합니다. 삼가 바라건대 대왕께서는 미리 먼저 지휘하시어 안북부(安北府)에서 압록강 동쪽에 이르기까지 280리의 지역에 거리의 멀고 가까움을 적당히 참작한 다음, 아울러 성을 쌓도록 하소서. 그리하여 거마(車馬)를 통하게 함으로써 조공하고 조근하는 길을 영원토록 열도록 하소서.’ 하였다.” 하였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송사》에서 이른 바 흥주(興州), 철주(鐵州), 통주(通州), 용주(龍州), 구주(龜州), 곽주(郭州)는 바로 새로 쌓은 여섯 성이다. 그러므로 《요사》 및 《고려사》 현종세가(顯宗世家)에도 여섯 성이라고 칭하였다. 그런데 지금 서희가 쌓은 것은 여덟 성이며, 명호(名號)도 또 같지 않은바, 왜 그런지는 상세히 알 수가 없다. 대개 서희가 개척한 바는 바로 박천강(博川江) 서쪽에서 의주에 이르는 지역이다. 그런즉 운산(雲山) 북쪽 지역은 여전히 여진이 차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 현종(顯宗) 1년(1010)에 이르러서 요나라 사람들이 다시 6주의 지역을 다투었다.
《송사》 고려열전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왕송(王誦)이 졸하고 그의 동생인 왕순(王詢) -삼가 살펴보건대, 고려 현종이다.- 이 국사를 임시로 맡아서 처리하였다. 거란에서 사신을 보내어 여섯 성을 내놓으라고 요구하였으나 왕순이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대중상부(大中祥符) 3년(1010) -고려 현종 1년- 에 거란이 군사를 크게 일으켜서 고려를 정벌하였다. 왕순이 여진과 더불어 기병(奇兵)을 매복하였다가 요격하여 거란 군사를 거의 모두 죽였다. 왕순이 또 압록강 동쪽에 성을 쌓아 내원성(來遠城)과 서로 마주 보게 하였다. 그러고는 강을 가로질러 다리를 놓은 다음 군사를 매복시켜 새로 쌓은 성을 튼튼하게 하였다.
《요사》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고려열전에 이르기를, “개태(開泰) 1년(1012) -고려 현종 3년- 에 조서를 내려 왕순이 직접 조회하라고 하였다. 8월에 고려 왕이 전공지(田拱之)를 보내어 표문을 올리면서 병을 핑계 대어 직접 조회할 수가 없다고 하였다. 그러자 조서를 내려서 다시 강동의 여섯 주의 지역을 내놓으라고 하였다.” 하였다. ○ 열전에 이르기를, “당초에 고려가 내속(內屬)하자 여진(女眞)에게서 빼앗은 6부(部)의 지역을 하사해 주었다. 개태 연간에 이르러서 공물을 제때에 바치지 않았다. 이에 야율자충(耶律資忠)에게 조서를 내려 고려에 가서 사유를 묻게 하였는데, 고려에서는 땅을 돌려줄 뜻이 없었다.” 하였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고려사》를 보면, 현종 3년에 거란에서 조서를 내려 왕이 직접 와서 조회하라고 하였는데, 현종이 사신을 보내어 병을 핑계 대어 직접 조회할 수 없다고 하자, 거란의 임금이 노하여 조서를 내려서 흥화진, 통주, 용주, 철주, 곽주, 구주 등 여섯 성을 취하라고 하였으며, 4년(1013) 3월에 거란이 야율행평(耶律行平)으로 하여금 여섯 성을 돌려 달라고 따지게 하였으며, 7월에 다시 와서 여섯 성을 돌려 달라고 요구하였으며, 5년(1014) 9월에 장군 이송무(李松茂)를 파견하여 또다시 여섯 성을 돌려 달라고 요구하였으며, 6년(1015) 4월에 야율행평을 파견하여 또다시 여섯 성을 돌려 달라고 요구하였으며, 9월에 이송무가 또 와서 여섯 성을 돌려 달라고 요구하였다. 이외에도 여섯 성을 침입하는 일이 없는 해가 없었다.
○ 이 당시에 요나라에서는 압록강 동쪽에 보주(保州) 및 내원성(來遠城)을 설치하였는데, 지금의 의주가 바로 그곳이다.
《요사》 고려열전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개태 3년(1014) -고려 현종 5년- 5월에 조서를 내려 국구(國舅)인 상온(詳穩) 소적렬(蕭敵烈)과 동경 유수(東京留守) 야율단석(耶律團石) 등으로 하여금 압록강에 부교(浮橋)를 놓고 보주(保州), 선의주(宣義州), 정원주(定遠州) 등에 성을 쌓게 하였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고려사》를 보면, “현종 6년(1015) 봄에 거란이 압록강에 다리를 놓고 다리 양쪽의 동쪽과 서쪽에 성을 쌓자, 군사를 파견하여 공격하였으나 패하였다.” 하였으며, 또 이르기를, “이해에 거란이 선화진(宣化鎭)과 정원진(定遠鎭)을 취하여 성을 쌓았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요사》에서 개태 3년의 일이라고 이른 것이다. 선화진은 아마도 선의진(宣義鎭)인 듯하다.
《요사》 지리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정주(定州) 보령군(保寧軍)은 고려에서 주(州)를 설치하였다. 옛 현은 하나로, 정동현(定東縣)이다. 성종(聖宗) 통화(統和) 13년(995)에 군(軍)으로 승격시키고서 요서(遼西) 지역의 백성들을 옮겨서 채웠다. 동경 유수사(東京留守司)에 예속되었으며, 통할하는 현은 하나이다. 정동현은 고려에서 설치하였다. 요나라 때 요서 지역의 백성들을 옮겨서 살게 하였다. 호구 수는 800호이다. ○ 보주(保州) 선의군(宣義軍)은 절도(節度)를 둔다. 고려에서 주를 설치하였으며, 옛 현은 하나로, 내원현(來遠縣)이다. 성종이 고려 왕 왕순(王詢)이 멋대로 왕위에 올랐다는 이유로 문책하자, 왕순이 불복하였다. 통화(統和) 말기에 고려가 항복하였으며, 개태 3년에 보주와 정주를 빼앗고서는 이곳에 각장(榷場)을 설치하였다. 동경 통군사(東京統軍司)에 예속되었으며, 통할하는 주군(州軍)이 둘이고 현이 하나이다. 내원현은 처음에 요서 지역의 여러 현의 백성들을 옮겨서 채웠고, 또다시 해(奚)와 한족(漢族)의 군사 700명을 옮겨서 방수(防戍)하게 하였다. 호구 수는 1000호이다. 선주(宣州) 정원군(定遠軍)은 자사(刺史)를 둔다. 개태 3년에 한호(漢戶)를 옮겨서 설치하였으며, 보주에 예속되었다. 회화군(懷化軍)은 등급이 하(下)로 자사를 둔다. 개태 3년에 설치하였으며, 보주에 예속되었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보주는 지금의 의주(義州)이다. 고려는 성종 때부터 이미 지금의 용천(龍川), 철산(鐵山) 등지를 차지하였고, 덕종(德宗) 때 압록강이 바다로 들어가는 곳부터 장성(長城)을 쌓았다. 정종(靖宗) 때에는 또 지금의 창성부(昌城府)를 설치하였다. 그런즉 요나라가 고려의 경계 상에 보주(保州)를 설치하였다는 것은 필시 압록강 동쪽 언덕의 한 현에 해당하는 지역일 뿐이다. 그렇다면 보주가 관할하였다는 두 개의 주군(州軍) 및 정주의 정동현은 압록강 동쪽에 아울러 있을 수가 없으며, 마땅히 압록강 서북쪽에 있어야 한다. 그러니 정주는 본디 고려에서 설치하였다고 한 것은 잘못된 것이다. 내원현에 대해서는, 《고려사》 악지(樂志)에 이르기를, “내원성(來遠城)은 정주(靜州)의 물 안쪽 지역에 있다. 고구려 때 적인(狄人)들이 와서 투항하자 이곳에 둔 다음 그 성의 이름을 내원(來遠)이라고 하였으며, 노래를 불러 그 사실을 기록하였다.” 하였다. 정주(靜州)는 지금의 의주이다. 그런즉 압록강 가운데 있는 검동도(黔同島)나 위화도(威化島) 등이 생각건대 옛 내원현인 듯하다.
또 살펴보건대, 요나라 때에는 내원(來遠)이란 칭호가 둘이 있다. 《요사》 지리지에 이르기를, “내원성은 본디 숙여진(熟女眞) 지역이다. 통화 연간에 고려를 정벌하면서 연군(燕軍)이 날래고 용감하다는 이유로 두 지휘(指揮)를 두고서 성을 쌓아 방수하게 하였다. 병사(兵事)는 동경 통군사에 속한다.” 하였다. 이것은 압록강 서쪽에 있으면서 동경 통군사에 속한 것이지, 보주에 소속된 내원현이 아니다.
《성경통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보주(保州)는 고려에서 설치하였다. 내원현을 관할한다. 요나라 때에는 보주(保州) 선의군(宣義軍)이 되었다. ○ 내원현은 본디 고려의 옛 현이다. 요나라 때에는 그대로 따랐다. ○ 옛 보주는 그 지역이 압록강 서북쪽에 있다.
《대청일통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보주성(保州城)은 평양에서 서북쪽으로 100여 리 되는 곳에 있다. 《요사》 지리지를 보면, “개태 3년(1014)에 고려 왕 왕순(王詢)이 멋대로 왕위에 올랐다는 이유로 문책하자 왕순이 불복하였으므로, 보주와 정주를 빼앗고서는 이어 보주를 설치하였는데, 치소는 내원현이다. 선의군(宣義軍)이라고도 한다.” 하였다. 금나라 초기에는 고려가 신하로 복속하였다는 이유로 보주를 떼어서 고려에 주었는데, 바로 지금의 안주(安州)이다. 그 근처에 회화군(懷化軍)이 있는데, 이 역시 요나라가 개태 3년에 설치하였으며, 보주에 예속시켰다. 금나라 초기에는 역시 고려에 편입되었다. ○ 정주성(定州城)은 평양에서 서북쪽으로 300여 리 되는 곳에 있다. 고려에서 설치하였으며, 치소는 정동현(定東縣)이다. 요나라가 취하여서는 그대로 정주라고 하였으며, 보령군(保寧軍)이라고도 한다. 그 뒤에 고려에 편입되었으며, 지금은 그대로 정주가 되었다. 서남쪽으로 의주와 경계를 접하고 있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보주를 지금의 안주라고 하고, 정주를 지금의 정주라고 한 것은 모두 완전히 잘못된 것이다. 지금의 정주는 바로 우리 조선에서 설치한 것인데 요나라 때의 정주와 무슨 상관이 있단 말인가. 그리고 《대청일통지》에서는 지금의 선천(宣川)을 보주에서 관할하는 선의군(宣義軍)이라고 하였는데, -본조 강역조(本朝疆域條)에 나온다.- 이것 역시 잘못된 것이다.
○ 덕종(德宗) 2년(1033)에 이르러서 장성(長城)을 수축하였는데, 서쪽으로는 보주의 경계까지 쌓아 북쪽에 있는 여진을 방어하였다.
《고려사》 병지(兵志)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덕종 2년에 평장사(平章事) 유소(柳韶)에게 명하여 북쪽 경계의 관방(關防)을 창설하게 하였다. 서쪽 바닷가의 옛 국내성(國內城) 경계인 압록강이 바다로 들어가는 곳에서부터 시작하여 동쪽으로 위원(威遠), 흥화(興化), 정주(靜州), 영해(寧海), 영덕(寧德), 영삭(寧朔), -이상의 여섯 성은 지금은 모두 의주(義州)에 편입되었다.- 운주(雲州), 안수(安水), 청새(淸塞), -이상은 지금의 희천군(煕川郡)이다.- 평로(平虜), 영원(寧遠), -이상의 두 진은 지금은 합해져 영원현(寧遠縣)이 되었다.- 정융(定戎), 맹주(孟州), 삭주(朔州) 등 13성을 지나서 요덕(耀德), 정변(靜邊), 화주(和州) 등 3성 -이 3성은 지금은 합해져 영흥부(永興府)가 되었다.- 에 이르러 동쪽으로 바닷가에 닿았는데, 길이가 1000리이고, 돌로 성을 쌓았으며, 높이와 두께는 각각 25척(尺)이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요나라의 보주가 압록강 안쪽에 있었으며, 희천, 운산 북쪽 지역은 여진이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압록강이 바다로 들어가는 곳에서부터 장성을 쌓아 동쪽으로 삭주, 희천, 운산의 북쪽을 지나 영흥의 동쪽에 이른 것이다.
○ 문종(文宗) 때 요나라에게 보주의 지역을 돌려 달라고 요청하였는데, 요나라에서 허락하지 않았다.
《요사》 고려열전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태강(太康) 4년(1078) -고려 문종 32년- 에 고려 왕 왕휘(王徽)가 압록강 동쪽 지역을 돌려 달라고 요청하였는데, 허락하지 않았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고려사》를 보면, “문종 9년(1055)에 거란이 포주(抱州) -바로 보주이다.- 의 성 동쪽에 궁구(弓口)와 문란(門闌)을 설치하자, 고려에서 첩문(牒文)을 보내어 압록강 동쪽 지역을 다스리게 해 줄 것을 청하였으며, 유홍(柳洪)을 파견하여 요나라 사신과 함께 지형을 살펴서 경계를 정하게 하였는데, 획정하지 못하고서 되돌아왔다. 얼마 뒤에 사신을 파견하여 보주에 놓은 다리를 부수기를 청하자, 요나라에서 그 일을 중지하였다.” 하였다. 《요사》에서 이른 바 ‘고려에서 압록강 동쪽 지역을 되돌려 달라고 요청하였다.’는 것은, 생각건대 바로 이것을 두고 한 말인 듯하다. 그러나 연조(年條)가 서로 차이가 나는바, 상세히 알 수는 없다.
○ 요나라가 멸망하고 금나라가 흥성하자 고려에서는 보주를 취하여 의주라고 개칭하였으며, 비로소 압록강을 경계로 삼았다.
《금사》 고려열전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수국(收國) 1년(1115) -고려 예종 10년- 9월에 태조가 가고살갈(加古撒喝)에게 명하여 보주를 공격하게 하였다. 보주는 고려와 가까운 곳에 있는데, 요나라가 고려를 침입해서 보주를 설치하였던 것이다. 이때에 이르러 가고살갈에게 명하여 빼앗게 하였는데, 오래도록 함락시키지 못하였다. 11월에 개주(開州)를 공격하여 빼앗자, 보주에 있는 여진의 여러 부(部)들이 모두 항복하였다. 2년에 고려에서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또 말하기를, “보주는 본디 우리 고려의 땅이니 반환해 주기 바랍니다.” 하였다. 그러자 태조가 사신에게 이르기를, “너희들이 스스로 취하라.” 하였다. 가고살갈 등이 보주를 공격하게 되자 요나라의 수장(守將)이 도망쳤는데, 고려의 군사들이 이미 성안으로 들어와 있었다. 얼마 뒤에 고려의 국왕이 포마(蒲馬)를 시켜 보주를 달라고 요청하였다. 이에 조서를 내려서 고려국왕에게 유시하기를, “포마가 단지 입으로만 보주를 달라고 요청하였다. 표문(表文)을 올려 요청해 온다면 그 즉시 별도로 의논하겠다.” 하였다. 천회(天會) 4년(1126) -고려 인종 4년- 에 상이 고백숙(高伯淑)과 오지충(烏至忠)을 고려에 사신으로 파견하여, 사신이 왕래함에 있어서는 모두 요나라와의 구례(舊例)를 준수하게 하도록 하였다. 그러면서 고백숙 등에게 칙령(勅令)을 내리기를, “만약 고려에서 우리 측의 요구를 모두 따라 주면 즉시 보주 땅을 그들에게 주라.” 하였다. 고백숙이 고려에 도착하자, 고려 왕 왕해(王楷)가 표문을 올려 사례하고, 모든 일을 예전에 요나라를 섬기던 규례대로 하였다.
《고려사》 지리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당초에 거란이 압록강 동쪽 강안에 성을 설치하고는 보주라고 칭하였다. 문종조에 거란이 또 궁구(弓口)와 문(門)을 설치하고는 포주(抱州)라고 하였다. 예종 12년(1117)에 요나라의 자사(刺史) 상효손(常孝孫) 등이 금나라 군사를 피하여 바다를 건너서 도망친 다음, 우리나라의 영덕성(寧德城)에 공문(公文)을 보내 내원성과 포주를 우리나라에 돌려주었다. 이에 우리 군사들이 그 성에 들어가서 병장기와 전곡(錢穀)을 수습하였다. 그러자 왕이 기뻐하면서 의주라고 이름을 고쳤다. 이에 다시금 압록강을 경계로 삼았다. 인종 4년(1126)에 금나라에서도 주(州)를 돌려주었다.
《고려도경》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요동에서 동쪽 지방은 바로 예전에 거란에 소속되었었다. 지금 오랑캐들이 이미 망하고 난 뒤에는 대금(大金)에서 그 지역이 불모지라는 이유로 다시는 성을 쌓아 지키지 않은 채 한갓 왕래하는 길로만 삼고 있다. 압록강의 서쪽에는 또 백랑수(白浪水)와 황암수(黃嵓水) 두 강이 합류하여 요수(遼水)가 되는데, 그 물이 얕고 좁은바, 예전에 이 강을 믿어서 험고함으로 삼은 적이 없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런 점 때문에 고려가 압록강의 동쪽으로 물러나 지키고 있는 것이다.
○ 압록강의 서쪽은 바로 금나라의 갈소관(曷蘇館)인데, 혹 파속로(婆速路)라고도 하며, 금나라와 고려가 경계를 접한 지역이다.
《요사》 세기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개태 2년(1013)에 고려에 대해 잘 아는 여진 사람이 말하기를, “만약 대군이 갈소관여진(曷蘇館女眞)의 북쪽을 경유하여 곧장 압록강을 건너서 대하(大河)를 따라 올라가면 곽주(郭州) -삼가 살펴보건대, 지금의 곽산군(郭山郡)이다.- 에 이르러서 큰길과 만나게 됩니다. 그렇게 할 경우 고려를 취하여서 차지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하였다.
《금사》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세기에 이르기를, “천회 2년(1124)에 남로 군수(南路軍帥) 도모(闍母)에게 명하여 갑사(甲士) 1000인을 합소관로(合蘇館路)의 발근(孛菫) 완안아실뢰(完顔阿實賚)에게 보태 주어 고려를 방비하게 하였다.” 하였다. ○ 고려열전(高麗列傳)에 이르기를, “천회 8년(1130)에 고려 사람 10인이 고기잡이하다가 풍랑을 만나 그 배가 해안에 닿았는데, 갈소관 사람들이 이들을 잡았다. 조서를 내려서 그 나라로 돌려보내게 하였다.” 하였다. ○ 대정(大定) 11년(1171)에 고려 왕 왕호(王晧) -삼가 살펴보건대, 고려 의종(毅宗)이다.- 가 나라를 양위(讓位)한 사실을 와서 고하자 파속로(婆速路)에 조서를 내려서 받아들이지 못하게 하였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갈소관은 《요사》와 《금사》를 가지고 상고해 보면, 압록강이 바다로 들어가는 서쪽에 있는바, 지금의 압록진(鴨淥津) 서쪽, 봉황성(鳳凰城) 동쪽 지역이 바로 그 지역이다. 합소관(合蘇館)은 바로 갈소관이다. 《금사》를 보면 갈라로(曷懶路) 역시 합라로(合懶路)라고 하였는바, 갈(曷)과 합(合)을 서로 바꿔서 사용한 것이 분명하다. 그리고 《대청일통지》를 근거로 해서 보면 한(漢)나라의 안평현(安平縣)이 고구려 때에는 박작성(泊灼城)으로 되고, 금나라 때에는 파속로(婆速路)라고 하였고, 원나라 때에는 파사부(婆娑府)라고 하였다. 그 지역은 봉황성의 동쪽에 있는바, -이에 대한 내용은 고구려 박작성조에 상세하게 나온다.- 바로 갈소관의 지역과 딱 들어맞는다. 그런즉 파속은 분명히 갈소(曷蘇)의 음이 변한 것이며, 파사(婆娑) 역시 파속(婆速)의 음이 변한 것이다.
○ 고려 명종 때에는 서경 유수(西京留守) 조위총(趙位寵)이 난을 일으켜 서흥(瑞興)의 자비령(慈悲嶺) 서쪽 지역을 들어 금나라에 붙고자 하였으나 금나라에서 받아들이지 않았다.
《금사》 세기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대정 15년(1175) -고려 명종 5년- 9월에 고려의 서경 유수 조위총이 고려국왕에 대해서 반란을 일으키고는 자비령 서쪽에서 압록강 동쪽 사이에 있는 40여 성을 바치고 내부(內附)하겠다고 청하였는데, 받아들이지 않았다. 윤9월에 고려 왕이 조위총을 복주(伏誅)하였다고 상주하였다. -삼가 살펴보건대, 자비령은 절령(岊嶺)이라고도 하는데, 서흥부에서 서쪽으로 60리 되는 곳에 있다.
○ 고종(高宗) 때에는 서북쪽의 여러 성이 원나라에 함락되었으며, 고려에서 얼마 뒤에 다시 공격해 빼앗았다.
《원사》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고려열전에 이르기를, “태종(太宗) 3년(1231) -고려 고종 18년- 에 살례탑(撒禮搭)에게 명하여 고려를 정벌하게 하였다. 고려 사람 홍복원(洪福源)이 군사들을 맞이하면서 항복하여 왔다. 이에 홍복원이 거느리고 있던 편민(編民) 1500호를 얻으니, 부근에 있던 주군(州郡)에서도 항복해 오는 자가 있었다. 살례탑이 즉시 홍복원과 함께 귀부하지 않은 주군을 공격하고, 또 아아독(阿兒禿)으로 하여금 홍복원과 함께 왕경(王京)으로 가서 고려 왕 왕철(王㬚)을 불러오게 했다. 그러자 왕철이 강화를 요청하니, 허락하였다. 이에 경(京), 부(府), 현(縣)에 72명의 다루가치(達魯花赤)를 두어 감독하게 하고는 마침내 회군하였다. 5년에 왕철이 다시 군사를 파견하여 이미 내부하였던 서경 등처의 항복한 백성들을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홍복원의 집을 빼앗았다. 6년에 홍복원이 항복한 백성들을 거느리고 동경(東京)으로 옮겨 와 살게 해 달라고 청하여 허락하였다.” 하였다. ○ 지리지에 이르기를, “원나라 초기에 요동을 평정하였을 적에 고려국 인주(麟州)의 신기 도령(神騎都領) 홍복원이 서경(西京), 도호(都護), 구주(龜州) 인근의 40여 성을 거느리고 투항하자, 이곳에 각각 진수사(鎭守司)를 세우고 관원을 두어 그곳 백성들을 무마하였다. 그 뒤에 고려가 다시 반란을 일으키자 홍복원이 군사를 거느리고 와서 귀부하였으므로 고려군민만호(高麗軍民萬戶)를 제수하였고, 항복해 온 백성들을 요양(遼陽)과 심주(瀋州)에 나누어 흩어져 살게 하였는데, 교치(僑治)는 요양고성(遼陽故城)이다. 중통(中統) 2년(1261)에 이를 고쳐서 안무고려군민총관부(按撫高麗軍民摠管府)로 삼았다. 고려가 온 나라를 들어 내부하기에 이르러서는 4년에 또다시 질자(質子)인 왕준(王綧)을 안무고려군민총관으로 삼고 2000여 호를 나누어 거느리면서 심주를 다스리게 하였다. 원정(元貞) 2년(1296)에 두 사(司)를 병합시켰는데, 치소는 그대로 요양고성이었다.” 하였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고려사》를 보면, 고종 20년(1233) 5월에 서경 사람 홍복원 등이 성을 들어서 반란을 일으키자, 북계 병마사(北界兵馬使) 민희(閔曦)가 토벌하였으며, 홍복원이 몽고로 도망쳐 들어가자 남아 있던 백성들을 해도(海島)로 옮겨 서경이 마침내 폐허가 되었다. 그 뒤에 서북 지방의 여러 성들이 해마다 몽고 군사에게 침입당하였다. 지금 《원사》에 기록된 것이 《고려사》와는 연조(年條)에서 조금 차이가 나는데, 왜 그런지 상고할 수가 없다.
○ 원종(元宗) 때에는 자비령(慈悲嶺) 서북쪽 지방이 원나라에 함락되었으며, 원나라에서는 평양(平壤)에 동녕부(東寧府)를 설치하였다.
《원사》 고려열전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지원(至元) 6년(1269) -고려 원종 10년- 에 고려의 도통령(都統領) 최탄(崔坦) 등이, 임연(林衍)이 난을 일으키자 서경(西京)의 50여 성을 이끌고 들어와 귀부하였다. 7년에 조서를 내려 서경을 내속시켜 동녕부로 고치고는 자비령으로 경계를 삼았으며, 망가도(忙哥都)를 안무사(按撫使)로 삼아 호부(虎符)를 차고서 군사를 거느리고 서쪽 변경을 지키게 하였다.
《고려사》 지리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원종 10년에 서북면 병마사영(西北面兵馬使營)의 기관(記官) 최탄(崔坦), 삼화 교위(三和校尉) 이연령(李延齡) 등이 난을 일으켜 서경 및 여러 성을 들어 몽고에 귀부하였다. 그러자 몽고에서는 서경을 동녕부로 삼고는 관리를 두어 다스렸으며, 자비령을 경계로 하였다.
○ 그 뒤에 원나라에서는 동녕부를 동녕로총관부(東寧路摠管府)로 승격시켰으며, 이로 인하여 의주(義州) 등 4개의 성을 떼어 파사부(婆娑府)로 옮겨 예속시켰다. 파사부는 바로 금나라 때의 파속로(婆速路)이다.
《원사》 지리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동녕로는 본디 고구려의 평양성으로 장안성(長安城)이라고도 한다. 한나라 때 조선을 멸하고서 낙랑군과 현도군을 두었는데, 이곳은 낙랑군 지역이었다. 진(晉)나라 의희(義煕) 연간 이후에 고구려 왕 고련(高璉)이 비로소 평양성에 거주하였다. 당나라가 고구려를 정벌하여 평양을 함락시키자 그 나라는 동쪽으로 옮겨 가 압록강에서 동남쪽으로 1000여 리 되는 곳에 있었는바, 평양의 옛 지역이 아니었다. 왕건(王建) 때에 이르러서 평양을 서경으로 삼았다. 원나라 지원 6년(1269)에 이연령, 최탄, 현원열(玄元烈) 등이 부(府), 주(州), 현(縣), 진(鎭) 60성을 들어서 귀의하였다. 8년에 서경을 고쳐서 동녕부로 삼았다. 13년(1276)에 동녕로총관부로 승격시키고 녹사사(錄事司)를 설치하였으며, 정주(靜州), 의주(義州), 인주(麟州), 위원진(威遠鎭)을 떼어 파사부에 예속시켰다. 본로(本路)는 영사(領司)가 하나이며, 나머지 성들은 잔폐되어서 관사를 설치하지 않았다. 지금은 우선 옛 이름만을 기록해 둔다. ○ 녹사사는 토산현(土山縣), 중화현(中和縣), 철화진(鐵化鎭)을 관할한다. ○ 도호부(都護府)는 당나라 말기에 고려로 땅이 편입되었으며, 주, 부, 현, 진 60여 성을 설치하여서 이곳이 도호부가 되었다. 비록 당나라 때의 명칭을 그대로 쓰기는 하였으나, 도호부로서의 역할을 하지는 못하였다. 지원 6년에 이연령 등이 그 지역을 들어 귀의하였다. 그 뒤에는 성이 무너져서 겨우 그 명목만 남아 있었으며, 동녕로에 속하였다.
○ 정원부(定遠府), 곽주(郭州), 무주(撫州), 황주(黃州), -안악현(安岳縣), 삼화현(三和縣), 용강현(龍岡縣), 함종현(咸從縣), 강서현(江西縣) 등 다섯 현과 장명진(長命鎭) 한 진을 거느린다.- 자주(慈州), 가주(嘉州), 순주(順州), 은주(殷州), 숙주(宿州), 덕주(德州), -강동현(江東縣), 영청현(永淸縣), 통해현(通海縣), 순화현(順化縣) 네 현과 영원진(寧遠鎭), 유원진(柔遠鎭), 안융진(安戎鎭) 세 진을 거느린다.- 창주(昌州), 철주(鐵州), -정융진(定戎鎭) 한 진을 거느린다.- 태주(泰州), 개주(价州), 삭주(朔州), 선주(宣州), -영삭진(寧朔鎭), 석도진(蓆島鎭) 두 진을 거느린다.- 성주(成州) -수덕진(樹德鎭) 한 진을 거느린다-, 희주(煕州), 맹주(孟州), -삼등현(三登縣)과 초도진(椒島鎭), 가도진(椵島鎭), 영득진(寧得鎭) 세 진을 거느린다.- 연주(延州) -양암진(陽巖鎭) 한 진을 거느린다-, 운주(雲州)가 있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동녕로 및 파사부가 거느리는 주(州), 현(縣), 도(島), 진(鎭)은 모두 합하여 50성으로, 60성을 들어 귀의하였다고 한 것은 잘못된 것이다. 《고려사》를 근거로 하여 보면, 이 당시에 서해도(西海道)의 수안(遂安), 곡산(谷山), 은율(殷栗) 역시 원나라에 투항하여 동녕부에 속하였으며, 충렬왕 12년(1286)에 원나라에서 곡주 등 세 성을 되돌려 주었다. 이것은 《원사》에서 미처 언급하지 않은 것이다. -동녕로 주현(州縣)의 연혁(沿革)에 대해서는 성읍조(城邑條)에 상세하게 나온다.
또 살펴보건대, 《속문헌통고(續文獻通考)》 동녕부조(東寧府條)를 보면, 가주(嘉州)는 요나라 때의 가평군(嘉平軍)이고, 순주(順州)는 본디 요대현(遼隊縣) 지역이고, 철주(鐵州)는 본디 안시현(安市縣)이고, 태주(泰州)는 본디 거란목(契丹牧) 지역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모두 요동 지방에 있는 주현을 억지로 끌어다 붙인 것으로, 완전히 잘못된 것이다.
《대청일통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원나라의 동녕로는 본디 고구려의 평양성이다. 지원 13년(1276)에 동녕로를 설치하였는데, 그 지역은 지금의 조선 경계 안에 있었다.
○ 고려 충렬왕 16년(1290)에 원나라가 동녕로를 혁파하고서 서북쪽 지방의 여러 성들을 모두 되돌려 주고는 다시 압록강으로 경계를 삼았다. 서북쪽 지방의 성이 원나라에 함락된 기간은 21년 동안이었다.
《고려사》 세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충렬왕 16년 -원나라 지원 27년- 에 원나라 황제가 동녕로를 혁파하고서 서북쪽의 여러 성을 모두 되돌려 주었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고려사》를 보면, “공민왕(恭愍王)이 장차 동녕부를 공격하여 북원(北元)과의 관계를 끊으려 하였다. 19년(1370)에 우리 태조가 동북면(東北面)에서 출발하여 압록강을 건넜다. 이때 동녕부 동지(東寧府同知) 이오로첩목아(李吾魯帖木兒)가 우라산성(亏羅山城)을 지키고 있었는데, 태조가 야돈촌(也頓村)에 이르자 이오로첩목아가 와서 항복하였으며, 여러 성들이 모두 잇따라 항복하였다. 이에 동쪽으로는 황성(皇城), 북쪽으로는 동녕부, 서쪽으로 바다, 남쪽으로는 압록강에 이르기까지의 지역이 텅 비게 되었다.” 하였다. 이를 근거로 하여 보면, 원나라에서는 고려의 여러 성을 되돌려 준 뒤에 동녕부를 압록강 북쪽으로 옮겨 설치하였다는 것을 징험해 알 수가 있다.
○ 공민왕 때 희천(煕川) 북쪽에 있던 여진을 축출하고 비로소 지금의 강계(江界), 벽동(碧潼) 등지를 수복하였다.
《고려사》 지리지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강계부(江界府)는 공민왕 10년(1361)에 독로강만호(禿魯江萬戶)라고 하였다가 18년(1369)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쳤다. ○ 임토(林土)와 벽단(碧團)은 본디 모두 여진이 살던 곳이다. 공민왕 6년(1357)에 이성만호(泥城萬戶) 김진(金進) 등을 보내어 쳐서 달아나게 하였다. 그러고는 임토를 고쳐서 음동(陰潼)이라 하고 벽단을 음동에 예속시켰으며, 남계(南界)의 인호(人戶)를 옮겨서 채웠다.
진서가 삼가 살펴보건대, 음동은 지금의 벽동군(碧潼郡)이다. 고려 말기에 비록 강계, 벽동을 설치하기는 하였으나, 압록강 안쪽의 지역을 다 개척하지는 못하였다. 본조(本朝)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압록강을 경계로 삼고는 여연(閭延), 무창(茂昌), 우예(虞芮), 자성(慈城) 등 네 군을 설치하였는데, 그 뒤에 변경 지역에 껄끄러운 일이 자주 발생함으로 해서 마침내 그 지역을 비워 두었다.
ⓒ 한국고전번역원 | 정선용 (역) | 2003
高麗[一]
[DCI]ITKC_GO_1433A_0830_010_0010_2023_008_XML DCI복사
疆域緫論。
高麗之初。其疆域三面阻海。北以定平都連浦爲界。西北以淸川江爲界。後以鴨水爲界。
金史高麗傳。其地鴨綠江以東。曷懶路以南。東南皆至于海。
高麗圖經。高麗南隔遼海。西距遼水。北接契丹舊地。東距大金。又與日本琉球耽羅黑水毛人等國。犬牙相制。惟新羅百濟。不能自固其圉。爲麗人所幷。今羅州廣州道是也。其國在京師之東北。自燕山道。陸走渡遼而東之其境。凡三千七百九十里。若海道則河北京東淮南兩浙廣南福建。皆可往。今所建國。正與登萊濱隷相望。舊封境東西二千里。南北一千五百餘里。今旣幷新羅百濟。東北稍廣。其西北。與契丹相接。昔以大遼爲界。後爲所侵迫。乃築來遠城。以爲阻固。然亦恃鴨綠以爲險也。
鎭書謹案。高麗太祖統合新羅弓裔甄萱之地。其疆域。東西南俱盡海。北界則西自淸川江。東迆至都連浦爲界。其後稍拓西界。至于鴨水。而圖經謂西界遼水。則誤矣。
太祖時。州縣建置。因新羅之舊。
五代史高麗傳。王建用兵。擊破新羅百濟。於是東夷諸國皆附之。有二京六府九節度百二十郡。
文獻備考。太祖時。有松京西京。則其曰二京。是矣。新羅有六小京九州百二十八郡。則其曰六府九節度百二十郡。葢因羅之舊。而無大變革者也。
成宗時。分境內爲十道。
宋史高麗傳。郭元自言。本國城無垣墻。府曰開城。管六縣民不下三五千。有州軍百餘。置十路轉運司統之。每州管縣五六。小者亦三四。每縣戶三四百。國境南北千五百里。東西二千里。
高麗史地理志。成宗改州府郡縣及關驛江浦之號。遂分境內爲十道。就十二州。各置節度使。其十道。一曰關內。領楊州廣州黃州海州 二曰中原。領淸州忠州 三曰河南。領公州運州 四曰江南。領全州瀛州淳州馬州 五曰嶺南。領尙州 六曰嶺東。領慶州全州 七曰山南。領晉州 八曰海陽。領羅州光州靜州昇州見州潭州朗州 九曰朔方。領春州交州和州溟州登州 十曰浿西。領西京所管 其所管州郡共。五百八十餘。
顯宗時。置三京四都護府八牧。自是以後。定爲五道兩界。文宗時。又置南京。合爲四京。
宋史高麗傳。王居開州蜀莫郡。曰開城府。以新羅爲東州樂浪府。號東京。百濟爲金州金馬郡。號南京。平壤爲鎭州。號西京。西京最盛。緫之凡三京四府八牧。郡百有十八。縣鎭三百九十。洲島三千七百。郡邑小者或只百家。男女二百十萬口。兵民僧各居其一。地寒多山。
高麗史地理志。顯宗初。廢節度使。置四都護八護牧。自是以後。定爲五道兩界。曰楊廣。曰慶尙。曰全羅。曰交州。曰西海。曰東界。曰北界。緫京四牧八府十五。郡一百二十九。縣三百三十五。鎭二十九。
鎭書謹案。楊廣道。今京畿之楊州以南及忠淸道地也。慶尙全羅二道。今因之。交州道。今江原道嶺西地也。西海道。今黃海道地也。東界。今江原道嶺東及咸鏡南道地也。北界。今平安道地也。此外又有京畿。今楊州以北及黃海道金川平山等地也。
又按。自麗初有松西二京。而成宗又置東京於慶州。別號樂浪。後降爲州。顯宗復置東京。以備三京。文宗時。又陞今京城爲南京。並爲四京。宋史以金馬郡爲南京者誤矣。金馬郡。今益山郡也。
高麗圖經。高麗州縣之建。實不副名。特聚落之繁處。自國之西北。與契丹大金接境。粗有壘塹。其東南濱海。亦有建於島嶼者。惟西京最盛。城市略如王城。有三京四府八牧。又爲防禦郡一百一十八。爲縣鎭三百九十。爲洲島三千七百。皆設守令監官治民。臣聞四夷之君。類多依山谷就水草。隨時遷徙。以爲便。 敵。國未甞知有國邑之制。西域車師鄯善。僅能築墻垣作居城。史家卽指爲城郭諸國。葢誌其異也。若高麗則不然。立宗廟社稷。治邑屋州閭。高堞周屛。模範中華。抑箕子舊封。而中華遺風餘俗。尙有存者。朝廷間遣使存撫其國。入其境。城郭巋然。實未易鄙夷之也。今盡得其建國之形勢而圖之云。
[東北界沿革。]
東北界者。今之咸鏡道也。古爲沃沮國。漢置玄菟郡。旋沒於高句麗。卒本柵城等地是也。唐滅句麗。屬安東都護府。德源以南。入於新羅。及勃海大氏之興。置南海龍原率賓三府於此。渤海之亡。咸興以北。爲女眞所據。卽金人始起之地也。終高麗之世。得失無常故。玆別爲考。
高麗之初。與女眞。以定平都連浦爲界。後築長城於此。
文獻通考。女眞葢古肅愼氏。世居混同江之東。長白山鴨綠水之源。南鄰高麗。
金史世紀。金之始祖凾普。初從高麗來。與弟保活里俱。始祖居完顔部僕幹水之涯。保活里居耶。
高麗史列傳。女眞本高句麗之部落。聚居于蓋馬山東。世修職貢。
鎭書謹案。葢馬山。卽白頭山之南大幹也。見山水條。 山之東。今咸吉等處。而所謂耶
及僕幹水。卽其地爾。麗史。睿宗與金主書有曰。况彼發源半吾土者是也。
又按。麗史地志。北以都連浦爲界。築長城。兵志云。德宗二年。宋仁宗十一年。 柳韶始置北境關防。起自鴨江入海處。東跨和州 今永興府 等城。東傳于海。輿地勝覽。都連浦在咸興府南三十五里。古長城尾接于此。此卽高麗女眞分界處也。
咸興以北。至端川吉州等地。金人稱合懶路。
金史地理志。合懶路置緫管府。貞元元年。改緫管爲尹。仍兼本路兵馬都緫管。承安三年。設兵馬副緫管。舊有海蔥。大定十七年罷之。有移鹿古水。西北至上京。謹案今寧古塔。 一千八百里。東南至高麗界。五百里。
大淸一統志。廢合懶路。在寧古塔城東南。金寘。亦曰曷懶。西北至上京一千八百里。東南至高麗界五百里。元廢。
鎭書謹案。合懶路。亦曰曷懶路。又押懶又耶懶又移懶。皆一也。金志。會寧府東南至恤品路。一千六百里。至曷懶路一千八百里。恤品路西南至曷懶一千二百里。大淸統志。會寧古城。在寧古塔城西南。又云寧古塔南至土門江朝鮮界六百里。會寧府卽金之上京。其古城在今寧古塔西南九十餘里虎爾哈河之南。則南至土門江。當不過五百里。而恤品曷懶。並在於土門江以南咸鏡道內。北爲恤品。南爲曷懶。恤品至曷懶一千二百里者。似指其都孛堇所駐處。其實壤地相接也。
又接。金志。合懶東南至高麗界五百里。今自都連浦。北行五百里。當至利原端川等地。則合懶緫管府。當在磨天嶺以南也。
三水府西北。鴨江內外之地金人稱恤品路。
金史地理志恤品路節度使遼時爲率賓府置刺史本率賓故地。太宗天會二年。以耶懶路都孛堇所居地瘠。遂遷于此。以海陵例。罷萬戶置節度使。因名速頻路節度使。世宗大定十一年。以耶懶速頻相去千里。旣居速頻。然不可忘本。遂命名石土門親管猛安曰。押懶猛安。承安三年。設節度副使。西北至上京一千五百七十里。東北至胡里改一千一百。西南至合懶一千二百。北至邊界幹可阿憐千戶二千里。耶懶又書作押懶。○本紀。天會九年。命以徒門水以西。渾疃星顯僝蠢三水以北閒田。給曷懶路諸謀克。
大淸一統志。廢恤品路。在寧古塔城東南。元廢。按恤品速頻。卽率賓之訛。耶懶押懶。卽合懶之訛也。
鎭書謹案。恤品。卽渤海之率賓府。高句麗之卒本。皆音之轉也。金志。天會二年。以耶懶路都孛堇所居地瘠。遷于恤品路。而本紀。天會二年。徙移懶路都孛堇完顔忠于蘓濱水。九年。以徒門水以西。三水以北閒田。給曷懶路諸謀克。移懶者耶懶也。蘓濱者恤品也。徒門者今豆滿江也。三水者今三水府也。三水府之名。葢因鴨綠經其北。虛川在東。長津在西。而金史。以渾疃星顯僝蠢謂之三水。古今命名之異也。金史又云。烏延蒲豁奴。速頻路星顯河人也。星顯等三水之在速頻路。據此尤明。盛京志云。恤品路今在興京東南邊外。麗志云。甲山本虛川府。久爲女眞所據。府志稱女眞都統所居。且句麗之卒本。在今廢閭延郡隔江之地。見句麗紇升骨城條。 以此參究。自今甲山三水等府。西迆至廢閭延郡鴨綠江。此皆古卒本率賓恤品之地也。
金史所稱五國諸部及其他諸地。皆今關北地也。
金史世紀。昭祖耀武。至于靑嶺白山。入于蘓濱耶懶之地。所至克捷。○景祖 宋仁宗時。 稍役屬諸部。自白山耶悔統門耶懶土骨論之屬。以至五國之長。皆聽命。○五國蒲聶部節度使拔乙門叛。遼鷹路不通。景祖襲而擒之。獻於遼主。遼主以爲生女眞節度使。前後願附者衆。幹泯水蒲察部。句 泰神忒保水完顔部。句 統門水溫迪痕部。句 神隱水完顔部。皆相繼來附。○遼咸雍八年。五國沒撚部謝野勃堇叛。遼鷹路不通。景祖伐之。
鎭書謹按。白山。今白頭山也。統門卽徒門。今之豆滿江也。耶懶卽咸興以北也。蘓濱卽三水等地也。自咸興以北。至于白山蘇濱。明是金人初起之地。則其接界之五國諸部。豈可求於他地耶。
金史世紀。穆宗三年。宋哲宗十一年。 星顯水紇石烈部阿踈毛睹祿阻兵爲難。穆宗自將伐阿踈。節 會陶溫水徒籠古水紇石烈部阿閤版及石魯。阻五國鷹路。執殺遼捕鷹使者。遼詔穆宗討之。○命太祖攻破留可城。太祖因致穆宗。敎統門渾蠢耶悔星顯四路及嶺東諸部。自今勿稱部長。命勝管醜阿等。撫定乙離骨嶺注阿門水之西諸部居民。○主隈禿答兩水之民。阻絶鷹路。遼命穆宗。討阻絶鷹路者。穆宗聲言平鷹路。畋於土溫水而歸。○自景祖以來。兩世四主。志業相因。卒定離析。一切治以本部法令。東南至于乙離骨嶺曷懶耶懶土骨論。東北至于五國主隈禿答。金葢盛于此。
鎭書謹案。渾蠢。今渾春河也。在豆滿江北。 乙離骨嶺土骨論。並在女眞東南。當是定平府近地。而注阿門水。亦其相近者也。陶溫卽土溫。輿地勝覽。穩城府。女眞入居。號多溫平。陶溫似是多溫也。徒籠古水。卽吾籠所水之音轉。源出鍾城府鹿野峴。北流合豆滿江者也。星顯水今三水府也。此云星顯水紇石烈部。又云徒籠古水紇石烈部。阻五國鷹路。據此。紇石烈明在三水府近地。而與鍾城之徒籠古部。同阻鷹路。則所謂五國。知與三水鍾城不遠者也。
又按。高麗史。文宗二十七年。宋神宗六年。 東北面兵馬使奏。自大支櫛。至小支櫛褭應浦海邊長城。卽都連浦長城。 凡七百里。今諸蕃絡繹歸順。又東路兵馬使奏。東蕃豆龍骨伊餘波漢等部落。願爲州縣。此輩所處遼遠。在古未甞朝覲。今皆歸服。若定封疆設關防。則餘波漢嶺外。壤地無際。蕃戶連居。不可窮塞設險。本文止此。 東蕃。卽東女眞之稱也。豆龍骨伊。卽徒籠古也。徒門水。東人呼爲豆滿江。徒豆音近是矣。豆龍骨所居。雖曰遼遠。今乃請爲內服。而高麗擬設關防於其地。則其在豆滿江以南明矣。據此。徒籠古之爲今鍾城府。尤無疑。
金史高麗傳。康宗 宋徽宗時 遣石適歡。以星顯統門之兵。往至乙離骨嶺。益募兵。趨活涅水。徇地曷懶甸。收叛亡七城。○二年。高麗來攻。石適歡禦於闢登水大破之。追入闢登水。逐其殘衆踰境。於是高麗遣使來請和。遂使斜葛經正疆界。至乙離骨水曷懶甸活祢水。斜葛不能聽訟。康宗召斜葛還。而遣石適歡。立募府于三潺水。其甞陰與高麗往來者。卽正其罪。
鎭書謹案。高麗史。肅宗九年。金康宗二年。 東北面兵馬使林幹。與東女眞戰于定州 今定平府 城外敗績。女眞闌入定州宣德關。登水無算。此卽金史所云闢登之役。而闢登水之在定平府明矣。乙離骨水。卽乙離骨嶺之水也。活涅水。卽活祢水也。乙離活涅二水。俱在女眞高麗兩國之界。亦是定平近地也。三潺水。又其相近者也。
金史世紀。天會二年。宋徽宗二十四年。 曷懶路軍師言。往者歲捕海狗海東靑鴉骨於高麗之境。近以二舟往。彼乃以戰艦要而擊之。
鎭書謹案。此時高麗界。不踰定平。而金人捕鷹。每於其境。則定平以北濱海處。皆昔捕鷹之地也。今關北諸縣。皆産名鷹。
文獻通考。海東靑出於五國之東。契丹酷愛之。之然不能自致。女眞之東北。與五國鄰。每歲。契丹必遣使。人五國界。穴巢取之。及契丹主延禧嗣位。遣鷹坊子千輩。越長白山羅取。歲甚一歲。
大淸一統志。五國頭城。在寧古塔城東北。契丹國志。女眞東北。與五國爲鄰。五國之東。接大海。出名鷹。自海東來者。謂之海東靑。遼人酷愛。歲歲求之女眞。至五國戰闘而後得。不勝其擾。大金國志。天會八年。宋二帝。自韓州如五國城。城在金國所都之東北千里。明統志。自此而東。分爲五國故名。舊傳宋徽宗葬於此。扈從錄。自寧古塔東行六百里。曰姜突里噶尙。松花黑龍二江。合流於此。有大土城。或云五國城。
鎭書謹案。今我會寧等地。卽古五國城也。契丹國志。謂在女眞東北。後人但知金國所都爲上京會寧府。遂疑五國城在其東北千里或六百里。松花黑龍合流等處。而其實契丹求鷹時。金景祖穆宗。方在曷懶甸。與五國蒲聶沒撚等部苦戰。以開鷹路。曷懶甸。今咸興等地。則五國城。當在於曷懶東北。而不在於上京東北矣。上京今寧古塔。 今我會寧府。正在咸興之東北。而府之甫乙下鎭西。有大塚。自古稱爲皇帝塚。衆小塚累累圍繞。謂之侍臣塚。至今耕者。往往得崇寧錢。此豈非徽宗所塟乎。又輟耕錄。楊璉眞瑕發宋陵事。引周密癸辛雜識云。徽欽葬于五國城。數遣使祈請于金人。欲歸梓宮。凡六七年而後許。葬于會稽永祐陵。至此被掘。徽陵有朽木一段。欽陵有木燈檠一枚而已。二帝遺骸。浮沈沙漠。初未甞還也。右出讀禮通考。 然則徽欽二陵。俱在我會寧。而會寧之爲五國城。明矣。
又按。鷹産於咸興以北地故。遼之捕鷹者。每自遼東。踰白頭山而來。通考所云越長白山羅取。是也。且據金紀。當時阻鷹路者。明是三水鍾城等地之人也。五國若在寧古塔東北。則遼使不可踰白頭山也。三水等人。不可以阻路也。五國城之爲今會寧府。更何疑乎。
今我會寧以北。隷金胡里改路南界。
金史地理志。胡里改路。國初置萬戶。海陵例罷萬戶。仍改置節度使。承安三年。置節度副使。西至上京六百三十里。北至邊界合里賓忒千戶。一千五百里。
大淸一統志。廢胡里改路。在寧古塔城東。金置節度副使。元置軍民萬戶府。元志。距上都四千二百里。大都三千八百里。又有都溫路。距上都四千里。
鎭書謹案。胡里改路。在金上京東六百三十里。恤品路東北一千一百里。今寧古塔之東卽其地。而南界及於我會寧等地也。大金國志。天會八年。宋二帝自韓州如五國城。金史本紀。太宗天會八年七月。徙昬德公重昬侯于鶻里改路。煕宗卽位。四月丙寅。昬德公趙佶卒。以此參考。五國城在鶻里改路。而鶻里改。卽胡里改之音轉也。徽宗之徙卒葬。皆在於此。則我會寧之隷於胡里改明矣。葢會寧等處。初爲五國諸部地。而金滅諸部。隷於胡里改路者也。
高麗睿宗二年。攻取金之曷懶甸。卽合懶路。 築咸吉等九城。今咸興以北端吉等地也。
金史高麗傳。康宗四年。高麗睿宗三年。 高麗出兵曷懶甸。築九城。衆咸曰不可擧兵也。恐遼人將以罪我。太祖獨曰。若不擧兵。豈止失曷懶甸。諸部皆非吾有也。康宗以爲然。乃使斡賽將兵伐之。大破高麗兵。○列傳。斡魯代斡賽將其兵。亦封築九城。與高麗抗。出則戰。入則守。
高麗史地理志。睿宗二年。以平章事尹瓘爲元帥。知樞密院事吳延寵副之。率兵擊逐女眞。寘九城。立碑于公嶮鎭之先春嶺。以爲界。○按舊史。九城之地。久爲女眞所據。睿宗二年。命尹瓘吳延寵。擊逐女眞。分兵略地。東至火串嶺。北至弓漢嶺。西至蒙羅骨嶺。以爲我疆。於蒙羅骨嶺下。築英州。火串山下築䧺州。吳林金村築福州。弓漢村築吉州。三年二月。城咸州及公嶮鎭。三月。築宜州通泰平戎三城。於是女眞失其巢穴。連歲來侵。國家調兵多端。中外騷擾。四年。女眞請和。於是始自吉州。收入九城戰具于內地。遂撤崇寧通泰眞陽三鎭及英福二州。又撤咸䧺二州及宣化鎭城以還之。以此考之。咸英䧺福吉宜六州及公嶮通泰平戎三鎭。此九城之數也。其撤還女眞之時。則無宜州及公嶮平戎二鎭。而崇寧眞陽宣化三鎭乃加現。是可疑也。且宜州之地。在定州以南。不必擊逐女眞而後置也。豈非適至是。乃創築城堡故。倂稱爲九城。而不在撤去之數歟。○列傳。兵馬鈐轄林彦作英州廳壁記曰。尹瓘率精兵三十萬。討女眞斬首六千餘級。載其弓矢。來降於陣前者。五千餘口。其地方三百里。東至于大海。西北介于蓋馬山。南接于長定二州。謹案今合爲定平府。 本高句驪之所有也。其古碑遺跡。尙有存焉。於是新置六城。一曰鎭東軍咸州大都督府。二曰安嶺軍英州防禦使。三曰寧海軍䧺州防禦使。四曰吉州防禦使。五曰福州防禦使。六曰公嶮鎭防禦使。謹案地理志。林彦作記。在於三年二月故。三月所築宜州等三城。未及稱之。
九城初設數。咸州 今咸興府 英州 志云。倂於吉州。古基尙存。 䧺州 志云倂於吉州。古基尙存。 吉州 今仍之。志云吉在北䧺在南。 福州 今端川府 公嶮鎭 志云。一云在孔州。一云在匡州。一云在先春嶺東南白頭山東北。一云在蘓下江邊。孔匡二州。並今之慶源府。 宜州 今德源郡 通泰鎭 柳馨遠曰。當在吉州南。 平戎鎭。
九城撤還數。咸州英州䧺州吉州福州通泰鎭崇寧鎭眞陽鎭宣化鎭。
鎭書謹案。麗史。九城初設之數與撤還之數。名號不同。且公嶮鎭。初不的指。今未可強解。惟林彦記。可以取信。而旣云諸城地方。不過三百里。則公嶮鎭亦當在咸興以北三百里之內也。且麗史吳延寵傳。女眞復圍吉州。城幾陷。王復遣延寵救之。行至公險鎭。賊遮路掩擊。我師大敗。散入諸城。此尤明公嶮鎭之在吉州以南也。謂在今慶源等地者甚誤。
又按。林彦記。一曰咸州。二曰英州。且地志。西至蒙羅骨嶺下築英州。睿宗世家。三年八月。兵馬判官拓俊京。與女眞戰于咸英二州破之。以諸說參考。英州當是咸州接境。而諸城中最西者也。麗志。謂英州後幷於吉州。誤矣。
又接。九城北界。未可詳。然麗史恭愍王六年。都堂呈元行省書曰。雙城三撒。今北靑府 元是本國地面。北至伊板爲界。詳見下 伊板卽吉州之磨天嶺也。前此北界曾未至磨天。則其所籍口者。意卽九城舊界也。
盛京通志。金史斡魯於合懶甸之地。築九城。與高麗對。出戰入守。今鳳凰城邊外。有九連城。遺址尙存。○大淸一統志亦從是說。
鎭書謹案。九連城。在今鴨水西。與合懶甸九城。東西隔絶。盛京志說甚誤。
金史所云駝吉亞魯等城。亦是九城之稱也。
金史列傳。高麗築九城于曷懶甸。斡賽禦之。阿徒罕爲前鋒。高麗有屯于海島者。阿徒罕夜渡。焚其營柵戰艦。大破之。遂下駝吉城。旣而入城皆下。○朮魯從鄭王斡賽。征高麗于曷懶。取亞魯城。○鶻謀琶從征高麗。破曷懶甸及下陀魯城有功。○高麗築九城於曷懶甸。渾坦攻之。遇敵於木里甸。力戰久之。敵遂潰。渾坦與石適勸。合兵於徒門水。阿里首敗敵兵。取其二城。高麗入寇。以我兵屯守要害。不得進乃還。阿里追及曷懶水上。殺略幾盡。
鎭書謹案。駝吉城。據金史。明是九城之一也。吉州古稱吉城。是爲駝吉城也。陀魯卽亞魯之音轉。亦是九城名目。而以其國語之不同。彼此稱號之異也。木里甸未詳。而據麗史。九城之役。每與女眞戰于咸吉之間。則木里甸。知在咸吉近地也。
後數年。還九城之地于金人。復以都連浦長城爲界。
金史高麗傳。七月高麗請和。罷九城之戍。復所侵故地。遂與之和。
高麗史世家。睿宗四年六月。女眞使褭弗史顯等來朝曰。昔我太師盈哥甞言。我祖宗出自大邦。至于子孫。義合歸附。今太師烏雅束。亦以大邦爲父母之國。朝貢不絶。不謂去年。大擧而入。寘九城。使流亡靡所止歸故。太師使我來請舊地。今若許還九城。使安生業。則我等告天爲誓。至于子孫。不敢以瓦礫投於境上。仍詔元帥等。諭還九城。七月辛酉。女眞酋長設壇咸州門外。告天誓曰。而今已後。至于九父之世。無有惡心。連歲朝貢。有渝此盟。蕃土滅亡。盟訖而退。始自吉州。以次八九城戰具資糧于內地。壬戌。撤崇寧通泰二鎭。甲子。撤英福二州眞陽城。乙丑。撤咸䧺二州宣化鎭城。
鎭書謹案。自吉州始撤。次至咸䧺等州者。可見自遠而始。以次入于內地也。九城地方。北不過吉州。尤驗矣。
金史世紀。天輔三年 高麗睿宗十四年 十一月。曷懶甸長城。高麗增築三尺。○高麗傳。邊吏發兵。止之▣弗從。報曰。修補舊城。
鎭書謹案。長城。卽柳韶所築長城也。旣還九城。復以都連浦爲界故。增築舊城也。且據金史。大定十五年。高麗奏。以義州 今義州 路梗不通。欲由定州 今定平府 入曷懶路。詔許之。據此。定平之此。爲金曷懶路尤明。
其後金亡元興。都連浦以北地。並爲元有。元寘合蘭府於咸興。
元史地理志。金末。其將蒲鮮萬奴據遼東。元初癸巳歲。高麗高宗二十年。 出師伐之。生金萬奴。師至開元恤品。東土悉平。○合蘭府水達達等路。土地廣闊。人民散居。元初設軍民萬戶府五。鎭撫北邊。一曰桃溫。距上都四千里。一曰胡里改。距上都四千二百里。大都三千八百里。有胡里改江。幷混同江。又有合蘭河入于海。 一百斡朶憐。一曰脫斡憐。一曰孛苦江。各有司存。分領混同江南北之地。
鎭書謹案。恤品。今我三甲等地也。合蘭府。麗史地志。咸州元稱哈蘭府。輿地勝覽云。哈蘭府古治。在今咸興府南五里。哈蘭卽合蘭。而合蘭者。金之合懶也。桃溫卽金史所稱陶溫也。胡里改亦金之胡里改路也。胡里改江。今烏蘓哩江也。在豆滿江北 水達達路。今寧古塔等處也。元初自開元。今開原縣 歷今興京地方。東渡鴨水。盡有恤品故地。因南迆置合蘭府於咸興。又設桃溫胡里改等萬戶府。今我六鎭等地是也。
後數十餘年。永興府以北。又沒於元。元置雙城緫管府於永興。
名山藏王享記。元憲宗八年。高麗高宗四十五年。 遣車羅大責高麗。車羅大焚燒廬舍。殺掠其人民。高麗人暉等。遂以和州迆北。降元。謹案。暉卽趙暉也。
高麗史世家。高宗四十五年。蒙古散吉大王普只官人等。領兵來屯古和州之地。龍津人趙暉。定州人卓靑。以和州迆北降于蒙古。蒙古寘雙城總管府于和州。以暉爲總管。靑爲千戶。
元史世紀。至元二十九年。高麗女眞界首雙城饑。勅高麗王於海運內。以粟賑之。
鎭書謹案。和州。今永興府也。永興之西。卽江界府等地。而是時猶爲西女眞所據故。雙城稱爲高麗女眞界首也。
又按。大淸一統志。雙城廢縣。在鐵嶺縣西。遼史地志。雙州保安軍。謳里僧王南征。以俘鎭定二州之民寘州治雙城縣。全遼志云。雙城縣在鐵嶺城西六十里。本文止此。 葢雙城。本遼時之遼東縣名。而元以冒稱於和州者也。
元末。高麗攻破雙城。收復都連浦以南地。又取都連以北地。寘咸吉等州。於是合懶舊地。始入版籍。
高麗史地理志。恭愍王五年。元順帝二十四年。 遣樞密副使柳仁雨。攻破雙城。於是按地圖。收復和登定長預高文宜州及宣德元興寧仁耀德靜邊等鎭。前此朔方道。以都連浦爲界。築長城。沒于元。凡九十九年。至是始復之。○咸州。元稱哈蘭府。恭愍王五年收復。爲知咸州事。吉州。元稱海洋。恭愍王五年收復。福州元稱禿魯几。恭愍王時收復。今端川。 北靑州元稱三散。恭愍王五年收復。○世家。恭愍王六年。都堂呈行省書曰。照得雙城三撒等處。元是本國地面。北至伊板爲界。在先因失關防。致被女眞人衆。就得地土人民。擅自稱爲採金戶計。及將和州。更名雙城。設置緫管府千戶。所近有本國亡命之徒。越境閃藏。若於伊板隘口。設寘關防。以謹出入。庶無後患。
鎭書謹案。柳仁雨所復八州五鎭。並在都連浦以南。卽麗朝本界也。浦以北。卽尹瓘所拓九城地。而旋還金人。自後沒於金元。二百四十餘年。至是收復。以伊板爲界。伊板者。今之磨天嶺。此卽九城舊界也。
大明洪武中。議割安邊之鐵嶺以北地。立鐵嶺衛。高麗陳乞得寢。
明史朝鮮傳。洪武二十年 高麗辛禑十三年。 七月。高麗奏。遼東文高和定州。皆其國舊壤。乞就鐵嶺屯守。禮部言。數州皆入元版圖。屬於遼。高麗地以鴨綠江爲界。今鐵嶺已寘衛。不宜復有陳請。十二月。命戶部咨高麗王。鐵嶺北東西之地。舊屬開元者。遼東統之。鐵嶺南舊屬高麗者。本國統之。各正疆界。毋侵越。二十一年四月。禑表言。鐵嶺之地。實其世守。乞仍舊便。帝曰。高麗舊以鴨綠江爲界。今餙辭鐵嶺。詐僞昭然。其以朕言諭之。毋生釁端。
高麗史列傳。辛禑十四年。偰長壽還自京師。口宣聖旨曰。鐵嶺以北。元屬元朝。並令歸之遼東。節 明欲建鐵嶺衛。禑遣密直提學朴宜中表請曰。鐵嶺迆北。歷文高和定咸等諸州。以至公嶮鎭。自來係是本國之地。至元初。蒙古散吉大王普只官人等。收付女眞之時。本國定州叛民卓靑。龍津縣人趙暉。以和州迆北之地迎降。聞知金朝遼東咸州路附近瀋州。有雙城縣。因本國咸州近處和州。有舊築小城二坐。矇矓奏請。遂將和州。冒稱雙城。至正十六年。申達元朝。以和州迆北。還屬本國。今欽見奉鐵嶺迆北迆東迆西。元屬開元。所管軍民。仍屬遼東欽此。鐵嶺之山。距王京僅三百里。公嶮之鎭限邊界。非一二年。伏望使數州之地。仍爲下國之疆。西北面都安撫使崔元沚。報遼東都司。遣指揮二人。以兵千餘。來至江界。將立鐵嶺衛。帝豫設本衛。鎭撫等官。皆至遼東。自遼東至鐵嶺。寘七十站。站寘百戶。
鎭書謹案。文州。今文川郡也。高州今高原郡也。和定咸三州見上。 鐵嶺在安邊府南八十三里。明初。建鐵嶺衛於鴨江西之鳳凰城近。擬割今平安道江界廢四郡迆東。至鐵嶺以北地以爲界故。自遼東至鐵嶺。列置七十站。而遼東指揮。先至江界府也。葢遼東。有咸州雙城鐵嶺之號。我咸鏡南道。亦有咸州雙城鐵嶺之號。考輿地者。易致滋惑。高麗之奏辨得寢者以此。
盛京通志。奉天府鐵嶺縣。金元咸平府。明改鐵嶺衛。古有鐵嶺城。在衛治東南五百里。接高麗界。洪武二十一年。置衛於彼。後二十六年徙此。謹案今鐵嶺縣也。 仍名鐵嶺衛。
鎭書謹案。自奉天府東南計五百里。當至鳳凰城近處也。洪武二十一年。置衛於此。擬割高麗北界以隷。後竟不行。至二十六年。徙治於奪天府之北。今鐵嶺縣是也。
高麗末。始收今甲山三水等地。此卽恤品故地也。今磨天嶺以北六鎭等處。則猶爲女眞所據。
高麗史地理志。甲州本虛川府。久爲女眞所據。屢經兵火。無人居。恭讓王三年。始稱甲州。今爲甲山三水二府。 ○世家。恭讓王四年三月庚子。斡都里兀良哈諸酋長。皆授萬戶千戶百戶等職有差。又牓諭諸部落曰。洪武二十四年七月。差李必等賷牓文。前去女眞地面豆萬等處招諭。當年斡都里兀良哈萬戶千戶頭目等。卽便歸附。已行賞賜名分。俱各復業。所有速頻失的覓蒙骨改陽實憐入憐安頓押蘭喜剌兀兀里因古里罕魯別兀的改地面。原係本國公險鎭境內。旣已曾經招諭。至今未見歸附於理不順。爲此再差李必等。賷牓文前去招諭。牓文到日。各各來歸。賞賜名分。一如先附斡都里兀良哈例。
鎭書謹按。斡都里亦作斡朶里。文獻備考。會寧府本女眞斡朶里部落。孟哥帖木兒所據者是爾。豆萬者徒門水也。速頻者恤品也。押蘭者合懶也。又作押懶。 兀的改者胡里改也。此皆見稱於金史者。而今端吉以北六鎭等地是也。是時六鎭。皆爲女眞所據。合懶恤品之地。則高麗雖已收復。其舊時部落。猶有未附者故。此亦並稱於牓文也。
又按。我鐵嶺以北。謂之北關。古之沃沮地也。漢武初。寘玄菟郡於此。後徙寘於句驪縣。今興京 魏玄菟太守王頎。追句麗王。過南沃沮千餘里。至肅愼氏南界。然則漢魏之通我北關。皆自遼東。歷興京地方。東渡鴨江。踰黃艸嶺來往也。自是之後。中國未甞窺其地。及渤海大氏之亡。咸興以北及平安道北界。並爲女眞所據。有東西女眞之稱。東女眞起於曷懶甸。卽咸興 遂並西女眞。在平安道北界。 金史所云收國元年。盡降保州 卽義州 諸部女眞者是也。於是西渡鴨江。跨有遼瀋。胡元好大。自開元 今開原縣 恤品。今三水府等地 東跨鴨江。寘合蘭府於咸興。至明初。議建鐵嶺衛。亦自遼東列站。路由江界。葢豆滿江北寧古塔等處。自古爲挹婁靺鞨女眞之區。中國經略。未曾及此故。其通北關之路。必由渡鴨之便捷。今之留意於北關關防者。不可不知也。然高麗北界。終不過磨天嶺。而我國家龍興北方。撻伐野人。布置六鎭。始以豆滿江爲界。當是時。大明初定天下。所憂者韃靼。而不甚致意於東北。雖寘建州毛憐等衛。而特羈縻而已。亦甞一索雙城。而後竟不問。以此之故。我國家得以繕甲北伐。日闢百里。建置城邑。此亦天下之大機會也。六鎭之地。斗入東北。視白頭山在西南方。西北距寧古塔。不過六百里。則過曷懶甸而胡里改也。過沃沮而挹婁也。封域之廣。迥出前代。猗歟盛哉。
[西北界沿革。]
西北界者。今平安道也。漢寘樂浪郡。後入於高句麗。唐滅句麗。置安東都護府。旋沒於渤海大氏。屬鴨綠府。大氏之衰。弓裔始取浿西十三鎭。及高麗興。因弓裔舊疆。以安北府爲界。淸川江以北。爲女眞所據。後入高麗。
高麗之初。西北。以今安州淸川江爲界。江以外。女眞地也。
文獻備考。今平安咸鏡二道。自高句麗亡後。爲渤海女眞之據。弓裔所得。只浿西十二鎭而已。徐煕曰。自契丹東京。至我安北府。皆爲生女眞所據。光宗取之。築嘉州松城。煕乃成宗時人。此其耳目所及者爾。謹案安北府。今安州。
自定宗時。稍取淸川江以北地。光宗時。西北至雲山泰川等地。
高麗史兵志。定宗二年。城德昌鎭。今博川 城德成鎭。 今寧邊 光宗元年。城威化鎭。今雲山 三年城安朔鎭。今倂寧邊 二十年城泰州。今泰川 二十四年城嘉州。今嘉山。 ○列傳。成宗元年。崔承老上書曰。我國家統三以來。四十七年。士卒不得安枕。粮餉未免糜費者。以西北鄰於戎狄。而防戍之所多也。夫以馬歇灘爲界。太祖之志也。鴨江邊石城爲界。大朝之所定也。乞將此兩處。斷於宸衷。擇要害以定疆埸。選土人能射御者。充其防戍。則京軍免更戍之勞。芻粟省飛輓之費矣。
宋史高麗傳。雍煕三年。高麗成宗二年。 出師北伐。以其國接契丹境。遣監察御史韓國華。賷詔諭之。先是。契丹伐女眞國。路出高麗之界。女眞意高麗誘導。因來愬于朝。治 謹案高麗成宗諱。 聞之憂懼。及國華至。言於國華曰。前歲冬末。女眞來告。契丹興兵。入其封境。恐當路未知。宜豫爲之備。又遣人告曰。契丹兵騎。已濟梅河。俄而契丹雲集。大擊女眞。殺獲甚衆。餘族敗遁。而契丹追及于當道西北德昌 謹案今博川 德成 謹案今寧邊 威化 謹案今雲山 光化 謹案今泰川 之境。俘擒而去。時有契丹一騎。至德來河北。大呼關城戍卒而告曰。女眞冦我邊鄙。今復仇整兵回矣。女眞又勸當道。控梅河津。要築治城壘。以爲防遏之備。亦以爲然。方行視興功。不意女眞潛師奄至。殺略吏民。以其歲貢中朝。不敢發兵報㤪。况契丹介居遼海之外。復有大梅小梅二河之阻。從何徑路。以通往復。
鎭書謹按。崔承老所云馬歇灘。當是淸川江津要處。卽麗太祖所定界也。其云以鴨江邊爲界。大朝 指景宗也。光宗之子。成宗之兄。 之所定者。謂景宗曾有是志。而未及劃定也。葢光宗所拓之地。北不過雲山泰川等地故。成宗初年。雲泰之間。猶稱爲高麗西北邊也。德來河。據宋史。當在雲泰之北。今大寧江上流。意卽是也。梅河。似指鴨綠江也。
成宗時。逐女眞。置龜郭等六州。西以鴨江爲界。而今雲山之北。猶爲女眞所據。
遼史高麗傳。統和十年。高麗成宗十一年。 以東京留守蕭恒德伐高麗。十一年。王治遣朴良柔奉表請罪。詔取女眞國鴨綠江東數百里地賜之。
宋史高麗傳。契丹旣襲高麗。築六城。曰興州。謹案卽興化鎭今倂義州 曰鐵州。曰通州。謹案今宣川 曰龍州。曰龜州。曰郭州于境上。
高麗史列傳。成宗十二年。契丹來侵。成宗自將禦之。幸西京。契丹東京留守蕭遜寧。攻破蓬山郡。又移書宜速降。成宗會羣臣議之。或言割西京以北與之。自黃州至岊嶺。畫爲封疆。徐煕曰。自契丹東京。至我安北府數百里之地。舊皆爲生女眞所據。光宗取之築嘉州松城等城。今契丹之來。其志不過取此二城。其聲言取高句麗舊地者。實恐我也。今見其兵勢大盛。遽割西京以北與之。非計也。且三角山以北。亦高句麗舊地。彼以溪壑之欲。責之無厭。可盡與乎。况割之與敵。萬世之耻也。成宗問誰能往契丹營。以口舌却兵乎。煕請行。如遜寧營。遜寧曰。汝國興新羅地。高句麗之地。我所有也。而汝侵蝕之。又與我連壤。而越海事宋故。有今日之師。若割地以獻而修朝聘。可無事。煕曰。我國卽高句麗之舊也。故號高麗都平壤。若論地界。上國之東京。皆在我境。何得謂之侵蝕乎。且鴨綠江內外。亦我境內。今女眞盜據其間。道途梗澀。甚於涉海。朝聘之不通。女眞之故也。若逐女眞通道路。則敢不修聘。辭氣慷慨。遜寧知不可強。遂和罷兵。成宗大喜。卽遣朴良柔入覲。煕曰。臣與遜寧約。盪平女眞。收復舊地然後。朝覲可通。今纔收江內。請俟得江外。修聘未晩。成宗遂遣之。十三年。煕率兵逐女眞。城長興歸化二鎭。郭龜二州。明年又城安義興化二鎭。又明年城宣孟二州。○世家。成宗十三年。蕭遜寧致書曰。近於鴨江西里。創築五城。伏請大王。預先指揮。從安北府至鴨江東。計二百八十里。酌量地里遠近。幷令築城。交通車馬。長開貢覲之途。
鎭書謹案。宋史所云興鐵通龍龜郭。此卽新築六城也。故遼史及麗史顯宗世家。亦稱以六城。而今徐煕所築乃八城。名號又不同。未可詳也。葢徐煕所拓。卽博川江以西。至義州等地也。雲山以北。則猶爲女眞所據爾。
至顯宗初年。遼人復爭六州之地。
宋史高麗傳。誦卒。弟詢 謹案高麗顯宗 權知國事。契丹遣使來求六城。詢不許。大中祥符三年。高麗顯宗元年 大擧來伐。詢與女眞。設奇邀擊。殺契丹殆盡。詢又于鴨淥江東築城。與來遠城相望。跨江爲橋。潛兵以固新城。
遼史高麗傳。開泰元年。高麗顯宗三年。 詔詢親朝。八月遣田拱之奉表。稱病不能朝。詔復取六州之地。○列傳。初高麗內屬。取女眞六部地以賜。至開泰中。貢獻不時至。詔耶律資忠往問故。高麗無歸地意。
鎭書謹案。麗史。顯宗三年。契丹詔王親朝。王遣使稱病不能。契丹主怒。詔取興化通州龍州鐵州郭州龜州等六城。四年三月。契丹使耶律行平來責六城。七月復來索六城。五年九月。遣將軍李松茂。又索六城。六年四月。遣耶律行平。又索六城。九月李松茂又來索六城。此外侵伐六城。無歲無之。
是時。遼置保州及來遠縣於鴨江東。今之義州是也。
遼史高麗傳。開泰三年 高麗顯宗五年。 五月。詔國舅詳穩蕭敵烈。東京留守耶律團石等。造浮梁于鴨淥江。城保宣義定遠等州。
鎭書謹案。麗史。顯宗六年春。契丹作橋於鴨綠江。夾橋築東西城。遣兵攻之不克。又云。是歲契丹取宣化定遠二鎭城之。此卽遼史所云開泰三年事。而宣化鎭。疑卽宣義也。
遼史地理志。定州保寧軍。高麗寘州。故縣一。曰定東。聖宗統和十三年。升軍。遷遼西民實之。隷東京留守司。統縣一。定東縣。高麗所寘。遼徙遼西民居之。戶八百。○保州宣義軍節度。高麗置州。故縣一。曰來遠。聖宗以高麗王詢擅立。問罪不服。統和末。高麗降。開泰三年。取其保定二州。統和末高麗降於此寘權場。隷東京統軍司。統州軍二縣一。來遠縣。初徙遼西諸縣民實之。又徙奚漢兵七百防戍焉。戶一千。宣州定遠軍刺史。開泰三年。徙漢戶寘隷保州。懷化軍下刺史。開泰三年。寘隷保州。
鎭書謹案。保州。今之義州也。高麗自成宗時。已有今龍川鐵山等地。德宗時。築長城自鴨江入海處。靖宗時。又寘今昌城府。則遼之寘保州於高麗境上者。必是鴨江東岸一縣之地而已然則其所領二州軍及定州定東縣不可並容於江東。而當在江之西北也。定州謂本高麗所寘者誤矣。來遠縣。麗史樂志云。來遠城在靜州水中之地。高句麗時。狄人來投。寘於此。名其城曰來遠。歌以紀之。靜州今之義州。則鴨江中黔同威化等島。意古來遠縣也。
又按。遼時。來遠之稱有二。遼志云。來遠城本熟女眞地。統和中伐高麗。以燕軍驍猛。寘兩指揮。建城防戍。兵事屬東京統軍司。此則在鴨江西。而屬於東京統軍司者也。非保州所屬來遠縣也。
盛京通志。保州高麗寘。領來遠一縣。遼爲保州宣義軍。○來遠縣。本高麗故縣。遼因之。○古保州。其地在鴨綠江西北。
大淸一統志。保州城在平壤西北百餘里。遼志。開泰三年。以高麗王詢擅立。問罪不服。取其保定二州。仍寘保州治來遠縣。亦曰宣義軍。金初。以高麗臣附。割保州與之。卽今安州也。其近者。有懷化軍。亦遼開泰三年寘。隷保州。金初。亦入於高麗。○定州城在平壤西北三百餘里。高麗寘。治定東縣。遼取之。仍曰定州。亦曰保寧軍。後入於高麗。今仍爲定州。西南與義州接界。
鎭書謹案。以保州爲今安州。以定州爲今定州者。並誤甚。今之定州。卽我朝所寘。何涉於遼之定州耶。且大淸統志。以今宣川爲保州所領宣義軍。見本朝疆域條。 亦誤。
至德宗二年。築長城。西限保州之界。北禦女眞。
高麗史兵志。德宗二年。命平章事柳韶。創寘北境關防。起自西海濱古國內城界。鴨綠江入海處。東跨威遠興化靜州寧海寧德寧朔 六城今並入義州 雲州安水淸塞 今煕川郡 平虜寧遠 二鎭今合爲寧遠縣 定戒孟州朔州等十三城。抵耀德靜邊和州等三城。三城今合爲永興府 東傳于海。延袤千里。以石爲城。高厚各二十五尺。
鎭書謹案。遼之保州。旣在江內。且煕川雲山以北。爲女眞所據。故長城起於鴨江入海處。東跨朔州煕川雲山之北。以抵於永興之東也。
文宗時。請保州地于遼。遼人不許。
遼史高麗傳。大康四年。高麗文宗三十二年。 王徽乞賜鴨綠江以東地。不許。
鎭書謹案。麗史。文宗九年。契丹設弓口門闌于抱州 卽保州 城東。移牒請治鴨綠以東地。遣柳洪。同遼使審定地分。未定而還。尋遣使請毁保州橋。遼寢其事。遼史所云乞賜鴨江東地者。意卽指此。而年條相差。未可詳也。
遼滅金興。高麗取保州。改稱義州。始以鴨綠江爲界。
金史高麗傳。收國元年 高麗睿宗十年。 九月。太祖命加右撒喝攻保州。保州近高麗。遼侵高麗寘保州。至是命撒喝取之。久不下。十一月。攻開州取之。盡降保州諸部女眞。二年。高麗遣使。且曰。保州本吾舊地。願以見還。太祖謂使者曰。爾其自取之。及撒喝等攻保州。遼守將遯去。而高麗兵已在城中。旣而高麗國王。使蒲馬請保州。詔諭。蒲馬止是口陳。俟有表請。卽當別議。天會四年。高麗仁宗四年。 上使高伯淑烏至忠使高麗。凡遣使往來。當盡循遼舊。勅伯淑曰。若一一聽從。卽以保州地賜之。伯淑至。高麗王楷附表謝。一依事遼舊制。
高麗史地理志。初契丹寘城于鴨淥江東岸。稱保州。文宗朝。契丹又設弓口問。稱抱州。睿宗十二年。遼刺史常孝孫等。避金兵汎海而遁。移文于我寧德城。以來遠城及抱州歸我。我兵入其城。收拾兵仗錢穀。王悅改爲義州。於是復以鴨淥江爲界。仁宗四年。金亦以州歸之。
高麗圖經。自遼以東。卽舊屬契丹。今虜衆已亡。大金以其地不毛。不復城守。徙爲往來之道而已。鴨淥之西。又有白浪黃嵓二水。合流爲遼水。其水淺狹。以此知前古未甞恃此水以爲固。此高麗所以退保鴨淥之東歟。
鴨江之西。卽金之曷蘓館。或稱婆速路。金與高麗接界處也。
遼史世紀。開泰二年。女眞人知高麗事者曰。若大軍行由曷蘓館女眞北。直渡鴨淥江。並大河而上。至郭州。謹案今郭山郡 與大路會。高麗可取而有。
金史世紀。天會二年。命南路軍帥闍母。以甲士千人。益合蘓館孛堇完顔阿實賚。以備高麗。○高麗傳。天會八年。高麗十人捕魚。大風飄其船抵海岸。曷蘓館人獲之。詔還其國。○大定十一年。王晧 謹案高麗毅宗。 以讓國來奏告。詔婆速路勿受。
鎭書謹案。曷蘇館。以遼金史參考。在鴨江入海口之西。今鴨淥津以西。鳳凰城以東。卽其地也。合蘇館卽曷蘇館。金史。曷懶路亦稱合懶路。曷合互用明矣。且據大淸統志。漢安平縣。在句麗爲泊灼城。在金曰婆速路。在元曰婆娑府。其地在鳳凰城東。詳見句麗泊灼城條 正合曷蘓館地分。則婆速明是曷蘓之音轉。而婆娑亦婆速之轉也。
高麗明宗時。西京留守趙位寵作亂。以瑞興之慈悲嶺以西地叛。附于金。金人不納。
金史世紀。大定十五年 高麗明宗五年。 九月。高麗西京留守趙位寵叛其君。請以慈悲嶺以西。鴨淥江以東四十餘城內附。不納。閏月。高麗王奏告趙位寵伏誅。謹案慈悲嶺。亦名岊嶺。在瑞興府西六十里。
高宗時。西北諸城。沒于元。高麗尋復攻取。
元史高麗傳。太宗三年。高麗高宗十八年。 命撒禮塔征其國。國人洪福源迎降。得福源所率編民千五百戶。旁近州郡。亦有來歸者。撒禮塔卽與福源。攻未附州郡。又使阿兒禿。與福源抵王京。招其主王㬚。㬚請和。許之。寘京府縣達魯花赤七十二人。監之。遂班師。五年。㬚復遣兵。陷已附西京等處降民。劫洪福源家。六年。福源得請領其降民。遷居東京。○地理志。元初平遼東。高麗國麟州神騎都領洪福源率西京都護龜州四十餘城來降。各立鎭守司。設官以撫其民。後高麗復叛。洪福源引衆來歸。授高麗軍民萬戶。徙降民散居遼陽瀋州。僑治遼陽故城。中統二年。改爲安撫高麗軍民緫管府。及高麗擧國來附。四年。又以質子淳爲安撫高麗軍民緫管。分領二千餘戶。理瀋州。元貞二年。倂兩司。仍治遼陽故城。
鎭書謹案。麗史。高宗二十年五月。西京人洪福源等。擧城叛。北界兵馬使閔曦討之。福源逃入蒙古。徙餘民於海島。西京遂爲邱墟。其後西北諸城。歲被蒙兵。今元史所記。與麗史年條少差。未可考也。
元宗時。慈悲嶺西北。沒于元。元寘東寧府於平壤。
元史高麗傳。至元六年。高麗元宗十年。 高麗都統領崔坦等。以林衍作亂。挈西京五十餘城入附。七年。詔西京內屬。改東寧府。畫慈悲嶺爲界。以忙奇都爲安撫使。佩虎符率兵。戍其西境。
高麗史地理志。元宗十年。西北面兵馬使營記官崔坦。三和校尉李延齡等作亂。以西京及諸城叛。附于蒙古。蒙古以西京爲東寧府。寘官吏。畫慈悲嶺爲界。
其後。元升東寧路緫管府。因割義州等四城。移隷婆娑府。婆娑府卽金之婆速路也。
元史地理志。東寧路本高句麗平壤城。亦曰長安城。漢滅朝鮮。寘樂浪玄菟郡。此樂浪地也。晉義煕後。其王高璉。始居平壤城。唐征高麗。拔平壤。其國東徙。在鴨綠水之東南千餘里。非平壤之舊。至王建。以平壤爲西京。元至元六年。李延齡崔坦玄元烈等。以府州縣鎭六十城來歸。八年。改西京爲東寧府。十三年。升東寧路緫管府。設錄事司。割靜州義州獜州威遠鎭。隷婆娑府。本路領司一。餘城堙廢不設司存。今姑存舊名。○錄事司。領土山縣中和縣鐵化鎭。○都護府。自唐之季。地入高麗。寘府州縣鎭六十餘城。此爲都護府。雖因唐舊名。而無都護府之實。至元六年。李延齡等。以其地來歸。後。城治廢毁。僅存其名。屬東寧路。○定遠府郭州撫州黃州 領安岳三和龍岡咸從江西五縣。長命一鎭。 慈州嘉州順州殷州宿州德州 領江東永淸通海順化四縣。寧遠柔遠安戎三鎭。 昌州鐵州 領定戎一鎭。 泰州 价州朔州宣州 領寧朔蓆島二鎭。 成州 領樹德一鎭。 煕州 孟州 領三登一縣。椒島椵島寧得三鎭。 延州 領陽巖一鎭。 雲州。
鎭書謹案。東寧路及婆娑府所領州縣島鎭。合爲五十城。其云六十城來降者。誤矣。據麗史。是時西海道之遂安谷山殷栗。亦投降於元。屬東寧府。忠烈王十二年。元歸谷州等三城。此則元史未及稱之者也。東寧路州縣沿革。詳見城邑條。
又案。續文獻通考東寧府條。嘉州遼爲嘉平軍。順州本遼隊縣地。鐵州本安市縣。泰州本契丹牧地。皆以遼東州縣牽合之。甚誤。
大淸一統志。元東寧路。本高句麗平壤城。至元十三年。寘東寧路。其地在今朝鮮界。
高麗忠烈王十六年。元罷東寧路。悉還西北諸城。復以鴨江爲界。西北城之沒于元。凡二十一年也。
高麗史世家。忠烈王十六年。元至元二十七年。 帝罷東寧路。悉歸西北諸城。
鎭書謹案。麗史。恭愍王將擊東寧府。以絶北元。十九年。我太祖自東北面。行渡鴨淥江時。東寧府同知李吾魯帖木兒。保弓羅山城。太祖至也頓村。吾魯帖木兒來降。諸城皆降。東至皇城。北至東寧府。西至海南至鴨淥。爲之一空。據此。元還高麗諸城之後。徙寘東寧府於鴨江之北。可驗也。
恭愍王時。逐煕川以北女眞。始收今江界碧潼等地。
高麗史地理志。江界府。恭愍王十年。稱禿魯江萬戶。十八年。改今名。○林土碧團。本皆女眞所居。恭愍王六年。遣泥城萬戶金進等擊走之。改林土爲陰潼。以碧團隷焉。抄南界人戶以實之。
鎭書謹案。陰潼。今碧潼郡也。麗末。雖置江界碧潼。而鴨綠以內。猶未盡拓。至本朝。始以鴨江爲界。列置閭延茂昌虞芮慈城等四郡。後以邊塞多生梗。遂空其地。
728x90
반응형
'★역사의 향기를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공민왕이 회복한 쌍성총관부 진짜위치!!! (4) | 2024.07.31 |
---|---|
역사 뒤집어 보기, 역썰 22회ㅣ고려 국경 조작사3 철령위위치, 이성계 위화도회군 왜 했나??? (5) | 2024.07.30 |
高麗史節要 卷之十八 / 元宗順孝大王[一][戊辰九年 宋 咸淳四年,蒙古 至元五年] (0) | 2024.07.28 |
서희 강동6주, 윤관의 동북9성의 진짜 위치는? 조선총독부 고려 국경선을100년간 가르친 한국사학계 물러날 길이 없다. (44) | 2024.07.28 |
●몽고의 여걸, 조국대장공주 알카이 베키(趙國大長公主 阿剌海別吉) (40) | 2024.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