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북한 김여정 부부장은 7일 공해에서 진행되는 자신들의 전략무기시험에 대해 요격 등 미국의 군사적 대응이 따를 경우 "명백한 선전포고로 간주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blog.kakaocdn.net/dn/cUDCqX/btr2C7JS9EV/jKYMvFuuV0bxqQK71WMMU0/img.jpg)
연합뉴스© 연합뉴스
김여정은 이어 "(요격이 실시되는) 그러한 상황에서의 우리의 군사적 행동규범이 설정되어있다"고 위협했다.
김 부부장은 이날 북한의 대외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최근 국내의 한 언론 보도를 거론하며 "지난 2월 24일 미 인디아태평양사령관이 우리가 태평양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면 즉각 격추할 것이라고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는 내용의 불명확한 보도를 내놓았다"며, 이에 대해 "그 진위는 알 수 없으나 사실 유무, 이유 여하를 떠나 명백히 사전 경고해두려고 한다"고 말했다.
김여정은 그러면서 "태평양은 미국이나 일본의 영유권에 속하지 않는다"며, "미국의 관할권에 속하지 않는 공해와 공역에서 주변국들의 안전에 전혀 위해가 없이 진행되는 우리의 전략무기시험에 요격과 같은 군사적 대응이 따르는 경우 이는 두 말 할 것 없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명백한 선전포고로 간주될 것"이라고 반응했다.
김여정은 특히 "최근에 간과할 수 없을 정도로 도를 넘어 극히 광기적인 추이로 나가고 있는 미국과 남조선의 과시성 군사 행동들과 온갖 수사적 표현들은 의심할 바 없이 우리가 반드시 무엇인가를 통하여 대응하지 않으면 안 되는 조건부를 지어주고 있다"고 강변했다.
"이미 천명한바와 같이 우리는 미군과 남조선괴뢰군부의 활발한 군사적 동태를 빠짐없이 주시장악하고 있으며 판단에 따라 언제든지 적중하고 신속하며 압도적인 행동을 취할 수 있는 상시적 준비태세에 있다"며, "미국과 남조선은 정세를 더 이상 악화시키는 언동을 삼가야 할 것"이라고 김 부부장은 경고했다.
김 부부장이 거론한 '한미의 과시성 군사행동들'은 전날인 6일 미국 장거리 폭격기 B-52H(스트래토포트리스)가 한반도에 전개되는 등 한미의 연합 군사훈련이 본격화되는 상황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앞서 김여정은 지난 달 20일 담화에서 미국의 전략자산 전개에 대해 "상응한 대응에 나설 것"임을 '기정사실화'한다면서, 특히 "태평양을 우리의 사격장으로 활용하는 빈도수는 미군의 행동성격에 달려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런데 태평양을 ICBM 등 전략무기의 사격장으로 활용할 것이라는 김여정의 발언이 나오자 미국은 "즉각 격추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일보의 6일자 보도에 따르면 존 애퀼리노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관은 지난달 24일 하와이에서 홍석인 주 호놀룰루 총영사와 면담하는 자리에서 태평양을 북한의 사격장으로 활용할 것이라는 김여정 담화에 대해 "미친 발언"이라며, "북한이 태평양 지역으로 ICBM을 쏘면 즉각 격추할 것이고 강력 대응할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북한 외무성은 이날 김여정 부부장의 담화와 별도로 대외보도실장 명의의 담화를 내고, "국제사회는 조선반도와 지역의 긴장완화를 도모하기 위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평화애호적인 노력에 합세하여 미국과 남조선에 전쟁연습을 당장 중단할 데 대한 명백한 신호를 보내야 할 것"이라며, 국제 여론전을 이어갔다.
외무성은 "조선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군사적 적대행위를 지체 없이 중지"하라면서, "군사적 도발 움직임이 지금처럼 계속 방관시된다면 쌍방의 방대한 무력이 첨예하게 밀집대치 되어있는 조선반도지역에서 격렬한 물리적 충돌이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담보는 그 어디에도 없다"고 경고했다.
외무성도 전날 미국 장거리 폭격기 B-52H가 서해 상공에서 한국 전투기와 훈련한 사실을 언급하며, "미 핵전략폭격기 'B-52'가 3개월 만에 조선반도에 또다시 날아들어 남조선과 올해 다섯 번 째로 되는 연합공중훈련을 벌려놓은 것은 조선반도지역정세를 헤어나기 힘든 구렁텅이로 보다 깊숙이 밀어 넣는 무모한 군사적 도발"이라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이번 연합공중훈련은 우리 국가를 상대로 한 미국의 핵사용기도가 실전수준에서 추진되고 있음을 명백히 보여주고 있다"며, "미국과 남조선의 무책임한 행위로 하여 조선반도에서의 핵전쟁발발위험은 가상적인 단계로부터 현실적인 단계에로 이행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https://blog.kakaocdn.net/dn/YBYU1/btr2CxPp8hF/3KfljGaqpu6C2DMxaJLyR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RETBR/btr2vnGLT5F/EHeVhKyKLFBtKsUtmHIZu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GnsDW/btr2FehcB59/REudSdx6kWrar5BttJAEQ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pMRKk/btr2vVwyQzq/plznEtm1zFQVmIvKKLCFT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CP7PG/btr2vUK9zG5/3Au54rC6s8Yj4H4JdTRuw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rhWO/btr2DEUXlfC/7aheIh4NASd0r1XTtdlEK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1bSpn/btr2D4MEHDL/dVn5l4eMiV8l7FLaRaRSL0/img.png)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무수단에 고체연료 처음 쓴듯… 이동 쉽고, 기습발사 가능
[北 탄도미사일 도발]
기존 액체연료와 달리 '발사前 주입' 불필요… 사전탐지 어려워
- 550㎞ 고도로 솟구쳐 500㎞ 비행
음속 10배 속도로 '노동'보다 빨라 "엔진 안정성 어느 정도 보여준것"
- '지상 중거리' 첫 고체연료 성공땐…
北, 작년 잠수함발사 SLBM선 성공
美 타격 ICBM도 고체연료로 가능, 한국軍의 '킬 체인'도 무력화 우려
입력 2017.02.13 03:04업데이트 2020.07.22 13:48
1
한·미 군 당국이 12일 오전 평안북도 방현 인근에서 발사된 탄도미사일을 무수단 개량형(최대 사거리 3500㎞)으로 잠정 결론을 내린 것은 위성사진과 비행궤적, 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다. 군 당국이 동해 상 이지스함과 지상의 그린 파인 조기경보 레이더 등을 통해 파악한 이날 미사일의 최대 속도는 마하 10(음속의 10배)이 넘었다. 노동 미사일의 마하 9.5보다 빠른 속도였다. 특히 사전 탐지가 어려운 고체연료 미사일로 개조됐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형상 드러난 이날 무수단의 비행은 지난해 6월에 비해 그다지 성공적인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당시 발사된 북 무수단 미사일의 비행거리는 400여㎞로 12일보다 100여㎞가 짧았지만, 최대 비행고도는 1413㎞에 달했다. 이날 무수단 최대 비행고도 550㎞의 2배가 훨씬 넘는 수준이다. 당시 무수단은 극히 이례적으로 80도가 넘는 고각(高角)으로 발사돼 이런 궤적을 그렸다. 이를 정상적인 비행궤적으로 바꿔 30~40도로 발사할 경우 3000㎞ 이상을 날아갈 것으로 분석돼 사실상 성공한 것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그 이후 발사 실험은 계속 실패했다. 작년에 실험된 총 8발의 무수단 미사일 중 한 발만 성공했다. 12일 발사된 미사일도 고각으로 발사됐지만 정확한 발사 각도는 확인되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탄두 중량과 엔진 연소 시간 등에 따라 비행고도와 거리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날 발사의 성공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한 소식통은 "높은 고도로 500㎞가량을 날아갔다는 것은 엔진의 안정성을 어느 정도 보여준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군 당국은 특히 이번 무수단이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개량형일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무수단은 원래 액체연료 방식인데 지난해 실패를 거듭해 이번에 고체연료로 추진 방식을 바꿔 시험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북한은 지난해 4월 신형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대출력 발동기(엔진) 지상 분출 시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하면서 시험 장면을 공개한 바 있다. 북한은 이미 지난해 8월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북극성'을 액체연료에서 고체연료로 바꾼 뒤 시험에 성공한 적이 있다. 당시 '북극성'은 이날 무수단 궤적과 비슷하게 비행고도 500㎞ 이상, 비행거리 500㎞를 기록했다.
북한이 이번에 고체연료를 사용한 무수단 발사에 성공했다면 두 가지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우선 지상발사 중거리 미사일로는 처음으로 고체연료 미사일이 등장하게 된다는 점이다. 보통 액체연료는 발사 전에 1시간 반~3시간 동안 주입해야 해 미 정찰위성 등이 이를 포착할 가능성이 있다. 기존 스커드·노동·무수단 미사일은 모두 액체연료다. 반면 고체연료는 기습적으로 즉각 발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발사 전에 탐지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북 미사일을 선제타격하는 '킬 체인'이 무력화될 수 있는 것이다. 둘째로는 미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KN-08, KN-14 ICBM도 액체연료에서 고체연료 미사일로 '변신'한다는 점이다. KN-08, KN-14는 무수단 엔진 2기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고체연료 ICBM의 등장은 미국과 트럼프 대통령에겐 재앙이다. 군 소식통은 "12일 무수단 발사를 김정은이 참관했을 가능성이 높다"며 "13일 북한 언론이 대대적으로 성공을 선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 내용을 보면 고체연료 여부 등을 알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포토] ‘돌격 앞으로’…예비군 야지전술훈련
:2023-03-07 14:15ㅣ 수정 : 2023-03-07 14:15 국방·외교
7일 오전 경기도 안산시 육군 제51사단 상록과학화예비군훈련장에서 예비군들이 야지전술훈련을 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에 축소했던 예비군 훈련이 4년 만에 정상화했다. 훈련에 참여하는 모든 인원의 신속항원검사, 실내 마스크 착용 권고, 식당 내 칸막이 설치 등 방역 대책을 마련했다.
온라인뉴스팀
728x90
반응형
'★대한민국이여! 영원하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샬리송' 손흥민, '탈 페리시치' 효과 '99호골'로 증명!!! (0) | 2023.03.13 |
---|---|
“김민재 ‘맨유’로 이적한다…이적료는 약 700억”© 제공: 서울신문 (0) | 2023.03.11 |
“못 뛰어서 아쉽지만, 앞으로 더 잘하면 되죠”…195cm 최장신 루키의 자신감, 내년에 일낸다!페퍼저축은행 신인 미들블로커 염어르헝(Yeum Orkhon)(19) (0) | 2023.03.07 |
‘양효진 V-리그 최초 7000점 완성’ 현대건설, 최하위 페퍼 꺾고 3연승…1위 싸움 끝까지 간다 [MK수원] (0) | 2023.03.06 |
[초려공원(草廬公園)초려기념관(草廬紀念館) 내삼문 연영문(延英門)주련] (0) | 2023.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