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오피니언 강인욱 세상만사의 기원
수천 년 동서양 초월해 힘과 지혜 상징된 사자[강인욱 세상만사의 기원]
동아일보 2025년 4월 22일 00시 41분
동서고금 사랑받아 온 사자상

수천 년 동서양 초월해 힘과 지혜 상징된 사자[강인욱 세상만사의 기원]
호랑이가 아시아를 대표하는 맹수라면 아프리카의 맹수는 사자다. 사자는 예술 작품과 휘장의 모티브로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다. 심지어 사자가 살지 않는 동아시아에서도 수많은 예…
www.donga.com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호랑이가 아시아를 대표하는 맹수라면 아프리카의 맹수는 사자다. 사자는 예술 작품과 휘장의 모티브로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다. 심지어 사자가 살지 않는 동아시아에서도 수많은 예술 작품에 호랑이 못지않게 등장한다. 한국과 중국에선 고대, 중세 건축 석조물의 단골 메뉴이고 지금도 프로야구팀과 많은 대학의 마스코트로 사랑받는다. 직접 본 적도 없는 아프리카의 맹수가 어떻게 전 지구적으로 사랑받는 동물이 됐을까.
빙하기를 견디게 한 사자 숭배
인간은 최초의 예술품을 만들던 때부터 사자를 숭배했다. 독일의 홀렌슈타인슈타델의 동굴에서는 약 4만 년 전 매머드 상아로 만든 사자머리 조각상이 발견됐다. 높이가 31cm로 제법 큰 이 예술품은 마치 사람이 사자의 탈을 쓴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이에 사피엔스가 현실을 넘어 다양한 동물의 여러 형태를 조합해 만든 최초의 예술품으로 꼽힌다. 정확한 의미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빙하기 추운 시기를 동굴에서 지내면서 사람들이 숭앙하던 최초의 신상이라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프랑스 쇼베 동굴에서 발견된 3만 년 전의 사자 벽화. 사진 출처 강인욱 교수·위키피디아프랑스 남부의 쇼베 동굴에서 발견된 3만 년 전의 사자 벽화는 현재 기준으로 봐도 놀라운 실력이다. 열세 마리 사자가 역동적인 포즈로 들소를 사냥하는 장면인데, 표현 하나하나가 생동적이며 마치 애니메이션 프레임처럼 역동적이며 입체적이다. 현대 미술 교재로 쓰기에 부족함이 없을 정도로 구석기 예술의 최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고대인들이 자신들의 목숨을 위협하는 사자를 이렇게 정성스럽게 표현한 것은 그들을 신격화했다는 뜻이다. 이를 통해 우리도 그 사자와 같은 힘을 얻을 수 있다는 바람을 품고 험난한 빙하기의 환경을 견뎌 냈을 것이다. 구석기시대에 표현된 것은 지금은 멸종된 동굴사자인데, 실제로 동굴에 사는 것은 아니지만 워낙 구석기시대의 동굴벽화에서 많이 발견돼 그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이렇듯 사자는 인류 예술의 탄생을 선도했다.
용맹함의 상징, 사자 사냥
구석기시대에 시작된 인간의 사자 사랑은 신석기시대 이후에도 죽 이어졌다. 이집트에서는 파라오를 사자의 모습으로 표현한 스핑크스가 만들어졌고, 현재 튀르키예 영토에 속하는 아나톨리아에서도 사자를 표현한 조각상들이 등장한다.
정작 사자가 살면서 사람에게 큰 위협이 됐던 근동 지역에서 사자는 또 다른 의미가 부여됐으니, 최고의 사냥감이었다. 슈메르 문명 이래 수많은 국가가 명멸하던 메소포타미아 일대에서 강력한 힘이야말로 왕권의 상징이었다. 그 힘은 사자 사냥으로 표현됐으니, 특히 신아시리아 제국의 마지막 왕인 아슈르바니팔의 사자 사냥이 유명하다. 당시 왕들은 가장 먼저 나가서 사냥에도 능력을 보여야 했기에 자신을 향해 달려드는 사자와 맞서며 그 목덜미를 겨누는 장면이나 화살에 맞은 사자의 모습은 핍진하여 조각이 꿈틀대는 듯할 정도다. 하지만 실제 야생의 사자를 사냥하기엔 너무 위험성이 크기에 이미 포획한 사자를 다시 풀어서 잡는 식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히타이트 제국의 수도 하투사 유적지 내 ‘사자의 문’. 사진 출처 강인욱 교수·위키피디아이렇게 사자를 잡는 과정에서 사자는 왕권의 권위를 상징하게 됐다. 기원전 16세기에 아나톨리아 반도에서 번성했던 히타이트 제국의 수도인 하투사에 남아 있는 ‘사자의 문’은 고대 근동의 사자가 가진 이미지를 잘 보여준다.
이러한 역사적 전통은 19세기 이후 아프리카 대륙을 식민 지배한 유럽을 중심으로 ‘트로피 사냥’으로 이어졌다. 결과적으로 사자를 멸종위기에 처하게 하는 엉뚱한 결과로 이어졌지만, 그만큼 사자는 인간에게 경외의 대상이었음이 분명하다.
유라시아 초원 지역에서는 날짐승 중 용맹함의 상징인 독수리와 사자를 결합한 ‘그리핀’이란 신화적 동물이 널리 유행했다. 3000년 전 시작된 초원의 스키타이 문화는 유독 동물 장식을 좋아했는데, 여기서도 날개 달린 사자의 모습을 한 그리핀상이 널리 쓰였다.
그리핀의 모습은 후에 페르시아 제국에 들어온 뒤 그 제국의 발흥과 함께 동서로 널리 퍼졌다. 알타이 초원의 파지릭 문화는 ‘황금을 지키는 그리핀’이라 불렸고, 폴란드와 독일 사이 포메라니아 지역에는 12∼17세기에 그리핀 공국이 존재했을 정도였다. 이 그리핀 장식은 만주와 한반도의 세형동검 장식으로 전해진 ‘새머리형 장식’의 기원이 됐으니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사자와 관련된 장식이 전해진 셈이다.
불교와 함께 동아시아로
우리 곁에 사자상이 본격적으로 들어온 계기는 불교의 전래다. 4000년 전부터 고대 그리스와 페르시아, 메소포타미아 문화권에서 왕권과 전쟁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됐던 사자상은 알렉산더 대왕의 동방 원정과 헬레니즘 문화 확산으로 중앙아시아로 전해졌다. 인도에서는 두르가라는 여신을 태운 동물로, 그리고 조로아스터교의 여신 나나를 태운 동물로 사자가 널리 애용됐다.
2400년 전 중앙아시아에서 중국으로 전래된 사자 모양의 황금장식. 사진 출처 강인욱 교수·위키피디아불교에도 사자는 다양하게 도입됐고, 실크로드를 따라 중국 한나라에도 사자가 함께 전해졌다. 동아시아의 불교에서 부처님의 말씀을 의미하는 ‘사자후’라는 말처럼 사자는 최고의 종교적 의미로 사용됐다. 나아가서 사자는 강한 왕권과 신성을 상징하는 이미지로 무덤, 사찰, 입구 수호상으로 등장했다.
학자들은 이처럼 사자의 이미지가 바뀌게 된 것을 그리스 신화의 헤라클레스와 연결시키기도 한다. 헤라클레스는 사자의 가죽을 두른 모습으로 등장하는데, 간다라 불상 예술에 등장하는 금강역사도 헤라클레스의 모습과 거의 유사해 헤라클레스의 용맹함이 동방에서는 불법 수호와 마왕 제압의 힘으로 변형된 것으로 본다.
육식동물로서 사자의 모습은 흉포하다. 하지만 동아시아에서는 사자를 본 적이 없으니 흉포함에 대한 공포 대신에 여러 환상적인 신화가 더해질 수 있었다. 게다가 외형적으로 위엄 있는 얼굴에 화려한 갈기까지 치렁치렁한 모습이니 때로는 무섭게, 때로는 친근하게 다른 동물의 모습과 결합될 수 있었다.
한국, 중국, 일본에서 사자의 이미지는 호랑이, 개, 용 등과 융합된 독창적 형태로 나타났다. 한국의 해치(獬豸), 중국의 석사자(石獅), 일본의 가라시시(唐獅子) 등으로 발현됐다.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등에서도 다양한 사자의 형태가 발견된다. 한중일과 마찬가지로 사자를 본 적이 없기에 초기에는 인도형 사자상을 그대로 수용했지만 시간이 흐르며 현지 신화나 호랑이와 결합돼 새로운 사자들이 태어났다. 가장 최근에는 1970년대에 만들어진 싱가포르의 상징으로 사자머리에 물고기를 합성한 ‘머라이언’이 등장했으니, 사자를 모티브로 한 예술은 지금도 계속 발전하고 있다.
사자가 여전히 필요한 이유
사자상은 단순한 맹수의 재현이 아니다. 인간이 권력과 지혜, 경외와 보호의 의미를 투영해 온 상징체였다. 구석기 동굴화에서부터 고대문명의 권위, 불법(佛法)의 수호자, 현대 학문의 아이콘에 이르기까지, 사자는 시대와 지역을 넘나들며 다양한 형태로 변모해 왔다. 인간은 그 안에 힘을 투영했고, 권위를 부여했으며, 신성까지 입혔다. 정복자이며 경외의 대상이자 든든한 수호신으로 세계 각지의 사람들은 사자를 통해 자신의 소망을 표현해 왔다.
역사를 보면 현실 세계에서 권력과 지식은 사람들의 바람과 반대로 흘러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니, 사람들은 웃음 띤 인자한 사자의 모습으로 우리에게 필요한 힘과 지혜를 염원했다. 지식을 지혜롭게 발휘하지 않는다면 자칫 칼이 될 수 있기에 동서양을 막론하고 여러 종교와 문명은 고귀한 지혜의 엄정한 사용을 강조했다. 최근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지식의 독점과 오용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수천 년을 함께한 사자의 모습은 우리에게 여전히 필요하다.
728x90
반응형
'◐살아가는 행복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빵언니’의 은퇴사엔 어떤 내용이 담겨야 할까[유상건의 라커룸 안과 밖] (0) | 2025.04.22 |
---|---|
“장례도 간소하게”…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 절차는[교황 선종] (0) | 2025.04.22 |
이국종 "탈조선해라" 발언에…이준석 "나라 상황 냉정하게 따져봐야" (0) | 2025.04.16 |
‘이게 바로 산속에서 사는 맛’ 산길도 눈에 막히면 세상과 단절된 곳에 사람이 산다|엄동설한에도 담담히 오지의 삶을 살아가는 이들|고립무원에서 만나는 겨울 (0) | 2025.04.13 |
삼성제약 : 혈당/혈압/눈건강/혈행 솔루션 골드 (0)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