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漢陽人문화유적❀519

■己卯黨禁錄 ■學圃先生文集重刊跋[趙鍾弼] ■己卯黨禁錄趙光祖 孝直。號靜菴。進文。以都憲被謫于綾城。尋賜死。贈領議政。諡文正。漢陽人。金淨 元沖。號沖菴。進文。以刑判流濟州。尋賜死。贈領議政。諡文簡。慶州人。鄭光弼 士勛。號雲汀。進文。領相。以救黨人罷。丁亥。復相。癸巳竄。戊戌還相。其年卒。諡文翼。東萊人。安瑭 彥寶。號永慕堂。生文。左相。薦靜菴。己卯罷相。坐其子處謙獄。被禍。諡貞愍。順興人。金安國 國卿。號慕齋。進文。重試。以參贊罷歸驪州別墅。丁酉。復至贊成而卒。諡文敬。義城人。李耔 次野。號陰崖。進文。以參贊罷。寓居陰城。以山水自娛而終。諡文敬。韓山人。金湜 老泉。號淨友堂。進薦。以大司成竄善山。李信變。亡匿。草疏懷衣帶中自縊。諡文毅。淸風人。金絿 大柔。號自菴。生進。文科。以副提學流南海。壬辰蒙放。諡文懿。光山人。韓忠 恕卿。號松齋。生文。以忠淸水使竄。又被構。死於獄中。諡文剛。淸州人。奇遵 子敬。號服齋。生進文科。以應.. 2024. 7. 16.
■學圃先生文集序[趙亨復]신도비/묘갈명/가장 ▣學圃先生文集重刊跋[趙鍾弼]▣◐學圃先生文集序[趙亨復]▣學圃先生文集卷之二 / 疏 伸救諸賢疏 己卯十一月▣▣學圃先生文集序▣ ◐學圃先生文集序[趙亨復]嗚呼。小子於是集。有不忍讀。亦不敢不讀。不忍讀者。是集故也。不敢不讀者亦是集故也。是集乃己卯名賢學圃梁先生集也。小子以靜菴先生爲祖。何忍讀己卯賢文字耶。然以其不忍也而不之讀。則吾祖不孤之德。又將無所於攷。竟所以不敢不讀也。嗟乎。己卯之賢。孰不爲吾祖道義之友。而先生爲別焉。蓋先生生湖南。自五歲有異行。甫十三。遊先生長者門。莫不見重。弱冠。以致澤自任。其德器之夙就可知。及一見吾祖。遂忘年歸贄如蔡西山之於朱夫子。吾祖亦嘗倚以爲重。有曰芝蘭薰人。有曰秋天皎月。則其志同道同有如是矣。以至上舍之同年也。院宇之同享也。何莫非小子之有感於先生也。而最其吾祖之謫綾城也。綾卽先生鄕也。從遊如平昔。得全困亨之志。逮至十二月二十日。執手相訣。無一言及私事.. 2024. 7. 15.
孤山書院上樑文, 南岳集序 간재(艮齋), 남악(南岳) 조종저(趙宗著, 字경숙(褧叔) ) 先生 1631년(인조 9)~ 1690년(숙종 16), 병참공파 포천중중 南岳集序 간재(艮齋), 남악(南岳) 조종저(趙宗著, 字경숙(褧叔) ) 先生 1631년(인조 9)~ 1690년(숙종 16), 병참공파 포천중중南岳集序[崔錫鼎]鄒孟氏有言曰知譬則巧。聖譬則力。其至爾力也。其中非爾力也。此以造道言。夫文豈異乎是。古稱文章爲不朽盛事。然是猶藝之精者。必有獨得之才邁往之氣。然後方可與論於家數之淺深。不者雖榮華其言。藻繪其色。祗爲弊帚之自珍。黃屋之僭擬而已。曷足貴哉。南岳趙先生。自其先休川公。以文章鳴。緖脉有從來。生禀穎異之資。未齔讀古文。過眼成誦。勝冠已有盛名。顧早嬰痼病。涔淹床笫者踰十年。未克肆力於鉛槧。以充其分量。然論其所就。猶足以追步古作者。一時操觚士。莫或之先。旣以詞賦擢解元。對策屢入高等。坐數奇。晩成一第。而又齟齬窮局於掌制登瀛。不與文苑諸公狎主夏盟。豈不惜哉。竊嘗論之。先生之文。粹然出自經史。取材於韓,蘇。析理於閩洛。平淡之中。自有.. 2024. 7. 14.
ㅔ●1681년 김산 직지사사적비(直指寺事蹟碑 )조종저(趙宗著)●金山黃岳山直指寺事蹟碑銘幷 序 ●1681년 김산 직지사사적비(直指寺事蹟碑 )조종저(趙宗著)● ■조종저(趙宗著,1631~1690)[생1660][문1672] 한양인(漢陽人) 병참공파 . 字취숙(聚叔), 號간재(艮齋),남악(南岳). 아버지는 홍문관교리 조중려(趙重呂)이며, 어머니는 지중추부사 신경진(申景珍)의 딸이다. 『남악집(南岳集)』·『간재신사(艮齋新笥)』 "동국제일가람황악산문"이란 편액이 걸려있는 근래에 새로 지은 솟을삼문형식의 위풍당당 황악산문으로 편액의 글씨는 여초(如初) 김응현(金應顯)의 필적이다. [直指寺事蹟碑]한양인 병참공파 조종저(趙宗著,1631~1690)直指寺事蹟碑銘(篆 題)金山黃岳山直指寺事蹟碑銘幷 序通訓大夫前行弘文館修撰知製 敎兼 經筵檢討官春秋館記事官趙宗著撰顯祿大夫朗善君兼五衞都摠府都摠管 俁書承憲大夫東平君兼五衞都摠府都摠管.. 2024. 7. 14.
❀始祖 諱之壽 壇所 이하 二世祖 ~ 五世祖 墓所圖❀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7. 13.
정랑공 조명 (趙銘)行狀, 仁村趙公墓碣銘 조명 (趙銘) 조선시대사인물조선 전기에, 병조정랑 등을 역임한 문신.이칭자경부(警夫)호(號)인촌(仁村)인물/전통 인물성별:남성, 출생 : 연도미상, 사망 : 연도1478년(성종 9), 본관:한양(漢陽)주요 관직 : 병조정랑조선 전기에, 병조정랑 등을 역임한 문신.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경부(警夫), 호는 인촌(仁村). 태조배향공신이며 개국공신인 조인옥(趙仁沃)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조뇌(趙賚)이고, 아버지는 이조참의 조순생(趙順生)이며, 어머니는 원주원씨(原州元氏)로 사정 원유용(元有容)의 딸이다.[생애 및 활동사항]음보(蔭補)로 출사하여 병조정랑이 되었다. 1453년(단종 1) 계유정난 때 아버지와 함께 금산에 유배되어 관노가 되었다. 1469년(예종 1) 4월 관노에서 방.. 2024. 7. 12.
▣추충익대좌명공신(推忠翊戴佐命功臣)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의정부(議政府)우의정(右議政)한평부원군(漢平府院君)양경공(良敬公)휘연(諱涓)묘갈명(墓 ▣추충익대좌명공신(推忠翊戴佐命功臣)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의정부(議政府)우의정(右議政)한평부원군(漢平府院君)양경공(良敬公)휘연(諱涓)묘갈명(墓碣銘)병서(並序)▣공손이 생각건대 우리의 높으신 조상 추충익대좌명공신 대광보국 숭록대부 의정부 우의정 한평부원군 시호 양경공(推忠翊戴佐命功臣 大匡輔國 崇祿大夫 議政府 右議政 漢平府院君 諡號 良敬公)한양조공(漢陽趙公) 휘연(諱涓)의 관석(冠舃)을 간직한 곳이 파주(坡州)의 덕은산(德隱山)기슭 자좌(子坐)의 언덕에 있다.세월이 오래되어 옛 비(碑)가 닳아서 알아 볼 수 없게 되었다. 전년 가을 묘사(墓祀)때에 비를 다시 세워야 한다는 논의가 준엄하게 일어나더니, 이어 불초(不肖) 사람에게 명령하여 비문을 지으라는 책임을 맡기었다. 스스로 돌아보건대 나이가 많고 기운이.. 2024. 7. 12.
조덕순(趙德純) :조봉대부 사헌부 지평 한양 조공 묘갈명병서〔朝奉大夫司憲府持平漢陽趙公墓碣銘並序〕 조덕순(趙德純) :조봉대부 사헌부 지평 한양 조공 묘갈명병서〔朝奉大夫司憲府持平漢陽趙公墓碣銘並序〕공의 휘는 덕순(德純)이고 자는 현보(顯甫)이며 본관은 한양(漢陽)이다. 고려 시대 휘 지수(之壽)는 북쪽 변방 지역으로부터 몸을 일으켜 공훈을 드러내어 쌍성총관(雙城摠管)이 되었고 자손들도 작위를 세습하였다. 휘 인벽(仁璧)에 이르러 조선조 태조(太祖) 누님의 남편이 되었는데, 태조의 왕업(王業)이 날로 융성함을 보고 두 왕조를 섬기지 않겠다 하여 양양(襄陽)으로 물러나 여생을 보냈다. 양양 사람들이 그를 위하여 충현사(忠賢祠)를 세웠으며, 공이 죽자 양렬(襄烈)의 시호가 내렸다. 양렬공의 아들은 휘가 연(涓)으로 태조를 추종하니, 양렬공이 아들에게 “너에게 있어서는 의리에 처하는 도리가 나와는 다르니 너는 .. 2024. 7. 11.
♣전남 무안의 ‘남덕정’과 『공안공파』후손들! 전남 무안의 ‘남덕정’과 『공안공파』후손들,,,,단암(丹菴) 조위(趙位 1505∼1594, 13세, 공안공파)는 한양에 살다가 아버지 조근선(趙近善)이 1519년 기묘사화 때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의 구명에 참여 뜻을 이루지 못하고, 을사사화(己卯士禍 1519, 중종 14)로 유배당하자 벼슬을 등지고 조위 兄弟 분이 입향조로 전남 무안군 몽탄면 달산리(죽전부락)에 ‘남덕정(覽德亭)’ 이란 정자를 세우고 주경야독 하면서 현재까지 자손을 번성한 마을로 이어져 오고 "남덕정이란 봉황의 모습을 보며 덕을 쌓는다는 의미이다."​1635년 집의(執義), 문천군수, 군기시정을 거쳐 호남지방의 암행어사. 1643년 통신부사(通信副使) 임명으로 일본에 다녀온 외교관이며 뒤 형조참의 · 전주부윤 1645년에 이조참의.. 2024. 7. 8.
1651年 조경(趙絅) 등이 간행한 아주 묵직한 목판본 [한양조씨족보(漢陽趙氏族譜)] 신묘2권보(辛卯2券譜) 3冊 완질! https://www.hanauction.com/htm/off_auction_read.htm?id=75851&off_id=193&page=3&ac_num=249 한옥션/문화예술 종합경매 www.hanauction.com●1651年 조경(趙絅) 등이 간행한 아주 묵직한 목판본 [한양조씨족보(漢陽趙氏族譜)] 신묘2권보(辛卯2券譜) 3冊 완질! 누가 경매낙찰됨!!!경매번호 165-249시작가 12,000,000 원 1651年 조경(趙絅) 등이 간행한 목판본 [한양조씨족보(漢陽趙氏族譜)] 신묘보(辛卯譜) 3冊 완질로 上, 下上, 下下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 '上之三年辛卯(1651)...絅謹序' [重刊漢陽趙氏族譜], '辛卯南至外孫...金堉序' 序文, 끝책 말에 辛卯...寧海府使贇再拜謹跋' 跋文이 있다. 양질의 .. 2024. 7. 8.
◆울진 봉평리 신라비(蔚珍 鳳坪里 新羅碑)◆ ◆울진 봉평리 신라비(蔚珍 鳳坪里 新羅碑)◆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봉평리 521번지 (도로명)죽변면 봉화길 15524년(법흥왕11년) 추정, 대한민국의 국보 제242호 [번역문]갑진년(524년) 정월 15일에 탁부(喙部)의 모즉지 매금왕(牟卽智寐錦王), 사탁부(沙喙部)의 사부지 갈문왕(徙夫智葛文王), 본파부(本波部)의 무부지(巫夫智) ▨[3]간지(▨干支), 잠탁부(岑喙部)의 미흔지(美昕智) 간지, 사탁부의 이점지(而粘[4]智) 태아간지(太阿干支), 길선지(吉先智) 아간지(阿干支), 일독부지(一毒夫智) 일길간지(一吉干支), 탁부의 물력지(勿力智) 일길간지(一吉干支)[5], 신육지(愼肉智) 거벌간지(居伐干支), 일부지(一夫智) 태나마(太奈麻), 일이지(一尒智) 태나마, 모심지(牟心智) 나마(奈麻), 사탁부의.. 2024. 7. 7.
◐연경으로 가는 정랑 형[현곡공 조위한(趙緯韓)] 보내는 서(正郞兄赴燕京序)◑ ◐연경으로 가는 정랑 형[현곡공 조위한(趙緯韓)] 보내는 서(正郞兄赴燕京序)◑산에 오르고 물에 임하여 고인도 슬퍼했으니, 고국을 떠나 어버이와 작별하는 이날이 애석하구나. 세상에 누가 작별하지 않으리오, 사람마다 모두 형이 있도다. 숙(叔)이여 백(伯)이여 다행히 네 형제가 무고하나, 나를 돌아보고 나를 살펴 주셨으니 두 분을 생각하여도 따를 수 없네. 은혜는 낳고 길러 주신 것보다 더한 것이 없고, 즐거움은 형제의 우애만한 것이 없다네. 아낄만 한 것은 시일이 아니겠는가, 보답하기 어려운 것은 하늘 연경(燕京)으로…서:정랑 형은 조찬한의 형인 조위한(趙緯韓)을 가리킨다. 조위한은 1610년(광해군2)에 예조 정랑이 되었고, 가을에 사은사 이시언(李時彦)의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중국에 갔다. 산에…슬퍼.. 2024. 7. 7.
유석(維石) 조병옥(趙炳玉, 1894년 5월 21일 ~ 1960년 2월 15일 ) 저자 유석 조병옥(維石 趙炳玉, 1894∼1960). 박사가 자필 서명을 하여 己亥(1959)年 허상복(許相福; 음악인으로 추정) 선생에게 謹贈한 [나의 회고록(나의 回顧錄)] 단책으로 앞표지와 뒷쪽 일부 탈락이다. 15×21cm 조병옥(趙炳玉), 1894∼1960 독립운동가, 정치인. 출생지는 충청남도 천안. 초명은 조병갑(趙炳甲), 호는 유석(維石)이고, 아버지는 조인원(趙仁元)이다. 공주소학교, 연희전문학교를 거쳐 미국 컬럼비아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신간회(新幹會), 수양동우회 사건 등과 관련해 옥고를 치르고 해방후 미군정청 경무부장을 역임했다. 1960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으나 발병하여 도미 치료 중 사망하였다. 조병옥(趙炳玉, 1894년 5월 21일 조선 충청도 천안 출생 ~ .. 2024. 7. 5.
◈ 임진왜란 의병장 조웅 장군:호서의 백기 장군, 백기와 홍기는 피하라... ◈ 임진왜란 의병장 조웅 장군호서의 백기 장군, 백기와 홍기는 피하라...충주시 앙성면 능암리에는 임지왜란 때에 충주지방을 지킨 유일한 의병장 조웅장군의 정려문이 큰 길 옆에 새로이 세워져 있다. 또한 앙성면 조천리 산록에는 장군의 묘소가 있으니 묘소 앞에는 110㎝의 망주석과 1m의 문인석 및 상석이 나란히 남아있다. 조웅은 명종 22년(1567년)쯤 충주시 가금면 가홍리에서 태어났다. 호는 백기당이고,본관은 한양이다.조웅은 태어나면서부터 빼어난 재질을 지녔고 기개가 호탕하였다. 자라나면서 몸이 장대하고 체력이 좋았다고 한다. 일찍이 충정공파 12세조 모계공 조강선생으로부터 글을 배웠으며 처음에는 유학을 배우다가 뜻한 바가 있어 무예를 익혔으니 모계 선생도 한번 보고는 나라에 공을 세울 군인임을 알고 .. 2024. 7. 2.
♠한양조씨 양절공 부조묘 제향 (2024. 6. 24)♠ ♠한양조씨 양절공 부조묘 제향 (2024. 6. 24)♥동암 조성복(봉사공파)촬영♥♠ https://youtu.be/vI_c1RJIPIU?t=31♠한양조씨 양절공 부조묘 제향 (2024. 6. 24)♥동암 조성복(봉사공파)촬영♥♠▲▼봉향례▲▼봉향례▲봉향례▲초헌관 조환희▲초헌관 조환희▲초헌관 조환희▲초헌관 조환희▲초헌관 조환희▲초헌관 조환희▲축문례▲축문례▲축문례▲축문례▲아헌관▲아헌관▲아헌관▲아헌관▲아헌관▲아헌관▲종헌관 조병헌▲종헌관 조병헌▲종헌관 조병헌▲종헌관 조병헌▲종헌관 조병헌▲금복례 조환희▲금복례 조환희▲금복례 조환희▲회장님 인사 2024. 6. 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