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절대 우연 아냐” 동시다발 ‘산불’ 이상하다 했더니…놀라운 분석 결과[지구, 뭐래?]
①불이 난 것은 인간의 영역. 하지만 산불 피해를 키운 원인은 ‘지구온난화’인 것으로 지목됐다. ②산불의 경우 인간의 실화로 인해 벌어지는 경우가 대다수다.
김광우 님의 스토리 • 25.03.31.18:00 •

25일 경북 의성군 고운사 주차장에서 바라본 주변 산들이 불타고 있다. [경북도 제공]
[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갑자기 전국으로 번진 산불, 왜?”
온 국민을 충격에 빠트린 역대 최악의 ‘지옥불’. 그것도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난 산불 피해가 ‘우연’이 아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①불이 난 것은 인간의 영역. 하지만 산불 피해를 키운 원인은 ‘지구온난화’인 것으로 지목됐다. ②산불의 경우 인간의 실화로 인해 벌어지는 경우가 대다수다. 점차 따뜻하고 건조해지는 날씨 탓에, 산불이 번지기 좋은 산림 환경이 조성된 것이다.
실제 한반도 일부 지역의 경우 1년 중 산불에 취약한 날이 150일 수준으로,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10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대형 산불이 더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다.

경북 의성군 산들이 불타고 있다.[연합]
그린피스는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김형준 교수팀에 산업화 이전 대기 상태의 지구와 현재 지구 간의 산불 위험지수(Fire Weather Index, FWI) 차이를 연구 의뢰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국내 산불 위험일은 산업화 이전 대비 연간 최대 120일 증가했다. 또한 전국 평균 산불 위험지수는 10% 이상 늘어나, 산불 발생 가능성이 확대된 것으로 분석됐다.
산불위험지수는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을 지수나 등급으로 나타낸 수치다. 그린피스는 이번 연구가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이 산불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진행했다.

26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 가운루를 비롯한 건물들이 전날 번진 산불에 모두 불에 타 흔적만 남아 있는 가운데 한 스님이 현장을 지나가고 있다. [의성=이상섭 기자]
구체적으로 남부에 위치한 소백산맥 인근의 경우 산불 위험지수가 20을 초과하는 날짜가 1년 중 최대 151일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업화 이전의 14일에 비해 10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산불에 취약한 날이 급속도로 증가했다는 얘기다.
실제 평균적으로는 남한 전 지역에서 산불에 취약한 시기가 일찍 시작하고 늦게 끝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은 산불 위험지수가 20이 넘는 날이 기존 2월 마지막 주에서 첫째 주로 빨라졌다. 전남, 충북, 대전, 대구 역시 4월에서 3월로 위험시기가 앞당겨졌다.

지난 29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 일부가 산불에 폐허가 돼 있다.[연합]
산불 위험지수의 강도 또한 남한 전 지역에서 증가했다. 연구에 따르면 산불 위험 기간에 해당하는 3·4·10·11월 산불 위험지수는 전국적으로 평균 10% 이상 증가했다. 특히 충청, 전라, 경북 등 중남부 지역에서 경향이 두드러졌다.
산불의 경우 인간의 실화로 인해 벌어지는 경우가 대다수다. 하지만 발생한 불이 대형 산불로 번지는 데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이 크다. 기온 상승으로 고온 건조한 기간이 길어질 경우, 산불의 피해 지역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산업화 이전과 이후 시나리오에서의 차이는 온실가스 배출과 그에 따른 대기·기후 변화”라며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변화가 전반적으로 산불 위험 강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시작일은 앞당기고 종료일은 늦췄다”고 설명했다.

30일 경북 안동체육관에 마련된 산불대피소에서 이재민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연합]
예컨대 온난화로 인해 산불 취약 최대 일수를 기록한 곳은 이번 산불의 피해가 가장 컸던 경북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도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경북 지역에서만 총 26명의 사망자를 포함해 59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산불영향 구역은 경북에서만 축구장 약 6만3245개 크기에 달했다.
실제 지구온난화로 인한 강수량 감소 등 현상도 눈에 띄게 나타났다. 경북 지역의 올해 겨울철 누적 강수량은 21㎜로 전국에서 가장 적었다. 기상 관측이 시작된 1973년 이후 역대 세 번째로 적은 수치다. 예년에 비해 눈이 적게 내리며, 마른 산림이 땔감 역할을 한 셈이다.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5일째 이어지면서 산불로 인한 사망자가 16명으로 늘어난 가운데 26일 안동시 임동면 가랫재길에 한 야산에 진화되지 않은 잔불에서 연기가 나고 있다.[안동=이상섭 기자]
전반적인 산불 발생 빈도도 잦아지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1990년대 기준 산불 발생일은 연평균 104일에 불과했으나, 2020년대에 들어 171일로 64%가량 늘어났다. 산불 조심 기간이 아닌 기간에 발생한 산불도 1990년대 10%대에서 최근 10년간 28.3%로 늘었다.
심혜영 그린피스 기상·기후 선임연구원은 “산불은 폭염, 폭우, 태풍 등 다른 기후재난과 달리 인간 실화로 발생했다는 점에서 기후변화와 연관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았다”면서도 “기후변화로 인한 고온건조 기후로 산불이 대형화됐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그린피스는 김 교수팀과 함께 후속 연구로 지구 평균온도 상승 시나리오별 산불 위험도를 비교·분석할 예정이다. 해당 연구는 1.5도, 2도, 4도 상승했을 때 산불 위험도를 모의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최종 결과는 올 하반기 중 발표된다.

지구뭐래

삶의 터전 잃은 이재민들 “떠나겠다”… 마을 통째 사라질 위기
- [상처 남긴 최악 산불]
- “집-밭 다 탔는데 뭐 먹고사나”… 자식들 있는 도시로 이주 고민
- 귀농인 30%도 도시로 유턴 의사… 인구소멸 위험지역 가속화 우려
- 전문가 “정부가 재정착 지원해야”
“부모님 젊었을 적부터 70년 살아온 집인데 호미 자루 하나 안 남기고 다 타뿌따. 정부 지원이 없으믄 이 동네는 더는 뭐 살아갈 길이 없어. 먹고살 길이 없는데 자식들 있는 데로 가든가 대구로 나가든가 해야지. 다 떠나야지.”
31일 경북 영양군 석보면 상논실마을에서 만난 산불 이재민 최윤기 씨(65)는 집과 농작지 1500평이 모두 불에 탔다고 했다. 21일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25일 영양까지 번지면서 이 마을 주택 22채 중 15채가 전소됐다. 최 씨는 “어르신들도 자식 사는 곳으로 뿔뿔이 흩어지게 될 상황”이라며 “마을 자체가 사라지게 생겼다”고 씁쓸해했다.
● 이재민들 “먹고살 게 없으니 떠나”
남부 산불의 큰불은 꺼졌지만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 중 일부는 지역을 떠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이들은 “집도 밭도 사라졌는데 먹고는 살아야 하지 않겠느냐”며 “여기서 뭘 해서 먹고살겠나”라고 되물었다. 상논실마을에서 만난 한 이재민은 “남아 있는 게 몸밖에 없다. 대피할 때 가져나온 차와 몸이 전부”라고 말했다.
지난달 30일 취재팀이 경북 의성군 단촌면 병방리에서 만난 주민 김규환 씨(68)는 2억3000만 원을 들여 4500평에 달하는 고추, 마늘 농사를 지었지만 이번 산불로 전소됐다. 그는 “정부 대책은 시간이 오래 걸려 다른 도심으로 옮겨갈까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경북 영덕군 영덕읍에서 만난 마을 이장은 “피해를 입은 150여 가구 중 10가구 정도는 대도시로 옮겨가시지 싶다. 아무리 정이 든 동네라고 하더라도 집 없이 살 수가 있냐”고 말했다. 김해춘 안동시 고곡리 이장은 “집을 새로 지어도 있던 자리보다 여건이 좋은 대도심에서 시작하는 게 낫다는 어르신들이 계시다”라고 말했다.
● 도시서 온 귀농인들, 다시 도시로
지역에 연고가 없이 정착했던 귀농인들은 다시 도심으로 옮겨가려는 경우가 노인들보다 많았다. 3년 전 경북 청송군 후평리에 귀농해 사과 농사를 짓다 이번에 모두 잃은 류영우 씨(59)는 “희망찼던 귀농의 꿈이 하루아침에 지옥으로 변했다”며 “단 하루도 더 이곳에 있고 싶지 않다”고 했다. 그는 과거 잠시 살았던 인천으로 돌아갈 계획이다. 김형동 경상북도 귀촌귀농연합회장은 “피해 지역에 사는 귀농귀촌인 약 100명 중 30명 정도가 귀도(도시로 돌아감) 의사를 밝힌 상황”이라며 “산불이 비켜간 김천 등에서도 ‘겁이 나서 방을 내놓고 다시 서울로 가려 한다’는 분들이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 반복되는 재난마다 특단의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이 같은 인구 유출이 가속화될 거란 우려도 나온다. 한국고용정보원 자료에 따르면 이번 산불 피해가 컸던 경북 의성, 안동, 영양, 청송, 영덕은 인구 유출로 인해 지역 소멸 위험이 큰 ‘고위험 지역’으로 나타났다.
● 전문가들 “일자리-주거 지원 늘려야”
경북 의성군 단천면 두계리에 사는 박모 씨(66)도 “시골 마을에서는 상대적으로 젊은 우리 60대들은 마을을 지키겠지만, 더 나이가 많은 어르신들은 집을 잃은 경우 요양병원으로 옮기는 분들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지역으로 이주할 여건이 안 되는 이재민들은 “돈이 없어서 이주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며 “시내는 집세도 비싸서 엄두가 나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전문가들도 산불 피해가 지역 인구 유출과 인구 소멸로 이어지지 않도록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순둘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이재민들이 언제까지나 임시 대피소나 학교에서 지낼 순 없다”며 “생계를 도모할 수 있도록 일자리와 주거 지원 등을 늘려 재정착을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31일 국가트라우마센터에 통합심리지원단을 구성하고 대형 산불로 재난을 경험한 국민을 대상으로 심리 지원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피해 농업인의 농업 재개를 위해 볍씨를 무상 공급하고 과수 묘목이 우선 공급될 수 있도록 민간업체와 협의할 계획이다.
지방소멸 위험지수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고령 인구로 나눈 값. 해당 지역의 인구 소멸 위험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0.5 이하면 소멸 위험에 진입한 것으로 본다.
영덕=임재혁 기자 heok@donga.com
영양=조승연 기자 cho@donga.com
의성-전남혁 기자 forward@donga.com
세종=김수연 기자 syeo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728x90
반응형
'★대한민국이여! 영원하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성동 “감히 대통령 운운, 짐 싸서 떠나라”…윤 사단고위관료 이복현 저격! (0) | 2025.04.03 |
---|---|
남로당 제주도당 골수당원 김달삼, 제주4·3폭동사건 (1) | 2025.04.01 |
한화에어로, 11조원 투자…7.4조원 현금·차입+3.6조원 유상증자 (0) | 2025.03.31 |
비법률가의 李항소심 판결문 독후 소감[핫이슈] (0) | 2025.03.31 |
박지성 이후 이런 한국 슈퍼스타는 없었다...우승복 미친 이강인, 리그 2연패까지 단 1점→PSG와 5번째 트로피 유력! (2)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