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암조광조,학포양팽손◑

정암조선생서원유지추모비

by 晛溪亭 斗井軒 陽溪 2020. 5. 9.
728x90
반응형

 

 

www.bhgoh.tistory.com/m/6938

 

정암선생서원유지추모비

(靜菴先生書院遺址追慕婢 )

학포 양팽손선생이 세운 : 죽수사(竹樹祠 )- 증리 서원지

면암 (勉菴) 최익현(崔益鉉 , 1833~1906)1885년3월,

1905년 세울시 음기는 송병순(宋秉)이 썼다.

제주양씨 문중의 희암(希菴) 양재경(梁在慶:1859~1918)의 주선으로 1905년 세움.

학포 양팽손 (學圃 梁彭孫 ) 1488-1545, 본관은 제주 (濟州 )선생이 세운 : 죽수사 (竹樹祠 )- 증리 서원터

위치-서원터() :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 232

(도로명)전남 화순군 이양면 서원동길 158-3

위치 : 화순군 이양면 증리 : 당산느티나무 정미소 아래의 논뚜렁에 나시 옮김. 이양면 증리 260

(서원말 / 버스정류장위 당산느티나무 우측 정미소:농협창고, 아래 논두렁에 위치)

서원말 일명 서원태

조대감골, 초장지(初葬址, 시신을 묻은 장소 : 증리 189 번지 근방)

건립연대 1885 규모 총높이:1.00m 비높이:1.00m 넓이:0.39m 두께:0.17m

주관자 : 제주인 희암(希菴) 양재경(梁在慶:1859~1918) 1905년 세움.

 

정암조선생학포양선생죽수서원유지추모비

(靜菴趙先生學圃梁先生竹樹書院遺址追慕碑 )

제주양씨 문중의 희암(希菴) 양재경(梁在慶:1859~1918)의 주선으로 주관으로 1910後學 동옥(東玉) 송병순(宋秉珣)이 기록하고 安格이 썼다. 죽수서원에 세움. (전남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 산 15-3)

 

◎중수죽수서원기 : 조찬한이 찬한 중수기.

조광조신도비 : 노수신이 찬한 정암조광조의 신도비.(노수신문집 소재집)

양팽손신도비 : 홍량호가 찬한 학포양팽손의 신도비.(홍양호문집 이계집)

 

 

ttps://bhgoh.tistory.com/search/정암선생초장지  ttps://bhgoh.tistory.com/7198

南道 정자기행(433)- 한후정(寒後亭) 정자詩로 만난 인물-오준선(吳駿善)

 

♠석인碩人이 간반澗畔에 은거하니/푸른빛이 정원을 둘렀도다

눈속에 곧은 자태 빼어났고/바람앞에 일운逸韻이 맑도다

찬 매화는 귀한 바가 아니고/서리 국화도 도리어 가벼웠어라

홀로 세한歲寒 빛을 간직했으니/미간楣間에 성훈聖訓이 밝게 걸렸네

 

●碩人在澗陸 蒼翠繞園成

雪裡貞姿秀 風前逸韻淸

臘梅非所貴 霜菊較還輕

獨保歲寒色 楣間聖訓明

 

이 시는 구한말 광산지역을 근거로 활발하게 무장투쟁을 벌인 의병의 스승으로 의병들과 문도들의 정신적 지도자의 삶을 살았던 오희도(吳希道)의 후손인 후석 오준선(後石 吳駿善 1851~1931)이 화순군 쌍봉리 마을 뒷산 대숲에 자리한 양팽손의 후손 희암(希菴) 양재경(梁在慶)의 정자 한후정(寒後亭)에서 지은 것이다.

 

●겨울에 솔의 뜻을 쌍봉리 한후정 (寒後亭)

◎지번명)전남 화순군 이양면 쌍봉리 725 ●도로명)전남 화순군 이양면 쌍봉길 27-11

●한후정(寒後亭) 양재경(梁在慶, 1859-1918)

❀敬以直內❀ ❀義以方外❀

"경으로써 마음을 곧게하고, 의로써 행동을 반듯하게 해야 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