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234

노산공원 호연재 주련(浩然齋柱聯) ❍ 노산공원 호연재 주련(浩然齋柱聯)• 경상남도 사천시 서금동 101-67(노산공원)• 四書五經耽讀齋(사서오경탐독재) 사서오경을 탐독하는 호연재• 琢磨仁義禮智信(탁마인의례지신) 어짊, 의로움, 예의, 지혜, 믿음을 갈고 닦음• 拂拭末文八文章(불식말문팔문장) 말문을 떨치고 팔문장에 이름• 浩然之氣皆魯山(호연지기개로산) 넓고 큰 기개를 노산에서 함께함 • 義俠達道民族魂(의협달도민족혼) 의협심에 이른 도리 겨레의 혼• 鄕土新學瑤藍齋(향토신학요람재) 향토 신학문 요람의 호연재• 己未萬歲天地動(기미만세천지동) 기미독립만세 함성 천지를 진동함.• 實學東學欣然接(실학동학흔연접) 실학과 동학이 흔연히 접함. 2017. 3. 17.
보길도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암각시문(岩刻詩文) 보길도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암각시문(岩刻詩文) 八十三歲翁(팔십삼세옹)-83세 늙은 이몸이 蒼波萬里中(창파만리중)-거칠고 먼 바닷길을 가노라 一言胡大罪(일언호대죄)-한마디 말이 어째 큰 죄가 되어 三黜亦云窮(삼출역운궁)-3번이나 쫓겨가니 신세가 궁하구나. 北極空瞻日(북극공첨일)-북녘 하늘 해를 바라보며 南溟但信風(남명단신풍)-남쪽바다 믿고 가느니 바람뿐이네! 貂裘舊恩在(초구구은재)-초구에 옛 효종의 은혜 서려 있어 感激泣孤衷(감격읍고충)-감격한 외로운 속마음 눈물 지우네. 2017. 3. 11.
용주유고 (조경)趙絅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M 용주유고 용주유고 제1권 오언절구(五言絶句) 칠언절구(七言絶句) 오언율시(五言律詩) 용주유고 제2권 칠언율시(七言律詩) 용주유고 제3권 칠언율시(七言律詩) 용주유고 제4권 칠언율시(七言律詩) 용주유고 제5권 오언고시(五言古詩) 칠언고시(七言古詩) 용주유고 제6권 소(疏) 용주유고 제7권 소(疏) 용주유고 제8권 소(疏) 용주유고 제9권 소(疏) 용주유고 제10권 계사(啓辭) 용주유고 제11권 서(序) 기(記) 용주유고 제12권 발(跋) 변(辨) 설(說) 잡저(雜著) 상량문(上樑文) 시책문(諡冊文) 죽책문(竹冊文) 교서 〔敎書 〕 용주유고 제13권 제문(祭文) 뇌(誄) 용주유고 제14권 지(誌) 용주유고 제15권 묘갈(墓碣) 용주유.. 2017. 3. 10.
정랑봉조명추모비명(正郞峰趙銘追慕碑銘) ■충남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석곡리 산 44-1 ■ ▲정랑봉과 망경대와의 거리: 약6.9km(14리) [고삿재] ◈正郞峰 : 충남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석곡리 산 44-1 ◈望京臺·山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봉대리 산 1 [獨立記念館] ○ 망경산(望京山 385m)은 서쪽으로는 운주산과 동쪽으로는 동림산으로 연결되는 능선상에 있는 산이다. 나즈막한 산이지만 북쪽으로 천안 흑성산과 은석산 너머 멀리 한양의 하늘을 바라볼 수 있는 산이라 하여 망경산이라 한다. 전국 여러 곳에 망경산이나 망경대(望京臺) 등의 지명이 분포하는데, 고도는 높지 않지만, 멀리까지 조망할 수 있어 얻은 이름으로 보인다. ‘경(京)’은 한양 혹은 임금을 상징하며, 나라에 상(喪)을 당하면 한양을 향해 한양인 이조정랑 조명(趙銘)이 망.. 2017. 3. 6.
임경업장군 고조부모, 5대조 묘소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7. 2. 3.
◐조위한[趙緯韓]신도비명(神道碑銘) -송시열(宋時烈)◑ ◐조위한[趙緯韓]신도비명(神道碑銘) -송시열(宋時烈)◑ 현곡(玄谷) 조공(趙公, 조위한)은 행실이 탁절(卓絶)하고 우뚝 빼어나서 젊은 나이에 어려움을 당하였고, 다시 몸을 펴서 밝은 세상을 만나서도 또 뜻을 따라 일을 말하였으니, 그 용사(用捨)가 서로 반반이었다. 논자(論者)가 말하기를, “한구(韓歐)의 복의1)(濮議)는 여러 선현(先賢)들과 자못 달랐기 때문에 심지어 팽공2)(彭公)에게 무거운 탄핵을 받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이 일 때문에 후세 사람들이 한구를 하찮게 여기지는 않는다.”고 하였다. 공은 휘(諱)가 위한(緯韓)이고, 자(字)는 지세(持世)이며, 본관(本貫)은 한양(漢陽)으로, 그 원대(遠代)의 계보(系譜)는 정암 선생(靜庵先生, 조광조(趙光祖))과 같다. 증조(曾祖)는 조방언(趙邦彦)으.. 2017. 1. 31.
하담고택(荷潭古宅) 하담(荷潭) 조언관(趙彦觀,1805~1870) ●하담고택(荷潭古宅) 하담(荷潭) 조언관(趙彦觀,1805~1870)● ==사월 조임(趙任 1573~1644)== ==조시벽(趙是璧,1670~1753)==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41호== 회나무, 향나무, 연지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삼지리에 있는 오래된 가옥이다. 소유자는 조국영이다. 건립자인 조시벽은 조임(趙任:1573-1644)의 손자이며 마흔 살쯤 되었을때 가옥을 건립하였다고한다. 사랑채1동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앞면3칸 옆면2칸반의 규모이며 홑처마에 팔작지붕을 갖추고 있다. 창건 후에 조시벽의 아들이 회화나무를 심었는데 이 때문에 쌍괴당이라는 이름을 얻었다.2003년4월17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41호로 지정되었다. (자료:문화재청) 출처: https://arky7.tistory.com/3.. 2017. 1. 29.
『敬題文節公族譜卷末』(경제문절공족보권말) 한시 濟華公『敬題文節公族譜卷末』詩제화공(경제문절공족보권말)시 代序從關北(대서종관북) 貫名出漢陽(관명출한양) 弁文渝梓繡(변문투재수) 手澤宛塗黃(수택완도황) 小子興慺感(소자흥루감) 諸宗護壽藏(제종호수장) 袖珍城璧重(수진성벽중) 依舊奉還鄕(의구봉환향) (戊寅 四月下澣 良敬公十四代孫 濟華) 공경하여 문절공족보의 권말에 쓰다. 세대의 차례는 관북에서부터였고, 관향은 한양에서 출발하였다. 서문은 인쇄가 흐려졌지만, 손때는 완연하게 누렇게 덮여있다. 어린 자손은 슬픈 감흥이 일어, 모든 종인들 오래 간직하도록 수호하자네 성이나 구슬처럼 보배로이 품어서, 옛날처럼 받들어 고향으로 돌아가오. (무인 4월 하순에, 양경공 14대손 제화)濟升公『敬題文節公單卷譜末』詩 제승공(경제문절공족보권말)시城璧由傳久(성벽유전구) 吾宗出漢陽(오.. 2017. 1. 24.
예천군 감천면 돈산리 산골마을 (한양조씨집성촌) 예천군 감천면 돈산리 산골마을 (한양조씨집성촌)천곡서당 팔우헌고택 잠실헌 돈암정 일봉정 명덕사 방산정사 공동제 삼산당고택 동신목(洞神木) 열부유인경주김씨烈女碑閣 전통한옥생활체험관(傳統韓屋生活體驗館)      ◈유산정사幽山精舍◈(도로명)경상북도 예천군 감천면 유동길 96-7(지번명)예천군 감천면 유리 390-6117세 팔우헌공八友軒公(휘 보양普陽)의 별당 2017. 1. 18.
신사임당 묘갈명 전문 申師任堂 墓碣銘 全文 李元秀 申師任堂 경기 파주시 법원읍 동문리 산 5-1 http://blog.naver.com/hahnguibok/20142164201 신사임당묘갈명 1670년(현종 2년)에 경기도 파주시 천현면 동문리 동문리 산 5-1에 건립된 신사임당(申師任堂)의 묘갈이다. 묘갈은 송시열(宋時烈)이 찬하고 송준길(宋浚吉)이 글을 썼다. 그런데 묘갈 끝에 “묘표 가운데 청송처사 성공 수침(聽松處士成公守琛)은 마땅히 여성위 이암 송공 인(礪城尉㶊菴宋公)으로 고쳐야 하며 그 아래 청송(聽松) 두 글자도 마땅히 이암(㶊菴)으로 고쳐야한다. 아마 당초 글을 청한 사람이 잘못 알려 주어서 그렇게 된 것일 것이다. 이제 따로 이일을 기록하면서 이를 정정하는 바이다. 1691년(숙종 17년) 5월 일에 반남(潘南) 박세채(朴世采)가.. 2017. 1. 17.
한양조씨족보 漢陽趙氏族譜 [ 한양조씨족보 漢陽趙氏族譜 ]  ●요약 : 1524년(중종19) 조원기(趙元紀) 등이 간행한 한양조씨족보의 초간본.  [내용] 흔히 ‘한양조씨가정보(嘉靖譜)’ 또는 ‘한양조씨갑신보(甲申譜)’라 불린다. 현재 원본은 전하지 않고 서발문이 후대에 간행된 한양조씨족보류에 구서(舊序)·구발(舊跋) 형태로 실려 있다. 조원기의 서문과 조세정의 발문에 따르면, 1책 분량으로 함창(咸昌)에서 목판으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원래 한양조씨는 15세기 후반경에 조원기의 아버지 조충손(趙衷孫)에 의해 작은 보첩이 작성되어 있었다. 조충손은 누구보다 가계 기록의 중요성을 느끼면서 보첩을 작성하였고, 수시로 이를 수정·보완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미처 간행하지 못하고 사망하자 조원기가 보첩의 원고를 소장하게 되었으나 그 .. 2017. 1. 6.
영월 법흥사 산신각 무릉도원면 미륵암 033-374-9600 강원 영월군 무릉도원면 도원운학로 13-39 (지번) 무릉도원면 무릉리 1057 주천강 요선암: 영월군 무릉도원면 도원운학로 13-39(무릉리 산139) ◆미륵암의 주련(柱聯) 三界猶如汲井輪 삼계유여급정륜 (삼계의 윤회는 두레박질 같아서) 百千萬劫歷微塵 백천만겁역미진 (억만겹이 지나도 끝이 없으니) 此身不向今生度 차신불향금생도 (금생에 이 몸을 구하지 못하면) 更待何生度此身 경대하생도차신 (다시 어느 생을 기다려 제도 하리오) ◆영월 법흥사 적멸보궁 萬代輪王三界主(만대윤왕삼계주) 雙林示滅幾千秋(쌍림시멸기천추) 眞身舍利今猶在(진신사리금유재) 普使群生禮不休(보사군생예불휴) 만대의 왕이며 삼계의 주인이신 부처님 사라쌍수 열반 이래 얼마나 세월이 흘렀는가 부처님 진신 사.. 2017. 1. 4.
議政府左贊成漢川府院君墓表陰記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6. 12. 9.
조선 중․후기 영양의 유교문화권과 한양조씨이야기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6. 12. 7.
용인 사은정 지정번호 : 용인시 향토유적 제50호 경기 용인시 기흥구 사은로 161 (우) 17076(지번) 지곡동 615-1 용인시 지곡동(芝谷洞)과 보라동(甫羅洞)은 서로 붙어있는 이웃 동네이다. 조선 중종조(中宗朝-조선 제11대王) 때 지곡동에는 음애(陰厓) 이자(李耔)선생의 한산 이씨가 살았고, 보라동에는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 선생의 한양 조씨가 살았다 한다. 사은정은 중종조의 명현이며 성리학(性理學)의 대가이자 동방사현(東方四賢)중의 한사람인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1482∼1519)를 비롯하여 유학자로 식견이 높기로 유명한 방은(方隱) 조광보(趙光輔), 기묘명현 회곡(晦谷) 조광좌(趙光佐), 그리고 목은 이색의 후손으로 기묘사화때 연루되어 조광조와 함께 옥에 갇혔다가 화를 당한 음애(陰厓) 이자.. 2016. 11. 10.
◐방산유고(放汕遺稿) / 不亦齋, 花石亭 / 梅巖臺◑ 방산유고(放汕遺稿) 序(1975) 金喆熙(1915~2008)가 趙光永과 증손 趙東守의 부탁을 받고 1975년 서울에서 지었다. 조봉원(趙鳳遠)은 당시나 선진의 문장을 모방하는 일반적인 문인들과 다르게 자신의 뜻과 진실을 시문에 표현하여 감명을 준다고 평하였다. 卷1 詩 謹次魯山祠板上韻, 孤往梅嵒臺懷古, 達城 旅舍與崔元吉贈別, 偶吟, 往花谷李孟求家與 金明叔李正元共賦, 水落臺同梧溪金文顯武夷 李英夫共賦, 花階偶成, 謝人送新曆得年字, 自 嘲, 三夜夢金可隱輔應, 夜聽漢陽歌, 齋居閒興, 登矗石樓, 春朝觀梅, 次寢屛八疊韻(右瀟湘斑 竹, 右洞庭游魚, 右桂林石筍, 右彭蠡早鴻, 右 孤山梅竹, 右剡溪雪月, 右隆中歸驢), 次金公 弼撥悶韻, 登梅嵒臺遠眺, 和洛東江壬戌七月 旣望會韻, 五言一律, 溪興, 觀燈, 乙卯四月與 金致岳遊河.. 2016. 11. 10.
오노삼산유록((五老三山遊錄) / 감천면 증거리 蘆川亭(노천정) 오노삼산유록((五老三山遊錄) / 감천면 증거리 蘆川亭(노천정) 放汕處士漢陽趙公遺蹟碑(방산처사한양조공유적비)花石亭(화석정)不亦齋(부역재) 삼호정(三乎亭) 오노삼산선유회유적비(五老三山仙遊會遺蹟碑) 蘆川亭(노천정)/ 관란회유적비(觀灆會遺蹟碑) 三乎處士 조동윤의 증조부님이 세곳데 산을 유람한 내용을 한문으로 기록한 책이다. 삼산유록이란 다섯 노선들이(五老)세 개의 산을 유람한 내용을 일기 형식으로 담은 한 달간의 기행문이다. 이 책을 쓴 분은 필자의 증조부이신 방산공(放汕公 鳳遠)이시다. 명산으로 이름난 청화산과 덕유산 그리고 속리산을 무려 한 달간이나 무전여행을 하셨다. 세상 사는 멋과 낭만을 아시는 분들이다. 한문으로 된 원문을 읽고 그 대강을 적어 보고자 한다. 먼저 명산을 유람한 다섯 분은 이세갑(李世鉀.. 2016. 11. 10.
감천면 증거리 放汕公(방산공)유허비 盧川亭(노천정) 花石亭(화석정) 不亦齋(부역재), 放汕處士(방산처사), 三乎處士 감천면 증거리 放汕公(방산공)유허비 盧川亭(노천정) 花石亭(화석정) 不亦齋(부역재), 放汕處士(방산처사), 三乎處士 ▼放汕處士漢陽趙公遺蹟碑(방산처사한양조공유적비)花石亭(화석정)不亦齋(부역재) ▼오노삼산선유회유적비(五老三山仙遊會遺蹟碑)/삼호정 ▼삼호정/암글씨 ▼오노삼산선유회유적비(五老三山仙遊會遺蹟碑) ▼오노삼산선유회유적비(五老三山仙遊會遺蹟碑) ▼蘆川亭(노천정) ▼蘆川亭(노천정) ▼蘆川亭(노천정) 현판 ▼정관비약(靜觀飛躍) ▼오노암(五老岩) ▼관란회유적비(觀灆會遺蹟碑) 2016. 11. 9.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 산 220-15, 13세참봉공파 한양조씨종중묘원 =충주시 산척면 영덕리 산 220-15번지= 漢陽趙氏十三世參奉公派(趙琭)宗中墓園 漢陽趙氏 嘉川齋公縣監公派 13世參奉公派宗中廟院 ♣漢陽趙氏 嘉川齋公[諱師]-縣監公派 11世 寧越府使公[諱世舟字聖輔寧越府使]派♣ ==忠州入鄕祖 13世 參奉公(諱琭)宗中墓園起工式-2012.07.29(陰曆6.11신묘(辛卯)== ◎손곡처사(孫谷處士), 이영길李永吉전주이씨 ●趙賢元 계유년(癸酉年:1933년)二月二十日生, 2017년 84세● 화등(花燈) ♬화등(花燈) 2016. 10. 24.
雪岳山(南雪岳)萬景臺(望景臺) 2016. 10. 24.
◐성거산 만일사 구절초!!! 2016. 10. 9.
우봉 조희룡 趙熙龍 : 백매도 白梅圖 우봉 조희룡 趙熙龍 백매도 白梅圖 식제선생(息齊先生) 난(蘭)화첩 중 1폭(幅) 화제 忽得十日五日之暇 對芳蘭 啜苦茗 時有微風細雨 潤澤于疎소리 仄經之間 俗客不來 홀득십일오일지가 대방난 취고명 시유미풍세우 윤택우속소리 측경지간 속객불래良友輒至適然 自驚 今日之難得 凡畵蘭畵石 用以慰 天下之勞人 양우첩지적연 자경 금일지난득 범화난화석 용이위 천하지노인 ⇒문득 열흘이나 닷새만에는 방난(芳蘭)을 대(對)하기도 하고 고차(苦茶)를 마시기도 한다. 때로는 미풍(微風)과 세우(細雨)로 성긴 울타리를 윤택하게 하고 측간(仄間)에 간 사이에도 속객(俗客)이 오지 않고 양우(良友)가 모이어 항상 스스로 놀란다. 오늘에 있어 얻기 어려운 일이다. 대저 난과 돌을 그림은 천하(天下)에 수고하는 이들을 위로 함에서 이다. 조선 매화.. 2016. 10. 8.
도암(陶庵) 이재(李縡)가 지은 ‘심곡서원학규'(深谷書院學規) 도암(陶庵) 이재(李縡)가 지은 ‘심곡서원학규, 홍순석 webmaster@yongin21.co.kr 도암 이재는 왜 ‘심곡서원학규’를 지었나! 심곡서원은 대원군이 서원철폐령을 단행했을 때도 존치됐던 47개 서원 중 하나이다. 따라서 용인지역의 대표적인 교육기관으로서 전통을 지속할 수 있었다. 알다시피 서원은 향사(享祀)와 강학(講學)을 아우른 교육기관이다. 매월 삭망(朔望)과 춘추 중정일(中丁日)에는 향사를 봉행했다. 한편으로는 정기적인 날짜를 정해 강학했다. 조선시대 서원의 강학이 제도화된 것은 17세기 초이다. 정구에 의해 강회에 관한 별도의 규정인 강규(講規)와 강의(講儀)가 제정, 시행되면서 서원의 강학제도가 정비된 것이다. 18세기에 이르러 강회가 서원교육의 핵심이라 할 수 있을 만큼 확대됐다... 2016. 9. 28.
◈임란1등공신 백기당(白旗堂)조웅(趙熊)장군◈ ◈임란1등공신 백기당(白旗堂)조웅(趙熊)장군◈    임진왜란 때 활약한 의병장으로서 충주 가흥리에서 출생하였으며 호는 백기당 이고 본관은 한양(충정공파)이다.  그는 나면서부터 빼어난 재질이 있었으며 기개가 호탕하고 영특하였다. 그리고 성장 해서는 몸이 장대하고 체력이 절륜하였다고 한다. 일찍이 조강에게 사사하여 유학을 수업하다가 뜻한 바있어 무예를 익혔으니 조강도 그를 보고는 곧 간성의 재목임을 알아차리고 무예를 권했다고 한다. 그는 말타고 활쏘기에 능숙하였으며 용기와 지략이 뛰어나 말 위에 서서 달리면서 활을 잘 쏘았으니 당시 사람들이 모두 날으는 장군의 용맹스러움을 여기에서 다시 보는 것 같다고 칭송 하였다고 한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명문가(개국공신) 출신으로서 그도 뜻한 바 있어 일찍부터 무예.. 2016. 8. 14.
선무원종1등공신 백기당 조웅장군 정려각과 공신록 ◈충주출신 임란시 선무원종공신중에 1등공신 백기당 조웅(趙熊)◈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으로서 충주 가흥리에서 출생하였으며 호는 백기당 이고 본관은 한양이다.  그는 나면서부터 빼어난 재질이있었으며 기개가 호탕하고 영특하였다. 그리고 성장 해서는 몸이 장대하고체력이 절륜하였다고 한다. 일찍이 조강에게 사사하여 유학을 수업하다가 뜻한바 있어 무예를 익혔으니 조강도 그를 보고는 곧 간성의 재목임을 알아차리고 무예를 권했다고 한다.  그는 말타고 활쏘기에 능숙하였으며 용기와 지략이 뛰어나 말 위에 서서 달리면서 활을 잘 쏘았으니 당시 사람들이 모두 날으는 장군의 용맹스러움을 여기에서 다시 보는 것 같다고 칭송 하였다고 한다.  대평촌의 정려각, 앙성에서 조천 영축방향으로 가다가 조대고개를 넘어서 바로왼쪽으로 ... 2016. 8. 11.
(配淑夫人高興柳氏墓/따님墓/義婢墓/忠犬무덤) 13세玄洲公(諱纘韓)첫째부인묘소: 고흥류씨 류은(柳溵)의 딸 (配淑夫人高興柳氏墓/따님墓/義婢墓/忠犬塚:義犬塚) 전부인(前夫人)은 고흥유씨(高興柳氏)로 지평(持平) 유은(柳溵)의 딸인데, 정숙(貞淑)하여 부도(婦道)가 있었으며 정유년(丁酉年, 1597년 선조 30년)의 정유재란(丁酉再亂) 때에 왜적을 만나 스스로 목을 찔러 자결하여, 나주(羅州)의 초곡(草谷:홍화골)에 장사지냈다. * 소재지 : 전남 나주시 다시면 동당리 산8번지 (홍화골) 고흥류씨종중선산간좌 * 열녀고흥유씨정려각(烈女高興柳氏旌閭閣) * 소재지 : 전남 장성군 북일면 문암리 산 143 (제암마을) * 연혁 : 高興柳氏의 烈行을 기린 정려로 1798년(정조 22) 국가로부터 旌表받아 한양조씨 현주공(玄洲公)파 문중에서 세웠다. *연혁: 高興.. 2016. 8. 4.
(문학-인물) 허난설헌(許蘭雪軒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6. 7. 30.
한양조씨양절공휘온지묘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6. 7. 10.
한양조씨 제주도 입도조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6. 7. 2.
인디아나존스 촬영지에서 2천년 넘은 거대유적 발견(종합) 인디아나존스 촬영지에서 2천년 넘은 거대유적 발견(종합) 신비한 고대도시 페트라(1) 신비한 고대도시 페트라(1)-위치 및 역사 신비한 고대도시 페트라(2)-일반 정보(펌) 신비한 고대도시 페트라(3)-입구에서 알 카즈네까지(펌) 신비한 고대도시 페트라(4)-노천극장과 왕실 무덤군(펌) 신비한 고대도시 페트라(5)-페트라 시티 센터에서 알 데이르까지(펌) 신비한 고대도시 페트라(6)-알 마그마 하이킹 루트(펌) 신비한 고대도시 페트라(7)-하이킹 정보(펌) 페트라 유적에는 500여개의 무덤을 포함해 800여개의 유적이 산재해있습니다. 방대한 규모를 자랑하는 페트라답게 볼거리도 많은 편입니다. 페트라 유적은 시크(The Siq)부터 알-카즈네(Al-Khazneh(보물창고, The Treasury))를 거쳐.. 2016. 6.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