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重修竹樹書院記▣ [綾城靜庵先生書院]
我東之偏且荒久。得箕子人始人。而箕子之沒二千有餘年矣。遺化幾盡索矣。斯文幾盡熄矣。天乃瞿然眷顧。遂生先生以振作之。先生生而殉 道自任。方中廟勵治之日。以朝夕啓沃。堯舜我君民爲己責。而奸孼傍 伺。構織罔極。駭機一發。禍網滔天。竟竄于茲土。不數月而賜死。嗚呼。先生之被禍。其先生之不幸歟。其一國一世之不幸歟。非先生之不幸。 乃一國一世之不幸。非一國一世之不幸。乃我東千萬世無窮之不幸也。始天之生先生。如有意於我東。而竟天之禍先生。亦有意於我東。生之 者何意。而禍之者何意歟。蒼蒼乎昧昧乎。而不可問而知者。非天歟。苟 天之佑我東。展之以其才。享之以其年。則所漸者益深。所化者益遠矣。 其爲治化雖不逮於唐虞。必不止於今日無疑。而非唯不克施。竟使不得年。非唯不得年。竟使不得其死。則環我東數千里。慕而悲者何限。而竟 謫于茲土。竟沒于茲土。則茲土之悲且慕。又不啻一國之悲慕。旣悲且 慕。而築斯院以享之。則斯院之築。非他州郡築院之可方。非鄕先生歿 而可祭者比。直與文宣之祀。亘萬世而同血矣。自仁廟克述先志。逮宣 廟而痛滌其冤。斯院之創。已有年紀。而自火于丁酉之亂。廂廡齋廬。 權創卑略。無以肅祀妥靈者十五餘年。任其蕪沒而不振。曁我侯尹公燧臨民之初。慨然以右文爲事。思克重敞而未有遂。余兄南平縣監趙公維韓。面尹侯曰。先生之院若是其陋側。非吾與君之羞乎。君爲倅而我爲
隣。尙未克顯侈者。人謂公何。人謂我何哉。卽與通文道內。構工繕修。而南平實幹之。於是旁州列邑。無不向風委財。以董其役。而余之得靈 邑也後。不及豫於執事之列。惟彼凡人下士。尙且悲慕先生。況吾兄弟。 乃先生之姓孫。而向學悲慕之誠。又出尋常萬萬者乎。以主倅之勤。得 南平幹而能助也。不日而功訖。蓋其背山面水而紆餘敞赫者。先生之盛德遺澤。瞻前而在後也。榮桷枅楣不侈不隘。丹雘劚刻合規依度者。先 生之威容動靜。無不中禮也。尊彝壘勺。籩荊䇺簦。各得其品者。先生 之遺敎循序也。濟濟多士。循除鞠躬。居常講習。祀卽虔惕者。先生之餘 化感發也。茲足以薰先生之德而沐先生之澤歟。遵先生之敎而襲先生之化歟。雖然。先生之靈。如水在地。無往而不屆。則其感而興起者。豈獨茲院之士而已。豈獨茲土之民而已乎。靈巖郡守趙纘韓記。萬曆四十一年八月日。
▣죽수서원중수기 -능주 정암선생 서원-▣
우리 동방은 오랫동안 치우치고 거칠었는데, 기자를 얻은 뒤로 사람이 비로소 사람답게 되었다. 그러나 기자가 죽은 지 이천여 년이 지나니 남긴 교화가 거의 사라지게 되었으며 사문(斯文)도 거의 끊어지게 되었다. 하늘이 이에 두려워하여 우리나라를 돌아 보고 드디어 선생을 탄생시켜 사문을 진작시켰다. 선생은 태어나 도를 위해 목숨을 바칠 것을 자임하여 바야흐로 중종이 정치에 애쓰던 시기에 아침저녁으로 계도하여 우리 임금과 백성을 요순 같은 임금과 요순시대의 백성으로 만드는 것을 자신의 책임으로 삼았다. 그러나 간흉들이 옆에서 틈을 엿보다가 더할 나위 없이 치밀한 흉계를 만들어 해기(駭機)89가 한번 발동하자 재앙의 그물 이 하늘까지 덮었으니, 선생은 마침내 이 고을에 귀양 와서 두어 달이 지나지 않아 사사(賜死)되었다. 아아, 선생이 재앙을 당한 것은 선생의 불행인 것인가, 한 나라 한 시대의 불행인 것인가. 선생의 불행이 아니라 바로 한 나라 한 시대의 불행이요, 한 나라 한 시대의 불행이 아니라 바로 우리 동방 천만 대의 무궁한 불행 이다.
처음에 하늘이 선생을 탄생시킬 때 우리 동방에 뜻을 둔 것 같았는데, 끝내 하늘이 선생에게 재앙을 내린 것도 또한 우리 동네에 뜻을 두어서이다. 태어나게 한 것은 무슨 뜻이며 재앙을 내 린 것은 무슨 뜻인가. 푸르르고 어두컴컴하여 물어도 대답을 들 을 수 없는 것은 하늘이 아닌가. 만약 하늘이 우리 동방을 도와주 려 하여 그의 재주를 펼치게 하고 제 수명을 누리게 하였다면, 점 차로 교화를 이룬 것이 더욱 심원하였을 것이다. 그 치화(治化)가 비록 당우(唐虞)에는 미치지 못하였겠지만 반드시 오늘 같은 현 실에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건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런데 다만 재주를 펼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끝내 제 수명도 누리지 못하 게 하였으며, 다만 제 수명도 누리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끝내 제 대로 죽지도 못하게 하였으니, 우리 동방 수천 리 온 강토에서 존 모하며 비통하게 여기는 자를 어찌 한량(限量)하랴. 마침내 이 지 역에 귀양와서 끝내 이 지역에서 죽었으니, 이 지역 사람들의 비 통과 존모는 또한 한 나라의 비통과 존모에 비할 바가 아니다. 이 미 비통하고 존모하여 이 서원을 지어 제사를 지내니 이 서원의 설립은 다른 주군(州郡)에서 서원을 설립한 것과 비교할 수 없으 며, 향선생(鄕先生)이 죽어서 제사 지낼 만한 것과는 비교할 수 없다. 다만 문선왕(文宣王) 공자의 제사와 더불어 만 대를 지나도 함께 혈식(血食, 제사)을 받을 것이다.
인종이 선왕의 뜻을 잘 받들었고 선조에 이르러 그 원통함을 깨끗하게 씻어버렸으니, 이 서원이 건립된 것도 이미 여러 해가 되었다. 그러다가 정유재란에 불에 타버려서 행랑, 동서무, 재 각, 숙소 등을 임시로 대강 건립하였기에 십오여 년을 엄숙히 제 사 지내 영혼을 모시지 못하고 잡풀에 덮인 대로 놔두어 진작시 키지 못하였다. 우리 목사 윤수(尹燧) 공이 백성을 다스리던 초기 에 개탄하며 학문을 우대하는 것을 중시하여 중건을 생각하였으 나 완수하지 못하였다. 나의 형님 남평 현감 조유한(趙維韓)이 윤 목사를 만나서 “정암 선생의 서원이 이처럼 누추해졌으니 나와 그대의 수치가 아닙니까. 그대가 수령이 되고 내가 이웃 고을에 있는데 아직도 현양하여 화려하게 만들지 못한다면 사람들이 공 (公)은 무엇 하는 사람이며 나는 무엇 하는 사람이냐고 할 것입니 다.”라 하였다. 곧바로 도내(道內)에 통문을 띄워 건물을 짓고 수 리하였는데, 실로 남평현감이 주관하였다.
이에 이웃의 여러 고을에서 소식을 듣고 재물을 내어주어 그 일을 진행하였는데, 내가 영암의 군수가 된 것은 그 후의 일이라 당시에는 미처 집사의 반열에 참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저 평범 한 사람과 낮은 선비라도 오히려 선생에 대해 비통하고 존모하는 데, 더구나 우리 형제는 바로 선생의 족손으로 선생의 학문에 대 하여 비통하고 존모하는 정성이 일반적인 수많은 사람보다 훨씬 깊음에랴. 목사의 부지런함으로써 남평 현감의 주관함을 만나 돕 게 되니 얼마 걸리지 않고 공사가 마무리되었다.
대개 산을 등지고 강을 마주한 넉넉한 공간에 높고 빛나는 이 서원은 선생의 성대한 덕과 남긴 은택이 앞에 보이는 듯 뒤에 있 는 듯하다. 처마, 서까래, 들보, 문미 등이 사치스럽지 않고 조잡하지 않으며, 단청과 깎아내고 새긴 것이 법도에 맞은 것은 선 생의 움직일 때와 고요할 때의 위엄스런 자태가 예절에 맞지 않 음이 없는 것과 같다. 술동이, 제기, 잔대, 술잔, 각종 대그릇 등 도 각각 품격에 맞은 것은 선생이 남긴 가르침을 차례대로 따르 는 것과 같다. 예의 바른 많은 선비들이 섬돌을 따라 몸을 굽히 며, 평소에 강론하고 익히다가 제사에 곧 경건한 것은 선생이 남 긴 교화에 감발한 것이다. 이에 충분히 선생의 덕에 훈화(薰化)되 고 선생의 은택에 무젖을 것이며, 선생의 가르침을 따르고 선생 의 교화를 받을 것이다. 그러나 선생의 영령은 물이 땅에 있는 것 같아서 가는 곳마다 이르지 않음이 없으니 감동을 받아 흥기한 자가 어찌 유독 이 서원의 선비일 뿐이겠는가, 어찌 유독 이 지 역의 백성일 뿐이겠는가.
영암군수 현주공 조찬한은 기를 쓴다. 만력 41년 8월 모일.
728x90
반응형
'❀漢陽人문화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창기 대종약장 조종필, 흥학경고문(興學警告文: 학교 설립에 경고하는 글) (0) | 2024.06.25 |
---|---|
[한양조씨 가천재-현감공파종회 10세조 諱珙 영월부사공 임명자료] (2) | 2024.06.24 |
=明德祠(諱貫 13世이하 3世4位) 春香祭 = (2) | 2024.06.20 |
♣능주(綾州) 죽수서원(竹樹書院)♣ (0) | 2024.06.20 |
玄洲集卷之十五 上○門人愼天翊攷 / 重修竹樹書院記 綾城靜庵先生書院 (0) | 2024.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