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功臣都監 : 1395년 한노개(韓奴介) 개국원종공신녹권(開國原從功臣錄券)▣
▣功臣都監 : 1395년 한노개(韓奴介) 개국원종공신녹권(開國原從功臣錄券)▣분류고문서-교령류-공신녹권 / 국왕·왕실-교령-공신녹권· 작성주체발급: 공신도감(功臣都鑑)수취: 한노개(韓奴介)· 작성지역한양 / 서울특별시 · 작성시기1395년 / 홍무28년 윤9월 일· 형태사항크기: 25x265.5 / 권축장(卷軸裝), 권자본(卷子本), 1축 / 종이 / 한자, 이두· 인장서명吏曹之印, 5개(6.5×6.5, 적색정방형)· 서명(개)착명:9· 소장정보원소장처 : 북청 가주한씨 한태숙 / 현소장처 : 인민대학습당 · 비고정서본:『한국의 古文書』(허흥식, 민음사, 1988), 『朝鮮初期 古文書 吏讀文 譯註』(박성종,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功臣前中直大夫司宰監 韓奴介 本嘉州右員乙原從功臣錄券 良中奇是臥乎{事/叱..
2024. 8. 12.
●몽고의 여걸, 조국대장공주 알카이 베키(趙國大長公主 阿剌海別吉)
●몽고의 여걸, 조국대장공주 알카이 베키(趙國大長公主 阿剌海別吉)아랄해별길(阿剌海別吉公主, 阿剌海別吉 ?~?) ○칭기즈 칸(중세 몽골어: ᠴᠢᠩᠭᠢᠰᠬᠠᠭᠠᠨ Činggis Qan, 몽골어: Чингис хаан, 한국 한자: 成吉思汗 성길사한, 문화어: 칭기스 한, 영어: Genghis Khan, 1162년 11월 12일 ~ 1227년 8월 25일[1])은 몽골 제국의 건국자이자 초대 카안이다. 중국식 별칭은 칭기스 황제, 묘호는 태조(太祖), 시호는 법천계운성무황제(法天啓聖運武皇帝)이다. 본명은 보르지긴 테무친(몽골어: ᠪᠣᠷᠵᠢᠭᠢᠨᠲᠡᠮᠦᠵᠢᠨ, 한국 한자: 孛兒只斤鐵木眞 패아지근철목진)으로, 몽골의 여러 부족을 통합한 군사·정치 지도자로서 몽골 초원의 부족들을 정복하고 몽골 제국을 성립시켜 몽..
2024. 7. 27.
▣열전(列傳)권제40(卷第四十)고려사127(高麗史一百二十七)▣■叛逆序文(鄭麟趾書)列傳卷第四十 高麗史一百二十七
▣열전(列傳)권제40(卷第四十)고려사127(高麗史一百二十七)▣■반역서문(鄭麟趾)列傳卷第四十 高麗史一百二十七正憲大夫工曹判書集賢殿大提學知經筵春秋館事兼成均大司成【臣】鄭麟趾奉敎修.叛逆一孔子作春秋, 尤嚴於亂臣賊子, 及據地以叛者, 其誅死者而不貸, 所以戒生者於後也. 夫人臣忠順, 則榮其身保其宗, 而美名流於後. 叛逆者, 未有不脂潤鼎鑊, 赤其族, 而覆其祀者, 可不戒哉? 作叛逆傳. [색인어]◎이름孔子 ●서명春秋,叛逆傳[반역서문]정헌대부 공조판서 집현전대제학 지경연춘추관사 겸 성균대사성(正憲大夫 工曹判書 集賢殿大提學 知經筵春秋館事 兼 成均大司成) 【신(臣)】 정인지(鄭麟趾)가 교(敎)를 받들어 편수하였다.반역1(叛逆一)공자(孔子)는 『춘추(春秋)』를 지을 때, 난신적자(亂臣賊子) 및 지역에 할거함으로써 반란을 일으킨 자에게 ..
2024. 7. 15.