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정암조광조,학포양팽손◑66

정암 조광조, 어머니 '여흥민씨 (驪興閔氏)'의 경고 말씀!!! 남곤(南袞)과 함께 산책하던 길에 조광조(趙光祖)는 지나가던 여인(女人)의 모습을 보고 계속 되돌아 보았고, 한편 남곤(南袞)은 옆으로 고개도 한번 돌리지 않고 앞서갔다. 집에 돌아온 조광조는 어머니 '여흥 민씨 (驪興 閔氏)'에게 산책 시 여인의 모습을 훔쳐 본 것을 보고 자신의 수양이 부족함을 자책(自責)하였으나, 어머니 '여흥 민씨'는 조광조에게 다음과 같이 경고하였다.젊은 사람은 젊은이답게 살아야 된다. 아름다운 처녀가 있는데 젊은 장부의 마음이 어찌 잠잠학ㅆㄴ냐. 아무런 감정이 없다면 나무나 돌 같은 사람이다. 네가 처녀들에게 한 눈 판 것을 나무라지 않는다. 철이 들면 분별할 때가 반드시 있다. 남곤(南袞)은 목석 같은 사람이라 젊은이의 피가 끓지 않는 차가운 사람이다. 겉으로 보면 인격적으로.. 2024. 4. 8.
제7회 대한민국정암휘호대전(2024년): 동방18현 예시 작품입니다! ◐동방 18현 작품◑ 1. 정암 조광조 ○ 蘭竹詩 人生本自靜。인생이란 본래부터 스스로 고요한데, 淸整乃其眞。맑고 가지런함이 그 참모습이라네. 穩毓馨香德。평안히 길러내는 향기로운 덕이여 何殊草與人。초목이나 사람이 무엇이 다를손가 崖懸蘭亦倒。절벽이라 난은 거꾸로 자랐고, 石阻竹從疏。돌에 막혀 대나무도 드문드문. 苦節同夷險。괴로운 절개는 평안하거나 험난함에 변함이 없고, 危香郁自如。절벽에서 내뿜는 향기는 여전히 그윽하네 ○ 絶命詩 愛君如愛父 : 임금을 사랑하기를 아비처럼 사랑하고 憂國如憂家 : 나라를 걱정하기를 집안처럼 걱정하였네. 白日臨下土 : 밝은 해가 내려다 보니 昭昭照丹衷 : 내 마음을 환히 알고 있으리. ○ 勸學文 學者 至於待人 배우는 사람이 다른 사람을 대함에 이르거든 則每取其長 항상 그 장점을 취.. 2024. 3. 19.
제7회 대한민국정암휘호대전 : [동방 18현 작품] 2차-본선휘호, 2024.5.25.토.10:00~12:00 산양재에서....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3. 12.
▣문정공(文正公) 송시열(宋時烈) 신도비명(神道碑銘) 병서(幷序) ○ 기해년▣여주 대로사비[大老祠碑] (우)28063 충북 괴산군 청천면 청천8길 19 지번 청천면 청천리 산 7-1 ●홍재전서 제15권 / 비(碑)● ▣문정공(文正公) 송시열(宋時烈) 신도비명(神道碑銘) 병서(幷序) ○ 기해년▣ 공(公)이 명 나라 만력(萬曆) 정미년(1607, 선조40)에 출생하여 숙종(肅宗) 기사년(1689, 숙종15)에 말명(末命)을 받았는데, 그해가 숭정(崇禎) 기원 62년이 되는 해였다. 우리 인조(仁祖), 효종(孝宗), 현종(顯宗), 숙종 이렇게 네 왕조를 섬겼고, 관직은 의정부 좌의정까지 올랐으며, 시호는 문정(文正)이고, 학자들이 우암 선생(尤菴先生)이라고 칭하고 있다. 문묘(文廟)에 배향되고, 뒤에 또 효종의 묘정(廟庭)에 추배(追配)되기도 했다. 공은 일찍부터 유학(儒學)에 종사하여 깊고 깊은 성명(性命).. 2023. 12. 12.
정암 조광조, 삶에서 이상까지 특별전!!! 貞夫人 贈貞敬夫人李氏祔 嘉善大夫司憲府大司憲兼同知 經筵 成均館事 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 府領議政兼 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 秋館觀象監事文正公靜庵趙先生之墓 http://www.newstow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329 정암 조광조, 삶에서 이상까지 특별전 - 뉴스타워 최영성(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교양교육원) 이상성(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 교수 진행 용인시 용인문화유적전시관은 오는 10월 12일(토) 오후 2... www.newstower.co.kr ♠정암 조광조, 삶에서 이상까지 특별전!!! 전경만 기자 | 승인 2013.10.10 08:26 최영성(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교양교육원) 이상성(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 교수 진행 용인시 용인문화유적전시관은 오는 10월 12일.. 2023. 12. 8.
[深谷書院學規] ♠사적(史蹟) 제530호 용인 심곡서원 (龍仁 深谷書院) 深谷書院學規♠ 사적(史蹟) 제530호 용인 심곡서원 (龍仁 深谷書院)-(附)조광조 묘사적(史蹟) 제530호 용인 심곡서원 (龍仁 深谷書院)-(附)조광조 묘 분류 :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blog.naver.comhttps://www.yongin21.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993 조선시대 서원교육의 표본이었던 심곡서원학규 - 용인시민신문도암 이재는 왜 ‘심곡서원학규’를 지었나심곡서원은 대원군이 서원철폐령을 단행했을 때도 존치됐던 47개 서원 중 하나이다. 따라서 용인지역의 대표적인 교육기관으로서 전통을 지속할 수www.yongin21.co.kr[조선시대 서원교육의 표본이었던 심곡서원학규]▲도암(陶.. 2023. 11. 16.
▣한훤당 김선생 신도비명 병서(寒暄堂 金先生 神道碑銘 幷序)▣ 한훤당 김굉필 신도비 (우) 43006 대구 달성군 구지면 도동서원로 1 (지번) 구지면 도동리 35 ▣한훤당 김선생 신도비명 병서(寒暄堂 金先生 神道碑銘 幷序)▣ 여헌 장현광 찬(旅軒 張顯光 撰) 명(明) 나라가 문명(文明)의 운(運)을 열자, 우리 조선의 여러 성왕(聖王)들이 운을 따라 계속하여 나와서 덕을 쌓고 교화를 높였다. 이에 진유(眞儒)가 동방에서 나와 도학(道學)이 전해지니, 바로 선생이 그러한 분이다. 선생은 휘(諱)가 굉필(宏弼)이고 자(字)가 대유(大猷)이며 호(號)가 한훤당(寒暄堂)이다. 《국조유선록(國朝儒先錄)》과 《경현록(景賢錄)》에 기재된 것을 삼가 살펴보면 김씨는 황해도(黃海道) 서흥부(瑞興府)가 본적(本籍)이니, 고려조(高麗朝)에 금오위 정용 중랑장(金吾衛精勇中郞將)을 지낸.. 2023. 11. 10.
靜菴先生文集附錄卷之六 / [碑誌]神道碑銘[盧守愼]行狀 [퇴계李滉 ] 靜菴先生文集附錄卷之六 / [碑誌]神道碑銘[盧守愼]隆慶戊辰。今上之元年。贈靜菴先生領議政。越明年。易名爲道德博聞。以正服人曰文正。旣又命錄其言行。聽建書院祠。蓋其表著天心。扶持人紀。赫赫照人耳目。於是。一邦之爲士子者定。後十有一年。搢紳韋布。咸以其墓道闕顯刻。相率來屬于守愼。正孝陵所賞諸生正學本先王敎澤之意。孰不良是斯擧。其如末學。見膚語綿。不足以侔高狀明。凡往返三四。終不可得而辭焉。則謹按。趙氏。本漢陽人。有諱之壽。爲高麗僉議中善。生諱暉。雙城摠管。摠管生諱良琪。襲職。年十三。副金方慶。從元將。討日本有功。詔錫之錦袍玉帶。子龍城府院君諱暾。孫左政丞漢山伯龍源府院君襄烈公諱仁璧。戮力克復登州十二城。又收西邊侵疆。歷諱溫。錄本朝開國定社佐命功臣。漢川府院君。諡良節。諱育。義盈庫使。贈吏曹參判。諱衷孫。成均館司藝。贈禮曹判書。至諱元綱。司憲府監察。贈吏曹參判。聘驪興閔氏縣監諱誼門。成化.. 2023. 11. 10.
♣용인시, 심곡서원 역사공원 조성한다! [6,100㎡ 규모, 112억 투입] ♣용인시, 심곡서원 역사공원 조성한다! [6,100㎡ 규모, 112억 투입] ●교육문화체육관광국 문화예술과 주무관 이용안 : 031-324-2147 용인시는 2026년을 목표로 "용인 심곡서원 역사공원" 조성사업을 추진한다고 2022-11-30일 밝혔다. 수지구 상현동에 위치한 심곡서원은 국가 사적 제530호로 조선 중종 때 사림파의 영수였던 정암 조광조 선생과 학포 양팽손 선생의 위패를 모신 곳으로, 1650년(효종 1년) 조광조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설립됐다. 시는 지난해부터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하고 보호구역을 확대하는 등 서원 정비를 위한 기반을 조성해왔다. 종합정비계획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역사공원"조성사업은 112억 원의 국·도·시비를 투입해 6,100㎡ 규모로 추진한다. "역사공원"에는.. 2023. 10. 3.
◈ 제6회 대한민국정암서예대전 도록 & 시상식/전시회 ◈ ◈ 제6회 대한민국정암서예대전 도록 & 시상식/전시회 ◈ 2023. 6. 25.
▣은봉전서(隱峯全書)안방준(安邦俊)▣▣隱峯全書卷十二▣◐己卯遺蹟◑典翰趙光祖特拜副提學。辭不許。 ▣은봉전서(隱峯全書)안방준(安邦俊)▣ ▣隱峯全書卷十二▣ ◐己卯遺蹟◑ 1典翰趙光祖特拜副提學。辭不許。 2副提學趙光祖移拜同副承旨俄還拜副提學 3副提學趙光祖特拜司憲府大司憲。辭不許。 4大司憲趙光祖還拜副提學。 5副提學趙光祖還拜大司憲。辭不許 ■典翰趙光祖特拜副提學。辭不許。 ■ 戊寅正月。進講大學誠意章。先生啓曰。古云。至誠感神。又曰。不誠無物。君之遇臣。臣之事君。皆以誠實。則治化可期其成也。我國地方偏小。人君發一言。則八道之人。一朝皆得聞知。惟當於大臣則敬之。群臣則體之。百工則來之。庶民則子之。患吾之所以遇臣愛民者有未誠耳。不患其難化也。後世治道漸下。不能復古者。蓋以後世之君。無有眞如古昔帝王故也。今之言者曰。欲復古之治道。徒爲變亂舊章而已。此由知識庸下。直以所見爲言也。近來。士氣稍稍振起。民之趨向。亦漸好矣。惟願自上日如愼獨誠實工夫。終始不渝。則治化可臻矣。若使世道日漸.. 2023. 6. 13.
■기묘제현수첩(己昴諸賢手帖)#기묘제현수필(己卯諸賢手筆)■ https://youtu.be/I2OJtFnRVdU ▣기묘제현수첩(己昴諸賢手帖)#기묘제현수필(己卯諸賢手筆)▣ ​#기묘제현수첩(己昴諸賢手帖)기묘제현수첩(己昴諸賢手帖) #己昴諸賢手帖己昴諸賢手帖 #기묘제현수필(己卯諸賢手筆)기묘제현수필(己卯諸賢手筆) #己卯諸賢手筆己卯諸賢手筆 #구례 현감 안처순 먼저 ‘기묘제현수필’에 대한 설명입니다. ​ ‘기묘제현수필’은 ​ 안처순이 1518년 홍문관 박사로 재직할 때 남원에 계신 모친을 위해 가까운 곳의 지방관을 자청, 구례 현감에 부임하게 되자, ​ 유용근, 조광조를 비롯한 동료·친우들이 송별의 뜻에서 서(序)·시(詩) 등을 지어준 것입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기묘제현수필(己卯諸賢手筆))] ​ 즉 1518년 안처순이 구례현감으로 내려갈 때 24명의 벗들이 지어준.. 2023. 6. 13.
◐己卯諸賢手筆 (기묘제현수필)◑ ◐己卯諸賢手筆 (기묘제현수필)◑ 자 료 명 己卯諸賢手筆 (기묘제현수필) 발간/저자 사제당 안처순(1518)/ 조인영(1830) 연대/시기 조선 전기(1518년)/ 숭정기원후4경인년(1830년) ○이 문집은 전라감영에서 감사 조인영(趙寅永)이 1830년에 기묘명현들의 서첩을 판각하여 발행한 목판본 이다. ○원본 서첩은 보물 제1197호이다. 순흥안씨 사재(思齋) 안처순(安處順)이 1518년 홍문관 박사로 재직할 때 남원에 계신 모친을 위해 가까운 곳의 지방관을 자청, 구례 현감에 부임하게 되자, 유용근(柳庸謹), 조광조(趙光祖)를 비롯한 동료·친우들이 송별의 뜻에서 서(序)·시(詩) 등을 지어준 것이다. 아들 안전(安瑑)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모두 24명의 필적이 48면에 실려있다. 이 수필첩에는 김인후(.. 2023. 6. 11.
■己卯遺蹟■은봉전서(隱峯全書)안방준(安邦俊), 1864년(고종 1)(간행)◐隱峯全書卷十三■ ■은봉전서(隱峯全書)안방준(安邦俊) ■1864년(고종 1)(간행) ■40권 20책 40권 20책. 주자본. 안방준의 저술 전부를 그의 6대손 수록(壽祿)이 아들 명윤(命允)과 함께 수집, 배열하고 거기에 연보를 비롯한 부록을 정리, 편입해 편집하였다. 그 뒤 7대손 명선(命宣), 8대손 숙(橚) 등이 여기에 다시 누락된 것을 첨가하고 보충해서 전라도 보성 대계서원(大溪書院)에서 1864년(고종 1)에 간행하였다. 그의 시문은 본래 5대손 창현(昌賢)이 5책의 활자본으로 ‘우산집(牛山集)’이라는 서명으로 출간한 바 있다. 거기에는 ≪기묘록 己卯錄≫·<혼정편록 混定編錄>·<항의신편 抗義新編> 등이 들어 있지 않았고 시문에도 누락된 것이 있었다. 이 책은 결국 원집인 ≪우산집≫에다 ≪기묘록≫ 등의 여러 가지 .. 2023. 6. 10.
◐기형백(寄馨伯)◑언계공(彦桂公) 諱형백(馨伯)에게 보내신 시다! ◐기형백(寄馨伯)◑ ●斗北高名嶺以南두북고명영이남 ●淸詩吟罷壓陳三청시음파압진삼 ●一樽何日論文細일준하일논문세 ●雲樹情懷更不堪운수정회갱부감 -靜菴 趙光祖- ☞북두성처럼 높은 이름은 영이남에 드높고 ☞맑은 시 읊음은 진삼을 누르겠네. ☞어느날 다시 만나 한잔술로 세세히 문장을 논할고? ☞나무에 구름 걸리듯이 보고픈 정을 견디기 어렵구나. ◈諱언계(彦桂)공께 보내신 시다. 幸州寄氏, 언계공은 字 형백(馨伯), 사마시(司馬試)에 장원(壯元)하시어 선무랑(宣務郞), 곤양제독(昆陽提督) 하셨다.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선생 및 재종조부(再從祖父) 오졸재(迂拙齋) 문하에서 수학 하시고 정암과 벗 하셨다. (寄彦桂) 2023. 6. 10.
▣學圃先生文集序▣ ◐學圃先生文集序[趙亨復]▣學圃先生文集重刊跋[趙鍾弼]▣▣學圃先生文集卷之二 / 疏 伸救諸賢疏 己卯十一月▣ ▣學圃先生文集序▣ ◐學圃先生文集序[趙亨復] 嗚呼。小子於是集。有不忍讀。亦不敢不讀。不忍讀者。是集故也。不敢不讀者亦是集故也。是集乃己卯名賢學圃梁先生集也。小子以靜菴先生爲祖。何忍讀己卯賢文字耶。然以其不忍也而不之讀。則吾祖不孤之德。又將無所於攷。竟所以不敢不讀也。嗟乎。己卯之賢。孰不爲吾祖道義之友。而先生爲別焉。蓋先生生湖南。自五歲有異行。甫十三。遊先生長者門。莫不見重。弱冠。以致澤自任。其德器之夙就可知。及一見吾祖。遂忘年歸贄如蔡西山之於朱夫子。吾祖亦嘗倚以爲重。有曰芝蘭薰人。有曰秋天皎月。則其志同道同有如是矣。以至上舍之同年也。院宇之同享也。何莫非小子之有感於先生也。而最其吾祖之謫綾城也。綾卽先生鄕也。從遊如平昔。得全困亨之志。逮至十二月二十日。執手相訣。無一言及私事。於是乎兩先生造德之深。恭惟乎千載之下矣。其始也。救吾祖謫而止者。鄭文翼公力也。及其終也。哭吾祖風雪勞止者。先.. 2023. 6. 10.
◈제6회 대한민국정암서예대전 시장자명단◈ ◈제6회 대한민국정암서예대전 시장자명단◈ ♥조중행 박사님은 서울대병원의 미국국제진료소장으로 계시는데, 공조판서 은상 조종필 초대대종회 대종약장의 증손자이다. 1회부터 서예대전에 특별상을 수여하고 있다. 2023. 5. 29.
◈제1회 대한민국정암휘호대전(16.04.30.토.10시~~~)◈ ◈제1회 대한민국정암휘호대전(16.04.30.토.10시~~~)◈ ♥조중행 박사님은 서울대병원의 미국국제진료병원소장으로 계시는데, 공조판서 은상 조종필 초대대종회 대종약장의 증손자이다. 1회부터 서예대전에 특별상을 수여하고 있다. 2023. 5. 28.
◈제6회 대한민국정암서예대전 1차심사대상자 산앙재휘호(23.05.27.토)◈ ◈제6회 대한민국정암서예대전 1차심사대상자 산앙재휘호(23.05.27.토)◈ 2023. 5. 28.
▣제6회 대한민국 정암서예대전 휘호 대상자 발표(1차 심사장면:2023.05.24.수) ▣제6회 대한민국 정암서예대전 휘호 대상자 발표 (1차 심사장면:2023.05.24.수) 1. 행초서 진태랑 2. 예서 차태운 3. 예서 이은자 4. 전서 신중철 5. 해서 유광석 6. 한글 변근주 7. 한글 주현정 8. 문인화 박연화 9. 문인화 윤인숙 ●이상 9명입니다 27일 토요일 1시까지 심곡서원에 방문하셔서 휘호에 참석하시기 바랍니다. 2023. 5. 26.
♣용인 문정공 정암 조광조 묘소 및 신도비와 가족묘원! ♣용인 문정공 정암 조광조 묘소 및 신도비와 가족묘원! ▣역사의 흔적을 가다…정치 격변기로 단명▣ 심온, 조광조 묘…수원‧용인에 위치하며 2km 떨어져 있어... 위인 ! 한 시대를 풍미했던 역사의 인물은 어떠한 삶을 살았을까, 수원시와 용인시의 경계를 사이에 두고 약 2km의 거리에 두 인물이 잠들어 있다. 수원의 광교에는 심온 선생의 묘가 있고, 용인의 광교에는 조광조 선생의 묘가 있다. 두 선생의 묘소는 불과 2km의 거리에 있으며, 걸어서 30여분이면 오갈 수 있다. 심온 선생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세종대왕의 장인이다.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조선 개국에 참여했다. 이후 이조판서 등 요직에 등용되어 정치를 펼쳤지만 권력의 소용돌이에 밀려 44세의 젊은 나이에 수원으로 압송되어 사약을 받.. 2023. 5. 1.
◐제6회 大韓民國靜菴 書藝大展:접수기간:2023.5.8.(월).~12(금)◑ ◐제6회 大韓民國靜菴 書藝大展:접수기간:2023.5.8.(월).~12(금)◑ 2023. 4. 17.
※훈구파들의 기획된 좌초의 "주초위왕 (走肖爲王)"으로 쓰러저간 정암 조광조 선조님의 개혁정신!!! ▣훈구파들의 기획된 좌초의 "주초위왕 (走肖爲王)"으로 쓰러저간 정암 조광조 선조님의 개혁정신!!! <인물로 배우는 역사 공부> 정암 조광조의 생애 정암 조광조의 생애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다.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효직(孝直), 호는 정암(靜庵)이다. 김종직의 학통을 이어받은 김굉필의 문하에서 수학하다 유숭조의 문하에서도 수학했다. 사림파의 정계 진출을 확립하였다. 중종의 훈구파 견제 정책에 의해 후원을 받아 홍문관과 사간원에서 언관 활동을 하였고, 성리학 이론서 보급과 소격서 철폐 등을 단행하였다. 성리학적 도학 정치 이념을 구현하려 했으나 훈구 세.. 2022. 10. 31.
◎ 기묘사화(중종14년 1519년), 신사무옥(중종16년 1521년)고찰 ◎ 기묘사화(중종14년 1519년), 신사무옥(중종16년 1521년)고찰 조선 임금 중종은 연산군의 폭정으로 중종반정을 통하여 등극하였다. 성종의 둘째 아들인 진성대군이 중종 반정으로 왕으로 추대 되었다. 이때 반정이 일어나 겁을 먹고 집에 있는데 집앞에 여러 말들이 궁둥이를 대군의 집으로 향한 것을 보고 반정이 성공했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당시 말들은 진성대군을 왕으로 추대하러 온 말이라고 한다. 중종은 정상적인 방법인 세자로 있다가 임금이 된것이 아니라 반정의 주체인 박원종, 유자광, 유순정, 성희안, 홍경주등 공신 세력 덕택에 등극하여 취임초에는 실권이 없었다. 당시 반정 공신의 뜻에 따라야 했다. 따라서 첫 배우자인 단경왕후도 7일만에 역적의 딸과 동생이라고 폐위되고 말았다. 당시 치마바위란 유래.. 2022. 9. 4.
■學圃先生文集卷之三 / 附錄●家狀[梁世南]●學圃先生文集重刊跋[趙鍾弼]●諡狀[鄭元容] ■學圃先生文集序 / [序] ●學圃先生文集序[趙亨復] [DCI]ITKC_MO_0112A_0010_010_0010_2003_A021_XML DCI복사 URL복사 嗚呼。小子於是集。有不忍讀。亦不敢不讀。不忍讀者。是集故也。不敢不讀者亦是集故也。是集乃己卯名賢學圃梁先生集也。小子以靜菴先生爲祖。何忍讀己卯賢文字耶。然以其不忍也而不之讀。則吾祖不孤之德。又將無所於攷。竟所以不敢不讀也。嗟乎。己卯之賢。孰不爲吾祖道義之友。而先生爲別焉。蓋先生生湖南。自五歲有異行。甫十三。遊先生長者門。莫不見重。弱冠。以致澤自任。其德器之夙就可知。及一見吾祖。遂忘年歸贄如蔡西山之於朱夫子。吾祖亦嘗倚以爲重。有曰芝蘭薰人。有曰秋天皎月。則其志同道同有如是矣。以至上舍之同年也。院宇之同享也。何莫非小子之有感於先生也。而最其吾祖之謫綾城也。綾卽先生鄕也。從遊如平昔。得全困亨之志。逮至十二月二十日。執手.. 2022. 9. 3.
●학포집(學圃集)●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9. 3.
심곡서원추향제례 (우) 16862(지번) 상현동 203-2경기 용인시 수지구 심곡로 16-9심곡서원(深谷書院):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호 ▶국가사적 제530호 지정 심곡서원추향제례축문(대축:심곡서원학장 조성달,초헌관 용인시장 김학규님) 이상일 용인시장 “나랏일을 자기 집 일처럼 조광조 정신, 용인공직자 모델로" 이종성 기자 l680502lee@hanmail.net 등록 2022.09.01 16:28:03 [데일리엔뉴스 이종성 기자]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1일 심곡(深谷)서원 추계 향사에 참석해 정암 조광조 선생의 정신을 기렸다.수지구 상현동에 위치한 사적 제530호인 심곡서원은 조선 중종 때 사림의 지지를 바탕으로 도학 정치를 실현하고자 했던 정암 조광조(1482~1519) 선생과 학포 양팽손(1488~1545) 선생의 .. 2022. 9. 1.
"개혁의 본질은 잘못된 것을 바로 잡는 것!!!" '조광조 연구가' 성균관대 이상성 교수 :박인규■잠수함(msubmarine)■ 의 집중인터뷰[02/20] https://blog.naver.com/msubmarine/60034599736 ■한국 도학의 태산북두 조광조(趙光祖)■ "개혁의 본질은 질못된 것을 바로 잡는 것" 박인규의 집중인터뷰[02/20] '조광조 연구가' 성균관대 이상성 교수 우리 사회에서 '개혁'이 화두로 떠오를 때마다 빠지지 않고 거론되는 인물, 바로 조선조의 정암 조광조입니다. 그동안 조광조의 개혁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가 나왔습니다만.. 주로 '실패한 개혁가', '성급한 이상주의자'라는 얘기가 뒤따랐는데요. 하지만, 지난 10여 년간 조광조를 연구해 온 성균관대 이상성 교수는.. 조광조의 개혁은 절대 실패한 게 아니며.. 이제는 그의 개혁의 방향과 정당성을 제대로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특히 그의 삶과 사상은 오늘날 우리 사회의.. 2020. 12. 29.
●정암선생서원유지추모비●(靜菴先生書院遺址追慕婢) ●정암선생서원유지추모비●(靜菴先生書院遺址追慕婢)2020. 5. 12. 23:11=www.bhgoh.tistory.com/m/6938 답사사진보기 티스토리=●정암조선생학포양선생죽수서원유지추모비●(靜菴趙先生學圃梁先生竹樹書院遺址追慕碑) ☞희암(希菴) 양재경(梁在慶:1859~1918)의 주선으로 1905년 최익현(崔益鉉)이 짓고, 음기는 송병순(宋秉珣)이 썼다.  ●정암선생서원유지추모비●(靜菴先生書院遺址追慕婢) ◎학포 양팽손선생이 세운 : 죽수사(竹樹祠) - 증리 서원터◎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 1833~1906)書 송병순(宋秉珣) 동옥(東玉), 심석재(心石齋), [1839년(헌종 5)~1912년]筆, 제주양씨 문중에서 1910년 세움.  ◎학포 양팽손(學圃 梁彭孫) 1488-1545, 본관은 제주(濟州)선.. 2020. 5. 16.
정암조선생서원유지추모비 www.bhgoh.tistory.com/m/6938 ●정암선생서원유지추모비 ●(靜菴先生書院遺址追慕婢 ) ◎학포 양팽손선생이 세운 : 죽수사(竹樹祠 )- 증리 서원지◎면암 (勉菴) 최익현(崔益鉉 , 1833~1906)1885년3월書, 1905년 세울시 음기는 송병순(宋秉珣)이 썼다.제주양씨 문중의 희암(希菴) 양재경(梁在慶:1859~1918)의 주선으로 1905년 세움. ◎학포 양팽손 (學圃 梁彭孫 ) 1488-1545, 본관은 제주 (濟州 )선생이 세운 : 죽수사 (竹樹祠 )- 증리 서원터* 前위치-서원터(址) :전남 화순군 이양면 증리 232(도로명)전남 화순군 이양면 서원동길 158-3* 現위치 : 화순군 이양면 증리 : 당산느티나무 정미소 아래의 논뚜렁에 나시 옮김. 이양면 증리 260(서원말 /.. 2020. 5. 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