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한민국이여! 영원하라!★

■49재란?

by 晛溪亭 斗井軒 陽溪 2024. 5. 29.
728x90


■49재란?

사람이 죽으면 고인을 보내는 방법 중 49재라고 들어보신 적 있으실 것 같습니다. 이는 사망일을 첫째날로 하고 다음 생으로 가기 전까지의 시간을 49일이라고 하여 유족들이 고인의 가시는 길을 보내는 불교의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망신고 전/후 해야할 일💡

49재 49제

49재는 한자로 四十九齋라고 씁니다. 한자를 보시면 ''"자를 쓰는데 이 의미는 명복을 빌기 위해 들이는 불공이라는 뜻 입니다.

따라서 49제가 아닌 49재가 맞습니다.

👆상속세 신고기간

49재 지내는 방법

49재를 지내기 위해서는 먼저 가족이 다 모여야 합니다. 49재를 지내는 시간은 오전 10경에 모두 준비를 끝내고 11시경에 진행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아침부터 참 준비할 것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49재 상차리기

유교식으로 제사를 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실 기본적으로 49재를 모시는 경우에는 사실 밥과 국, 그리고 물 한그릇을 대접에 올리고 고인이 평소 즐기시던 차나 술  중에 한가지를 올린 다음 상주부터 3배를 하시면 됩니다.

👆상속세 신고시 필요서류

그외 추가적으로 더 놓고 싶은 경우에는 3가지 나물(도라지, 시금치, 숙주나물), 3가지 과실(배, 귤, 사과,밤 등)과 같이 기본적으로 갖추시면 됩니다.

49재 의례단계

49재 의례단계는 아래와 같이 7가지로 구분되는데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준비▷맞이▷씻기▷기원▷제사▷보내기▷후속단계

49재 순서

상을 모두 차리게 되면 보통 절에 모시는 경우 아래와 같은 절차로 재를 지내게 됩니다.

보통 49재는 절에 올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49재 한가지만 진행하는 경우에는 금액이 250만원 가량 됩니다. 이때 모든 재 의식에 필요한 음식과 물품은 모두 사찰에서 준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속포기 절차

그리고 향과 초, 차, 쌀, 꽃 과일 등 육법공양물을 준비하고 상/중/하단을 향해 3번씩 배를 올립니다. 이 때 고인의 극락 왕생을 빌면서 보살님을 모시겠다는 마음으로 기도를 하는 것 입니다. 

👆상속등기시 필요서류는?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절차가 모두 끝나게 되면 염불을 올리면서 그동안 49재에 사용한 모든 의례용품을 불태웁니다.

고인의 가시는 길을 위한 마음으로 경건하고 차분한 마음으로 49재를 지내셔야 하는데요 이 때 지켜야 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바로 음주가무나 여행, 부부관계, 그리고 경조사에 참여하는 일 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