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해동유선록 海東儒先錄]
요약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수항이 조선 성종 때부터 인조에 이르기까지 활약한 명현들의 사적과 언행 등을 발췌하여 편찬한 사적기. 언행록.
내용
4권 4책. 필사본.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저자가 젊었을 적에 쓴 자필본으로, 권별로 수록된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권1에 김굉필(金宏弼)·서경덕(徐敬德)·정여창(鄭汝昌)·조광조(趙光祖), 권2에 김안국(金安國)·정붕(鄭鵬)·김정(金淨)·김정국(金正國), 권3에 이언적(李彦迪)·성수침(成守琛)·이황(李滉), 권4에 송인수(宋麟壽)·성운(成運)·유항(柳恒)·조식(曺植)·성제원(成悌元)·김인후(金麟厚)·이중호(李仲虎)·홍인우(洪仁祐)·민순(閔純)·서기(徐起) 등 모두 22인을 선별, 수록하였다.
체재는 대부분 이들의 문집의 행장·신도비명·묘갈명·가장 중에서 1, 2편씩 발췌해 싣고, 남효온(南孝溫)이 편찬한 『사우명행록(師友名行錄)』, 이정(李楨)의 『경현록(景賢錄)』, 어숙권(魚叔權)의 『패관잡기(稗官雜記)』를 포함한 40여 종의 문헌에서 그들의 언행에 관한 기록을 단편적으로 채집한 유사(遺事) 등을 수록하였다.
또, 수록된 글의 저자 및 인용한 문헌의 출전 등을 명시하였다. 예를 들면,
정여창의 기록에 중국의 사신 장녕(張寧)이 그의 이름을 해설한 「명설(名說)」과 1492년(성종 23) 조효동(趙孝仝)이 그를 천거하면서 올린 「천학행소(薦學行疏)」 등을 수록하는 등 특색을 갖추고 있다.
한편, 이 책은 남공철(南公轍)이 1822년(순조 22)에 편찬한 『고려명신전(高麗名臣傳)』이나 이존중(李存中)의 『국조명신록(國朝名臣錄)』 등보다 내용면에서 빈약하지만, 시기적으로는 이들 두 책과 김육(金堉)이 만년에 편찬한 『국조명신록』의 이본(異本)보다 앞서 편찬된 것으로, 서지적으로 참고가 된다.
또한, 1570년(선조 3) 유희춘(柳希春)이 왕명에 의해 편찬한 『국조유선록(國朝儒先錄)』보다 많은 인물들의 전기를 수록하고 있다.
...........................
朗山先生文集 李垕 (1870~1934) 善載(선재) 朗山(낭산) 全州(전주) 거주지 : 永川(영천)
答鄭道汝 淵昌○戊辰(1928)
山石集 金顯玉 (1844~1910) 豊五(풍오) 山石(산석) 金海(금해) 거주지 : 山淸(산청)
山石集 金顯玉 山石集卷之四 跋 跋鄭道汝家莊文獻公實記
薇山遺稿 鄭煥周 (1833~1899) 命新(명신) 薇山(미산) 河東(하동) 거주지 : 咸陽 介坪(함양 개평)
十三世孫在箕。煥輔子。蔭郡守。子直鉉。國鉉文應敎。庶子鳳鉉檢書。
임헌회(任憲晦) 1811년(순조 11)~1876년(고종 13)
鼓山先生續集卷之一下 / 題跋 / 家學表章演解跋 乙亥(고종 12 1875 을해 光緖 1 65)
薇山遺稿 鄭煥周 (1833~1899) 命新(명신) 薇山(미산) 河東(하동)
閔璣容 1824 1885 閔璣植 驪興 仲浩 鳳里
728x90
반응형
'★역사의 향기를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회 충청유교 국제포럼_자료집 (0) | 2022.08.26 |
---|---|
●호성선무청난삼공신도감의궤(扈聖宣武淸難三功臣都監儀軌) (0) | 2022.08.22 |
●國朝儒先錄序-靑蓮先生集一 / 序 (0) | 2022.08.20 |
성주이씨(星州李氏) 형보(衡輔)의 부인 해평윤씨(海平尹氏1660~1701) 服飾 : 해평윤씨 유물 수습 경위와 성주이씨 이형보의 가계 (0) | 2022.08.18 |
※배신자/반역자, 화천군 심정 무덤! (0) | 2022.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