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역사의 향기를 찾아서280

1714년(숙종 40) 경상도 상주목 옥동서원 焚香錄 : 사월공(沙月公) 조임(趙恁) 1714년(숙종 40) 경상도 상주목 옥동서원 焚香錄KSAC+Y10+KSM-XG.1714.4725-20180630.Y1850201006 기본정보분류작성주체작성지역작성시기형태사항소장정보형식분류: 고문서-치부기록류-시도기내용분류: 교육/문화-서원/향교-심원록옥동서원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1714판본: 필사본장정: 선장수량: 13장재질: 종이표기문자: 한자원소장처: 상주 옥동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현소장처: 상주 옥동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안내정보1714년(숙종 40) 경상도 상주목 옥동서원 焚香錄자료적 가치갑오년 옥동서원에서 거행된 朔望際를 주관한 인물들을 기록한 명단인 『분향록』이다. 본 문서를 비롯한 옥동서원 소장 분향록에 의하면 삭망제는 대체로 院長과 齋任, 儒生이 주관하였.. 2024. 8. 14.
▣功臣都監 : 1395년 한노개(韓奴介) 개국원종공신녹권(開國原從功臣錄券)▣ ▣功臣都監 : 1395년 한노개(韓奴介) 개국원종공신녹권(開國原從功臣錄券)▣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녹권 / 국왕·왕실-교령-공신녹권· 작성주체발급: 공신도감(功臣都鑑)수취: 한노개(韓奴介)· 작성지역한양  / 서울특별시 · 작성시기1395년 / 홍무28년 윤9월 일· 형태사항크기: 25x265.5 / 권축장(卷軸裝), 권자본(卷子本), 1축 / 종이 / 한자, 이두· 인장서명吏曹之印, 5개(6.5×6.5, 적색정방형)· 서명(개)착명:9· 소장정보원소장처 : 북청 가주한씨 한태숙  / 현소장처 : 인민대학습당 · 비고정서본:『한국의 古文書』(허흥식, 민음사, 1988), 『朝鮮初期 古文書 吏讀文 譯註』(박성종,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功臣前中直大夫司宰監 韓奴介 本嘉州右員乙原從功臣錄券 良中奇是臥乎{事/叱.. 2024. 8. 12.
[출근길 인터뷰] 덕수궁 역사가 고스란히…옛 조선저축은행 사택 개방!!! https://tv.kakao.com/v/448765611 [출근길 인터뷰] 덕수궁 역사가 고스란히…옛 조선저축은행 사택 개방이경희2024. 8. 12. 08:08[앵커]일제에 의해 훼손된 덕수궁 선원전 터에 있는 옛 조선저축은행 사택이 8월 한 달간 문을 엽니다.이 선원전은 역대 왕들의 초상화인 어진을 모시는 신성한 곳이었는데요.뉴스캐스터 연결해 역사의 흔적…찾아보겠습니다.강수지 캐스터. [캐스터]오늘은 최자형 궁능유적본부 사무관과 이야기 나눠볼게요. 안녕하십니까?먼저 이곳 서울 정동 덕수궁 영역의 선원전 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 같은데요. 이곳은 어떤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요?[최자형 / 궁능유적본부 사무관]선원전 영역은 역대 왕의 어진들을 모시고 제사를 지냈던 궁궐에서도 가장 신성시되던 공.. 2024. 8. 12.
●국보 제232호 : 의안백이화개국공신록권(義安伯李和開國功臣錄券)● ●국보 제232호 : 의안백이화개국공신록권(義安伯李和開國功臣錄券)●功臣都監純忠佐命開國功臣 崇祿大夫 商議門下府事 兼判義興親軍衛事 義安伯李和 本貫右員中 開國功臣錄券良中 奇是臥乎事叱段 當使與別監同議申言 洪武貳拾伍年月日 都評議使司出納內 洪武二拾伍年 八月 貳拾日 右承旨 韓尙敬次知 口傳王旨 前朝君位 自恭愍王無子薨逝 妖僧辛旽之子禑 乘間竊據 荒淫無道 恣行殺戮 戊辰年間 妄興師旅 將犯上國之境 而諸將擧義廻軍乃自知其罪 傳位子昌 王氏已絶者 十有六年矣 猶尙擇于宗親 以定昌府院君瑤 權署國事 而乃昏迷不法 忘經遠之大體 見目前之小利 知其有私 不知有公 田制惡其經界之正 公廩竭於子壻之用 凡爲正人君子 則不惟忌憚 必欲加罪 讒諂面諛 [공신도감(功臣都監)]순충좌명개국공신(純忠佐命開國功臣) 숭록대부(崇祿大夫) 상의문하부사(商議門下府事) 겸(兼) 판의흥.. 2024. 8. 10.
■王綧 [아들 아랄첩목아(阿剌帖木兒), 활활첩목아(濶濶帖木兒), 올애(兀愛)]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8. 1.
○고려 공민왕이 회복한 쌍성총관부 진짜위치!!! https://youtu.be/Wbnyvoasq1whttps://youtu.be/UEz2IY0PtHA알면 혈압만 치솟는 고려, 조선 국경사 2탄. [ 공민왕 쌍성총관부 진짜위치]매림 역사문화TV구독자 2.02만명조회수 5,440회 2023. 6. 3. #쌍성총관부 #풍패지관처음부터 잘 못 비정 된 고려 국경선과 그 연장선 조선국경선. 반도사관에 의해 한반도 내로 밀어 넣은 공험진과, 선출령, 철령위. 후속으로 쌍성총관부까지 한반도로 끌고 들어온다. 혼동되는 쌍성의 위치를 이번 기회로 정리하며 공민왕의 동서북 국경회복과 조선창업사 배경도 알아 본다. #쌍성총관부 공민왕#풍패지관 이성계 2024. 7. 31.
역사 뒤집어 보기, 역썰 22회ㅣ고려 국경 조작사3 철령위위치, 이성계 위화도회군 왜 했나??? https://youtu.be/JFZYplAcH3g역사 뒤집어 보기, 역썰 22회ㅣ고려 국경 조작사3시청하시고 유익하셨다면 구독 꼭 눌러주세요^^ 증산도 진리가 궁금하세요? 아래 서식을 정성껏 적어주시면 무료로 소정의 소책자를 보내드립니다. http://www.jsd.or.kr/?m=codeigniter&c... 상생방송STB   구독자 8.39만명 가족같은 사이였는데... 이성계는 왜 최영을 배신해야 했나[TV 리뷰] tvN STORY 최영(崔瑩)과 이성계(李成桂)는 한국사에서 여말선초(麗末鮮初)의 격동기를 이야기하는 데 모두 빼놓을 수 없는 인물들이다. 고려말 신흥무인세력의 중심으로 한때는 함께 고려를 여러 번 지켜냈던 구국의 명장이자 정치적 동지였던 두 사람은, 이성계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을 기.. 2024. 7. 30.
해동역사 속집 제10권 / 지리고(地理考) 10고려(高麗) 1 해동역사 속집 제10권 / 지리고(地理考) 10고려(高麗) 1[DCI]ITKC_BT_1433A_0830_010_0010_2007_008_XML DCI복사 URL복사강역총론(疆域總論)○ 고려 초기에는 그 강역이 삼면은 바다로 막혔고, 북쪽은 정평(定平)의 도련포(都連浦)를 경계로 삼았으며, 서북쪽은 청천강(淸川江)을 경계로 삼았다가 뒤에는 압록강(鴨綠江)을 경계로 삼았다.《금사(金史)》 고려열전(高麗熱傳)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고려 지역은 압록강 동쪽과 갈라로(曷懶路) 남쪽에 위치하였으며, 동쪽과 남쪽은 모두 바다에 닿았다.《고려도경(高麗圖經)》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고려는, 남쪽은 요해(遼海)로 막히고 서쪽은 요수(遼水)로 막혀 있고 북쪽은 옛 거란(契丹)의 땅과 접하였고 동쪽은 금(金)나라와.. 2024. 7. 28.
高麗史節要 卷之十八 / 元宗順孝大王[一][戊辰九年 宋 咸淳四年,蒙古 至元五年]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7. 28.
서희 강동6주, 윤관의 동북9성의 진짜 위치는? 조선총독부 고려 국경선을100년간 가르친 한국사학계 물러날 길이 없다. 서희 강동6주, 윤관의 동북9성의 진짜 위치는?거란과 고려의 자연스런 국경 위치비정은 요탑의 위치.쓰다 소키치가 공격한 고려인과 서희장군.조선총독부 고려 국경선을100년간 가르친 한국사학계 물러날 길이 없다.https://www.youtube.com/watch?v=9hZUvgW1wBA 2024. 7. 28.
●몽고의 여걸, 조국대장공주 알카이 베키(趙國大長公主 阿剌海別吉) ●몽고의 여걸,  조국대장공주 알카이 베키(趙國大長公主 阿剌海別吉)아랄해별길(阿剌海別吉公主, 阿剌海別吉 ?~?) ○칭기즈 칸(중세 몽골어: ᠴᠢᠩᠭᠢᠰᠬᠠᠭᠠᠨ Činggis Qan, 몽골어: Чингис хаан, 한국 한자: 成吉思汗 성길사한, 문화어: 칭기스 한, 영어: Genghis Khan, 1162년 11월 12일 ~ 1227년 8월 25일[1])은 몽골 제국의 건국자이자 초대 카안이다. 중국식 별칭은 칭기스 황제, 묘호는 태조(太祖), 시호는 법천계운성무황제(法天啓聖運武皇帝)이다. 본명은 보르지긴 테무친(몽골어: ᠪᠣᠷᠵᠢᠭᠢᠨᠲᠡᠮᠦᠵᠢᠨ, 한국 한자: 孛兒只斤鐵木眞 패아지근철목진)으로, 몽골의 여러 부족을 통합한 군사·정치 지도자로서 몽골 초원의 부족들을 정복하고 몽골 제국을 성립시켜 몽.. 2024. 7. 27.
●고려 국경선과 천리장성의 진실??? ●고려 국경선과 천리장성의 진실●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는 가장 성공한 '교육백년지대계'였을까?https://brunch.co.kr/@pomie1999/143 고려 국경선과 천리장성의 진실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는 가장 성공한 '교육백년지대계'였을까? | 학창시설 한국사를 배우면서 아쉬웠던 점은 고대사와 중세사가 늘 좁은 한반도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다. 한때 광활한 만주brunch.co.kr학창시설 한국사를 배우면서 아쉬웠던 점은 고대사와 중세사가 늘 좁은 한반도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다. 한때 광활한 만주를 차지했던 고조선과 고구려가 있었지만 고려 김부식이 편찬한 삼국사기와 일부 역사 사료를 제외하면 우리의 고대사를 올바로 공부하고 이해하기는 매우 부족하다. 특히 고조선은 실제 역사라기보다는 신화로 .. 2024. 7. 27.
桂窩集附錄: 趙備 墓碣銘[朴世采] 桂窩集附錄趙備 墓碣銘[朴世采] b033_474a 편목색인[DCI]ITKC_MO_0877A_0080_000_0020_2010_B033_XML DCI복사 URL복사公諱備字士求。其先漢陽府人。有諱良琪當高麗時。世守北邊。嘗破哈丹兵。被元世祖所奬。至本朝襄烈公諱仁璧。良節公諱溫。志義勳閥。並著于世。四傳而至諱邦彦參判。是爲公高祖。曾祖諱玉縣監。贈參判。祖諱揚庭贈判書。考諱纘韓左承旨號玄洲。以文章獲大名。妣幸州奇氏。僉正諱孝曾之女。高峰先生諱大升之孫。公生于萬曆丙辰十二月初吉。時玄洲公方莅滎川郡。郡有小白山爲鎭。玄洲公遂以命公小字。公又推小山之義。自號叢柱窩。少已敏悟。比長淹貫徑史。詞秇絶倫。兼善筆法。所與游皆一時名勝。然風姿亢爽。議論踔厲。率常屈其一座。間多有忌之者。旣而委禽于澤堂李公之門。李公亟愛重之。俄丁玄洲公憂。從伯氏龍宮公廬墓。盡禮卒喪。中崇禎乙亥進士試。明年虜難作.. 2024. 7. 27.
淸陰先生集序 淸陰先生集序●朝天錄序[李康先] a077_003a 편목색인[DCI]ITKC_MO_0299A_0010_000_0010_2003_A077_XML DCI복사 URL복사蓋聞奉皇華之使者。嘗有有懷靡及之心。以故爰諏諮度。卽其所歷之境地。所遇之情形。山川城郭。無不可發爲文章而煥其志氣。要以厪上國之思。懷耿光之想。而寔與於冠裳玉帛之會者。蓋難其人。方今聖天子在上。運正當午。文泉甫壯。凡夫楮卿墨客與夫騷人羽士一吟一詠。無不足以翔洽大化。鼓吹休明。頃有朝鮮使君金。偶出其所著朝天錄。閱之。識趣高邁。襟懷寥廓。有工部之深思而不湮於排鬱。有謫仙之瀟灑而不流於狂肆。有五柳之澹蕩而不淪於寂寞。至其音律之鏗鏘。對偶之金石。大有聲振林木。響遏行雲之致。其所以鼓吹我文明之化。而光寵其主之休命者。豈淺鮮哉。余故樂爲之敍。益以見聖世維新之治。窮荒絶域。擧爲聲名文物之鄕。而況隷在屬國之下者乎。他日重譯之朝。.. 2024. 7. 26.
♣조문정공(趙文正公)의 난죽시화첩(蘭竹詩畫帖)♣고(故) 의병장(義兵將) 증(贈) 이조 판서 중봉(重峯) 조 선생 헌(趙先生憲)의 신도비명 병서[金尙憲, 淸陰先生集卷之二十八 / 碑銘 四首] 國朝人物考八 / 儒學趙憲 碑銘[金尙憲]고(故) 의병장(義兵將) 증(贈) 이조 판서 중봉(重峯) 조 선생 헌(趙先生憲)의 신도비명 병서[DCI]ITKC_BT_0299A_0290_010_0030_2008_005_XML DCI복사국가에서 인재를 양성한 지 200년이 지나 선조(宣祖) 때에 이르러 충효와 절의와 학문을 겸비한 선비가 한 분 나오셨으니, 바로 중봉 선생 휘(諱) 헌이시다. 선생의 성씨는 조씨(趙氏)이며, 여식(汝式)은 자이고, 중봉은 호이다. 고려 때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낸 문주(文冑)라는 분이 있었는데, 선생은 그분의 후예이다. 휘 천주(天柱)에 이르러서는 상장군(上將軍)이 되었는데,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안주(安州)에서 싸우다가 목숨을 바쳤다. 휘 공(珙)에 이르러서는 은천군(銀川君).. 2024. 7. 26.
■秋江南孝溫先生文集跋 성명남효온(南孝溫)생년1454년(단종 2)몰년1492년(성종 23)자백공(伯恭)호추강거사(秋江居士), 행우(杏雨)본관의령(宜寧)시호문청(文淸)■秋江先生文集跋 ◐舊跋[兪泓] a016_160b  [DCI]ITKC_MO_0081A_0100_000_0020_2003_A016_XML DCI복사 URL복사 公姓南。諱孝溫。字伯恭。自號秋江居士。宜寧人諱恮之子也。早喪父。事母李氏。以孝聞。爲人沖澹而弘毅。疏曠而典雅。胸次洒落。無一點塵氣。嘗受業於佔畢齋。佔畢公不敢名。必曰吾秋江。其見敬禮如此。與金宏弼,鄭汝昌,金時習,安應世諸賢。相推重。若弟兄然。在成廟朝。上疏請復昭陵。不聽。遂絶意於斯世。以散漫爲事。凡稱名勝之地。足迹殆將遍焉。以正統甲戌降。易簀于成化壬子。年三十九。至燕山甲子。追罪昭陵之疏。橫罹泉壤之禍。止一子諱忠世亦坐。卽泓之外王父也。家人慮公之遺稿復爲厲階.. 2024. 7. 26.
해동역사 속집 제11권 / 지리고(地理考) 11고려(高麗) 2 해동역사 속집 제11권 / 지리고(地理考) 11고려(高麗) 2[DCI]ITKC_BT_1433A_0840_010_0010_2007_008_XML DCI복사 URL복사성읍(城邑)○ 왕경(王京) 개성부(開城府) -개주(開州)라고도 하고, 송악군(松嶽郡)이라고도 하고, 촉막군(蜀莫郡)이라고도 한다.《송사(宋史)》 고려열전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고려 왕은 개주(開州) 촉막군(蜀莫郡)에서 사는데, 이곳을 개성부(開城府)라고 한다. 큰 산에 의지하여 궁실을 세웠으며 성벽을 쌓았는데, 그 산을 신숭산(神嵩山)이라고 한다. 백성들이 사는 집은 모두 띠풀로 지붕을 이었고, 크기가 단지 두어 칸에 지나지 않으며, 기와로 지붕을 이은 집은 겨우 10분의 2쯤 된다.《계림유사(鷄林類事)》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고려의.. 2024. 7. 25.
해동역사 속집 제10권 / 지리고(地理考) 10 : 고려(高麗) 1 해동역사 속집 제10권 / 지리고(地理考) 10고려(高麗) 1[DCI]ITKC_BT_1433A_0830_010_0010_2007_008_XML DCI복사 URL복사강역총론(疆域總論)○ 고려 초기에는 그 강역이 삼면은 바다로 막혔고, 북쪽은 정평(定平)의 도련포(都連浦)를 경계로 삼았으며, 서북쪽은 청천강(淸川江)을 경계로 삼았다가 뒤에는 압록강(鴨綠江)을 경계로 삼았다.《금사(金史)》 고려열전(高麗熱傳)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고려 지역은 압록강 동쪽과 갈라로(曷懶路) 남쪽에 위치하였으며, 동쪽과 남쪽은 모두 바다에 닿았다.《고려도경(高麗圖經)》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고려는, 남쪽은 요해(遼海)로 막히고 서쪽은 요수(遼水)로 막혀 있고 북쪽은 옛 거란(契丹)의 땅과 접하였고 동쪽은 금(金)나라와.. 2024. 7. 25.
고려의 구원투수에서 새로운 왕조의 주인공이 된 ‘이 사람 이성계!’ 고려의 구원투수에서 새로운 왕조의 주인공이 된 ‘이 사람 이성계!’9월 15, 2022https://www.youtube.com/watch?v=zIok2mHl22k&t=22.6s태조(1335년~1408년) 이성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조선을 건국한 초대 왕(재위: 1392년~1398년)으로 1335년(충숙왕 후 4년) 화령 흑석리에서 태어났습니다. 대중적으로는 다른 역대 국왕과 달리 ‘태조’라는 묘호보다 ‘이성계’라는 이름이 더 유명하며 후일 대한제국의 고종이 그를 황제로 추존하게 됩니다.https://i0.wp.com/youtext.ai/wp-content/uploads/2022/12/zIok2mHl22k.69.774.imgv1_.webp?resize=1200%2C675&ssl=1 전주 지주사는 관기를.. 2024. 7. 25.
♠장성 행주기씨 금강문중과 기탁 고문헌♠ ♠장성 행주기씨 금강문중과 기탁 고문헌♠|- 4 - 『백석헌집』으로 본 기양연의 문학 세계  : 김기림(조선대학교) 1. 들어가는말2. 백석헌 기양연의 생애 및 생각들3. 기양연의 작품들과 문집 양상- 백석헌집 이본들4. 기양연의 문학 세계 5. 나가는 말1. 들어가는 말진정한 의미의 지역 문화는 그 지역 사람들이 남긴 문화유산을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면밀하게 고찰하여 그 의의를 밝히는 일이 수반될 때 형성된다. 호남의 문화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과거 호남에서 삶을 영위했던 사람들의 유산을 집적하여 고찰하고 각 유산들의 의의를 적극적으로 밝히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호남의 문화유산 가운데 과거 문인들의 문학 유산은 어느 정도 수집, 정리되어 그 존재 양상을 일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하여 연구.. 2024. 7. 24.
◐황산대첩비문(荒山大捷碑文)◑ https://blog.naver.com/hahnguibok/221064988018 황산대첩비 [荒山大捷碑]황산대첩비 [荒山大捷碑] 1963年 1月 21日 史蹟 第104號로 指定된 南原 荒山大捷碑址는 全羅北道 南原市 雲...blog.naver.com◐황산대첩비문(荒山大捷碑文)◑황산대첩(荒山大捷)은 이성계(李成桂)ㆍ이두란(李豆蘭) 장군이 고려 우왕 6년(1380)에 지리산 근방 황산(荒山)에서 왜적 아기발도(阿只拔都)군을 물리친 사실을 말한다.황산대첩비는 승전비(勝戰碑)인데 그 비문(碑文)은 김귀영(金貴榮)이 56살 때인 선조 8년(1575 을해) 8월에 지어 올린[제진(製進)] 것이고, 선조 10년(1577)에 송인(宋寅)이 글씨를 쓰고, 남응운(南應雲)이 각자(刻字)하여 세운 것이다.비문을 지은 김귀영.. 2024. 7. 22.
<데스크 칼럼> 강감찬·이순신·장태완 장군의 충심 강감찬·이순신·장태완 장군의 충심입력 : 2024-01-03 19:18:45 수정 : 2024-01-03 19:21:1312.12 군사반란을 다룬 영화 ‘서울의 봄’이 1200만 고지를 넘어섰다. 김한민 감독의 ‘이순신 3부작 프로젝트’ 마지막 작품인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도 3일 현재 관객 400만 돌파를 향해 순항 중이다. KBS가 오랜만에 내놓은 정통 대하 사극 ‘고려거란전쟁’은 10화에서 시청률 10%를 찍고 공영방송의 존재 가치를 증명했다.전두환이 대통령이 되고 이순신은 죽는다. 강감찬 장군은 귀주대첩에서 거란군에게 승리해 나라를 구한다. 누구나 아는 결말에도 관객이 구름같이 몰려든다. 초등학생도 결말을 다 아는 영화·드라마의 흥행 질주가 지난 연말부터 새해까지 이어지고 있다.극의 결말을 .. 2024. 7. 22.
1959년(己亥年)에 영흥조씨(永興趙氏)들과 제주조씨(濟州趙氏)들간에 모종의 완의문(完議文) 1959년(己亥年)에 영흥조씨(永興趙氏)들과 제주조씨(濟州趙氏)들간에 모종의 완의문(完議文)이 작성되였던 적이 있다. 완의문의 내용을 보면 『충무공 조영무의 4대종손 윤진(允璡)이 無後하여, 동생인 윤수(允璲)의 자손들이 충무공의 종통을 500여년간 이어오고 있는데, 제주도에 사는 南原公 趙琠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는 씨족들이, 無後인 允璡의 자손으로 入譜시켜줄 것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으나, 忠武公派에서는 이들은 南原을 本貫으로 하는 南原趙氏들이라고 강변하고 있다. 그러던차 濟州道의 趙南洙라는 자가 재차 入譜를 희망하자 費用을 부담하는 조건으로 允璲의 3子인 淑이 無後이므로 그 子孫으로 入譜를 허용한다』는 내용이다. 위 내용에서 살펴볼 점은, 만일 濟州趙氏들을 長孫인 윤진(允璡)의 子孫으로 入譜시킬 경우 .. 2024. 7. 19.
▣열전(列傳)권제40(卷第四十)고려사127(高麗史一百二十七)▣■叛逆序文(鄭麟趾書)列傳卷第四十 高麗史一百二十七 ▣열전(列傳)권제40(卷第四十)고려사127(高麗史一百二十七)▣■반역서문(鄭麟趾)列傳卷第四十 高麗史一百二十七正憲大夫工曹判書集賢殿大提學知經筵春秋館事兼成均大司成【臣】鄭麟趾奉敎修.叛逆一孔子作春秋, 尤嚴於亂臣賊子, 及據地以叛者, 其誅死者而不貸, 所以戒生者於後也. 夫人臣忠順, 則榮其身保其宗, 而美名流於後. 叛逆者, 未有不脂潤鼎鑊, 赤其族, 而覆其祀者, 可不戒哉? 作叛逆傳. [색인어]◎이름孔子 ●서명春秋,叛逆傳[반역서문]정헌대부 공조판서 집현전대제학 지경연춘추관사 겸 성균대사성(正憲大夫 工曹判書 集賢殿大提學 知經筵春秋館事 兼 成均大司成) 【신(臣)】 정인지(鄭麟趾)가 교(敎)를 받들어 편수하였다.반역1(叛逆一)공자(孔子)는 『춘추(春秋)』를 지을 때, 난신적자(亂臣賊子) 및 지역에 할거함으로써 반란을 일으킨 자에게 .. 2024. 7. 15.
贈資憲大夫吏曹判書兼知經筵義禁府事。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春秋館,成均館事。五衛都摠府都摠管。行通政大夫禮曹參議尹公諡狀。 孤山遺稿附錄 / 尹善道 諡狀내용1791년(정조 15) 전라감사 서유린(徐有隣)이 왕의 명을 받고 간행하였다. 그 뒤 정조 22년 전라감사 서정수(徐鼎修)가 윤선도의 본가에 간직된 목판본을 대본으로 하여 개편, 간행한 것이 오늘날 전하고 있는 ≪고산유고≫이다.이 책의 편목을 보면, 권1에는 오칠언(五七言)의 고시·율시·절구·회문(回文)·집고(集古) 등 250편이 실려 있고, 권2에는 <병진소 丙辰疏> 등 16편의 소(疏)가 실려 있다. 권3의 상권에는 <국시소 國是疏>·<논예소 論禮疏> 등 13편의 소와 <예설 禮說> 2편이 있고, 하권에는 <상친정서(上親庭書)>를 비롯한 17편의 서(書)가 있다.권4에는 <답이현풍서 答李玄風書> 등 100편의 서가 수록되어 있다. 권5에서 <여갑산백서 與甲山伯書> 등 2.. 2024. 7. 15.
영흥조씨조영무후손경기도여주종중홈페이지 https://zh.wikisource.org/wiki/%E5%85%83%E5%8F%B2/%E5%8D%B7166#%E7%8E%8B%E7%B6%A7 元史/卷166 - 维基文库,自由的图书馆維基文庫,自由的圖書館 王綧 隋世昌 羅璧 劉恩 石高山 鞏彥暉 蔡珍 張泰亨 賀祉 孟德 鄭義 張榮實 石抹狗狗 楚鼎 樊楫 張均 信苴日 王昔剌 趙宏偉 王綧,高麗王㬚zh.wikisource.org http://samsanri.com 한양조씨 충무공파한양조씨 충무공파 여주지방세보 가족 홈페이지입니다.samsanri.com=영흥조씨조영무후손경기도여주종중홈페이지= 2024. 7. 13.
이제까지 감춰진 한․일 고대사의 비밀 : 백제를 되살린 동성왕 이제까지 감춰진 한․일 고대사의 비밀(13)백제를 되살린 동성왕충남 공주시가 9월, 이달의 역사인물로 백제 중흥의 기반을 다진 백제 24대왕 '동성왕'을 선정했다.혼란했던 웅진백제를 안정시키고, 왕권을 강화해 무령왕으로 이어지는 백제 중흥기의 초석을 닦은 동성왕의 생애와 업적을 재조명하기 위해 9월의 역사인물로 '동성왕'을 선정한 것이다. 동성왕은 국내 정세의 안정을 위해 동성왕은 금강 유역의 신진세력을 등용해 기존 귀족세력과의 균형을 도모했으며, 지방 곳곳에 중앙관리를 파견해 지방에 대한 중앙의 통제력을 강화했다.대외적으로는 고구려의 남진을 견제하고 백제의 옛 위상을 되찾기 위해 중국 남조의 남제 및 왜와의 외교를 강화했으며, 신라와의 혼인동맹을 통해 제나동맹을 더욱 공고히 하는 등 적극적인 외교정책을.. 2024. 7. 10.
흑치상치의 묘비문1604글자를 통해 보는 백제! 흑치상치의 묘비문1604글자를 통해 보는 백제! ‘대주고좌무위위대장군 검교좌우림군 증좌옥금위대장군 연국공흑치부군묘지문 병서(大周故左武威衛大將軍檢校左羽林軍贈左玉錦衛大將軍燕國公黑齒府君墓誌文幷序)’https://youtu.be/W_Ddr5QHGkY대륙백제추천 0조회 30304.05.16 11:04댓글 0 흑치상치의 묘비문1604글자를 통해 보는 백제1고대 지나인들의 인식, 흔히 사람이 죽으면 가는 곳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는 북망산 , 북망산은 중국 낙양에 있는 산이름이다 . 지나인들은 살아서 소주.항주.죽어서는 낙양의 북망 이라고 하였cafe.daum.net▣흑치상지묘지명(黑齒常之墓誌銘)▣大周故左武威衛大將軍檢校左羽林軍贈左玉鈐衛大將軍燕國公黑齒府君墓誌文幷序太淸上冠合其道者坤元至無高居參其用者師律不有命世之材傑其奚以應斯數.. 2024. 7. 10.
◐성균관, 전국향교의 우리나라 18현◑ ◐향교의 우리나라18현◑◐홍유후 설총(弘儒侯 薛聰, 650년경 - 740년경)동배향(東配享) 제1위(第一位)본관은 경주(慶州), 신라 경덕왕(742 - 765) 때의 사람으로 자는 총지(聰智)이다. 설총의 부친은 원효대사이며, 모친은 요석공주이다. 『삼국유사』 [원효불기(元曉不羈)]와 『삼국사기』의 열전에 의하면, 설총은 천성이 명민하고 슬기로웠으며, 나면서부터 도를 깨달아 경서와 역사에 널리 통달했다고 한다. 또한 중국과 외이(外夷)의 각 지방 풍속과 물건 이름 등에도 통달하였고 육경(六經)과 문학을 훈해(訓解)하여 후생을 훈도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이 기록에 의해서 고려말, 조선 초에 설총의 이두창제설(吏讀創製說)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설총의 출생 이전에 이미 [진흥왕순수비]나 [서동요] [혜.. 2024. 7. 2.
◐開城王氏大宗會 평양공파(平壤公派) 11세 왕준(왕준(王綧) 家系圖◑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6.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