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랑공 조명 (趙銘)行狀, 仁村趙公墓碣銘
조명 (趙銘) 조선시대사인물조선 전기에, 병조정랑 등을 역임한 문신.이칭자경부(警夫)호(號)인촌(仁村)인물/전통 인물성별:남성, 출생 : 연도미상, 사망 : 연도1478년(성종 9), 본관:한양(漢陽)주요 관직 : 병조정랑조선 전기에, 병조정랑 등을 역임한 문신.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경부(警夫), 호는 인촌(仁村). 태조배향공신이며 개국공신인 조인옥(趙仁沃)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조뇌(趙賚)이고, 아버지는 이조참의 조순생(趙順生)이며, 어머니는 원주원씨(原州元氏)로 사정 원유용(元有容)의 딸이다.[생애 및 활동사항]음보(蔭補)로 출사하여 병조정랑이 되었다. 1453년(단종 1) 계유정난 때 아버지와 함께 금산에 유배되어 관노가 되었다. 1469년(예종 1) 4월 관노에서 방..
2024. 7. 12.
♣전남 무안의 ‘남덕정’과 『공안공파』후손들!
전남 무안의 ‘남덕정’과 『공안공파』후손들,,,,단암(丹菴) 조위(趙位 1505∼1594, 13세, 공안공파)는 한양에 살다가 아버지 조근선(趙近善)이 1519년 기묘사화 때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의 구명에 참여 뜻을 이루지 못하고, 을사사화(己卯士禍 1519, 중종 14)로 유배당하자 벼슬을 등지고 조위 兄弟 분이 입향조로 전남 무안군 몽탄면 달산리(죽전부락)에 ‘남덕정(覽德亭)’ 이란 정자를 세우고 주경야독 하면서 현재까지 자손을 번성한 마을로 이어져 오고 "남덕정이란 봉황의 모습을 보며 덕을 쌓는다는 의미이다."1635년 집의(執義), 문천군수, 군기시정을 거쳐 호남지방의 암행어사. 1643년 통신부사(通信副使) 임명으로 일본에 다녀온 외교관이며 뒤 형조참의 · 전주부윤 1645년에 이조참의..
2024. 7. 8.
◆울진 봉평리 신라비(蔚珍 鳳坪里 新羅碑)◆
◆울진 봉평리 신라비(蔚珍 鳳坪里 新羅碑)◆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봉평리 521번지 (도로명)죽변면 봉화길 15524년(법흥왕11년) 추정, 대한민국의 국보 제242호 [번역문]갑진년(524년) 정월 15일에 탁부(喙部)의 모즉지 매금왕(牟卽智寐錦王), 사탁부(沙喙部)의 사부지 갈문왕(徙夫智葛文王), 본파부(本波部)의 무부지(巫夫智) ▨[3]간지(▨干支), 잠탁부(岑喙部)의 미흔지(美昕智) 간지, 사탁부의 이점지(而粘[4]智) 태아간지(太阿干支), 길선지(吉先智) 아간지(阿干支), 일독부지(一毒夫智) 일길간지(一吉干支), 탁부의 물력지(勿力智) 일길간지(一吉干支)[5], 신육지(愼肉智) 거벌간지(居伐干支), 일부지(一夫智) 태나마(太奈麻), 일이지(一尒智) 태나마, 모심지(牟心智) 나마(奈麻), 사탁부의..
2024.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