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사 계 화[四 季 花]♣
●장미과에 속한 낙엽 활엽 관목(중국쪽에 자생한다)
제35영 斜簷四季[사첨사계]
한 처마 곁에 핀 사계화
定自花中聖 꽃 중의 으뜸을 사계화라 하거니
淸和備四時 사시로 청화함을 갖추어서인가
茅塹斜更好 비끼는 처마에는 더욱 좋아라
梅竹是相知 매화와 대나무도 곧 알아준다네
[식물] 장미과에 속한 낙엽 활엽 관목. 줄기에 가시가 나 있으며, 잎은 깃 모양의 겹잎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5월부터 가을까지 붉은색, 흰빛이 나는 노란색 꽃이 피고 가을에 둥근 열매가 붉게 익는다. 우리나라 중부, 남부 지역에 분포한다.
●유의어 : 사계(四季),월계화(月季花),장춘화(長春花)
=한양문중의 사계화도는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해당화 꽃나무를 보고 화폭에 옮긴 문중화이다.=
※사계라는 꽃을 찬미한 시다. 작자는 이 꽃을 매화나 대나무와 같은 반열에 놓일 만한 꽃으로 칭송했다.
강희안의 화목구품에 의하면, 일품에는 송, 죽, 연, 국, 매이고 '사계'는 3품에 속한다. 이는 사계화를 매죽의 위계로 추기는 노래이다.
월계화라고도 불리는 사계화는 장미의 일종으로 봄 3월, 여름 6월, 가을 9월, 겨울 12월에 개화하여 '사계'라는 이름을 얻었다.
김인후가 사계화를 높이 사는 이유는 이 꽃이 계절 내내 한결같이 봄빛을 보여 주고 있어서 이것은 곧, 공자가 여러 성현의 미덕을 집대성한 성인이라고 보는 관점과도 이어진다.
꽃한송이에서 유학의 덕과 성인을 발견하는 옛 선비들의 자세를 볼 수 있다.
※사계화
_ 사계화는 장미의 일종으로 3, 6, 9, 12월에 개화하여'사계'라는 이름을 얻었어요.
중국문헌에 나오는 월계화가 영국의 동인도회사에 근무하던 존리브가 이름난 정원가인 길버트 슬레이터에게 붉은 색 월계화를 소개해서 서양으로 전해집니다. 즉 월계화가 유럽으로 건너가 유럽의 고전 장미와 혼합해서 현대 사계장미가 된 거이에요. 요즘은 여러 야생장미를 교잡해서 수많은 사계장미의 품종을 개량하고 있다고 해요.
징미가 원래는 야생장미였는데 사람들에 의해서 이렇게 변모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오늘날 우리가 접하는 장미는 5월에 꽃을 피우기 시작하여 서리가 내리는 11월 하순까지 피고 지기를 반복해요. 이런 장미를 현대장미 또는 사계장미라고 해요.이러한 사계장미는 동북아시아의 장미가 여름 한 철 피는 서양의 고전장미와 교잡을 시작하고 많은 육종이 거듭되면서 이루어진 결과이다. 중국의 월계화가 세계인들의 사랑을 받는 현대장미의 어머니역할을 했던 것이다.
♣四季花(사계화) 사계절 꽃♣
=村隱 劉希慶(촌은 유희경)=
◐亂後無佳玩(란후무가완) :
☞난리 후 마땅히 즐길 일 없어
◑移來四季花(이래사계화) :
☞사계절 꽃으로 옮아 왔노라.
◐碧桃與紅杏(벽도여홍행) :
☞푸른 복숭아와 붉은 살구
◑只是一春華(지시일춘화) :
☞다만 온 봄날의 꽃이로구나
728x90
반응형
'❀漢陽人문화유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죽재문집서(梧竹齋文集序) (1) | 2023.06.17 |
---|---|
절필병풍(絶筆屛風, 작고하시기 전 남긴 마지막 미완성작품), 아산 조방원(雅山 趙邦元, 1927~2014) (0) | 2023.06.14 |
◈肅宗大王御製◈肅廟御製刊行後識[閔鎭遠]◈序[宋時烈]◈跋[朴世采]◈重刊跋[趙命敎] (0) | 2023.06.12 |
◐팔우헌공행상(八友軒公行狀) (1) | 2023.06.09 |
◐오죽재에 대한 기문◑[梧竹齋記]오죽재문집서(梧竹齋文集序)◑ (3) | 2023.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