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陽人문화유적❀

현감공파 영천시 청도군수공파종회

by 晛溪亭 斗井軒 陽溪 2023. 12. 23.
반응형

子五 嶔字子靜號晦谷世宗庚申生生而聰慧世祖朝文科登第丁丑別座乙酉司饔別坐成宗甲辰吏曹禮賓寺正(正三品, 繕工監副正?)歷典州郡至靑松府使(淸道郡守?)化民成俗癸丑終于任所及其返葬士女執紼痛悼追記勳業昭載朝鮮王朝實錄配高靈申氏父仲舟郡守外祖判書延日鄭淵◎墓金浦黔丹谷右完井里左考墓下合窆其後政府國土開發事業起因移葬乙亥一九九五年乾位同兆封舊碑碣移設

  금자자정호회곡세종경신생생이총혜세조조문과등제정축별좌을유사옹별좌성종갑신리조례빈사정(정삼품,선공감부정?)력전주군지청송부사(청도군수?)화민성속계축종우임소급기반장사녀집불통도추기훈업소재조선왕조실녹배고령신씨부중주군수외조판서연일정연◎묘금포검단곡우완정리좌고묘하합폄기후정부국토개발사업기인이장을해일구구오년건위동조봉구비갈이설

 

 退
           문림자완여호자계성종갑신생참봉기묘화퇴거영천두문강도병술졸묘동군자양면관방완곡자좌유표석배월성손씨부장령욱◎묘노항명상곡갑좌자손시거영천손씨묘이장우완동선영계하

▣세조실록 8권, 세조 3년 8월 12일 계묘 2번째기사 1457 명 천순(天順) 1457년 명 천순(天順) 1년

정연·김혼지·권지 등은 원종 공신 2등으로 정흥손은 3등으로 녹훈하게 하다

국역

의정부(議政府)에 하교(下敎)하기를,

"병조 판서(兵曹判書) 정연(鄭淵)·한성부 윤(漢城府尹) 김혼지(金俒之)·우부승지(右副承旨) 권지(權摯)·관찰사(觀察使) 이예손(李禮孫)·절제사(節制使) 김사우(金師禹)·참의(參議) 한전(韓磌)·행 상호군(行上護軍) 권기(權技)·첨지중추원사(僉知中樞院事) 어득해(魚得海)·안무사(按撫使) 설효조(薛孝祖)·부사(府使) 이사증(李師曾)·별감(別監) 박덕산(朴德山) 등은 원종공신(原從功臣) 2등으로 녹훈(錄勳)하라.

판사(判事) 정흥손(鄭興孫)·손번(孫蕃), 훈련관사(訓鍊觀使) 이수철(李守哲)·대호군(大護軍) 권숭후(權崇厚), 군사(郡事) 임계중(林繼中), 행 부사정(行副司正) 양계동(楊繼童), 장령(掌令) 김계로(金季老)·최청강(崔淸江)·구신충(具信忠), 헌납(獻納) 구종직(丘從直)·권안세(權安世), 정언(正言) 최종복(崔宗復), 호군(護軍) 황보신(黃保身)·이직경(李直卿)·주유비(朱有斐), 경력(經歷) 주백손(朱伯孫), 호군(護軍) 동옥(童玉), 부지(副知) 신자승(申自繩), 행 사직(行司直) 경여(慶餘), 군사(郡事) 임관(任寬), 정언(正言) 이숭원(李崇元)·임수겸(林守謙), 행 사직(行司直) 노삼(魯參), 진무(鎭撫) 구치명(具致明), 군사(郡事) 정자양(鄭自洋), 판관(判官) 양연(楊淵), 군사(郡事) 정옥경(鄭沃卿), 사직(司直) 변상빙(邊尙聘), 부사 주신명(周新命), 판관(判官) 김우묘(金雨畝), 박사(博士) 김천(金賤), 현감(縣監) 최저(崔渚)·윤지(尹志), 부사직(副司直) 전태산(全泰山), 별좌(別坐) 최승정(崔承靖), 행 사직(行司直) 안지선(安至善)·최유강(崔有江), 부령(部令) 유열(柳悅), 행 사직(行司直) 전계손(全繼孫), 부사직(副司直) 이호산(李好山), 별좌(別坐) 조운종(趙云從)·최옥윤(崔玉潤)·이중연(李重連)·남손(南蓀)·우계충(禹繼忠)·조금(趙嶔)·최치우(崔致雨), 현감(縣監) 주봉명(周鳳鳴), 행 알자(行謁者) 송귀행(宋貴行), 부사정(副司正) 유배(柳培), 무공랑(務功郞) 윤성(尹誠), 전 사용(司勇) 이노생(李魯生), 계공랑(啓功郞) 이연(李涓), 승사랑(承仕郞) 이계영(李繼榮), 녹사(錄事) 하연명(河淵明), 선무랑(宣務郞) 전오상(全五常), 무공랑(務功郞) 김계박(金繼朴)·장유성(張有誠)·정하손(鄭賀孫), 행 주부(行注簿) 최한(崔漢)·강계선(姜繼善)·방계충(方繼忠), 무공랑(務功郞) 구신(仇愼), 사직(司直) 안극변(安克辨), 현감(縣監) 이조원(李調元), 사용(司勇) 성윤문(成允文)·고태보(高台輔), 사정(司正) 허손(許蓀), 사용(司勇) 유인로(柳仁老), 행 사정(行司勇) 이유분(李有糞), 통덕랑(通德郞) 정복(鄭復), 통선랑(通善郞) 장자학(張自學), 봉직랑(奉直郞) 이종연(李從衍), 주부(注簿) 김효종(金孝宗), 선무랑(宣務郞) 이양산(李陽山), 사정(司正) 김정(金丁), 통사랑(通仕郞) 이사명(李思明), 종사랑(從仕郞) 염승원(廉承原), 행 사정(行司正) 권당(權塘), 사정(司正) 김양수(金楊秀), 행 사용(行司勇) 장자륜(張自綸), 승의 교위(承義校尉) 엄맹의(儼孟義), 행 부사정(行副司正) 강맹리(康孟理), 녹사(錄事) 방순문(房恂文), 별시위(別侍衛) 최진(崔津), 녹사(錄事) 이효상(李孝祥), 서방색(書房色) 김불종(金佛從), 시일(視日) 고윤혁(高允赫), 통사랑(通仕郞) 최치선(崔致善), 부사정(副司正) 이승욱(李承旭), 대부(隊副) 신만년(申萬年), 대장(隊長) 김준(金俊), 행 사용(行司勇) 조덕생(趙德生), 승사랑(承仕郞) 이무경(李務敬), 대장(隊長) 김선(金善), 반감(飯監) 김내(金乃)·최수정(崔壽丁), 전리(典吏) 박충서(朴忠恕)·황언중(黃彦中), 사용(司勇) 이승조(李承祖), 종[奴] 이춘경(李春敬)·별감(別監) 윤보(尹寶), 학생(學生) 오효정(吳孝貞)·간문질(簡文質)·이매(李梅)·내자시(內資寺) 종[奴] 오마지(吾磨知), 별감(別監) 강원만(姜元萬)·초산호(抄山胡)·한득인(韓得仁), 직장(直長) 최승종(崔承宗), 윤(尹) 최윤형(崔允亨), 판사(判事) 오축(吳軸), 윤(尹) 송휴명(宋休明), 소윤(少尹) 남윤(南倫), 판관(判官) 박보석(朴保錫), 주부(注簿) 안관후(安寬厚)·조효생(趙孝生)·우효신(禹孝新)·김중로(金仲老)·강숙경(姜叔卿)·김귀달(金貴達)·박사분(朴思賁)·강안복(姜安福)·강순(姜循)·이영유(李永蕤), 판관(判官) 정인종(鄭麟踵)·이균(李畇)·조운공(趙云恭)·권우(權虞), 주부(注簿) 이윤(李潤), 겸주부(兼注簿) 신자의(申子儀)·김임(金臨), 주부(注簿) 송경(宋瓊)·정지년(鄭知年)·홍견(洪甄)·김승중(金承重), 행령(行令) 민신지(閔愼之), 행 부사직(行副司直) 유덕(柳德)·노식(盧湜)·신사봉(辛斯鳳)·박홍신(朴弘信), 부사직(副司直) 정의손(鄭義孫), 행 사정(行司正) 유지신(柳之信), 행 부사정(行副司正) 남육(南陸)·지혼(池渾), 행 사직(行司直) 유종인(柳宗姻), 행 사정(行司正) 최덕소(崔德紹), 행 사용(行司勇) 박소조(朴紹祖), 별좌(別坐) 박흠(朴欽)·김이(金理), 직장(直長) 변정(邊定) 녹사(錄事) 최연년(崔延年)·길인종(吉仁種)·민충달(閔忠達), 직장(直長) 홍제년(洪濟年)·이심(李諶), 부직장(副直長) 이운석(李云碩), 겸직장(兼直長) 이해(李垓), 행 부승(行副丞) 윤계은(尹季殷), 행 승(行丞) 이신효(李愼孝), 학생(學生) 이흥달(李興達), 역자(驛子) 허득진(許得進)·이철(李哲)은 원종공신(原種功臣) 3등으로 녹훈(錄勳)하라."

하였다.

 

【태백산사고본】 3책 8권 28장 A면

【국편영인본】 7책 214면

【분류】 인사-관리(管理)

원문

○敎議政府曰: "兵曹判書鄭淵、漢城府尹金俒之、右副承旨權摯、觀察使李禮孫、節制使金師禹、參議韓磌、行上護軍權技、僉知中樞院事魚得海、按撫使薛孝祖、府使李師曾、別監朴德山等錄原從功臣二等。 判事鄭興孫ㆍ孫蕃、訓鍊觀使李守哲、大護軍權崇厚、郡事林繼中、行副司正楊繼童、掌令金季老ㆍ崔淸江ㆍ具信忠、獻納丘從直ㆍ權安世、正言崔宗復、護軍黃保身ㆍ李直卿ㆍ朱有斐、經歷朱伯孫、護軍童玉、副知申自繩、行司直慶餘、郡事任寬、正言李崇元ㆍ林守謙、行司直魯參、鎭撫具致明、郡事鄭自洋、判官楊淵、郡事鄭沃卿、司直邊尙聘、副使周新命、判官金雨畝、博士金賤、縣監崔渚ㆍ尹志、副司直全泰山、別坐崔承靖、行司直安至善ㆍ崔有江、部令柳悅、行司直全繼孫、副司直李好山、別坐趙云從ㆍ崔玉潤ㆍ李重連ㆍ南蓀ㆍ禹繼忠ㆍ趙嶔ㆍ崔致雨、縣監周鳳鳴、行謁者宋貴行、副司正柳培、務功郞尹誠、前司勇李魯生、啓功郞李涓、承仕郞李繼榮、錄事河淵明、宣務郞全五常、務功郞金繼朴ㆍ張有誠ㆍ鄭賀孫、行注簿崔漢ㆍ姜繼善ㆍ方繼忠、務功郞仇愼、司直安克辨、縣監李調元、司勇成允文ㆍ高台輔、司正許蓀、司勇柳仁老、行司正李有蕡、通德郞鄭復、通善郞張自學、奉直郞李從衍、注簿金孝宗、宣務郞李陽山、司正金丁、通仕郞李思明、從仕郞廉承原、行司正權塘、司正金楊秀、行司勇張自綸、承義校尉嚴孟義、行副司正康孟理、錄事房恂文、別侍衛崔津、錄事李孝祥、書房色金佛從、視日高允赫、通仕郞崔致善、副司正李承旭、隊副申萬年、隊長金俊、行司勇趙德生、承仕郞李務敬、隊長金善、飯監金乃ㆍ崔壽丁、典吏朴忠恕ㆍ黃彦中、司勇李承祖、奴李春敬、別監尹寶、學生吳孝貞ㆍ簡文質ㆍ李梅、內資奴吾磨知、別監姜元萬ㆍ抄山胡ㆍ韓得仁、直長崔承宗、尹崔允亨、判事吳軸、尹宋休明、少尹宋盤ㆍ尹利、護軍李孝碩ㆍ孫叙、上護軍尹佴、萬戶宋傅、副典籤盧孝恭、少尹南倫、判官朴保錫、注簿安寬厚ㆍ趙孝生ㆍ禹孝新ㆍ金仲老ㆍ姜叔卿ㆍ金貴達ㆍ朴思賁ㆍ姜安福ㆍ姜循ㆍ李永蕤、判官鄭麟踵ㆍ李畇ㆍ趙云恭ㆍ權虞、注簿李潤、兼注簿申子儀ㆍ金臨、注簿宋瓊ㆍ鄭知年ㆍ洪甄ㆍ金承重、行令閔愼之、行副司直柳德ㆍ盧湜ㆍ辛斯鳳ㆍ朴弘信、副司直鄭義孫、行司正柳之信、行副司正南陸ㆍ池渾、行司直柳宗姻、行司正崔德紹、行司勇朴紹祖、別坐朴欽ㆍ金理、直長邊定、錄事崔延年ㆍ吉仁種ㆍ閔忠達、直長洪濟年ㆍ李諶、副直長李云碩、兼直長李垓、行副丞尹季殷、行丞李愼孝、學生李興達、驛子許得進ㆍ李哲錄三等。"

 

【태백산사고본】 3책 8권 28장 A면

【국편영인본】 7책 214면

【분류】 인사-관리(管理)

 

▣세조실록 35권, 세조 11년 2월 15일 임진 2번째기사 1465 명 성화(成化) 1465년 명 성화(成化) 1년

최경지·남치신 등을 파면하고 윤자영 등을 서용하다

국역

이조(吏曹)·병조(兵曹)에 전교하기를,

"최경지(崔敬止)·남치신(南致信)·이구경(李九經)·이예전(李禮全)·최보남(崔寶男)·박안(朴晏)은 고신(告身)을 돌려 주고, 윤자영(尹子濚)·구치동(丘致峒)·박숙진(朴叔蓁)·최한정(崔漢禎)·이중련(李重連)·조금(趙嶔)·설침(偰琛)·권수(權壽)는 서용(敍用)하라."

하였다.

 

【태백산사고본】 13책 35권 14장 A면

【국편영인본】 7책 673면

【분류】 인사-임면(任免) / 인사-관리(管理)

원문

○傳于吏ㆍ兵曹曰: "崔敬止、南致信、李九經、李禮全、崔寶男、朴晏還給告身, 尹子濚、丘致峒、朴叔蓁、崔漢禎、李重連、趙嶔、偰琛、權壽敍用。"

 

【태백산사고본】 13책 35권 14장 A면

【국편영인본】 7책 673면

【분류】 인사-임면(任免) / 인사-관리(管理)

 

▣세조실록 36권, 세조 11년 5월 10일 병진 1번째기사 1465 명 성화(成化) 1465년 명 성화(成化) 1년

침장고와 사옹방의 관리를 추국케 하다

국역

의금부(義禁府)에 전지하기를,

"침장고(沈藏庫)의 관리(官吏)가 바친 채소(菜蔬)는 지극히 거칠고 나쁜데다 또 몸소 친히 바치지 않았으며, 사옹방(司饔房)의 관리와 환관(宦官)들도 또한 검거(檢擧)하지 아니하여 모두 마땅하지 못하니, 추국(推鞫)하여 아뢰라."

하였다. 처음에 세자궁(世子宮) 앞에 미나리[芹]를 심은 것이 심히 아름다와서 바치게 하였었는데, 임금이 좌우(左右)의 신하에게 이르기를,

"누가 침장고(沈藏庫)에 참여하여 바쳤느냐?"

하고, 즉시 명하여 취하게 하니, 심히 억세고 나쁜 것이었다. 임금이 말하기를,

"관청[官]을 설치하고 직임을 분담한 것이 어찌 이런 데에 이르렀느냐?"

하고, 좌우의 신하에게 이르기를,

"근래 침장고의 관리가 서리(胥吏)만 보내고 스스로 감독하여 올리지 않아서 특히 사체(事體)를 잃었다."

하면서, 임금이 윤자운(尹子雲)과 승지(承旨) 등을 안으로 불러서 이르기를,

"채과(菜果)는 작은 물건이다. 그러나 작은 것으로부터 큰 것을 알고, 은미한 것으로부터 현저한 것을 아는 것이 성인(聖人)이 근신함이다. 침장고(沈藏庫)의 관리가 채소 기르는 데에 실수한 것은 진실로 작은 죄가 되나, 임금에게 바치는 것에 이르러서도 친히 감독하여 올리지 않았으니, 이것이 청하고 발로 차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느냐? 그 윗사람을 업신여기는 마음이 이미 조짐이 있는 것이니, 그들을 속히 국문(鞫問)하여 아뢰어라."

하고, 또 사옹 제조(司饔提調) 청성위(靑城尉) 심안의(沈安義)·영가군(永嘉君) 권경(權擎)·침장고 제조(沈藏庫提調) 이서(李墅) 등을 불러 승정원(承政院)으로 하여금 책문(責問)하게 하고, 마침내 침장고 별좌(沈藏庫別坐) 오형(吳滎)·권선(權善)은 장(杖) 70대를, 김종직(金從直)은 1백 대를 때리게 하고, 침장고 별좌(沈藏庫別坐) 김회보(金懷寶), 사옹 별좌(司饔別坐) 이중련(李仲連조금(趙嶔) 등은 파직(罷職)하고, 환관(宦官) 김눌(金訥)은 본읍(本邑)에 충군(充軍)하였다.

 

【태백산사고본】 13책 36권 2장 B면

【국편영인본】 7책 684면

【분류】 농업-과수원예(果樹園藝) / 왕실(王室) / 사법-재판(裁判) / 사법-행형(行刑) / 군사-지방군(地方軍)

원문

○丙辰/傳旨義禁府曰: "沈藏庫官吏所供菜蔬至爲粗惡, 且不躬親供進, 司饔房官吏宦官等亦不檢擧, 俱爲不當, 推鞫以啓。" 初, 世子宮前種芹, 甚美, 以進, 上謂左右曰: "孰與沈藏庫所進?" 卽命取之, 甚硬惡, 上曰: "設官分職, 何至是耶!" 左右曰: "比來庫官遣胥吏, 不自監進, 殊失事體。" 上召尹子雲及承旨等於內, 謂曰: "菜果小物耳, 然由細知大, 由微知顯, 聖人謹之。 沈藏庫官吏失於養菜, 固爲微罪, 至於君上所御不親監進, 是與呼爾蹴爾何異! 其無上之心已兆矣, 其速鞫以啓。" 又召司饔提調靑城尉 沈安義、永嘉君 權擎、沈藏庫提調李墅等, 令承政院責問之, 竟杖沈藏庫別坐吳滎、權善七十, 金從直一百, 罷沈藏庫別坐金懷寶、司饔別坐李仲連ㆍ趙嶔等職, 宦官金訥充本邑軍。

 

【태백산사고본】 13책 36권 2장 B면

【국편영인본】 7책 684면

【분류】 농업-과수원예(果樹園藝) / 왕실(王室) / 사법-재판(裁判) / 사법-행형(行刑) / 군사-지방군(地方軍)

 

▣성종실록 16권, 성종 3년 3월 17일 계축 3번째기사 1472 명 성화(成化) 1472년 명 성화(成化) 8년

청도 군수 조금이 하직하다

국역

청도 군수(淸道郡守) 조금(趙嶔)이 하직하니, 임금이 인견(引見)하고 말하기를,

"너는 장차 어떻게 고을을 다스릴 것이냐?"

하니, 대답하기를,

"모든 일을 그 때에 따라 적의(適宜)하게 하고, 그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이 칠사(七事)이니, 신은 마땅히 마음을 다하겠습니다."

하였다.

 

【태백산사고본】 4책 16권 9장 A면

【국편영인본】 8책 644면

【분류】 인사-임면(任免) / 왕실-국왕(國王)

원문

淸道郡守趙嶔辭, 上引見曰: "爾將何以治邑?" 對曰: "凡事臨時制宜, 其大者七事, 臣當盡心。"

 

【태백산사고본】 4책 16권 9장 A면

【국편영인본】 8책 644면

【분류】 인사-임면(任免) / 왕실-국왕(國王)

 

▣성종실록 156권, 성종 14년 7월 14일 갑진 2번째기사 1483 명 성화(成化) 1483년 명 성화(成化) 19년

이조와 병조 등 각 관사에 국상 중에 수고한 신하들을 논상하게 하다

국역

이조(吏曹)·병조(兵曹)에 전지(傳旨)하기를,

"영평군(鈴平君) 윤계겸(尹繼謙)·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 김심(金諶)·예조 참판(禮曹參判) 신준(申浚)·군기시 판관(軍器寺判官) 유효산(柳孝山)·형조 정랑(刑曹正郞) 채석경(蔡碩卿)·흥양군(興陽君) 신운(申雲)·양주 목사(楊州牧使) 한천손(韓千孫)·원주 목사(原州牧使) 김적(金磧)·인천 부사(仁川府使) 민영견(閔永肩)·삭녕 군수(朔寧郡守) 이영(李榮)·예조 정랑(禮曹正郞) 박처륜(朴處綸), 좌랑(佐郞) 최진(崔璡)·박경(朴璟), 부장(部將) 민경달(閔敬達)·탁경지(卓敬志)·손위(孫渭), 이조 좌랑(吏曹佐郞) 최관(崔灌)·공조 좌랑(工曹佐郞) 윤숙(尹俶)·승문원 교검(承文院校檢) 박문간(朴文幹)·선공감 판관(繕工監判官) 배계후(裵季厚)·사과(司果) 한증(韓曾)·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김흔(金訢)·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강거효(姜居孝)·소격서 영(昭格署令) 이예견(李禮堅)·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 김질(金耋)·내자시 봉사(內資寺奉事) 김중함(金仲諴)·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 윤탕로(尹湯老)·사도시 직장(司䆃寺直長) 현분(玄賁)·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 최귀수(崔龜壽)·참봉(參奉) 곽맹원(郭孟元),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 안극치(安克治)·정민(鄭旻), 겸인의(兼引儀) 정무(鄭懋)·시강원 문학(侍講院文學) 조위(曹偉)·병조 정랑(兵曹正郞) 정회(鄭淮)·좌랑(佐郞) 김전(金琠)·상의원 직장(尙衣院直長) 신자건(愼自建)·공조 좌랑(工曹佐郞) 노공유(盧公裕)·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양면(楊沔)·사포서 별제(司圃署別提) 이복숭(李福崇)·경기 도사(京畿都事) 소사식(蘇斯軾)·검상(檢詳) 남윤종(南潤宗), 내관(內官) 복회(卜禬)·엄중손(嚴仲孫), 행 사용(行司勇) 오순형(吳舜衡), 전 관상감 봉사(觀象監奉事) 홍순경(洪順敬)·선공감 감역관(繕工監監役官) 송환주(宋環周)·경산 현령(慶山縣令) 손상장(孫尙長)은 각각 한 자급(資級)을 올리도록 하라.

사옹원 직장(司饔院直長) 장한지(張翰之)는 한 자급을 더하여 벼슬을 올려 옮기도록 하라. 군자감 첨정(軍資監僉正) 임중행(林重行)·사용(司勇) 정수(鄭穗)·홍문관 응교(弘文館應敎) 김종직(金宗直)·온양 군수(溫陽郡守) 황윤형(黃允亨)·풍저창 수(豊儲倉守) 김극련(金克鍊)·공조 정랑(工曹正郞) 강자정(姜子正)·부장(部將) 박임경(朴臨卿)·선공감 부정(繕工監副正) 조금(趙嶔)은 준직(准職)을 주도록 하라.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김학기(金學起)·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허계(許誡)·통례원 봉례(通禮院奉禮) 허황(許葟)·찬의(贊儀) 남제(南悌)·내자시 부정(內資寺副正) 이조양(李朝陽)·예빈시 부정(禮賓寺副正) 김무(金碔)·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 안처량(安處良)·종부시 첨정(宗簿寺僉正) 이손(李蓀)·예조 정랑(禮曹正郞) 홍자아(洪自阿)·장원서 장원(掌苑署掌苑) 조영휘(趙永輝)·선공감 직장(繕工監直長) 정숙선(鄭叔善)·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안침(安琛)·사복시 판관(司僕寺判官) 최옥순(崔玉筍)·부장(部將) 조영석(趙永錫)·선공감 첨정(繕工監僉正) 한장손(韓長孫)·공조 정랑(工曹正郞) 곽은(郭垠)·익위사 익찬(翊衛司翊贊) 구숙손(丘夙孫)·한성부 판관(漢城府判官) 유혜동(柳惠仝)·참군(參軍) 안자성(安子誠)·겸참군(兼參軍)·김양전(金良琠)·수원 부사(水原府使) 김순보(金舜輔)·판관(判官) 정숙지(鄭淑墀)·장단 부사(長湍府使) 윤사하(尹師夏)·연천 현감(漣川縣監) 안요경(安堯卿)·김포 현령(金浦縣令) 김호(金岵)·음죽 현감(陰竹縣監) 김수(金琇)·공주 목사(公州牧使) 이숙생(李叔生)·덕산 현감(德山縣監) 김영생(金寧生)·전의 현감(全義縣監) 신승복(愼承福)·지평 현감(砥平縣監) 최기(崔淇)·율봉도 찰방(栗峯道察訪) 윤계정(尹繼丁)·성환도 찰방(成歡道察訪)·임서(任緖)·연원도 찰방(連原道察訪) 황계금(黃季金), 의원(醫員) 방하산(方河山)·강득주(江得舟)·노사종(魯嗣宗), 광주 판관(廣州判官) 김첨령(金添齡)·진위 현령(振威縣令) 윤귀령(尹龜齡)·직산 현감(稷山縣監) 임담(任湛)·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 홍석보(洪碩輔)·천안 군수(天安郡守) 최지(崔漬)·단양 군수(丹陽郡守) 우연(禹埏)·사옹원 첨정(司饔院僉正) 이문병(李文炳)·봉상시 부정(奉常寺副正) 박찬조(朴纘祖)·장흥고 봉사(長興庫奉事) 강형(姜詗)은 벼슬을 올리도록 하라.

가부장(假部將) 김호(金瑚)는 서용(敍用)하라. 우승지(右承旨) 성현(成俔)·행호군(行護軍) 최호원(崔灝元)·행사직(行司直) 김귀지(金貴枝)·전 관상감 부정(觀象監副正) 정명도(丁明道)·봉사(奉事) 양효순(梁孝舜)·선공감 정(繕工監正) 이윤손(李尹孫)·돈녕부 부정(敦寧府副正) 이수치(李壽稚)·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 유순(柳洵)·통례원 우통례(通禮院右通禮) 김경조(金敬祖)·사섬시 정(司贍寺正) 노호신(盧好愼)·사옹원 정(司饔院正) 윤민(尹愍)·봉상시 정(奉常寺正) 이집(李諿)·예빈시 정(禮賓寺正) 신숙(辛肅)·제용감 정(濟用監正) 김수광(金秀光)·장악원 정(掌樂院正) 유자한(柳自漢)·상의원 정(尙衣院正) 김경광(金景光)은 아들·사위·아우·조카 중에서 대가(代加) 하라.

 

졸(卒)한 경기관찰사(京畿觀察使) 이길보(李吉甫)는 아들·사위 중에서 서용하라. 산릉 도감(山陵都監)의 녹사(錄事)는 매일 별사(別仕) 3을 주고, 빈전 도감(殯殿都監)·국장 도감(國葬都監)의 녹사는 별사 2를 주고, 화원(畫員)·서리(書吏)도 녹사의 예(例)대로 하라."

하고, 공조(工曹)·사복시(司僕寺)에 전지(傳旨)하기를,

"영의정(領議政) 정창손(鄭昌孫)·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윤호(尹壕)·좌찬성(左贊成) 서거정(徐居正)·우찬성(右贊成) 허종(許琮)에게 각각 안구마(鞍具馬) 1필(匹)을 내리고, 좌의정(左議政) 윤필상(尹弼商)·우의정(右議政) 홍응(洪應)·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이극배(李克培)·예조 판서(禮曹判書) 이파(李坡)·병조 판서(兵曹判書) 이극증(李克增)·함종군(咸從君) 어세겸(魚世謙)·청평군(淸平君) 한계순(韓繼純)·호조 판서(戶曹判書) 어세공(魚世恭)·대사헌(大司憲) 손순효(孫舜孝)·우참찬(右參贊) 김겸광(金謙光)·이조 판서(吏曹判書) 정괄(鄭佸)·하남군(河南君) 정숭조(鄭崇祖)에게 각각 숙마(熟馬) 1필을 내리고, 서하군(西河君) 임원준(任元濬)·우승지(右承旨) 성현(成俔)·동부승지(同副承旨) 이덕숭(李德崇)·경기 관찰사(京畿觀察使) 김작(金碏)·상호군(上護軍) 손비장(孫比長)·행호군(行護軍) 이유인(李有仁)·상호군(上護軍) 박숭질(朴崇質)·사복시 정(司僕寺正) 김수손(金首孫)·상의원 정(尙衣院正) 김경광(金景光)·행호군(行護軍) 최호원(崔灝元)·행사직(行司直) 김귀지(金貴枝)·전 관상감 부정(觀象監副正) 정명도(丁明道)·봉사(奉仕) 양효순(梁孝舜), 내관(內官) 조진(曺疹)·유한(柳漢)·연덕생(延德生)·박경례(朴敬禮)·조효안(趙孝安)에게 각각 아마(兒馬) 1필을 내리라."

하고, 상의원(尙衣院)에 전지(傳旨)하기를,

"우의정(右議政) 홍응(洪應)·대사헌(大司憲) 손순효(孫舜孝)·옥산군(玉山君) 이제(李躋)에게 각각 당표리(唐表裏)를 내리고, 병조 판서(兵曹判書) 이극증(李克增)·청평군(淸平君) 한계순(韓繼純)에게 각각 필단(匹段) 1필(匹)을 내리라."

하였다. 이에 앞서 삼전(三殿) 이 온양(溫陽)에 거둥하였을 때와 재궁(梓宮) 이 서울로 돌아오고 산릉(山陵)에 갔을 때에 공로가 있던 인원과 삼도감(三都監) 의 당상(堂上)·낭청(郞廳)에 대하여 공로를 등제(等第)하여 아뢰라고 명하였는데, 이때에 와서 이 명이 있었다.

 

【태백산사고본】 23책 156권 17장 A면

【국편영인본】 10책 484면

【분류】 왕실-사급(賜給) / 왕실-의식(儀式) / 인사-임면(任免) / 인사-관리(管理)

원문

○傳旨吏、兵曹: "鈴平君 尹繼謙、司贍寺僉正金諶、禮曹參判申浚、軍器寺判官柳孝山、刑曹正郞蔡碩卿、興陽君 申雲、楊州牧使韓千孫、原州牧使金磧、仁川府使閔永肩、朔寧郡守李榮、禮曹正郞朴處綸、佐郞崔璡ㆍ朴璟、部將閔敬達ㆍ卓敬志ㆍ孫渭、吏曹佐郞崔灌、工曹佐郞尹淑、承文院校檢(朴文斡) 、繕工監判官裵季厚、司果韓曾、弘文館校理金訢、議政府舍人姜居孝、昭格署令李禮堅、漢城府庶尹金耋、內資寺奉事金仲諴、敦寧府奉事尹湯老、司䆃寺直長玄墳、司饔院奉事崔龜壽、參奉郭孟元、通禮院引儀安克治ㆍ鄭旻、兼引儀鄭懋、侍講院文學曹偉、兵曹正郞鄭淮、佐郞金琠、尙衣院直長愼自建、工曹佐郞盧公裕、司諫院獻納楊㴐、司圃署別提李福崇、京畿都事蘇斯軾、檢詳南潤宗、內官卜禬ㆍ嚴仲孫、行司勇吳舜衡、前觀象監奉事洪順敬、繕工監役官宋環周、慶山縣令孫尙長, 各加一(賀) 。 司饔院直長張翰之, 加一資陞遷。 軍資監僉正林重行、司勇鄭穗、弘文館應敎金宗直、溫陽郡守黃允亨、豐儲倉守金克鍊、工曹正郞姜子正、部將朴臨卿、繕工監副正趙嶔, (淮) 職。 司憲府執義金學起、奉常寺僉正許誡、通禮院奉禮許篁、贊儀南悌、內資寺副正李朝陽、禮賓寺副正金碔、司諫院司諫安處良、宗簿寺僉正李蓀、禮曹正郞洪自阿、掌苑署掌苑趙永輝、繕工監直長鄭叔善、成均館司成安琛、司僕寺判官崔玉筍、部將趙永錫、繕工監僉正韓長孫、工曹正郞郭垠、翊衛司翊贊丘夙孫、漢城府判官柳惠仝、參軍安子誠、兼參軍金良琠、水原府使金舜輔、判官鄭淑墀、長湍府使尹師夏、漣川縣監安堯卿、金浦縣令金岵、陰竹縣監金琇、公州牧使李叔生、德山縣監金寧生、全義縣監愼承福、砥平縣監崔淇、栗峰道察訪尹繼丁、成歡道察訪任緖、連原道察訪黃季金、醫員方河山、江得舟ㆍ魯嗣宗、廣州判官金添齡、振威縣令尹龜齡、稷山縣監任湛、司䆃寺僉正洪碩輔、天安郡守崔漬、丹陽郡守禹埏、司饔院僉正李文炳、奉常寺副正朴纉祖、長興庫奉事姜詗、陞職假部將金瑚敍用。 右承旨成俔、行護軍崔灝元、行司直金貴枝、前觀象監副正丁明道、奉事梁孝舜、繕工監正李尹孫、敦寧府副正李壽稚、弘文館副提學柳洵、通禮院右通禮金敬祖、司贍寺正盧好愼、司饔院正尹慜、奉常寺正李諿、禮賓寺正辛肅、濟用監正金秀光、掌樂院正柳自漢、尙衣院正金景光, 子、壻、弟、姪中, 代加。 卒京畿觀察使李吉甫, 子、壻中, 敍用。 山陵都監錄事, 每一日, 給別仕三。 殯殿、國葬兩都監錄事, 給別仕二。 畫員、書吏, 依錄事例。" 傳旨工曹、司僕寺: "賜領議政鄭昌孫、領敦寧府事尹壕、左贊成徐居正、右贊成許琮各鞍具馬一匹, 左議政尹弼商、右議政洪應、領中樞府事李克培、禮曹判書李坡、兵曹判書李克增、咸從君 魚世謙、淸平君 韓繼純、戶曹判書魚世恭、大司憲孫舜孝、右參贊金謙光、吏曹判書鄭佸、河南君 鄭崇祖各熟馬一匹, 西河君 任元濬、右承旨成俔、同副承旨李德崇、京畿觀察使金碏、上護軍孫比長、行護軍李有仁、上護軍朴崇質、司僕寺正金首孫、尙衣院正金景光、行護軍崔灝元、行司直金貴枝、前觀象監副正丁明道、奉事梁孝舜、內官曺疹ㆍ柳漢ㆍ延德生ㆍ朴敬禮ㆍ趙孝安各兒馬一匹。" 傳旨尙衣院: "賜右議政洪應、大司憲孫舜孝、玉山君 躋各唐表裏, 兵曹判書李克增、淸平君 韓繼純各匹段一匹。" 前此三殿幸溫陽, 梓宮還京赴山陵時, 有功勞人員及三都監堂上、郞廳, 命第功以聞。 至是有是命。

 

【태백산사고본】 23책 156권 17장 A면

【국편영인본】 10책 484면

【분류】 왕실-사급(賜給) / 왕실-의식(儀式) / 인사-임면(任免) / 인사-관리(管理)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