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陽人문화유적❀

▣한양 조씨 문집▣

by 晛溪亭 斗井軒 陽溪 2023. 1. 14.

https://youtu.be/n3E3l1gdJaw

 https://youtube.com/@user-eg8zu9sv6u 

 

오프더레코드

정치 씬의 뒷이야기, 설상미 기자와 최병현 실장이 3040 시선 그대로 가감없는 질문을 던집니다. 알고싶은 정치의 사생활, 매주 수요일 7시 유튜브 오프더레코드

www.youtube.com

 

◐-심곡서원(深谷書院) 강당기(講堂記) - 송시열/송자대전143권◑

지난 인종(仁宗)ㆍ명종(明宗) 두 조정(朝廷) 이래로 선생(靜庵 趙光祖)의 도(道)가 세상에 크게 밝아져서 비록 부인네나 아이들까지도 그의 이름을 외고 그의 덕을 칭송(稱頌)하지 않는 자가 없었으며, 그 후에는 비록 말을 잘하는 선비가 있어도 다시는 말을 덧붙일 수 없게 되었다. 오직 태학(太學) 유생(儒生) 강유선(康惟善.1545년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상소하여 정암의 신원 복작을 호소하여 관철시켰다)의 소장(疏章)이 바로 원한(寃恨)을 풀고 도를 밝힌 첫 번째의 문자(文字)였으나, 선생의 연원(淵源)을 논한 것은 의심스러운 바가 있다. 그가 포은(圃隱. 鄭夢周)을 동방 이학(理學)의 조종(祖宗)으로 삼은 것은, 대개 포은이 맨 처음 정주(程朱)의 학설로 우리나라를 계도(啓導)했는데, 그가 종횡(縱橫)으로 설화(說話)한 것이 이학에 부합하여 어김이 없었으니, 그를 이학의 조종이라 이른 것이 어찌 당연하지 않은가. 그런데 야은(冶隱. 吉再)이 포은한테서 전해 받은 학문을 사예(司藝) 김숙자(金叔滋)가 그의 아들 점필재(佔畢齋. 金宗直)에게 전수(傳授)해서 김 문경공(金文敬公. 한훤당 金宏弼)에게 내려왔다가 드디어 선생에게 미쳐 왔다는 것은, 바꿀 수 없는 정론(定論)이 되지 못한 듯하다. 선현(先賢)이 주고받은 계통(系統)을 후학(後學)이 감히 논의할 바 아니나, 여러 노선생(老先生)의 언론(言論)과 선생의 풍지(風旨)로써 본다면, 중간 두어 분은 다만 그 단서(端緖)를 계발(啓發)했을 뿐이고, 오직 문경공(김굉필)에게서 수학(受學)했음만이 속일 수 없는 일이다.

대개 선생은 특출한 자질을 가지고 문명(文明)한 기회를 만나서 스승으로부터 전해 받은 것 없이 홀로 도의 묘리(妙理)를 깨쳤다. 염락관민(濂洛關閩. 주돈이, 정호, 정이, 장재, 주희 등의 출신 지명을 따서 붙인 이름)의 학문을 말미암아서 위로 《대학(大學)》ㆍ《논어(論語)》ㆍ《맹자(孟子)》ㆍ《중용(中庸)》의 논지(論旨)를 구했는데, 규모가 정대(正大)하고 공부가 엄밀(嚴密)하여 순수한 성현의 도이고 제왕(帝王)의 법이었다. 비록 한 시대에 시행되지는 못했으나, 후세에 전해서 더욱 오래되어도 폐단이 없을 만하였다. 아, 이것이 어찌 인력(人力)의 간여할 바이겠는가. 하늘이 실상 계시(啓示)한 것이다. 조정에서 이미 문묘(文廟)에 종사(從祀)토록 했으니, 그를 보답함이 매우 지극하였다. 그런데 서울과 외방 선비들이 또 그의 무덤 곁에 사당(경기도 용인 소재 심곡서원)을 세우고 신위를 봉안했으나, 강당(講堂)은 미처 짓지 못하였다가 그 후에 장보와 진신이 다시 의논하고 재목(材木)을 모아, 기해(1659)년 3월에 시작해서 신축(1661)년 2월에 준공하였다.

이리하여 공부하고 휴식하는 장소가 대략 완비되었다. 선생의 5대손인 지금 삼수 군수(三水郡守) 위수(渭叟)가 여러 학생을 위해서 나에게 기(記)를 청했다. 나는 이렇게 생각하였다. 선생이 우리나라에 탄생한 것은 염계(濂溪. 주돈이)가 송나라에 태어난 것과 같다. 어찌 반드시 구슬을 꿰듯이 차례로 주고받아야만 이 도학(道學)의 전통(傳統)이 되는 것이랴. 무릇 후인으로서 이 강당에 오르는 자는 한갓 선생의 용색(容色)과 성음(聲音)만을 상상하지 말고 반드시 선생의 학문한 바를 강구(講究)해야 할 것이다. 대저 선생의 학문은 가깝게 정주(程朱) 학문의 정맥(正脈)을 종주로 삼고 위로 수사(洙泗.공자의 연원을 일컬음)의 오묘한 지의(旨意)를 구한 데에 불과하였다. 대저 입에서 나와 귀로 들어왔으나, 이름만 있고 실상이 없는 것은 선생이 매우 부끄러워하던 바였는데, 하물며 겉으로 화려하게 꾸미는 버릇이겠는가.

일찍이 들으니, 서원을 설치한 것은 송나라 때에 가장 성했고, 서원에서 공부하는 선비를 권장(勸奬)한 말로는 장남헌(張南軒. 張栻)의 악록기(岳鹿記)만큼 구비한 것이 없다 한다. 세밀(細密)하기로는 음식(飮食)ㆍ기거(起居)의 절차. 비근(卑近)하기로는 어버이를 섬기고 형을 따르는 실상과, 현미(玄微)하기로는 천리와 인욕의 즈음까지 거론하지 않은 것이 없으니, 따로 할 말이 없다고 이를 만하다. 그런데 회옹(晦翁. 주자)은 오히려 ‘하학(下學)들의 공부에 대해서는 궁구하지 못했다.’ 하여 반드시 발(發)하기 전에 수양하고 발하는 즈음에 살펴서 선(善)은 확충(擴充)시키고 악(惡)은 이겨서 없애도록 하였다. 대저 두 부자(夫子)의 설은 곧 선생이 복습(服習)해서 받아들였던 것이다. 그렇다면 선생의 학문을 구하고자 하는 자는 이것을 버리고는 딴말이 있을 수 없다.

선생의 유사(遺事)로서 여러 글에 빠진 것이 있다. 선생이 문경공(한훤당)을 따라서 희천(煕川)에 갔을 때 나이가 겨우 17세였다. 문경공이 맛좋은 음식 한 가지를 구해서 모부인(母夫人)에게 보내려고 하는데 간수하는 자가 소홀히 하여 솔개가 움켜가 버리므로 문경공의 꾸중 소리와 기색이 자못 엄숙하자 선생이 앞에 나아가서, “선생께서 봉양하려는 정성은 진실로 지극하지마는, 군자(君子)의 말과 기색은 잠시라도 함부로 해서는 안 됩니다.”

하므로, 문경공이 듣고 자신도 모르게 무릎으로 걸어서 선생의 손을 잡으면서,
“내가 너의 스승이 아니고, 네가 실상 나의 스승이다.”

하고는, 종일토록 칭찬해 마지않았다. 선생의 아름다운 자질은 진실로 고금에 뛰어났지마는, 문경공의 선에 복종(服從)하는 도량(度量) 또한 선생과 서로 계발(啓發)된 바 있었다. 희천의 고로(古老)가 지금까지 이 일을 미담(美談)으로 전하는데, 이것을 이 당에 게시(揭示)함이 마땅하므로 아울러 나타내었다.

계축(癸丑1673)년 10월 일에 은진 송시열은 쓰다.

* 이 달의 선비 정암 조선생에 대한 자료로 신도비문(노수신 찬, 1579년)을 올리려 하였으나 행장(퇴계 찬, 1564년)을 쓴 동시대의 평가 보다는 한 세기가 지난, 후 세대의 평가는 어떠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 좋을 것 같아 송시열의 강당기를 골랐습니다.

강당기를 지은 이 때(1673년)는 자신의 수제자인 윤증의 아버지이자 친구인 ‘윤선거의 묘갈문’을 지은 시기입니다.

“대저 입에서 나와 귀로 들어왔으나, 이름만 있고 실상이 없는 것은 선생이 매우 부끄러워하던 바였는데, 하물며 겉으로 화려하게 꾸미는 버릇이겠는가!”

 

돌아보면 모두가 부끄러운 일 뿐입니다!!!

▣한양 조씨 문집▣

●조혜(趙惠, ?-1464), ≪시재집(施齋集) ≫승려에게 식사를 대접하여 즐겁게 먹도록 하다. 특히 오전에 식사하는 일을 이른다.  (부전) 한평부원군(漢平府院君) 조연(趙涓) 3子. 공안공(恭安公)

●조순생(趙順生, ?-1454)·조명(趙銘, ?-1478), ≪파인실기(坡仁實紀)≫(권1 <坡西實紀>, 권2 <仁村實紀> 규장각 소장). 효충사(청원군 강내면 연정리) 배향

●조원기(趙元紀, 1457-1533), ≪조문절공유고(趙文節公遺稿)≫ 조온(趙溫) 증손. 조광조(趙光祖) 숙부.

●조광조(趙光祖, 1482-1519), ≪정암집(靜庵集)≫(庫司公 趙育 4대손), ≪국역 정암 조선생문집≫ 조인벽(趙仁璧) 5대손. 조원강(趙元綱: 魚川察訪) 아들. 서울 종로구 경운동(돈의동) 18번지 출생(낙원상가 북쪽 입구, 서울 종로구 경운동 42). 38세(1519) 유배지 능주(화순군 능주면 남정리 174번지)에서 사망.

# 趙光祖先生誕五百周紀念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정암연구논총(靜菴硏究論叢)≫(1982)

# 정암논총간행위원회, ≪정암도학연구논총≫(南陽文化社, 1999)

# 姜周鎭, ≪조정암의 생애와 사상≫(박영사, 1979)入

# 홍명희, ≪임꺽정≫

# 최인호, ≪유림1≫(열림원, 2005)

# 정찬주, ≪하늘의 도≫

# 강흥수 장편 역사소설, ≪조광조≫(크리에이트플러스)

# 서기원, ≪소설 조광조(상하)≫(유리문고, 1992)

# 서기원, ≪조광조≫(중앙일보사, 1994)

# 張都生, ≪조선 五賢의 삶과 시문학≫(정림사, 1999)

# 이종호, ≪정암 조광조: 영원한 개혁의 순교자≫(일지사, 1999)入

# 최락도, ≪우리 시대에 조광조가 있다면≫(푸른샘, 2002)

# 이상성(李相星), ≪정암 조광조의 도학사상≫(심산, 2003)

# 정두희, ≪조광조: 실천적 지식인의 삶,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아카넷, 2000)入

# 조종업 역, ≪수정재역 정암선생문집≫(경인문화사, 2004)入

# 이상성, ≪조광조, 한국 도학의 태산북두≫(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6)入

# 조기영, ≪(위대한) 개혁: 조선 최고의 개혁가 조광조≫(이치, 2006)

# 이종수, ≪조광조 평전≫(생각정원, 2016)

# 신병주, ≪조광조 평전≫(한겨레출판사, 2021)入

# 계승범, ≪중종의 시대≫(역사비평사, 2014)

# 조성일 지음, ≪개혁하는 사람, 조광조≫(시간여행, 2022)入

●조강(趙綱, 1527-1599), ≪모계집(慕溪集)≫(1904, 연세대도서관, 임동철 역, 入) 충정공파. 목천 출생. 청주 화산(花山)과 연정리(蓮亭里) 거주. 임진왜란 때 아들 조광익(趙光益), 문인 정약(鄭若) 등과 회인, 보은 등지에서 의병 활동. 은진현감 역임. 오창 송천서원, 효충사(청원군 강내면 연정리) 배향.

# 김의환, <모계 조강의 향촌사회 활동과 청주 사족의 동향>(≪조선시대사학보≫ 2005)

●조팽년(趙彭年, 1549-1612), ≪계음집(溪陰集)≫(국립중앙도서관入) 충정공파. 조세걸(趙世傑) 아들. 전의현감, 여산군수, 광산 제독관 역임. 강진(康津) 주봉서원(胄峰書院) 배향

# 김만호, <임진왜란 시기 康津 지역의 의병활동과 「金陵倡義錄」>(≪지방사와 지방문화≫ 2016)

●조위한(趙緯韓, 1567-1649), ≪현곡집(玄谷集)≫, ≪현곡집 1-2≫(안동교 역, 경인문화사, 2020, 入), ≪최척전(崔陟傳)≫ 참판 조방언(趙邦彦) 증손. 김덕령(金德齡)을 따라 종군.

# 최성윤 옮김, ≪최성윤 교수와 함께 읽는 최척전/주생전≫(서연비람, 2018)入

# 김경조 역, ≪원전으로 읽는 최척전 주생전≫(수류화개, 2022)

●조경남(趙慶男, 1570-1642), ≪산서집(山西集)≫(소장처 확인), ≪난중잡록(亂中雜錄)≫(4권 2책, 入), ≪대동야승 2: 정홍명 기옹만필, 조경남 난중잡록≫(탁양현 역, 2019) 양경공파. 의병장. 남원 주포서원(周浦書院)과 남원 의충사(義忠祠) 배향.

●조검(趙儉, 1570-1644), ≪수월일고(水月逸稿)≫(入, 구봉 이정섭 역, ≪국역수월일고≫, 2002入), ≪수월조공사적(水月趙公事蹟)≫ 영향 입향조 조원(趙源) 손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의거.

# ≪월담헌세고(月潭軒世稿)≫(英陽郡: 月潭軒世稿刊行委員會, 1998)入

1) 조임(趙任), ≪사월선생문집(沙月先生文集)≫

2) 조시광(趙是光), ≪주강문집(柱江文集)≫

3) 조성신(趙城臣), ≪염와유고(恬窩遺稿)≫

4) 조홍복(趙弘復), ≪망운집(望雲集)≫

5) 조언관(趙彦觀), ≪하담문집(荷潭文集)≫

6) 조병시(趙秉時), ≪침계문집(枕溪文集)≫

7) 조성기(趙誠基), ≪완산문집(碗山文集)≫

●조찬한(趙纘韓, 1572-1631), ≪현주집(玄洲集)≫(규장각) ≪현주집 상1-2, 하1-2≫(한국학호남학진흥원, 2020 알라딘중고), 조양정(趙楊正) 아들, 조위한 동생. 양절공파. 상주목사 역임. 장성 추산사(秋山祠) 제향. 묘소: 전북 남원시 주생면 정송리 산 10-7번지

●조임(趙任, 1573-1644), ≪사월선생문집(沙月先生文集)≫(≪월담헌세고(月潭軒世稿)≫ 번역본 수록, 국립중앙도서관, 入) 곽재우 휘하에서 의병 활동. 조원(趙源) 손자

●조우신(趙又新, 1583-1650), ≪백담집(白潭集)≫(4권 2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 入) 충정공파·절효공파(節孝公派). 함창(咸昌) 옥산리(玉山里) 출생. 정경세(鄭經世) 문인. 호서에서 고향으로 돌아옴(1598). 상주 백담(白潭) 이주. 상주 지강서원(芝岡書院) 제향. 상주시 사벌면 덕담2길 129.

●조경(趙絅, 1586-1669), ≪용주유고(龍洲遺稿)≫(23권, 학자원, 1-5)/조학윤 역, ≪용주선생문집≫(포천 한양조씨 찬성공파종회, 1992), ≪주남만록(州南漫錄)≫(학자원, 2019), ≪용주척독≫(국립중앙도서관), ≪용주간독≫(권경열 역, 동국문화, 2015), ≪용주간서≫(이병갑 역), ≪동사록(東槎錄)≫(해행총재 수록, 시), ≪동사일기(東槎日記)≫(국립중앙도서관入), ≪견성지(堅城志)≫(국립중앙도서관入), ≪漢陽趙氏族譜卷上下≫(공편) 양경공파. 조연(趙涓) 7세손. 찬성공(贊成公) 조익남(趙翼南) 아들. 목천현감(1624년 10월 임명, 1625년 봄 사직) 역임. 문간공(文簡公). 문암서원, 용연서원 배향. 청백리(1695년) 선발. 남인 4선생(尹善道, 許穆, 洪宇遠, 趙絅)

●조빈(趙贇, 1587-?), ≪서연비람(書筵備覽)≫ 호는 은성(隱星). 조공근(趙公瑾, 광주목사) 아들. 영해부사 역임

●조극선(趙克善, 1595-1658), ≪야곡집(冶谷集)≫(규장각), ≪야곡삼관기(冶谷三官記)≫(入) 양절공파. 덕산 출신. 면천군수, 온양군수 역임. 조온(趙溫) 8세손. 조증(趙璔: 예안현감)→趙允瑺(면천군수)→趙敬良→趙鵾→趙興武→趙景璡→趙克善→趙晟漢(東山遺稿). 아산 도산서원(道山書院), 예산 회암서원(晦巖書院) 배향.

# 성봉현 외, ≪17세기 충청도 선비의 생활기록: 조극선의 인재일록과 야곡일록≫(한국핟중앙연구원출판부, 2018)

●조휴(趙休, 1600-1654), ≪삼휴당유고(三休堂遺稿)≫(국립중앙도서관, 入), ≪삼휴당유집(三休堂遺集)≫(2권 1책, 1985), ≪삼휴당습고(三休堂拾稿)≫(日本 東洋文庫), ≪치한록(恥寒錄)≫(6권), ≪용강문답(龍江問答)≫(1권) 조찬한 큰아들. 모친 행주 기씨는 고봉 기대승 손녀. 장성 북일 거주. 용궁현감 역임(≪白軒集≫ 卷35 <龍宮縣監趙君行狀>)

●조중려(趙重呂, 1603-1650), ≪휴천집(休川集)≫(국립중앙도서관, 入) 누이동생이 서파(西坡) 오도일(吳道一, 1645-1703) 모친.

●조정황(趙廷璜, 1603-1672), ≪한양조씨대동보(漢陽趙氏大同譜)≫(3책)

●조비(趙備, 1616-1659), ≪계와집(桂窩集)≫(국립중앙도서관, 入) 부친 조찬한(趙纘韓)의 임소(任所)인 영천(榮川) 출생. 박세채(朴世采)의 <濟用監正趙公墓碣銘>(≪南溪集≫)

●조위봉(趙威鳳, 1621-1675), ≪녹문유고(鹿門遺稿)≫(홍기은 역, 동국문화, 2015, 入), ≪용주연보(龍洲年譜)≫(入) 조경(趙絅) 아들. 충청도 암행어사

●조성한(趙晟漢, 1628-1686), ≪동산유고(東山遺稿)≫(入), ≪용주연보≫ 조극선(趙克善) 아들. 윤선거(尹宣擧) 문인. 홍주 녹운동(綠雲洞) 동산촌(東山村) 은거

●조종저(趙宗著, 1631-1690), ≪남악집(南岳集)≫(한국고전종합DB, 入) 조중려(趙重呂) 아들. 회양부사 역임

●조유상(趙柳祥, 1634-1704), ≪이우당유고(二憂堂遺稿)≫(4권 2책, 1976, 국립중앙도서관), ≪이우당유고(二憂堂遺稿): 이우당유고선역≫(26세 趙英輝 譯, 도서출판 가산, 2019, 1028쪽) 조비(趙備) 아들

●조위명(趙威明, 1640-1685), ≪송천유고(松泉遺稿)≫(이상하 역, 용주연구회, 2013), 한국학종합DB, 入). 충청도관찰사 역임. 조경(趙絅)의 조카(趙緱, 1613-1640 아들)

●조덕순(趙德純, 1652-1693), ≪옥천집(玉川集)≫ 부록. 조군(趙頵) 아들. 충청도 도사 역임.

●조구로(趙九輅, 1654-1727), ≪이당암유고(二當菴遺稿)≫(국사편찬위원회 홍기은 역, 학자원, 2019, 入) 아산현감(아산공). 조위봉(趙威鳳) 아들. 부인은 좌의정 목내선(睦來善) 딸

●조구원(趙九畹, 1656-1710), ≪용주유고≫ 간행. 조경 손자. 아산공 동생. 충청도사(확인). 순천부사

●조백붕(趙百朋), ≪완이재유고(莞爾齋遺稿)≫(연세대 중앙도서관 5층 고문헌) 진사

●조덕린(趙德隣, 1658-1736), ≪옥천집(玉川集)≫(≪草堂世稿≫ 1, 入), ≪영양 옥천 조덕린 종가≫(예문서원, 2015入) 조연(趙涓) 11세손. 주곡(注谷: 주실) 출신. 제주 유배 도중 강진에서 사망

●조시광(趙是光, 1669-1740), ≪주강문집(柱江文集)≫(≪월담헌세고(月潭軒世稿)≫ 수록, 국립중앙도서관, 入) 영양 출신

●조지(趙禔, 1683-1757), ≪고산유고(孤山遺稿)≫ 주실

●조원승(趙元升, 1687-?), ≪유계집(幽溪集)≫ 예천군 감천면 유리 출신, 자는 진숙(進叔), 구숙(久叔), 성균진사 조봉휘(趙鳳徽)의 아들, 조원겸(趙元謙)의 동생, 조원정(趙元鼎), 조원태(趙元泰)의 형

●조원익(趙元益, 1688-1778), ≪산곡집(山谷集)≫ 감천면 산곡 한양 조씨(山谷漢陽趙氏) 입향조, 자는 백겸(伯謙), 호는 산곡(山谷), 유계 봉징(幽溪鳳徵)의 아들

●조일도(趙一道, 1695-1755), ≪개암집(皆岩集)≫ 주실

●조수의(趙守誼, 1699-1769), ≪견성지(堅城誌)≫(李世郁과 공저, 포천군 읍지, 국립중앙도서관入) 아산공(조구로) 셋째아들

●조륜(趙綸, ?-1738), ≪솔암유고(率菴遺稿)≫(규장각, 이화여대 도서관, 入)

●조규양(趙葵陽, 1706-1776), ≪둔암선생일고(鈍巖先生逸稿)≫(鈍岩集, 2권 1책, 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실) 예천 둔암정

●조보양(趙普陽, 1709-1788), ≪팔우헌문집(八友軒文集)≫(국립중앙도서관, ≪한국문집총간≫ 속79집, 퇴계학자료총서 55집), ≪골동록(汨董錄)≫ 예천군 감천면 돈산리 출신(<鈍巖亭記>). 안동 풍산 외가에서 출생

# 김용주 외 3인, ≪18세기 한 영남 남인의 지적 관심과 기록: 골동록≫(한국국학진흥원 유교문화박물관, 2011, 379쪽) 국립중앙도서관 4층 810.819-11-70=2 교보문고 중고장터

# 한의숭, <≪골동록≫소재 일화의 서술 양상과 그 의미>(≪어문론총≫ 63호, 2015)

# 황동권, <팔우헌 조보양의 <의한부(擬恨賦)>에 대하여>(≪大東漢文學≫45집)

●조운도(趙運道, 1718-1796), ≪월하집(月下集)≫(≪草堂世稿≫ 2, 入) 조덕린 손자

●조의양(趙宜陽, 1719-1808), ≪오죽재문집(梧竹齋文集)≫(국립중앙도서관入) 조보양 동생

●조진도(趙進道, 1724-1788), ≪마암집(磨巖集)≫(≪草堂世稿≫ 2, 入) 조덕린 손자. 주실

●조규운(趙奎運, 1725-1800), ≪덕림실기(德林實記)≫(국립중앙도서관入) 조팽년(趙彭年) 고손. 강진(康津) 주봉서원(胄峰書院) 배향.

●조석회(趙錫晦, 1727-1802), ≪일봉문집(一峯文集)≫(국립중앙도서관, 入) 조보양 조카

●조술도(趙述道, 1729-1803), ≪만곡집(晩谷集)≫(17권 9책, ≪草堂世稿≫ 2, 入) 조덕린 손자. 초당(草堂) 조희당(趙喜堂)의 제5자. 이상정, 김낙행 문인. 영양 주실 거주. 1776년 월록서당(月麓書堂) 건립. 도산서원 원장 역임

●조숭도(趙崇道, 1748-1820), ≪가암문집(佳巖文集)≫(4권 2책, 석판본, 1989년 影印本,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주실. 정종로 교유

●조행도(趙行道, 1749-1820), 유고집

●조거신(趙居信, 1749-1826), ≪매오집(梅塢集)≫(≪草堂世稿 3≫, 여강출판사, 1987, 入) 주실. 조진도(趙進道) 장남, 조준도(趙遵道) 출계

●조우각(趙友慤, 1754-1821), ≪창헌유고(蒼軒遺稿)≫(6권 3책, 入) 조예완(趙禮婉) 후손. 영천 거주

●조상본(趙常本, 1757-1805), ≪둔재유고(遯齋遺稿)≫(2권 1책) 양절공파. 조광조 9세손. 조사충 서자. 평택 출생. 거제도 유배. 평택 운곡사(雲谷祠) 배향(宋秉璿의 <遯齋趙公常本墓表>≪淵齋集≫)

●조수삼(趙秀三, 1762-1849), ≪추재집(秋齋集)≫(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장서각), ≪추재기이≫, ≪추재 조수삼 시선≫, ≪진주선잡존(眞珠船襍存)≫(연세대 도서관) 중국어 능통. 화가 조중묵(趙重黙) 조부

●조항복(趙恒復, 1765-1806), ≪주계유고집(注溪遺稿集)≫ 주실

●조성신(趙星臣, 1765-1835), ≪염와유고(恬窩遺稿)≫(2권 1책, ≪월담헌세고(月潭軒世稿)≫ 수록, 고려대, 한국학종합DB(入) 영양 사평리 출생

●조언유(趙彦儒, 1767-1847), ≪심재유고(心齋遺稿)≫(경인문화사, 2002, 국립중앙도서관, 入), ≪용학변의≫(李相益 역, 심산, 2006, 入) 주실(三不借: 1) 남으로부터 글을 빌리지 않는다. 2) 양자를 빌리지 않는다. 3) 돈을 빌리지 않는다.)

# 趙壎泳, ≪心齋 趙彦儒의 經學과 治心之學≫(심산, 2010)

●조성복(趙星復, 1772-1830), ≪학파유고(鶴坡遺稿)≫(≪草堂世稿 4≫, 여강출판사, 1987, 안동대 도서관) 주실. 가옹(稼翁) 조거선(趙居善) 아들. 만곡 조술도 제자.

●조홍복(趙弘復, 1773-1841), ≪망운문집(望雲文集)≫(4권 2책, ≪월담헌세고(月潭軒世稿)≫ 수록,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장서각(入) 영양 삼지리 출생. 조호신(趙虎臣) 아들. 중화(中和) 유배

●조근복(趙根復, 1782-1837), ≪송오유고(松塢遺稿)≫(국립중앙도서관, 入) 주실

●조거남(趙居南, 1789-1838), ≪고은집(古隱集)≫(≪草堂世稿 3≫, 여강출판사, 1987, 入) 주실. 조진도 넷째 아들. 이가환, 정약용과 교유

●조단복(趙端復, 1790-1859), ≪졸와유고집(拙窩遺稿集)≫ 주실. 조술도 손자

●조연복(趙淵復, 1790-1868), ≪목간문집(木澗文集)≫(한국학종합DB, 入) 주실

●조언준(趙彦俊, 1790-1854), ≪취간유고집(翠澗遺稿集)≫ 주실

●조석주(趙錫疇, 1798-1865), ≪용주연보(龍洲年譜)≫(趙威鳳과 공편, 入) 조경(趙絅) 6세손

●조병연(趙秉淵, 1801-1835), ≪용산유고(蓉山遺稿)≫(곽진 국역, 태학사, 2013 入) 주실

●조휘영(趙徽榮, 1805-1854), ≪취헌유고(醉軒遺稿)≫(국립중앙도서관 入) 예천 감천(甘泉) 거주. 예천군 감천면 중산 입향조 참판부군 조현상(趙顯常) 아들.

# ≪醉軒公 日籍: 漢陽趙公 徽榮 遺稿中≫(小白春秋, 2006)入

●조언관(趙彦觀, 1805-1870), ≪하담문집(荷潭文集)≫(5권 2책, ≪월담헌세고(月潭軒世稿)≫ 수록,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종합DB, 장서각, 入) 영양읍 삼지리 거주

●조병화(趙秉華, 1815-1873), ≪남원유고집(楠原遺稿集)≫ 주실. 조언준(趙彦俊) 아들

●조제화(趙濟華, 1816-?), 김해 가락국태조릉 <숭선전비석(崇善殿碑石)>(高宗 甲申立 許傳撰)

●조병중(趙秉重, 1819-1862), ≪심경근사강의록(心經近思講義錄)≫ 주실

●조항복(趙恒復, 1825-1866), 유고집. 정종로 문인

●조승기(趙承基, 1836-1913), ≪남주문집(南洲文集)≫(8권 4책, 한국학종합DB, 경인문화사, 1995入) 주실. 조언유(趙彦儒) 증손자

●조병시(趙秉時, 1837-1911), ≪침계집(枕溪集)≫(6권 3책, ≪월담헌세고(月潭軒世稿)≫ 수록, 국립중앙도서관, 유교넷, 入) 영양읍 사고리 출생. 조시광(趙是光) 6대손

●조영기(趙永基, 1845-1916), ≪북천록(北遷錄)≫ 주실

●조시용(趙蓍容, 1847-1893), ≪취암집(翠巖集)≫ 주실

●조진용(趙鎭容, 1849-1922), ≪소고문집(小皐文集)≫(1998, 入), 영양 주실 조종(趙琮) 후손

●조병희(趙秉禧, 1855-1917), ≪석농유고(石農遺稿)≫(≪草堂世稿 4≫ 국회도서관) 주실

●조봉원(趙鳳遠, 1855-1933), ≪방산유고(放汕遺稿)≫, ≪오로삼산유록(五老三山遊錄)≫

●조득년(趙得年, 1856-1913), ≪송계선생문집(松溪先生文集)≫(3권, 부여 趙鍾萬 소장) 부여 거주. 忠靖公派(趙仁沃)

# 박종훈, <松溪 趙得年의 儒脈의 도상화 양상 연구>(≪온지논총≫ 42집, 2015)

●조언식(趙彦植, 1857-1916), ≪손거사집(蓀居私集)≫(시 177수,入) 용주공 8대손. 조제화(趙濟華, 1816-?) 셋째아들. 포천 거주.

●조병문(趙炳文, 1858-1893), ≪옥서실기(玉西實紀)≫ 보령 옥마산(玉馬山) 서쪽 거주

●조종호(趙鍾灝, 1858-1921), ≪동몽선학(童蒙宣學)≫(入) 야곡 후손. 조인원(趙仁元) 부친

●조일원(趙一元, 1860-1950), ≪소산시집(蘇山詩集)≫(大保文化 제2집), ≪소산사집(蘇山私集)≫ 및 일기

●조순원(趙洵元), ≪심경만록(心磬謾錄)≫(入)

●조예석(趙禮錫, 1861-?), ≪반암문고(盤菴文稿)≫(入), ≪형법초(刑法草)≫(동명이인 확인)

●조화원(趙化元, 1874-1957), ≪송재실기(松齋實記)≫

●조창용(趙昌容, 1875-1948), ≪백농실기(白農實記)≫(한국독립운동사자료총서 제7집; 독립기념관, 1993, 국립중앙도서관, ≪海港日記≫ 수록) 주실. 독립운동가

# 황재문, <‘나’를 서술한 백농 조창용 산문의 성격과 의미>(≪정신문화연구≫ 2007년 겨을호)

●조철형(趙喆衡, 1876-1944), ≪벽천유고(碧泉遺稿)≫(6권) 조병규(趙炳奎) 아들

●조인석(趙寅錫), 1879-1950), ≪초경독본(初徑讀本)≫, ≪소녀필지(少女必知)≫, ≪농촌요람(農村要覽)≫ 주실. 조지훈(趙芝薰) 부친

●조성민(趙成珉, 1879-1952), ≪심산유고(心汕遺稿)≫(6권 2책, 국립중앙도서관, 入). 대덕군 기성면 수연동 거주. 독립운동가

●조헌기(趙獻基, 1881-1912), ≪매서유고(梅墅遺稿)≫(한국전쟁 분실) 주실

●조유기(趙有基, 1881-1923), 유고집. 일월면 도계리 출생. 조석운(趙錫運, 1913-1971) 부친

●조성기(趙誠基, 1886-1939), ≪완산문집(碗山文集)≫(6권 3책, ≪월담헌세고(月潭軒世稿)≫ 수록, 1986, 入) 영양군 일원면 도계리 출생

●조헌기(趙獻基, 1887-1977), ≪국역 壎篪集≫(태학사, 2015) 조진용(趙鎭容) 아들

●조형기(趙馨基, 1889-1963), ≪국역 壎篪集≫(태학사, 2015) 조진용 아들. 백부 조우용(趙寓容)에게 출계

●조환기(趙煥基, 1889-1971), ≪국역 壎篪集≫(태학사, 2015) 조진용 아들. 삼종숙 조기용(趙耆容)에게 출계

●조한원(趙漢元, 1893-1969), ≪한양조씨파보(漢陽趙氏派譜)≫(丁巳譜 天地人 3책) 용인시 수지읍 상현리

●조병옥(趙炳玉, 1894-1960), ≪민주주의(民主主義)와 나≫ 충정공忠靖公(휘 인옥仁沃)을 파조派祖, 모계공慕溪公(12세조 휘 강綱)의 8세손인 인원仁元(호적명은 택원宅元)씨가 선친.

●조헌영(趙憲泳, 1900-1988), ≪통속한의학원론(通俗漢醫學原論)≫(국립중앙도서관), ≪民衆醫術 理療法≫, ≪肺病治療法≫, ≪神經衰弱症治療法≫, ≪胃腸病治療法≫, ≪婦人病治療法≫, ≪小兒病治療法≫ ●조인석(趙寅錫, 1879-1950) 차남. 북한에서 사망

●조애영(趙愛泳, 1911-2000), ≪슬픈 憧憬≫(시조집), ≪은촌내방가사집(隱村內房歌辭集)≫(금강출판사, 1971) 조헌영 누이동생. 시조시인

●조광영(趙光永, 1916-2013), 호 해주(海舟), 경북 예천군 감천면 중산리 출신으로 한학에 밝아 조부(祖父) 조봉원(趙鳳遠)의 글을 모아 총 4권 2책의 ≪방산집(放汕集)≫(1975)을 발간하고, ≪삼호정언지집(三乎亭言志集)≫(1-2, 다운샘, 2016)을 발간했다. 이 밖에 전주유씨 효열실기 서문과 각종 기문, 묘갈명 등 많은 글을 지었다. ≪망기집(望記集)≫

●조동진(趙東振, 1917-1937), ≪세림시집(世林詩集)≫(詩苑社, 1938, 국립중앙도서관入) 조헌영(趙憲泳) 장남, 조지훈 형. 21세로 사망

●조지훈(趙芝薰, 1920-1968, 본명 조동탁, 號:지훈芝薰), ≪청록집≫, ≪한국문화사서설≫(1964), ≪한국민족문화사≫(1964), ≪標準 中學漢字語敎本≫(陽文社, 1967入) 조헌영 차남

# 趙光烈, ≪승무의 긴 여운, 지조의 큰 울림 : 아버지 趙芝薰-삶과 문학과 정신≫(나남출판, 2007)

●조병화(趙炳華, 1921-2003), 양절공파(참판공파)

●조종업(趙鍾業, 1930-?), ≪한국시화총편≫(12권, 동서문화원, 1989), ≪한문요해≫(새문사, 1989), ≪韓國詩話硏究≫(태학사, 1991) 정암문집번역서, 양절공파

●조동일(趙東一, 1939- ), ≪한국문학통사≫

●조병찬(趙炳贊), ≪우리 할아버지 고려시대 조선 초 이렇게 뛰어다녔다≫(선명인쇄주식회사, 2008)

●조기형(趙璣衡), ≪漢陽趙氏世譜文獻≫(1921)

≪漢陽趙氏文獻≫

≪한양조씨대동세보≫(총 20권, 뿌리출판사, 2003, 28만원)

≪고문서집성: 한양조씨≫(한국학중앙연구원)

≪갑신보(甲申譜)≫(嘉靖譜, 중종 19년 1524)

≪신묘보(辛卯譜)≫(효종 2년 1651)

≪병오보(丙午譜)≫(영조 2년 1726)

≪무오보(戊午譜)≫(정조 22년 1798)

≪기유보(己酉譜)≫(헌종 16년 1849)

≪갑신보(甲申譜)≫(고종 21년 1884)

●조종서(趙鍾緖) 刊編, ≪漢陽趙氏大同世譜≫(漢陽趙氏大同譜所, 1921, 국립중앙도서관) 밀양군수 역임

≪갑자보(甲子譜)≫(1924)

≪일통세보(一統世譜)≫(1926)

≪갑술보(甲戌譜)≫(1934)

≪기해보(己亥譜)≫(1959)

●趙性元 편, ≪나의 뿌리: 한양조씨 가산공파 계보약사≫(1986, 국회도서관) 149쪽

# ≪초당세고(草堂世稿)≫ 抄譯第一輯(1990, 入)

# 趙忠元, ≪한양조씨 發源과 門事探究集≫(1991)入

안동대학교 안동문화연구소, ≪영양 주실마을≫(예문서원, 2001)

# 백순철 지음, ≪대의와 지족의 표상, 영양 옥천 조덕린 종가≫(예문서원, 2015)入

한국국학진흥원, ≪한양 조씨 옥천 종택≫(한국국학진흥원 소장 ≪국학자료목록집≫ 12, 2012)

●조영휘(趙英輝,26세), ≪雙城摠管府와 永寧公 王綧 修訂增補版≫(중앙문화사, 2006) ≪이우당유고(二憂堂遺稿): 이우당유고선역≫(趙英輝 譯, 도서출판 가산, 2019, 1028쪽)

●조준호, <17-18세기 영양지방 한양 조씨의 문중 연구>(국민대 석사, 1996)

김인미, <조선 후기 포천 가채리 한양 조씨 동족마을의 형성과 운영>(한국교원대 석사, 2009)

김문식, <조선 후기 京南과 嶺南의 교류 양상-영양 주실의 한양 조씨가를 중심으로>(≪한국사상과 문화≫ 15권, 2002)

●조준호, <17-18세기 영양지방 한양 조씨의 문중 연구-사족가문의 확립과 변천의 한 사례>(≪북악사론≫ 4권, 199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