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자린고비(玼吝高蜚) 청빈[淸貧]마을(양촌권근마을)' 조성한다.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삼봉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자린고비 조륵의 인물 이야기]]
자린고비는 예부터 ‘구두쇠’, ‘지독하게 인색한 사람’, ‘지독하게 절약하는 사람’ 등의 뜻으로 통한다. 한때 조선 제일의 자린고비로 불렸던 조륵[1649~1714]은 음성군 금왕읍 삼봉리 한양조씨 집성촌 사람으로, 근검절약하여 큰 부자가 된 뒤 어려운 백성들을 많이 도와 가자(加資: 정3품 통정대부 이상의 품계를 올리는 일)까지 받았다고 한다.
음성군 금왕읍 삼봉리에서 채록하여 1982년에 출간한 『내고장 전통가꾸기-음성군-』에 수록하였다. 『음성군지』와 『음성의 구비문학』 등에도 실려 전한다.
조륵이 얼마나 구두쇠였나면, 쉬파리가 장독에 앉았다가 날아가자 다리에 묻은 장이 아깝다고 “저 장도둑놈 잡아라.” 하고 외치며 단양 장벽루까지 파리를 쫓아갔다. 무더운 여름철이 되어 어쩌다 부채를 하나 장만한 조륵은, 부채가 닳을까 봐 부채를 벽에 매달아 놓고 그 앞에서 가서 머리만 흔들었다.
어느 날은 동네 사람이 어쩌나 보려고 생선 한 마리를 조륵의 집 마당으로 던졌는데, 이것을 발견한 조륵이 “밥도둑놈이 들어왔다!” 하고 법석을 떨면서 냉큼 집어 문밖으로 내던졌다. 조륵은 일 년에 딱 한 번 고기 한 마리를 사는데, 다름 아닌 제사상에 놓을 굴비였다. 그리하여 제사를 지내고는 굴비를 천장에 매달아 놓고, 밥 한 숟가락 뜨고 굴비 한 번 보고, 또 밥 한 숟가락 뜨고 굴비를 보았다.
식구들이 어쩌다 두 번 이상 보면, “얘, 너무 짜다. 물 먹어라.” 하고 소리쳤다. 어느 날은 장모가 놀러왔다가 인절미 조금 남은 것을 싸갔는데, 나중에 알고는 기어코 쫓아가 다시 빼앗아 왔다. 이렇게 일전 한 푼도 남에게 주거나 빌려주는 일이 없고, 인정도 사정도 눈물도 없이 모으고 또 모으다 보니 근동에서는 둘도 없는 큰 부자가 되었다.
그렇게 자린고비로 방방곡곡 소문이 날 대로 난 어느 날, 전라도에서 유명한 자린고비가 찾아와서 “조선생, 나도 전라도에서는 소문난 구두쇠인데, 어느 정도 구두쇠여야 큰 부자가 될 수 있습니까?” 하고 물었다. 그러자 조륵은 전라도 구두쇠가 묻는 말에 쓰다 달다는 말도 없이 한참을 있다가, “그러면 나와 같이 나갑시다.” 하고는 전라도 구두쇠를 데리고 충주 탄금대까지 갔다. 가는 길에 전라도 구두쇠는 신발을 아낀다고 교대로 한짝은 신고 한짝은 들고 가는데, 조륵은 아예 신발 두 짝을 모두 들고 갔다. 그것만 봐도 조륵이 한 등급 높은 자린고비가 분명했다.
조륵은 탄금대에 오르자 전라도 구두쇠한테, 시퍼런 강물이 굽이쳐 흐르는 강물 쪽으로 뻗은 소나무가지에 매달리라고 하였다. 전라도 구두쇠는 영문을 몰랐지만, 큰 부자가 되고 싶은 일념에 소나무가지에 매달렸다. 그러자 조륵이, “이제 한쪽 팔을 놓으시오.” 하였다. 그대로 따라했더니 한참 후에, “됐소. 이젠 한쪽 팔도 놓으시오.” 한다. 전라도 구두쇠는 시퍼렇게 질려서, “아니, 그러면 저 강물에 빠져죽지 않습니까?” 하고 소리쳤다.
아니나 다를까, 몇십 길 되는 낭떨어지 밑에는 시퍼런 강물이 굽이치며 혀를 낼름거리고 있었다. 전라도 구두쇠는 얼른 두 손으로 나뭇가지를 붙들더니 죽을 상이 되어 벌벌 떨었다. 그제야 조륵은, “그러면 이제 올라오시오.” 하고는, 전라도 구두쇠가 땀을 뻘뻘 흘리며 나뭇가지에서 벗어나자, “큰 부자가 되려면 예사로운 구두쇠 정도로는 안 됩니다. 방금 전 나뭇가지에 매달려 죽게 되었을 때의 순간을 잊지 마시오. 만사를 죽기를 각오하고 실행한다면 목적한 일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오.” 하고 말했다. 전라도 구두쇠는 조륵의 말에 고개를 끄덕였다.
그날 밤, 전라도 구두쇠는 조륵의 사랑방에서 자게 되었는데, 몇 년을 내버려두었는지 창구멍이 뚫어져서 바람이 숭숭 들어왔다. 전라도 구두쇠는 주머니에 들어 있던 창호지 조각을 꺼내어 저녁밥을 먹을 때 남긴 밥풀 몇 알을 붙여서 대강 창구멍을 가리고 잤다. 그러고는 아침에 조륵의 집을 나서면서, “조공! 문에 발랐던 종이는 내 것이니 뜯어 가렵니다.” 하였다. 조륵은 눈빛 하나 변하지 않으면서, “암요, 떼어 가시오.” 하였다.
그리하여 전라도 구두쇠가 많은 것을 배웠다는 기쁨에 활개를 치며 걸어가고 있는데, 뒤에서 다급한 목소리가 들려와 무슨 일인가 하고 돌아보니 조륵이 헐레벌떡 뛰어오는 것이 보였다. 이윽고 전라도 구두쇠 앞으로 온 조륵은 턱에 받친 목소리로, “그 창호지는 손님 것이니 가져가도 좋지만, 종이에 묻은 밥풀은 우리집 것이니 떼어놓고 가야 마땅하지 않소.” 한다. 전라도 구두쇠가 할 수 없이 창호지를 내어주자, 조륵은 준비해 온 목침 위에다 종이를 펼쳐 놓더니, 칼로 밥풀자리를 박박 긁어내어 주머니에 담아 가지고 갔다. 전라도 구두쇠는 “과연! 과연!” 하고 탄복하며 고향집으로 갔다.
이렇듯 지독한 자린고비 행색이 마침내 조정에까지 알려졌는데, 조정에서는 조륵의 이러한 행위가 미풍양속을 해친다고 판단하고는, 정확한 사실 여부를 알기 위해 암행어사를 파견하기로 하였다. 그리하여 이씨 성을 가진 암행어사가 과객 차림을 하고 조륵의 집에 가서 며칠 묵으며 사정을 알아보기로 하였다.그런데 암행어사가 며칠 묵는 동안 보아하니, 조륵은 한양에서 소문으로 듣던 그 자린고비 조륵이 아니었다. 암행어사라고 눈치챈 것 같지는 않은데 식사때마다 진수성찬에 술까지 대접하고, 그야말로 칙사대접이 따로 없었다. 아무래도 이상하다 싶어서 수소문해 보니, 조륵이 환갑이 되는 해부터 누구에게나 후하게 대하고, 어려운 이웃을 보면 불러다가 돈도 주고 쌀도 주는 등 아주 딴 사람이 되었다는 이야기였다.
암행어사가 사정을 알고 그만 떠나려고 인사를 하자 조륵은, “아니, 이삼 일만 더 있으면 내 환갑이니, 기왕이면 좀더 쉬다가 잔치나 보고 가시오.” 하였다. 그리하여 못 이기는 체하며 잔칫날까지 묵게 되었는데, 그날 조륵은 잔치에 모인 사람들에게, “여러분, 그 동안 나는 나 혼자 잘 살려고 구두쇠 노릇을 한 게 아니오. 오늘 찾아오신 여러분 모두에게 도움이 되고자 한평생을 근검절약하며 재산을 모았소. 환갑날인 오늘부로 내 일은 모두 끝났소.” 하면서 전재산을 어려운 사람들에게 골고루 나누어 주었다.
암행어사는 임금께 조륵의 이러한 선행을 자세하게 고하였고, 임금도 기특하게 생각하게 친히 가자를 내리고 칭찬하였다. 그 후 조륵에게 도움을 받은 많은 사람들이 조륵을 ‘자린고비’가 아닌 ‘자인고비’라고 부르며 칭찬하였는데, 여기에서 ‘고’자는 “나를 낳아준 어버이”란 뜻이라고 한다.
「자린고비 조륵 이야기」는 여러 지역에서 널리 퍼져 있는 ‘자린고비 설화’를 모티프로 하였다. 자린고비 설화에서 대표적인 이야기는 구두쇠 영감이 굴비를 천장에 매달아 놓고 밥 한 술 먹을 때마다 쳐다보게 했다는 이야기이다. 구두쇠의 며느리가 생선장수의 생선을 사는 척하며 잔뜩 주물러 놓고 돌려보낸 뒤 손을 씻은 물로 국을 끓였는데, 구두쇠 시아버지가 그 손을 물독에다 씻었으면 두고두고 먹을 수 있었을 걸 하면서 아쉬워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자린고비 조륵 이야기」는 며느리와 관련한 내용은 없지만 풍부한 모티프를 차용하여 조륵이란 인물의 자린고비 행적을 자세히 이야기하는데, 이는 후반부에 조륵이 조선시대 유명한 자선가로 이름을 날리게 되는 사실을 극적으로 보이게 하는 장치이기도 하다.
2020-08-27기사 편집 2020-08-27 14:32:41 오인근 기자 inkun0815@daejonilbo.com
대전일보 > 지역 > 충북
'자린고비 청빈마을'조성사업 조감도 사진=음성군 제공
= 충북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산7번지 =
[음성]음성군은 생극면 방축리 산7번지 일원에 139억1000만 원의 사업비를 들여 '자린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자린고비 청빈마을' 조성한다.고비 청빈마을'조성사업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자인고공諱玏 선조님 생가인 삼봉리 ‘자린고비 청빈마을’로 다시 태어난다!☞이 사업은 2022년까지 생극면 방축리 권근 삼대 묘소와 융합해 추진했지만 취지가 맞지 않고 조륵 선생과 권근 선생의 시대적 배경·유교 성격이 다르다는 이유로 2023년 사업대상지를 금왕읍 삼봉리 한양조씨 충정공파 집성촌으로 옮겼습니다. 생가는 전주이씨 주인이 허려버리고, 양옥집으로 세우고, 기존의 설계조감도와 너무 차이가 나는군요!!!
[금왕읍 삼봉리 성균진사조경유허비(金旺邑 三鳳里 成均進士趙經遺墟碑)]
♠자인고공諱玏 선조님 ‘자린고비 청빈마을’로 다시 태어난다!
●충청북도 음성군 “경제난에 되새길 삶의 지혜” 자린고비 마을 만든다!
경기부진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충청북도 음성군이 조륵(諱 玏, 16세, 충정공파, 字 子固, 1648~1714) 선생의 근검절약과 청빈을 주제로 한 관광지 조성을 추진한다.
음성군은 충청유교문화권 관광개발사업의 하나로 생극면 방축리 일원 42,000㎡(12,000여 평) 부지에 총 139억 원을 투입해 2025년 완공예정으로 ‘자린고비 청빈마을’을 건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린고비 청빈마을은 청빈 영상 체험실, 안빈낙도 정원, 청백리 문화마당 등으로 구성되며, 선비의 유교문화를 학습할 수 있고 생태 연못과 둘레길도 조성되며 선생의 절약정신을 체험할 수 있는 경제교육 캠프도 운영할 계획이다.
조병옥(趙炳玉, 24세, 충정공파) 음성군수는 “자린고비 얘기는 한낱 우스갯소리가 아니라 새겨들어야 할 삶의 지혜”라며 선생의 정신을 배우는 산교육장으로 조성하겠다고 하였다.
선생은 ‘천정에 굴비를 매달아 놓고 쳐다보며 밥을 먹고, 하루 세끼 식사에 두 가지 이상의 반찬을 올리지 못하게 했다’는 일화로 유명하다.
이렇게 알뜰하게 모은 재산이지만 숙종 때 영호남지방에 대흉년이 들자 곳간에 쌓아 둔 수백 석의 곡식을 풀어 굶주린 백성을 구했다.
선생의 높은 뜻을 기려 조정에서 세 번이나 벼슬을 내렸으나 끝까지 사양하였고 사후 증직도 받지 말고, 묘소에 비석도 세우지 말도록 유언하였으며 자손들에게는 “남에게 베풀되 자랑하지 말라”고 가르쳤다.
728x90
반응형
'▣13세참봉공파종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중․후기 영양의 유교문화권과 한양조씨이야기◈ (0) | 2021.11.20 |
---|---|
♠한양조씨 충정공파 파서공(坡西公諱順生) / 인촌공(仁村公諱銘) 양선조 실기♠ (0) | 2021.10.20 |
■충주시 소태면 총무팀 조주형 043-850-2424 (0) | 2021.10.15 |
◐約山堂 世譜의 槪要◑ (0) | 2021.10.12 |
◐충정공-참의공파-호의공파 2021년도(한글날:아헌관/종헌관) 묘소제향◑ (0) | 2021.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