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요양행성(遼陽行省, 요양등처행중서성 | 遼陽等處行中書省 )■
『원사』 지리지에 따르면 요양행성 아래에는 7로(路, 총관부), 1부(府)와 그 아래 12속주, 10속현이 있었다.
3.1. 요양로(遼陽路)
3.2. 광녕부로(廣寧府路)
3.3. 대녕로(大寧路)
3.4. 동녕로(東寧路)
3.5. 심양로(瀋陽路)
3.6. 개원로(開元路)
3.6.1. 함평부(咸平府)
3.7. 합란부 수달달등로(合蘭府水達達等路)
1. 요양로(遼陽路)
금나라가 요양부(遼陽府)를 설치하고 곧 '동경요양부'로 고쳐 불렀으며 아래에 의주(宜州), 등주(澄州), 복주(復州), 개주(蓋州), 심주(審州), 귀덕주(貴德州), 광녕부(廣寧府), 내원군(來遠軍) 등을 뒀다. 원나라 초에 귀덕주, 등주, 복주, 내원군을 폐지하고 광녕부, 파사부(婆娑府), 의주(懿州), 개주에 로(路)를 설치해 성(省)의 직할지로 예속시켰다. 지원 6년(1269) 동경총관부가 설치되자 광녕을 분리해 예속시켰으며, 지원 15년(1278) 광녕이 분할되고 17년(1280) 파사부, 의주, 개주를 내속시켜 지원 24년(1287) 비로소 행성이 된다. 지원 25년(1288) 동경을 요양로로 개칭했으며 파사부는 폐지되고 순검사(巡檢司)가 된다. 하위 행정구역으로 1현 2주가 있었다.
-
현
-
요양현(遼陽縣)
-
-
주
-
개주(蓋州)
-
의주(懿州)
-
2. 광녕부로(廣寧府路)
금의 광녕부였는데 땅이 멀어 임황으로 치소를 옮겨 총관부를 세운다. 그러나 단독 총관부로 유지하기에는 인구수가 적었고 지원 6년(1269) 동경로총관부의 속군으로 격하된다. 지원 15년(1278) 다시 광녕로로 독립해 나왔다. 하위 행정구역으로 2현이 있었다.
-
현
-
여양현(閭陽縣), 삭평현(望平縣)
-
-
주
-
조주(肇州)
-
3. 대녕로(大寧路)
원래 해부(奚部)로 요나라 때의 중경대정부. 몽골 제국 초기에 북경로총관부를 만들고 산하에 10주를 뒀는데 시간이 흐름에 따라 10주의 구성에 변동이 있었다. 지원 7년(1270) 북경에서 대녕으로 이름을 바꿨다. 25년(1288) 잠시 무평로(武平路)로 이름이 바뀌는데 곧 대녕으로 되돌린다. 연우 4년(1317) 요양행성에 예속됐다. 4월 하위 행정구역으로 1사 7현 9주가 있었다.
-
-
녹사사(錄事司)
-
- 사
-
현
-
대정현(大定縣), 용산현(龍山縣), 부서현(富庶縣), 화중현(和眾縣), 금원현(金源縣), 혜화현(惠和縣), 무평현(武平縣)
-
-
주
-
의주(義州)
-
흥중주(興中州)
-
서주(瑞州)
-
고주(高州)
-
금주(錦州)
-
이주(利州)
-
혜주(惠州)
-
천주(川州)
-
건주(建州)
-
4. 동녕로(東寧路)
이전에는 고려 서경으로, 고려인 이연령(李延齡), 최탄(崔坦) 등이 1269년(몽골 지원 6년, 고려 원종 10년) 갖다바쳤다. 지원 8년(1271) 서경에서 동녕부로 고쳐 불렀고, 13년(1276) 동녕로총관부로 승격된다. 실제로 돌아가던 하위 행정구역은 1사(司) 뿐으로, 나머지는 성(城)이 막혀 폐지됐고 설치된 관사(司)도 남아있지 않아 이름만 남아있었다. 고려에 반환된 뒤에도 요양로로 옮겨져 이름은 유지됐다.
-
사
-
녹사사(錄事司)
-
-
이름 뿐인 행정구역
-
토산현(土山縣), 중화현(中和縣), 철화진(鐵化鎮)
-
도호부: 당 시기 설치된 도호부의 명칭이 그대로 남아있지만 실제 행정구역으로 기능하지 않았다.
-
정원부(定遠府)[3]: 곽주(郭州), 무주(撫州), 황주(黃州), 영주(靈州), 자주(慈州), 가주(嘉州), 순주(順州), 은주(殷州), 숙주(宿州), 덕주(德州), 창주(昌州), 철주(鐵州), 태주(泰州), 개주(价州), 삭주(朔州), 선주(宣州), 성주(成州), 희주(熙州), 맹주(孟州), 연주(延州), 운주(雲州)
-
-
5. 심양로(瀋陽路)
본래 읍루의 땅으로 발해에서 정리부(定理府)를 설치한 곳, 즉 연해주였는데 오늘날의 심양이 있는 지역으로 옮겨졌다. 고려인 홍복원(洪福源)이 서경에서 반란을 일으켜 그 무리를 이끌고 원에 귀부했는데, 홍복원을 고려군민만호에 제수하고 요양 심주에 옮겨 살게 한다. 중통 2년(1261) '안무고려군민총관부(安撫高麗軍民總管府)'로 개칭되고 질자 왕준(王綧)이 안무고려군민총관에 임명돼 심주를 다스린다. 원정 2년(1296) '심양등로안무고려군민총관부(瀋陽等路安撫高麗軍民總管府)'로 또 개칭되며 하위에 총관 5인, 천호 24인, 백호 25인이 있었다.
6. 개원로(開元路)
옛 숙신의 땅으로 수당시대에는 흑수말갈의 근거지였다. 몽골 제국 아래서 개원만호부(開元萬戶府), 남경만호부(南京萬戶府)가 세워졌으나 지원 4년(1267) 요동로총관부가 설치된다. 23년(1286) 개원로총관부로 개칭하고 하위에 함평부(咸平府)를 뒀는데, 곧 여러 부로 분할돼 요동도선위사(遼東道宣慰司)에 예속된다. 이성계의 조상들이 천호장을 지낸 오동이 바로 이곳 개원로에 속했다.
6.1. 함평부(咸平府)
옛 고구려의 땅. 함평이라는 이름은 요나라가 발해를 멸망시키고 그 유민이 거주하도록 한 함주(咸州) 안동군(安東軍) 함평현에서 유래했다. 금나라에서 함평현으로 승격되고 하위에 6현이 있었으나 모두 폐지됐다. 처음에 개원로에 속했던 것은 이 때문이다.
7. 합란부 수달달등로(合蘭府水達達等路)
텅 빈 넓은 땅에 사람들은 흩어져 살았다. 처음에는 도온(桃溫), 호리개(胡里改), 알타련(斡朵憐), 탈타련(脫斡憐), 패호강(孛苦江)의 다섯 군민만호부가 관사를 두고 혼동강(混同江, 송화강) 남북을 다스렸다. 주민은 모두 수달달, 여진족으로 구성됐다.
합란부는 동여진이 거주하던 지역으로 고려와의 경계다. 고려 예종이 함주성을 쌓았다가 포기하고 여진족에게 반환했다. 지정 16년(1356) 공민왕이 쌍성총관부를 공격하고 합란부로 진출해 점거한 이래 고려에 예속됐다.
4. 역대 재상
괄호 속의 연도는 재임기간을 뜻한다.
4.1. 좌승상
-
하산(阿散) (1309~?)
4.2. 평장정사
4.3. 우승(右承)
4.4. 좌승(左承)
-
일리사카(亦兒撒合) (1286~?)
-
바이테무르(伯帖木兒) (1330~?)
-
국왕(國王) 타알지(朵兒只) (1338~?)
-
바이살릭(伯撒里) (1347~?)
-
기바얀부카(奇伯顏不花) (?~?)
-
교교(咬咬) (1355~1356, 1357~1359)
-
초스칸(搠思監) (1359~1362)
-
예수(也速) (1362~?)
-
에센부카(也先不花) (?~?)
4.5. 참지정사
728x90
반응형
'★역사의 향기를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나라 제1대 태조~5대 세조 가계도설명▣ (4) | 2024.03.28 |
---|---|
■고려(원간섭기)에 합단적(哈丹賊), 카다안(哈丹)의 침입(侵入)!■ (1) | 2024.03.26 |
■연기대첩비전문(燕岐大捷碑全文)■ (4) | 2024.03.22 |
▣원나라의 일본 1,2차 원정▣=元日戰爭= (3) | 2024.03.22 |
◈광개토대왕비문(廣開土大王碑文)전문(全文)◈ (0) | 2024.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